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93B1 -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 Google Patents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93B1
KR101290693B1 KR1020110112589A KR20110112589A KR101290693B1 KR 101290693 B1 KR101290693 B1 KR 101290693B1 KR 1020110112589 A KR1020110112589 A KR 1020110112589A KR 20110112589 A KR20110112589 A KR 20110112589A KR 101290693 B1 KR101290693 B1 KR 10129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frame
variable
evacu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815A (ko
Inventor
정상근
Original Assignee
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근 filed Critical 정상근
Priority to KR102011011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6Non-ski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등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피난사다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몸체로 되어 있어 슬래브 두께의 차이 또는 바닥면 타일 설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보강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측압에 의해 사다리 구조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한 피난을 위해 사다리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정함은 물론, 대피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부 도어를 손쉽게 폐쇄하도록 하는 가변프레임을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A concealed evacuation-ladder with changeable bodyfram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피난사다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립형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에 드러나지 않아 미관을 저해하지 않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몸체로 되어 있어 슬래브 두께의 차이 또는 바닥면 타일 설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대피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프레임을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화재 등의 비상시에 비상계단 등의 외부 탈출구를 둠으로써 재해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비상계단은 특히 고층건물인 경우 대피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빠른 대피가 어렵고, 관리방법의 소홀로 인하여 화재시 더 큰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집 내부에 발생하는 긴급상황에서 탈출로로 이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택건설규정상 이웃집과 맞닿는 부위의 발코니에는 경량경계벽(피난벽)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시 경량경계벽을 파괴하고 이웃집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경량경계벽이 위치한 발코니는 주로 창고 등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어, 화재시 상기 경량경계벽을 부수고 이웃으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신속히 타층으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고, 화재는 상층으로 확산되므로 가장 적절한 대피 방법으로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방법에 관한 기술이 종종 제시되곤 하였다.
하층으로의 대피방법에 대한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발코니 난간을 이용하여 사다리를 걸치는 방법과 완강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은 저층에서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근래와 같이 초고층으로 건설되는 공동주택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들 대피수단들의 사용방법이 매우 난해하여 사용에 미숙한 거주자들에게는 긴급상황 발생시 무용지물이 될 우려가 있었다. 설령 이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속도가 느려 여러 명이 이용할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의 신속한 대피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창 외부로의 피난 대신에 집안 내부 특히 발코니 등에 아래층과 통하는 통로를 개설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는데 그 예로써 등록특허 10-1037582 (2011년 5월 23일 등록)의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 사다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가 열린 함체 형상의 프레임(110)과,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힌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도어(120) 및 하부도어(130)와, 프레임 내부에 절첩됨과 아울러 사용시 하층으로 전개되는 사다리(200)와, 하층으로 전개된 사다리를 접으면서 프레임 내부로 복귀시키는 완강기, 및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다리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발판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하부로 수직하게 전개되는 다수의 사다리 멤버(210), 및 어느 하나의 사다리 멤버의 지지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사다리 멤버의 지지프레임 배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평상시 사다리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으며, 비상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빠르게 사다리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뒤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프레임(11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어서 슬래브 두께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고, 시공 후에도 구조 변경을 통해 발코니에 바닥재를 더 부가하는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가 접히는 방식에 있어서 하단의 사다리 멤버가 상단의 사다리 멤버 상부로 겹쳐지게 되어 슬래브 두께가 일정이상이 되어야 하고, 펼쳐지는 사다리가 수직을 유지함에 따라 피난자가 안전하게 대피하기 어려우며, 최종 피난자가 상,하부도어를 폐쇄하기 위해 완강기를 작동시키려면 완강기 동작시 사다리가 접혀지므로 사다리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워 상층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모순이 생기는 것은 물론, 사다리가 접혀지고 난 후 하부도어와 상부도어가 폐쇄되는 구조이어서 화재의 확산을 막기 위한 상부도어 폐쇄가 늦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10-2011-0014791(2011년 2월 14일 공개)의 '하향식 피난사다리의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300)을 조절함으로써 슬래브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일단 높이를 결정하면 지지브라켓(300)을 마감몰탈(520)로 매립시키는 구조여서, 피난사다리 시공완료 후에는 또다시 높이를 재조절할 수 없다. 즉 상기 등록특허 10-1037582와 마찬가지로 피난사다리의 시공완료 후에는 프레임의 높이를 전혀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래브 두께 및 추후 바닥공사 등에 따른 바닥 높이의 변화에 맞추어 피난사다리 몸체부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피난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첩식 사다리가 안정적이면서도 피난이 용이한 각도로 펼쳐지고, 하나의 평면을 유지하며 절첩되는 피난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측압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하게 상부 도어를 개폐하고 사다리가 펼쳐지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래브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절첩식 사다리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 하부 도어로 구성되는 매립형 피난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사이에는 몸체부의 높이(h)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고정프레임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여 가변프레임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1, 2브라켓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용 볼트로 이루어진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가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은 종단면에 있어서 양 