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545B1 -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545B1
KR101903545B1 KR1020170108562A KR20170108562A KR101903545B1 KR 101903545 B1 KR101903545 B1 KR 101903545B1 KR 1020170108562 A KR1020170108562 A KR 1020170108562A KR 20170108562 A KR20170108562 A KR 20170108562A KR 101903545 B1 KR101903545 B1 KR 10190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escape
b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류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순모 filed Critical 류순모
Priority to KR102017010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과;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되고 일 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맞닿는 사각 형태의 고정 프레임;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고 몸체가 고층 건물 바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 내부에 끼워지고 밑면에 발디딤판이 갖추어지며 후면에 접이식 후면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을 마주보는 측면에 접이식 측면 도어가 장착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을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에 붙들어 고정하여 상기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 레버(Lever) 조작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여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후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과 맞닿는 이동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된 제1 발판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되고 제1 발판과 힌지(Hinge) 결합 된 제2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2개 이상이 단차를 두고 계단 형태로 장착되며,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을 잡아주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형 발판;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맞닿지 않은 고정 프레임의 타측단에 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의 타측단에 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측판과 힌지 결합되어 제1 측판과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제2 측판을 구비하고,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었을 때에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일자 형태로 펼쳐지는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 화재나 재난의 위험이 없는 평상시 이동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에 붙들어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이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이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 및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위층에 설치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이 하강 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을 해제하여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으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거주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어 탈출 프레임이 외곽 프레임에 고정된 채 탈출 프레임과 외곽 프레임이 겹쳐지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채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이 겹쳐지며, 상기 접이식 계단형 발판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은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서 포개어져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반면, 화재나 재난 발생 시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에 의해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외곽 프레임에 끼워진 탈출 프레임이 하강 되고, 하강 된 상기 탈출 프레임은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을 동작시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을 해제하며, 락킹이 해제된 아래층 이동 프레임은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아래층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은 수평하게 펼쳐져 화재나 재난 발생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된 탈출 프레임을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부까지 내려간 다음 아래층에 펼쳐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Th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나 재난이 없는 평상시에는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에 설치되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비상 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고층에서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는 화재 피난용 비상계단으로 구조 변경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건축 구조물이 점차 고층화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고층화된 건축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베란다가 설치되며, 상기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높은 빌딩 내부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위로 치솟은 건축물 내부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관계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한번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었을 경우에는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최초 화재 발생 시 현관문과 비상계단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았다면, 현관문과 비상계단을 거쳐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현관문과 비상계단이 불길로 봉쇄되면, 상기 고층 건물 내부에 갇힌 거주자는 고층 건물에 갇혀 죽음을 기다리거나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 매달려 구조대를 기다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0937336"호의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는 건축 구조물 내에 설치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부터 건축 구조물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상·하단면이 개방되고 건축 구조물의 내측과 마주보는 일측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의 외곽 프레임과; 건축 구조물의 내측과 마주보는 일측면과 상단면이 개방되어있는 입체 형상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외곽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때,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벽을 따라 건축 구조물의 하방으로 이동되는 비상 이동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비상 이동체를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때, 상기 외곽 프레임으로부터 비상 이동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 및 화재가 발생 되었을 때, 상기 고정 수단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비상 이동체가 상기 외곽 프레임을 완전히 벗어나지 않도록 비상 이동체의 일측을 외곽 프레임에 고정하는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927317 (2009.11.18)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937336 (2010.01.18)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41292 (2012.05.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현관문이나 비상 계단이 불길로 봉쇄되었을 때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개방된 베란다나 발코니를 통해 지상으로 안전하게 내려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과;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되고 일 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맞닿는 사각 형태의 고정 프레임;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고 몸체가 고층 건물 바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 내부에 끼워지고 밑면에 발디딤판이 갖추어지며 후면에 접이식 후면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을 마주보는 측면에 접이식 측면 도어가 장착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 화재나 재난이 없는 평상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을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에 붙들어 고정하여 상기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 레버(Lever) 조작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여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나 재난이 없는 평상시 후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면과 맞닿는 이동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된 제1 발판과, 상기 이동 프레임에 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되고 제1 발판과 힌지(Hinge) 결합 된 제2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2개 이상이 단차를 두고 계단 형태로 장착되며,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을 잡아주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형 발판;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맞닿지 않은 고정 프레임의 타측단에 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의 타측단에 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측판과 힌지 결합되어 제1 측판과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제2 측판을 구비하고,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었을 때에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일자 형태로 펼쳐지는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 화재나 재난의 위험이 없는 평상시 이동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에 붙들어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이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이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 및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위층에 설치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이 하강 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을 해제하여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으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이 없는 평상시에는 거주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어 탈출 프레임이 외곽 프레임에 고정된 채 탈출 프레임과 외곽 프레임이 겹쳐지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채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이 겹쳐지며, 상기 접이식 계단형 발판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은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서 포개어져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반면, 화재나 재난 발생 시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에 의해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외곽 프레임에 끼워진 탈출 프레임이 하강 되고, 하강 된 상기 탈출 프레임은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을 동작시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을 해제하며, 락킹이 해제된 아래층 이동 프레임은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아래층 고정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은 수평하게 펼쳐져 화재나 재난 발생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된 탈출 프레임을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부까지 내려간 다음 아래층에 펼쳐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 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현관문이나 비상계단이 불길로 봉쇄되었을 때 고층 건물 거주자가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을 이용하여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면 외곽 프레임에 겹쳐져 있던 탈출 프레임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 되면서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이 해제되면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접이식 계단형 발판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이 펼쳐져 비상계단으로 구조 변경된다.
