KR200466890Y1 -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 Google Patents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90Y1
KR200466890Y1 KR2020110011225U KR20110011225U KR200466890Y1 KR 200466890 Y1 KR200466890 Y1 KR 200466890Y1 KR 2020110011225 U KR2020110011225 U KR 2020110011225U KR 20110011225 U KR20110011225 U KR 20110011225U KR 200466890 Y1 KR200466890 Y1 KR 200466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port
frame
drain
port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2020110011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경계대를 구비한 피난구를 프레임이 마감의 타일면과 수평으로 하고 바닥에 매립하였을 때, 청소수가 플랜지부의 요홈으로 유입되더라도 배수가 가능하도록 제안된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피난구의 프레임을 관통한 유입구 내측에 부착한 아답터에 결합된 배수관이 하측의 배출구에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된 후 드레인에 접속하도록 구성하는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를 제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Emergency Exit within Drain}
고층형 주거건물이나 상업건물에서 화재시 스스로 대피하는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 시행령으로 방화구역 의무설치에 의한 대피공간 설치 또는 국토해양부령에 의한 하향식피난구를 설치하여 비상시 스스로 대피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피난구는 도 4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나 다용도실의 바닥슬래브에 사람이 통과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상자와 같은 프레임(11)을 바닥을 관통하도록 매설하고, 상기 프레임(11)의 상부를 덮는 덮개(21), 프레임(11)의 하부를 막는 하뚜껑(22)을 구비한 후, 프레임(11)의 높이 폭에 일단이 고정하고 포개어 작게 접어 수용된 후, 하뚜껑(22)이 개방되면 하측으로 펼쳐져서 신장되는 사다리(23)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피난구(1)가 바닥에 매설되면 통상으로 도 5와 같이 마감공정인 타일(24)의 마감면이 프레임(11)의 상부에서 하향된 날개부폭 임의 위치에서 맞대어 시공되면, 결과적으로 날개부와 플랜지부(13)가 바닥면에 돌출하는 돌출부가 발생하여, 생활하고 있는 주거민이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등의 안전을 해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인은 도 6과 같이 피난구(1)가 설치될 때, 프레임(11) 상부가 타일(24)면에 돌출하지 않고, 수평을 가지도록 바닥에 매설되고, 이때 타일(24) 등의 건축마감재와 경계를 가지도록 프레임(11)의 상부 플랜지부(13) 외측에서 상향되어 구비된 경계대(12) 구성의 프레임을 실용신안(출원번호:20-2010-0011128)으로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경계대(12) 구조의 하향식 피난구(1)가 설치되어있는 바닥에서 물청소 등을 하면 청소수가 날개부 내측 플랜지부(13)의 요홈으로 유입하여 머물게 되며, 물의 유입량이 넘치면, 그 중 일부가 피난구(1)의 내측으로 스며들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7은 발코니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청소수 등의 오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공지된 드레인(배수트랩)(25)을 나타낸 것이다.
경계대를 구비한 피난구를 프레임이 마감의 타일면과 수평으로 하고 바닥에 매립하였을 때, 청소수가 플랜지부의 요홈으로 유입되더라도 배수가 가능하도록 제안된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이다.
피난구의 프레임에 물이 유통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배수관을 연결하여 외측의 드레인으로 배출하도록 제안된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이다.
피난구가 매설된 장소에서 물청소에 의해 피난구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하층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피난구에서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피난구에서 배수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피난구에서 배수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피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피난구가 바닥에 돌출하고 매립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피난구가 바닥에 수평으로 매립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드레인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고안의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피난구(11)에서 배수장치가 구비된 일부 절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1)에는 경계대(12)와 이어지는 플랜지부(13)의 상단과 경계를 이루고 관통하는 소정의 구멍을 유입구(2)로 구비하고,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구(2)를 감싸고 부착결합된 아답터(3)에 배수관(5)이 접속하여, 프레임(11)의 하측 임의 위치에서 관통된 배출구(4)에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된 후, 피난구(1)가 설치된 바닥의 드레인(25)까지 배수관(5)이 배관하도록 구성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는 바닥과 덮개(21)를 청소할 때, 물이 프레임(11)과 경계대(12) 사이에서 배수로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13)에 흘러서, 유입구(2)와 이어진 배수관(5)을 통해 드레인(25)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배수관(5)이 콘크리트 타설 등 건축공정에서 용이하도록, 도 2와 같이 프레임(11)의 배출구(4)에 관이음쇠(6)를 결합하고 배관하기도 하는데, 이와같은 관이음쇠(6)에 의한 배수관(5)의 배관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아답터(3)와 관이음쇠(6) 간, 피난구(1)의 외측에서 관이음쇠(6)와 드레인(25) 간의 배관이 따로 시공이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피난구(1) 외부에서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되는 배수관(5)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배수관(5)이 내장삽입하는 CD관(8)이 접속하는 콘넥터(7)가 배출구(4)에 결합하여 구성하기도 한다.
1:피난구 2:유입구 3:아답터
4:배출구 5:배수관 6:관이음쇠
7:콘넥터 8:CD관
11:프레임 12:경계대 13:플랜지부
21:덮개 22:하뚜껑 23:사다리
24:타일 25:드레인

Claims (3)

  1. 프레임에 경계대가 형성하고 덮개가 타일면과 수평으로 하여 바닥에 매설되는 피난구에 있어서,
    피난구(1)의 프레임(11)을 관통한 유입구(2) 내측에 부착한 아답터(3)에 결합된 배수관(5)이 하측의 배출구(4)에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된 후 드레인(25)에 접속하도록 구성하는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배출구(4)에 결합된 관이음쇠(6)에 배수관(5)이 접합하여 구성하는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배출구(4)에 배수관(5)을 내장하는 CD관(8)을 접속하는 콘넥터(7)가 결합하여 구성하는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2020110011225U 2011-12-19 2011-12-19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200466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25U KR200466890Y1 (ko) 2011-12-19 2011-12-19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25U KR200466890Y1 (ko) 2011-12-19 2011-12-19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890Y1 true KR200466890Y1 (ko) 2013-05-10

Family

ID=5367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225U KR200466890Y1 (ko) 2011-12-19 2011-12-19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9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PT2009187E (pt) INSTALAÆO SANITáRIA COM UM ESCOAMENTO DE CH†O, BEM COMO PROCESSO PARA MONTAGEM DA INSTALAÆO SANITáRIA DESTE TIPO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200466890Y1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JP2008002258A (ja) 排水システム
KR200437343Y1 (ko) 공동주택의 욕실 배관구조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0466885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200470554Y1 (ko)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JPH08193393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排水設備構造
JP2011089347A (ja) 排水容器及び排水容器の施工方法、排水容器を用いた床排水構造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200460940Y1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바닥매립형 피난구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CN208578368U (zh) 一种适用于多高层建筑的预制式整体卫浴间或卫生间
JP2010159631A (ja) 排水構造体及び床排水構造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KR200461828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JP6203160B2 (ja) 複数層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