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매립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가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도어는 그 일단면이 가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도어와 가변프레임 사이에는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힌지형 절첩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절첩링크에는 당김줄을 설치하여 당김줄의 당김에 의해 절첩링크가 접어지면서 상부 도어가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는 그 일단면이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도어와 몸체부 사이에는 하부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가 설치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가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첩식 사다리는 발받침대와 그 양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ㄷ자형의 사다리 단위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어지거나 펼쳐질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대는 양 측단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에 부착되며 인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다리 단위체들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면서 절첩되도록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가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도어에는 고정턱이 더 구비되어 펼쳐진 사다리가 지면의 수직에 대하여 약 15도의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에 접하는 사다리의 최하단에는 지면에 대한 미끄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다리 구조체의 매립시공 후에도 추가적인 바닥시공에 따른 바닥 높이 변화에 맞추어 사다리 구조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으로 인한 배부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체 변형방지를 위해 바닥슬래브 형틀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슬래브박스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이를 제거한 뒤 다시 사다리 구조체를 설치하는 번거로움 없이, 직접 사다리 구조체를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어서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펼쳐지는 사다리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빠르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고, 상하부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바닥설치형 피난사다리 구조의 일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사다리박스 설치과정 상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사다리의 단면도, 평면도, 일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의 일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는 사각 형상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절첩식 사다리(200)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 하부 도어(300, 4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층간에 위치하게 되며,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종단면에 있어서 양단부가 절곡된 ㄷ자형상을 갖도록 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서 앵커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고정프레임(110)이 슬래브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0) 종단면의 중앙부에는 매립되는 방향,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보강부(111)를 형성시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변프레임(120)은 높이조절수단(130)에 의해 상하로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30)은 고정프레임(110)과 가변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되는 제1브라켓(131)과,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여 가변프레임(120)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되는 제2브라켓(132)과, 상기 제1, 2브라켓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용 볼트(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2브라켓은 피난사다리의 시공 후에도 상기 몸체부의 높이(h)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브라켓(131, 132)에는 조절용 볼트(133)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조절용볼트(133)는 그 일단부가 제2브라켓(13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한 후 제1브라켓(13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용 너트(13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홀에서 회전만 가능한 채로 제1브라켓(13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용 너트로는 너트에 나일론 수지를 넣은 나일론 너트(nylon nut)가 사용됨으로써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조절용 볼트가 풀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조절용 볼트(133)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변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브라켓(132)에 형성된 홀에 조절용 볼트(133)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홈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2브라켓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를 더 부착하여 상기 조절용 볼트가 너트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변프레임(120)의 높이가 조절가능함으로써, 층간의 슬래브 및 타일의 두께에 맞춤은 물론, 시공 후 추가 바닥공사로 인해 층간의 두께가 달라진 경우에도 피난사다리의 상하부 표면을 상층의 바닥 및 하층의 천장에 각각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용 볼트(133)를 대신하여 고정핀의 사용도 가능하나, 사각프레임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mm단위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한 조절용 볼트를 채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상부 도어(300)의 일단면이 가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상부 도어(300)는, 평상시에는 발코니의 피난사다리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과 동일하게 발코니로서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고, 비상시에는 용이하게 상부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아연합금 등 강도가 강하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상부 도어(300)의 하면에는 대피자가 용이하게 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탈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도어(300) 또는 가변프레임(120)에는 상부 도어(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층으로 물이 누수되거나, 소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수단(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300)를 잠금 또는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 도어에 잠금개폐장치(31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개폐장치는 이중의 잠금수단과 개방손잡이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호기심 및 부주의에 의한 상부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면서, 별도의 개방손잡이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기능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면 어떤 장치든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점검구 등에 적용되는 푸쉬버튼이 있다. 상기 푸쉬버튼은 잠금장치와 개방손잡이의 기능을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열쇠 구멍을 내재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 전면의 돌출부 및 개방손잡이로 구성된다. 평상시에는 푸쉬버튼의 잠금부에서 이중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다가, 비상시에 열쇠를 이용하여 일차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열쇠구멍을 포함한 원형의 돌출부를 누르면 이차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개방손잡이가 튀어나오게 되고, 상기 개방손잡이를 회전시킨 후 상부로 당김으로써 상부 도어(300)를 개방할 수 있다.