따라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는 탈출 프레임을 통해 아래층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구조 변경된 비상계단을 밟고 아래층 외곽 프레임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을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상으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현관문이나 비상계단이 불길로 봉쇄되었을 때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베란다나 발코니에 설치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를 화재 피난용 비상계단으로 구조 변경한 다음 아래층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옴으로써 화재를 피할 수 있다.
도면 1은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본 발명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2는 위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이 하강되었을 때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3은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이 해제되어 탈출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4는 접이식 계단형 발판이 펼쳐지고 탈출 프레임이 하강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5는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및 접이식 계단형 발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6은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및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7은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 연결된 제1 연결암과 제2 연결암을 도시한 도면,
도면 8은 고정 프레임을 떠받치는 고정 프레임 받침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는 고정 프레임 받침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면 10은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11은 외곽 프레임 가로바 밑면에 가공된 밑면 가이드홀을 도시한 도면,
도면 12는 탈출 프레임 윗면에 가공된 제1 걸림 장홀과 제1 걸림 해제 홀을 도시한 도면,
도면 13은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과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의 분해도,
도면 14는 외곽 프레임 가로바 정면에 가공된 제1 정면 가이드홀을 도시한 도면,
도면 15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에 의해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16은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의 락킹이 해제되어 이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17과 도면 18은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과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의 분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도면 1 내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과;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되고 일 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맞닿는 사각 형태의 고정 프레임(3);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전면에 장착되고 몸체가 고층 건물 바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 내부에 끼워지고 밑면에 발디딤판(7)이 갖추어지며 후면에 접이식 후면 도어(9)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3)을 마주보는 측면에 접이식 측면 도어(11)가 장착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을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에 붙들어 고정하여 상기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 레버(Lever) 조작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여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을 하강시키는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후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3)의 전면과 맞닿는 이동 프레임(19); 상기 고정 프레임(3)에 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된 제1 발판(21)과, 상기 이동 프레임(19)에 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되고 제1 발판(21)과 힌지(Hinge) 결합 된 제2 발판(2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2개 이상이 단차를 두고 계단 형태로 장착되며,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발판(21)과 제2 발판(23)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을 잡아주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제1 발판(21)과 제2 발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형 발판(25);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맞닿지 않은 고정 프레임(3)의 타측단에 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측판(27)과, 상기 제1 측판(27)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19)의 타측단에 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측판(27)과 힌지 결합되어 제1 측판(27)과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제2 측판(29)을 구비하고,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측판(27)과 제2 측판(29)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었을 때에는 제1 측판(27)과 제2 측판(29)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일자 형태로 펼쳐지는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 화재나 재난의 위험이 없는 평상시 이동 프레임(19)을 고정 프레임(3)에 붙들어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19)이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이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 및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위층에 설치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이 하강 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을 해제하여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으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거주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어 탈출 프레임(13)이 외곽 프레임(5)에 고정된 채 탈출 프레임(13)과 외곽 프레임(5)이 겹쳐지고, 상기 이동 프레임(19)은 고정 프레임(3)에 고정된 채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이 겹쳐지며, 상기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은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 사이에서 포개어져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반면, 화재나 재난 발생 시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에 의해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외곽 프레임(5)에 끼워진 탈출 프레임(13)이 하강 되고, 하강 된 상기 탈출 프레임(13)은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을 동작시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을 해제하며, 락킹이 해제된 아래층 이동 프레임(19)은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아래층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은 수평하게 펼쳐져 화재나 재난 발생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된 탈출 프레임(13)을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3) 상부까지 내려간 다음 아래층에 펼쳐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한다.
