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746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746Y1
KR200463746Y1 KR2020120000622U KR20120000622U KR200463746Y1 KR 200463746 Y1 KR200463746 Y1 KR 200463746Y1 KR 2020120000622 U KR2020120000622 U KR 2020120000622U KR 20120000622 U KR20120000622 U KR 20120000622U KR 200463746 Y1 KR200463746 Y1 KR 200463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ousing
enclosure
evacuation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제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202012000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slab) 시공시 함께 설치하여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이 불필요한 하향식 피난구에서, 시공되는 건축물의 마감선과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의 함체 상단이 수평을 이루도록 함체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용틀이 결합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 일측면에는 피난시 하측으로 전개되는 피난 도구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에 관통 삽입된 뒤 상기 함체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정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높이조절용틀과,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높이조절용틀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Assembly type refuge tool for Height conditioning}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slab) 시공시 함께 설치하여 슬라브 시공 후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이 불필요한 하향식 피난구에서, 시공되는 건축물의 마감선과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구의 함체 상단이 수평을 이루도록 함체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용틀이 결합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라, 주상복합건물, 도시형 생활주택 등과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 지진 등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재해 현장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 피난계단이 있다.
그러나, 피난계단은 화재시 화염과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많은 사람이 일시에 피난계단을 이용시 2차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아파트, 빌라, 주상복합건물, 도시형 생활주택 등의 베란다나 복도 등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하향식 피난구가 있다.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의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53544호(이하 '종래기술1' 이라 함)가 있는데, 바닥면 슬라브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함체로 구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도어(12), 즉 상부도어(12a) 및 하부도어(12b)와, 상기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내림식 사다리(20)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1 은 화재, 지진 등의 비상시에 베란다나 복도(즉, 설치된 바닥면)에 노출된 상부도어(12a)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나 복도에 노출된 하부도어(12b)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함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내림식 사다리(20)가 펼쳐지게 되고, 이를 통해 상층에서 직하층으로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에 의하면 베란다 슬라브(30) 시공용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슬라브(30)를 먼저 시공한 다음에 하향식 피난구를 삽입 설치하기 위해 슬라브(30)를 하향식 피난구의 크기만큼 절개하였다. 따라서, 그 절개 부분만큼 자재가 낭비됨은 물론 절개에 필요한 많은 노력과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뒤 하향식 피난구를 삽입 설치하기 때문에 양생된 콘크리트의 높이와 하향식 피난구의 함체 상단의 높이가 맞지 않아 일상생활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하향식 피난구의 함체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상생활 중 돌출된 함체에 사용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거나 함체가 하부로 함몰된 위치에 설치되어 청소나 베란다에 배치된 세탁기 등에서 흘러나온 물이 저장되어 저장된 물에 의해 베란다가 항상 습기찬 상태를 유지하여 세균 번식이나 결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특히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 시공시 함께 설치하되 바닥면 슬라브 시공의 높이와 하향식 피난구의 함체 높이가 동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미관이 우수하고 일상 생활의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하향식 피난구 설치를 위한 슬라브 절개 과정이 불필요하고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수밀 특성 및 방음 특성이 뛰어나 바닥면에 설치시 직하층으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 일측면에는 피난시 하측으로 전개되는 피난 도구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에 관통 삽입된 뒤 상기 함체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정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높이조절용틀과,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높이조절용틀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함체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지수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틀의 상단 외측부에는 외부로부터 내측을 밀폐하기 위한 몰딩이 결합하는 몰딩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설치되도록 상기 함체의 일측부에는 일단은 함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각 측면 상단부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 덮개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의하면, 하향식 피난구를 바닥면 슬라브 시공시 함께 설치하되 상기 바닥면과 상부 덮개의 상면 높이가 동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자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상부 덮개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브 시공시 함께 설치되므로 슬라브 절개 과정과 같은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 없고, 동시에 피난구를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 저장한 뒤 자연 증발하도록 지수판를 구비하여 상부층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직하층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덮개에 구비된 퍼라이트 단열재에 단열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방음, 방수 및 결로 현상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사다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사다리 지지구를 함체의 외측에 배치시킬 수 있어서, 상기 사다리 지지구 부피 만큼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함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은 넓힐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할 바닥면은 베란다나 복도를 비롯하여 직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소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난자의 피난을 돕는 피난 도구로서 사다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그 외 피난자가 하부 덮개 위에 올라서면 완강기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상기 피난 도구는 내림식 사다리 및 완강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100)는 내부에 절첩식의 사다리(20)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복수개의 높이조절공(121)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높이조절용틀(120)과,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높이조절용틀(120)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130) 및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복도나 베란다와 같은 바닥면에 설치하여, 지진, 화재 등 비상시에 상부 덮개(130)를 열면 링크(도 1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하부 덮개(140)가 동시에 열리면서 함체(110) 내부에 배치된 내림식 사다리가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지게 되어 피난자가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진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 피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가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어느 구성을 선택해도 상관은 없다.
