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54Y1 -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54Y1
KR200470554Y1 KR2020110003837U KR20110003837U KR200470554Y1 KR 200470554 Y1 KR200470554 Y1 KR 200470554Y1 KR 2020110003837 U KR2020110003837 U KR 2020110003837U KR 20110003837 U KR20110003837 U KR 20110003837U KR 200470554 Y1 KR200470554 Y1 KR 200470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slab
drip tray
evacuation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786U (ko
Inventor
문영제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2020110003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5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과 하층간 하향식 피난구 설치 개구 및 슬라브와 피난구 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란다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설치 개구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흘러가지 못하도록 물을 수용 저장하는 물받이와; 상기 몸체의 하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내벽 사이 공간을 채우는 몰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몰탈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TOPDOWN TYPE EMERGENCY EXIT HAVING FUNCTION OF INTERLAYER WATERPROOF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과 하층간 하향식 피난구 설치 개구 및 슬라브와 피난구 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는 비상계단이 있다. 그러나, 상기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많은 사람이 일시에 비상계단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2차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베란다 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비상탈출 장치로 하향식 피난구가 있다.
상기 하향식 피난구는 베란다의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함체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도어(12), 즉, 상부도어(12a) 및 하부도어(12b)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20)로 구성되며, 화재 등 비상시에 위층 베란다에 노출된 상부도어(12a)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도어(12b)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사다리(20)가 펼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는 화재 발생시 상부도어(12a)를 개방한 후 사다리(20)를 이용하여 아래층 베란다로 순차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나 빌라, 기타 빌딩 등의 건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며, 최근에는 관련 법규정 개정을 통하여, 아파트 등 고층건물 건축시 하향식 피난구의 구비가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의 경우, 금속재로 구성된 몸체(10)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베란다 슬라브와의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몸체(10) 표면과 슬라브 표면 사이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어, 상층 베란다에서 물청소 등의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간극을 통하여 물이 스며들어 하층 세대 베란다로 물이 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향식 피난구의 몸체 및 상부도어가 베란다 바닥 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어 설치되므로 보행에 방해가 되거나 청소 등의 작업시 불편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종래 하향식 피난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피난구 설치 개구 및 베란다 슬라브와 하향식 피난구의 몸체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난구가 베란다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시 또는 청소 등의 작업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하향식 피난구와 그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란다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설치 개구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흘러가지 못하도록 물을 수용 저장하는 물받이와; 상기 몸체의 하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내벽 사이 공간을 채우는 몰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몰탈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의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부도어에 뿌려진 물을 물받이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하향경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의 하향경사부의 단부에는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향절곡부가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향식 피난구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물받이가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몰탈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가 베란다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몰탈지지부가 슬라브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슬라브와 피난구의 몸체 사이에는 몰탈이 충진되되, 충진된 몰탈은 피난구 몸체의 몰탈지지부 내측에 수용되어 지지되면서 슬라브 두께만큼 충진되며, 상기 몰탈은 몰탈지지부의 내측 뿐만 아니라 몰탈지지부의 외측 및 슬라브 하부를 덮도록 도포되어 슬라브와 몸체가 상호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슬라브 및 몰탈의 하부는 천장마감재로 마감 처리되고; 상기 슬라브와 몰탈이 이루는 수평면 상층부에는 방수층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는 물받이의 저면 높이에까지 몰탈이 채워지고; 상기 몰탈층의 상층에는 물받이의 높이 구간에 걸쳐 타일이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에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은 몰탈층에 매설되며 건물에 기 설치된 배수시스템과 연결되어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으로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베란다에서 물 사용시 물받이에서 일차적으로 물이 수용 저장됨에 따라 소량의 물이 물받이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 증발되며, 다량의 물이 물받이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물이 물받이를 넘어 베란다의 타일 표면으로 넘쳐 흘러 자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슬라브의 상층 빛 피난구 몸체 측면에 방수층이 형성되어 상층 세대로부터 하층 세대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고, 방수층 상하부에서 몰탈층에 의해 피난구 몸체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도어의 가장자리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 물받이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 타일과 층을 이루지 않고 매끄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보행시 또는 청소 등의 작업시 방해가 되지 않아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통상적인 하향식 피난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절개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의 구성 및 설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는 종래 통상의 하향식 피난구와 같이 몸체(10), 상부도어(12a), 하부도어(12b), 사다리 및 기타 상부도어(12a)와 하부도어(12b)를 연동시키는 링크 등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특이적으로 본체에는 물받이(10a) 및 몰탈지지부(10b)가 구비되고, 상부도어(12a)에는 하향경사부 및 하방절곡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다만, 도면에서는 편의상 사다리 및 링크 등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구성은 생략하였다.