아래층으로 내려간 거주자는 아래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13)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화재나 재난을 피해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다.
고층 건물의 위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13)과 고층 건물의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은 상하 높이 방향으로 마주보게 되어 화재나 재난 발생시 위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13)이 하강 되었을 때 탈출 프레임(13)의 밑면이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과 맞닿게 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3)을 마주보는 외곽 프레임(5)의 측면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프레임(5)의 측면을 열고 닫는 접이식 외곽 프레임 측면 도어(119)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가 장착되고, 상기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에는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잠금 설정시 베란다나 발코니 내부에서는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를 열 수 있는 반면에 외곽 프레임(5) 안쪽에서는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를 열 수 없다.
또, 상기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1)에는 외부 침입 방지를 위해 판재나 메쉬망으로 가로막힌다.
상기 사각 형태의 고정 프레임(3) 내부에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2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 세로바(89)가 소정 너비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사각 형태의 이동 프레임(19) 내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2개 이상의 이동 프레임 세로바(91)가 소정 너비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3)의 좌·우측단과, 고정 프레임 세로바(89), 이동 프레임(19)의 좌·우측단, 및 이동 프레임 세로바(91)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계단형 발판(25)의 전·후단 좌·우측이 축 고정되는 L자형 브라켓(93)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이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3)의 타측단과 이동 프레임(19)의 타측단 상·하부에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의 전·후단 상·하부가 축 고정되는 수평 확장 브라켓(9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을 마주보는 고정 프레임(3)의 일측단 하부에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암(97)의 일단이 축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을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19)의 일측단 하부에는 바(Bar) 형태의 제2 연결암(99)의 일단이 축 고정되며, 상기 제1 연결암(97)과 제2 연결암(99)은 축 고정되어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 사이에서 접혀진 채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제1 연결암(97)과 제2 연결암(99)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의 일 측단 하부를 붙들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3)의 하부에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란다나 발코니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의 밑면을 떠받치는 고정 프레임 받침 브라켓(101)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 받침 브라켓(101)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 형태로 굽어져 베란다나 발코니 바닥 전방에 형성된 단턱에 끼워진 채 앙카 고정되는 기역자형 브라켓(103)과, 판 형태로서 베란다나 발코니 바닥 전면에 앙카 고정되고 상단이 기역자형 브라켓(103)의 일단과 일체로 결합 되는 전방 판 브라켓(105), 및 상기 전방 판 브라켓(105)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 프레임(3)을 떠받치는 지지 브라켓(10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07)의 양측단에는 지지 브라켓(107)의 하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확장되고 후단이 전방 판 브라켓(105)과 일체로 결합 되어 전방 판 브라켓(105)과 지지 브라켓(107)의 결합 관계를 강화하는 하부 보강편(109)이 장착된다.
또, 상기 전방 판 브라켓(105)의 양측단에는 전방 판 브라켓(105)의 전방으로 나란하게 확장되고 하단이 지지 브라켓(107)과 일체로 결합되어 전방 판 브라켓(105)과 지지 브라켓(107)의 결합 관계를 강화하는 전방 보강편(111)이 부가 장착된다.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은 도면 10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프레임(5)의 상부 후방에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밑면에 소정 너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2개의 밑면 가이드홀(39)(Guide Hole)과;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내부에 설치되고 양 끝단에 밑면 가이드홀(39)을 통해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하부로 돌출된 하향 걸림바(41)가 갖추어지며 상기 하향 걸림바(41)의 하부 둘레면에는 환형 턱(43)이 가공된 디귿형 걸림쇠(45); 2개의 밑면 가이드홀(39)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탈출 프레임(13)의 윗면에 가공된 2개의 제1 걸림 장홀(47); 및 상기 제1 걸림 장홀(47)의 일측 끝을 관통하고 내경이 환형 턱(43)의 외경보다 큰 제1 걸림 해제 홀(49)을 구비하여,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제1 걸림 해제 홀(49)을 통해 탈출 프레임(13) 내부로 삽입된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장홀(47)의 내부 가장자리에 걸쳐 탈출 프레임(13)이 외곽 프레임(5)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은 도면 10 내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정면을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일자형 바(Bar)로서 제1 정면 가이드홀(51)에 끼워진 채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와 십자(十) 형태로 배치되고 제1 정면 가이드홀(5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Slide)되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내부로 삽입된 몸체가 디귿형 걸림쇠(45)와 연결된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 및 상기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의 전·후단에 장착된 실·내외 락킹 해제 손잡이(55,57)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장홀(47)의 내부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상태에서 실내 락킹 해제 손잡이(55)나 실외 락킹 해제 손잡이(57)를 디귿형 걸림쇠(45) 방향으로 밀면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제1 정면 가이드홀(51)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귿형 걸림쇠(45)를 제1 걸림 해제 홀(49) 방향으로 밀어내고 디귿형 걸림쇠(45)에 갖추어진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해제 홀(49)에 다다르면 하향 걸림바(41)가 제1 걸림 해제 홀(49)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탈출 프레임(13)이 하강된다.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정면에는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 상기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연통되고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끼워지는 제2 정면 가이드홀(59)이 관통된 제1 안내 프레임(61)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후면에는 정면에 상기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연통되고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끼워지는 제3 정면 가이드홀이 관통된 제2 안내 프레임(65)이 부가 장착된다.