본 고안에 따른 함체(110)는, 내부에 내림식 사다리(20)가 배치되며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4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바닥면 슬라브(slab)(S)를 양생시 함께 설치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의 함체(110)는 슬라브(S)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인 형틀(F)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함체(110)의 주위(즉, 외부)에 콘크리트를 투입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와는 다르게 슬라브(S) 시공을 마친 후 함체(110)의 상입을 위해 별도로 슬라브(S)를 절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에는 후술하는 높이조절용틀(120)의 결합구(122)가 결합되는 결합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하단 외측면에는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는 받이구(114)가 구비되되, 상기 받이구(114)는 함체(110)의 하단 외측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함체(110)와 후술하는 높이조절용틀(120)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어 상부층으로부터 직하층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사다리가 부착되는 상기 함체(110)의 일측면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굴곡 및 돌출된 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수용부(115)는 함체(110) 자체를 외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므로 개방된 일측이 함체(110)의 내부를 바라보고, 돌출된 외측 부분은 용접을 통해 철근(X, Y)에 고정된다. 수용부(115)의 굴곡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5) 내에 사다리를 지지하는 브라켓이나 힌지 및 상기 내림식 사다리의 하강시 줄을 풀어주는 윈치(winch) 등을 갖춘 지지 모듈(B)을 설치하면, 함체(110)의 전체 크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함체(110) 내측을 통해 피난자가 피난할 수 있는 유효 개구부 면적(법령에서는 직경 60Cm 이상)을 넓힐 수 있게 한다.
즉,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부(115)를 구비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 모듈(도 1의 B 참조)를 편평한 함체(110) 내측벽에 고정하고, 그 지지 모듈(B)에 사다리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 모듈(B)의 부피만큼 피난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함체(110)의 크기를 더 크게 해야 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슬라브(S)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출된 수용부(115)를 갖고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수용부(115) 내부에 삽입된 지지 모듈(B)은 고정볼트(115a)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에는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 저장한 뒤 자연적으로 증발되도록 하기 위한 지수판(113)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수판(113)은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돌출되는 부분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바닥면(30)과 상부 덮개(130)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유입되는 물이 지수판(113)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태로 저장되며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적으로 증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층에서 물청소 등을 행할 때 바닥면(30)과 상부 덮개(130)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어 하부층으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수판(113)은 함체(110)의 측면을 보강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데, 즉 상기 함체(110)의 측면이 타설된 콘크리트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함체(110)가 형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상부층 또는 직하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서 함체(11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와 결합구(122)를 통해 결합되며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12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함체(110)가 슬라브(S) 시공과 동시에 설치될 때 슬라브(S)시공 후 양생된 바닥면(30)의 높이와 함체(110)의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상부 덮개(130)의 상부면 높이가 동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브(S) 시공 후 양생되는 바닥면(30)의 높이는 건축물이 설계 당시 정해지는 높이로서, 보통 기준이 되는 바닥면의 높이는 동일한 층의 가장 큰 방의 네 모서리 중 대각으로 마주보는 끝점을 서로 이어서 형성한 대각선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되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상기 높이조절공(121) 중 선택된 높이조절공(121)을 일치시킨 후 결합구(122)를 통해 함체(110)와 고정한다.
상기 높이조절공(121)은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높이조절용틀(120)이 상기 슬라브 시공 후 양생된 바닥면(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구(122)는 보통의 나사(122a)와 너트(122b)로 이루어지며 마모를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한 와셔(122c)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은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슬라브 시공 후 양생되는 바닥면(30)의 높이와 닫힘 동작 시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의 상단과 맞닿는 상부 덮개(130)의 상면 높이가 동일한 수평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의 상부에는 바닥면(30)과 상부 덮개(130)의 틈새로 유입되는 물을 막기 위한 몰딩(125)이 구비되는데, 상기 몰딩(125)은 높이조절용틀(120)의 상단 외측면에 대략 '∪' 자 형상으로 상부를 향해 절곡된 몰딩고정구(124)가 구비되어 상기 몰딩(125)이 몰딩고정구(12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몰딩고정구(124)는 높이조절용틀(120)의 상단 외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몰딩(125)도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11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었으므로 몰딩(125) 역시 단면이 사각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몰딩(125)을 몰딩고정구(124)에 끼우기 전에 몰딩고정구(124)의 내측면에 실리콘 등을 도포한 후 몰딩(125)을 끼우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함체(110)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설치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부에는 일단은 함체(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X,Y)에 고정되는 고정구(112)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구(112)('띠쇠'라고도 함)는 상기 함체(110)의 외주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배치되는 철근(X,Y)에 용접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함체(11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에도 함체(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구(112)는 길이 방향에 대한 중심부를 접어 일단부는 철근(X,Y)에 고정시키고 타단부는 형틀(F)에 고정시키며 중심부분은 함체(110)에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의 하단 원안 참고)
상기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는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것으로, 보통은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L)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거나, 혹은 서로 연동되어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힌다.
다만, 하부 덮개(140)의 경우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대신에 함체(110) 내부에 설치된 완강기(미도시)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피난자가 올라타면 슬립 방식으로 하강하는 구성도 있다.