피난종료시까지 상기 상부 도어(30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도어(300)와 가변프레임(120)의 사이에는 힌지형 절첩링크(320)가 설치된다. 상기 절첩링크는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두 개의 바로 구성되며, 상부 도어를 지면에서 수직에 근접하게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절첩링크(320)가 일직선으로 펼쳐지고, 상기 펼쳐진 절첩링크(320)가 상부 도어의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상기 절첩링크(320)에는 상부 도어 폐쇄수단이 구비되는데, 하층에서 상부 도어를 간단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히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상부 도어 폐쇄수단은 절첩링크(320)에 당김줄(330)을 설치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절첩링크의 힌지에 당김줄을 직접 설치한 경우, 피난 완료 후 당김줄을 잡아당기면 당김줄이 절첩링크를 곧바로 접어지게 함으로써 상부 도어가 닫혀지게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첩링크(320)와 당김줄(330) 사이에 회전프레임(34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가변프레임(120)의 내측 양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당김줄(330)이 직접 절첩링크의 힌지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부 도어를 닫기 위해 당김줄을 당길 때 힌지에 직접적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절첩링크의 힌지부분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중간에 상기 회전프레임(340)을 구비하여 직접적으로 절첩링크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김줄의 당김에 의한 절첩링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이 일정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프레임(340)이 구비된 경우에는 당김줄(330)은 회전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최종 피난자가 당김줄을(330) 일정한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프레임(340)이 회전하고, 회전프레임의 상단부가 상기 절첩링크(320)의 중앙부를 압박하여 상기 절첩링크가 접혀지면서 상부 도어(300)가 닫혀지게 된다.
상기 상부 도어(300)와 대향하여 절첩식 사다리(200) 및 몸체부(100)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하부 도어(400)는 그 일단면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에는 누름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도어(400)의 타단면에는 상기 누름대에 체결되도록 하는 걸림쇠(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대를 눌러서 상기 걸림쇠를 해제함으로써 하부 도어(40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도어(400)가 일정각도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도어와 몸체부(100) 사이에는 실린더(410)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는 그 일단부가 몸체부, 특히 고정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부 도어(400)에 연결됨으로써, 하부 도어(400)가 급격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410)는 후술하는 절첩식 사다리(200)를 이용한 피난시에 상기 접철식 사다리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하부 도어(400) 폐쇄시에도 부드럽게 하부 도어가 닫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도어(400)에는 고정턱(4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턱은 후술하는 절첩식 사다리(200)가 펼쳐질 때 사다리의 밑면이 고정턱에 닿도록 함으로써 하층 바닥(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약 15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턱(420)은 절첩식 사다리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만한 곡면으로 인해 절첩식 사다리가 펼쳐질 때 고정턱을 훼손하지 않고 부드럽게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400)가 폐쇄될 때에도 접철식 사다리가 상기 고정턱에(420)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접철식 사다리의 단면도이고, 5b는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정면도, 5c는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식 사다리(200)는 발받침대(211)와 그 양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212)로 이루어지는 ㄷ자형의 사다리 단위체(210)가 수 개 결합하여 구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사다리의 최하단부에 미끄럼방지 고무캡 등의 미끄럼방지수단(213)을 더 구비함으로써 접철식 사다리가 하층의 발코니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212)는 양 측단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홈(214)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215)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에 부착되는 삽입프레임(2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다리 단위체(210)들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나의 평면을 이루면서 절첩된다. 이때 상기 삽입프레임(216)이 인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21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첩식 사다리(200)는 하단의 발받침대(211) 폭이 더 넓어져서 안정적인 구조의 사다리가 된다. 또한 상기 절첩식 사다리가 하나의 평면을 이루면서 절첩됨에 따라 높이에 있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가 슬래브 두께로 인하여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구현이 어려운 경우에도 큰 구조변경 없이 본 발명의 사다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212)는 내측(상호 대면하는 방향) 및 외측 면의 일부에 일정한 크기의 슬라이딩홈(217)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대(218)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대는 인접하는 상측 사다리 단위체의 슬라이딩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홈의 하단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절첩식 사다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는 피난사다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적절한 시공장소를 선정하고(S1), 슬라브 철근의 배근공사시에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슬라브 철근과 함께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S2). 다음으로 상기 가변프레임(120)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높이조절수단(130)으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바닥높이에 맞추어 결합하고, 절첩식 사다리(200)를 상기 가변프레임에 고정한다(S3). 다음으로 상기 상부 도어(300)를 절첩링크(320)에 연결하여 가변프레임(120)과 힌지 결합하고, 하부 도어(400)를 실린더(410)에 연결하여 고정프레임(110)과 힌지 결합한다(S4). 마지막으로 당김줄(330)을 설치하고 실린더(410)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설치가 종료된다(S5). 상기 시공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10)과 가변프레임(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높이조절수단(130)으로 바닥높이에 맞추어 가변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공방법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재 발생시 열쇠로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상부 도어를 90도 정도로 개방하여 상부 도어가 열린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부 도어에 위치한 누름버튼을 누르면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서 절첩식 사다리가 완전히 펼쳐진다. 상기 절첩식 사다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와 고정턱에 의해 하층 바닥에서 수직으로 1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대피하는 사람들은 순차로 상부 도어의 손잡이와 펼쳐진 절첩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층으로 대피한다. 모든 사람의 대피가 끝난 후 최종 대피자는 힌지형 절첩링크에 설치된 당김줄을 당겨서 상부 도어를 폐쇄하고, 절첩식 사다리에서 내려옴으로써 화재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피난 종료 후, 하부 도어 폐쇄는 우선 상기 절첩식 사다리의 하단을 상부로 들어올려 사다리를 접고 하부 도어를 상부로 들어올리면, 실린더의 작용으로 상기 접혀진 사다리와 함께 하부 도어가 딸깍 소리를 내며 폐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고정프레임