상기 물받이(10a)는 피난구 몸체(10)와 베란다 슬라브(30)의 설치 개구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흘러가지 못하도록 일시적으로 물을 수용 저장하는 공간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 둘레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대체로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몰탈지지부(10b)는 피난구 몸체(10)와 베란다 슬라브(30)의 내벽 사이 공간을 채우는 몰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의 하부 둘레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물받이(10a)와 같이, 대체로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피난구 몸체(10)의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에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도어(12a)와 하부도어(12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도어(12a)와 하부도어(12b)는 몸체(10)의 상하부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별도의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도어(12a) 및 하부도어(12b)의 개폐 구조는 통상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에도 이러한 개폐 구조는 생략하였다.
다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12a)에 하향경사부와 하향절곡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하향경사부는 상부도어(12a)의 가장자리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받이(10a)의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도어(12a)의 가장자리 부분에 하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상부도어(12a) 표면에 물이 뿌려지는 경우 물을 물받이(10a)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하향경사부의 말단은 외부로부터 물받이(10a)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물받이(10a)의 내벽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상부도어(12a)의 표면에 뿌려진 물은 하향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물받이(10a) 내부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향절곡부는 상부도어(12a)의 가장자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향경사부의 단부에서 대체로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으로, 상부도어(12a)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상기 몸체(10)의 중앙 개구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하향 절곡부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도어(12a)가 닫힌 상태에서 물받이(10a)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에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하, 도 4 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구조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식 피난구는 베란다의 슬라브(30)에 관통 설치되되, 몸체(10)의 몰탈지지부(10b)가 슬라브(3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슬라브(30)와 피난구의 몸체(10) 사이에는 몰탈(40)이 충진된다. 이 때, 충진된 몰탈(40)은 피난구 몸체(10)의 몰탈지지부(10b) 내측에 수용되어 지지되면서 슬라브(30) 두께만큼 충진되며, 상기 몰탈(40)은 몰탈지지부(10b)의 내측 뿐만 아니라 몰탈지지부(10b)의 외측 및 슬라브(30) 하부를 덮도록 도포되어, 슬라브(30)와 피난구 몸체(10)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30) 및 몰탈(40)의 하부는 별도의 천정마감재(50)로 마감 처리된다.
슬라브(30)와 몰탈(40)이 이루는 수평면 상층부에는 방수층(60)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60)은 에폭시, 우레탄 등과 같은 기존의 방수재를 사용하여 시공되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30) 상층부는 편평하게 도포되고 몰탈(40) 상층부는 피난구의 몸체(10)에 걸쳐 물받이(10a) 직하부까지 수직으로 도포된다. 상기 방수재는 피난구 몸체(10)의 외부 표면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방수층(60)의 상부에는 물받이(10a)의 저면 높이에까지 몰탈(70)이 채워지고, 물받이(10a) 저면은 상기 몰탈(70)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된다.
상기 몰탈(70)의 상층에는 물받이(10a)의 높이 구간에 걸쳐 타일(80)이 시공된다. 이에 따라, 타일(80)의 상부 표면과 물받이(10a) 상단부가 동일한 높이로 시공되어 물받이(10a)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 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 설치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층구조는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되,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10a)에 배수관(9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90)은 몰탈(70)에 매설되며 건물에 기 설치된 배수시스템과 연결되어 물받이(10a)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90)으로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베란다에 물이 뿌려지는 경우, 타일(80) 표면을 따라 이동하던 물은 직접 물받이(10a)로 유입되고, 상부도어(12a)에 뿌려진 물을 상부도어(12a)의 하향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물받이(10a)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됨에 따라, 피난구 몸체(10)와 슬라브(3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받이(10a)에 저장된 물은 소량인 경우 장기간 방치시 자연 증발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물받이(10a)에 저장된 물을 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부도어(12a)의 단부에 하향절곡부가 형성되어 몸체(10)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어 하층 세대 베란다로 물이 누수되는 것 또한 방지되며, 하향경사부가 상부도어(12a)의 중앙 표면과 타일(80)을 완만한 경사도로 부드럽게 연결하기 때문에 상부도어(12a)와 타일(80) 사이의 높이차로 인한 보행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받이(10a) 높이는 몸체(10)의 상부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물받이(10a)에 과량의 물이 저장되면 물이 몸체(10) 중앙 개구로 침투하지 않고 물받이(10a)의 외측 타일(80)쪽으로 오버플로우되어 배수됨에 따라 하층으로의 누수가 방지된다.