또한, 상부 덮개(130)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힌지가 함체(110)의 외부 상단부에 있게 되면 틈새가 발생하고 설치가 어려우므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부에 설치된 굴곡된 형상의 힌지(131)를 사용한다. 이하, 굴곡된 형상의 힌지(131)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부 덮개(140)의 상면에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141)가 부착되어 있는데, 퍼라이트 단열재(141)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기 때문에 바닥면에 설치시 매우 유용하다.
특히, 건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지상에서 기둥으로 들어올려 건물을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필로티(Piloti) 타입의 건물인 경우에는 최하층 바닥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퍼라이트 단열재(141)에 의해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또한, 피난자가 직하층으로 늘어뜨려져 하강된 내림식 사다리를 타고 피난을 완료한 후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닫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의 회전을 지지하는 링크(L)에 닫음용 줄(W)이 연결되어 있고, 닫음용 줄(W)은 피난시 사다리와 함께 하측으로 늘어지게 되므로, 직하층으로 피난한 후 닫음용 줄(W)을 잡아당겨 상부 덮개(130)와 하부 덮개(140)를 닫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함체(110)의 각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자석(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자석을 더 구비하면 상부 덮개(130)가 자석의 자력에 이끌려 닫힘 상태를 유지하므로, 닫혔을 때 맞닿는 몰딩(125)과의 밀착력이 더욱 커지면서 수밀 효과가 더 높아지며, 상부 덮개(130)와 몰딩(125)과의 유격을 없애 사용자가 상부 덮개(130)를 밟고 지나가더라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하향식 피난구 110 : 함체
111 : 결합공 112 : 고정구
113: 지수판 114 : 받이구
120 : 높이조절용틀 121 : 높이조절공
122 : 결합구
124 : 몰딩고정구 125 : 몰딩
130 : 상부덮개 140 : 하부덮개
141: 퍼라이트 단열재
S : 슬라브 F : 형틀
L : 링크 X,Y : 철근

Claims (6)

  1.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 일측면에는 피난시 하측으로 전개되는 피난 도구가 설치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높이조절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공(121)에 관통 삽입된 뒤 상기 함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고정되는 결합구(122)가 구비된 높이조절용틀(120)과;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며, 닫힘 동작시 상기 높이조절용틀(120)과 밀착하는 상부 덮개(130); 및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도록 조립되는 하부 덮개(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절용틀(120)의 상단 외측부에는 외부로부터 내측을 밀폐하기 위한 몰딩(125)이 결합하는 몰딩고정구(1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에는,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부로 절곡된 지수판(1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를 상기 바닥면의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설치되도록 상기 함체(110)의 일측부에는 일단은 함체(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X,Y)에 고정되는 고정구(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의 각 측면 상단부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 덮개(130)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6.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140)의 상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및 결로 방지 효과를 갖는 퍼라이트(Perlite) 단열재(14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KR2020120000622U 2012-01-27 2012-01-27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KR200463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22U KR200463746Y1 (ko) 2012-01-27 2012-01-27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622U KR200463746Y1 (ko) 2012-01-27 2012-01-27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746Y1 true KR200463746Y1 (ko) 2012-11-22

Family

ID=4756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622U KR200463746Y1 (ko) 2012-01-27 2012-01-27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00B1 (ko) * 2013-01-15 2013-07-19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하향식 피난 사다리 구조물용 보관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750U (ko) 1986-01-16 1987-07-24
KR101008161B1 (ko) * 2010-06-15 2011-01-13 이갑순 비상용 사다리 장치
KR101077465B1 (ko) 2011-08-04 2011-10-27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의 함체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750U (ko) 1986-01-16 1987-07-24
KR101008161B1 (ko) * 2010-06-15 2011-01-13 이갑순 비상용 사다리 장치
KR101077465B1 (ko) 2011-08-04 2011-10-27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의 함체 방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500B1 (ko) * 2013-01-15 2013-07-19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하향식 피난 사다리 구조물용 보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676B1 (en) Attic access apparatus
JP2001226054A (ja) エレベータ昇降路
JPWO2020203512A1 (ja) 耐火シェルター
KR20046374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하향식 피난구
KR101281997B1 (ko)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200489291Y1 (ko)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N103953125B (zh) 一种预制空调板支座处防火安装施工方法
KR102502329B1 (ko) 건축물의 유지 보수 현장 작업자용 휴식 및 개인위생 관리 시설
US10513848B2 (en) Building component
KR200470554Y1 (ko)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JP2004156221A (ja) パネル構造物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H072870Y2 (ja) ユニット式地下室
KR102049597B1 (ko)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CN203821620U (zh) 一种预制空调板支座处防火安装施工结构
KR200461828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101968288B1 (ko) 내진 시공용 소화전 설치대
KR101854227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101152259B1 (ko) 입상관 홀더가 구비된 고열가스 차단형 입상관용 댐퍼
RU79598U1 (ru) Ризалит для реконструируем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JPH09250251A (ja) 災害時用組立式便所
JP2003041651A (ja) バルコニー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