상기 제1 걸림 장홀(47)과 제1 걸림 해제 홀(49)이 관통된 탈출 프레임(13)의 윗면에는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로서 제1 걸림 장홀(47)과 맞닿는 면에 제1 걸림 장홀(47)과 연통되는 제2 걸림 장홀(67)이 관통되고 제1 걸림 해제 홀(49)과 맞닿는 면에 제1 걸림 해제 홀(49)과 연통되는 제2 걸림 해제 홀(69)이 관통된 보강 걸림편(71)이 장착되어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환형 턱(43)에 걸친 제1 걸림 장홀(47)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은 도면 15 내지 도면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3)의 전면 상부를 고정 프레임(3)의 가로 방향으로 관통한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과, 바(Bar) 형태로서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장착되고 일단이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축 고정되며 타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정홀(75)이 관통되어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에는 고정홀(75)이 관통된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통해 고정 프레임(3) 바깥으로 빠져나오는 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3) 바깥으로 노출된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통해 고정 프레임(3) 안으로 삽입되는 이동 프레임 홀딩바(77), 및 상기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19) 후면으로부터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역자 형태로 굽어진 일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에 가공된 고정홀(75)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역자형 고정바(79)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은 도면 15 내지 도면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3)의 상부에서 고정 프레임(3)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푸쉬바(83)와; 화재나 재난 발생시 푸쉬바(83)가 고층 건물 위층에서 하강한 탈출 프레임(13)에 눌려 하강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일단에 고정된 축을 시계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타단을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바깥으로 내보내는 방향 전환 기어부(85)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이동 프레임 홀딩바(7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바깥으로 빠져나오면 이동 프레임(19)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기역자형 고정바(79)의 일단은 고정홀(7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고정홀(75)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은 펼쳐져 화재 피난용 비상 계단으로 구조 변경된다.
상기 푸쉬바(83)의 상단에는 고층 건물 위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13)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완충 고무(87)가 장착된다.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85)는 도면 17과 도면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바(83)의 외부 둘레면에 푸쉬바(83)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푸쉬바 기어(113)와; 이동 프레임 홀딩바(77)가 고정된 축 상단에 장착되고 윗면에 원주 방향으로 톱니 기어가 가공된 축 회전 기어(115); 및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장착되고 푸쉬바 기어(113)가 푸쉬바(83)를 따라 수직 운동할 때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 축 회전 기어(115)로 전달하는 중간 방향 전환 기어(117)로 이루어져, 푸쉬바(83)가 위층 탈출 프레임(13)에 눌려 하강 되면 중간 방향 전환 기어(117)가 푸쉬바(83)의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 축 회전 기어(115)로 전달하고, 상기 축 회전 기어(115)는 이동 프레임 홀딩바(77)를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 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현관문이나 비상계단이 불길로 봉쇄되었을 때 고층 건물 거주자가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을 이용하여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면 외곽 프레임(5)에 겹쳐져 있던 탈출 프레임(13)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 되면서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Locking)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이 해제되면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19)이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이 펼쳐져 비상계단으로 구조 변경된다.
따라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는 탈출 프레임(13)을 통해 아래층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에서 구조 변경된 비상계단을 밟고 아래층 외곽 프레임(5)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을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상으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은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현관문이나 비상계단이 불길로 봉쇄되었을 때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베란다나 발코니에 설치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를 화재 피난용 비상계단으로 구조 변경한 다음 아래층으로 단계적으로 내려옴으로써 화재나 재난을 피할 수 있다.