그리고, 몸체(10)와 슬라브(30) 사이에는 별도의 방수층(60)과 몰탈층이 형성되어 몸체(10)와 슬라브(3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그 사이 간극을 통한 누수 또한 방지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 10a : 물받이
10b : 몰탈지지부 12 : 도어
12a : 상부도어 12b : 하부도어
20 : 사다리 30 : 슬라브
40 : 몰탈 50 : 천정마감재
60 : 방수층 70 : 몰탈
80 : 타일 90 : 배수관

Claims (5)

  1. 베란다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설치 개구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흘러가지 못하도록 물을 수용 저장하는 물받이와;
    상기 몸체의 하부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되, 상기 몸체와 베란다 슬라브의 내벽 사이 공간을 채우는 몰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몰탈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의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상부도어에 뿌려진 물을 물받이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하향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도어의 하향경사부의 단부에는 수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향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2. 삭제
  3. 삭제
  4.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물받이가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몰탈지지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가 베란다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몰탈지지부가 슬라브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슬라브와 피난구의 몸체 사이에는 몰탈이 충진되되, 충진된 몰탈은 피난구 몸체의 몰탈지지부 내측에 수용되어 지지되면서 슬라브 두께만큼 충진되며, 상기 몰탈은 몰탈지지부의 내측 뿐만 아니라 몰탈지지부의 외측 및 슬라브 하부를 덮도록 도포되어 슬라브와 몸체가 상호 결합 고정되며;
    상기 슬라브 및 몰탈의 하부는 천정마감재로 마감 처리되고;
    상기 슬라브와 몰탈이 이루는 수평면 상층부에는 방수층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는 물받이의 저면 높이에까지 몰탈이 채워지고;
    상기 몰탈층의 상층에는 물받이의 높이 구간에 걸쳐 타일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설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에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은 몰탈층에 매설되며 건물에 기 설치된 배수시스템과 연결되어 물받이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으로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구 설치 구조.
KR2020110003837U 2011-05-04 2011-05-04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KR200470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7U KR200470554Y1 (ko) 2011-05-04 2011-05-04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7U KR200470554Y1 (ko) 2011-05-04 2011-05-04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6U KR20120007786U (ko) 2012-11-14
KR200470554Y1 true KR200470554Y1 (ko) 2013-12-24

Family

ID=4751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37U KR200470554Y1 (ko) 2011-05-04 2011-05-04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33B1 (ko) * 2016-02-11 2017-02-08 최승수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966B1 (ko) * 2020-08-07 2022-02-14 정원조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용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733A (ja) 2008-08-04 2010-02-18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0952387B1 (ko) *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733A (ja) 2008-08-04 2010-02-18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0952387B1 (ko) *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33B1 (ko) * 2016-02-11 2017-02-08 최승수 고층 건물의 피난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6U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094B2 (en) Building acces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uilding with such a building access system
JP6964919B2 (ja) 耐火シェルター
KR200470554Y1 (ko)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KR102280788B1 (ko)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JP5713863B2 (ja) 避難シェルタ
KR20120120607A (ko)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WO2019131538A1 (ja) 地下シェルター
KR102362966B1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용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
KR20046374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JP5204329B1 (ja) 建築物
JP6833567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施工方法
KR200466890Y1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20150002839U (ko) 하향식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JP2023131927A (ja) 避難ハッチの設置構造
KR200466885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0460946Y1 (ko) 견실한 방수, 훼손예방의 슬래브케이스
CN220539487U (zh) 预制凸窗
CN211776812U (zh) 一种卫生间门套防潮结构
RU79598U1 (ru) Ризалит для реконструируем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20220141161A (ko)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용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
JP2005097915A (ja) 雨水排水構造
CN209244457U (zh) 一种外飘式窗户节点防水结构
KR20230026745A (ko) 누수와 낙수가 방지되는 옥외탈출형 대피시설
JP6580405B2 (ja) 建物
RU2347873C1 (ru) Пристраиваемое лиф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конструируем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