111: 보강부 120: 가변프레임
130: 높이조절수단 131: 제1브라켓
132: 제2브라켓 133: 조절용 볼트
134: 고정용 너트 200: 절첩식 사다리
210: 사다리 단위체 211: 발받침대
212: 지지대 213: 미끄럼방지 고무캡
214: 가이드홈 215: 가이드프레임
216: 삽입프레임 217: 슬라이딩홈
218: 걸림대 300: 상부 도어
310: 잠금개폐장치 320: 절첩링크
330: 당김줄 340: 회전프레임
350: 기밀수단 400: 하부 도어
410: 실린더 420: 고정턱
h: 몸체부의 높이

Claims (5)

  1. 슬래브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절첩식 사다리(200)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 하부 도어(300, 400)로 구성되는 매립형 피난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프레임과 가변프레임의 사이에는 몸체부의 높이(h)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30)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고정프레임(110)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된 제1브라켓(131)과,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여 가변프레임의 사각 모서리에 부착된 제2브라켓(132)과, 상기 제1, 2브라켓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용 볼트(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종단면에 있어서 양 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매립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보강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300)는 그 일단면이 가변프레임(12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도어(300)와 가변프레임(120) 사이에는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힌지형 절첩링크(320)가 설치되며,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내측 양면에는 회전프레임(3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부에는 당김줄(330)이 설치되어, 당김줄의 당김에 의해 회전한 회전프레임이 절첩링크를 압박하여 절첩링크가 접어지면서 상부 도어가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400)는 그 일단면이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하방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도어(400)와 몸체부(100) 사이에는 하부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사다리(200)는 발받침대(211)와 그 양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212)로 이루어지는 ㄷ자형의 사다리 단위체(2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어지거나 펼쳐질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지지대(212)는 양 측단면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홈(214)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215)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에 부착되며 인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216)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다리 단위체(210)들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면서 절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400)에는 고정턱(420)이 더 구비되어 펼쳐진 사다리가 지면의 수직에 대하여 약 15도의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면에 접하는 사다리의 최하단에는 지면에 대한 미끄럼방지수단(21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20110112589A 2011-11-01 2011-11-01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29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89A KR101290693B1 (ko) 2011-11-01 2011-11-01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89A KR101290693B1 (ko) 2011-11-01 2011-11-01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15A KR20130047815A (ko) 2013-05-09
KR101290693B1 true KR101290693B1 (ko) 2013-07-29

Family

ID=4865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89A KR101290693B1 (ko) 2011-11-01 2011-11-01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27U (ko)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동 가능한 난간
KR20190081026A (ko)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2334A (zh) * 2016-11-29 2017-03-15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科用上药装置
KR102362966B1 (ko) * 2020-08-07 2022-02-14 정원조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용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00U (ko) * 1985-06-26 1987-01-12
KR20090060033A (ko) * 2007-12-07 2009-06-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00105139A (ko) * 2009-03-20 2010-09-29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동시타설 시공법
KR20110004264A (ko) * 2009-07-06 2011-01-13 조윤성 층간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00U (ko) * 1985-06-26 1987-01-12
KR20090060033A (ko) * 2007-12-07 2009-06-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00105139A (ko) * 2009-03-20 2010-09-29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의 콘크리트 동시타설 시공법
KR20110004264A (ko) * 2009-07-06 2011-01-13 조윤성 층간 비상탈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27U (ko)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회동 가능한 난간
KR20190081026A (ko) 2017-12-29 2019-07-09 한정권 체결 기능을 강화한 피난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815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8213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1153786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170138948A (ko) 화재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20110019857A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209981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03586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8814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3097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0636880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