1. 베이스 프레임 3. 고정 프레임
5. 외곽 프레임 7. 발디딤판
9. 접이식 후면 도어 11. 접이식 측면 도어
13. 탈출 프레임 15.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
17.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 19. 이동 프레임
21. 제1 발판 23. 제2 발판
25. 접이식 계단형 발판 27. 제1 측판
29. 제2 측판 31.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
33.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 35.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
37. 외곽 프레임 가로바 39. 밑면 가이드홀
41. 하향 걸림바 43. 환형 턱
45. 디귿형 걸림쇠 47. 제1 걸림 장홀
49. 제1 걸림 해제 홀 51. 제1 정면 가이드홀
53.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 55. 실내 락킹 해제 손잡이
57. 실외 락킹 해제 손잡이 59. 제2 정면 가이드홀
61. 제1 안내 프레임 65. 제2 안내 프레임
67. 제2 걸림 장홀 69. 제2 걸림 해제 홀
71. 보강 걸림편 73.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
75. 고정홀 77. 이동 프레임 홀딩바
79. 기역자형 고정바 83. 푸쉬바
85. 방향 전환 기어부 87. 완충 고무
89. 고정 프레임 세로바 91. 이동 프레임 세로바
93. L자형 브라켓 95. 수평 확장 브라켓
97. 제1 연결암 99. 제2 연결암
101. 고정 프레임 받침 브라켓 103. 기역자형 브라켓
105. 전방 판 브라켓 107. 지지 브라켓
109. 하부 보강편 111. 전방 보강편
113. 푸쉬바 기어 115. 축 회전 기어
117. 중간 방향 전환 기어 119. 접이식 외곽 프레임 측면 도어
121.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

Claims (9)

  1.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된 사각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과;
    고층 건물의 발코니나 베란다 앞단에 고정 설치되고 일 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맞닿는 사각 형태의 고정 프레임(3);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전면에 장착되고 몸체가 고층 건물 바깥으로 돌출된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 내부에 끼워지고 밑면에 발디딤판(7)이 갖추어지며 후면에 접이식 후면 도어(9)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3)을 마주보는 측면에 접이식 측면 도어(11)가 장착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을 직육면체형 외곽 프레임(5)에 붙들어 고정하여 상기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이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는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
    레버(Lever) 조작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여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을 하강시키는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후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3)의 전면과 맞닿는 이동 프레임(19);
    상기 고정 프레임(3)에 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된 제1 발판(21)과, 상기 이동 프레임(19)에 전방 좌우측면이 축 고정되고 제1 발판(21)과 힌지(Hinge) 결합 된 제2 발판(2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2개 이상이 단차를 두고 계단 형태로 장착되며,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발판(21)과 제2 발판(23)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을 잡아주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제1 발판(21)과 제2 발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형 발판(25);
    상기 베이스 프레임(1)과 맞닿지 않은 고정 프레임(3)의 타측단에 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측판(27)과, 상기 제1 측판(27)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19)의 타측단에 전방 상·하부가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측판(27)과 힌지 결합되어 제1 측판(27)과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제2 측판(29)을 구비하고,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제1 측판(27)과 제2 측판(29)이 포개진 채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반면,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었을 때에는 제1 측판(27)과 제2 측판(29)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채 일자 형태로 펼쳐지는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
    화재나 재난의 위험이 없는 평상시 이동 프레임(19)을 고정 프레임(3)에 붙들어 고정하여 이동 프레임(19)이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이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
    및 화재나 재난이 발생 되어 위층에 설치된 직육면체형 탈출 프레임(13)이 하강 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을 해제하여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으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거주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어 탈출 프레임(13)이 외곽 프레임(5)에 고정된 채 탈출 프레임(13)과 외곽 프레임(5)이 겹쳐지고,
    상기 이동 프레임(19)은 고정 프레임(3)에 고정된 채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이 겹쳐지며,
    상기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은 이동 프레임(19)과 고정 프레임(3) 사이에서 포개어져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반면, 화재나 재난 발생 시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에 의해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외곽 프레임(5)에 끼워진 탈출 프레임(13)이 하강 되고,
    하강 된 상기 탈출 프레임(13)은 아래층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을 동작시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의 락킹을 해제하며, 락킹이 해제된 아래층 이동 프레임(19)은 고층 건물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아래층 고정 프레임(3)과 이동 프레임(19) 사이에 포개어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은 수평하게 펼쳐져 화재나 재난 발생시 고층 건물에 고립된 거주자가 아래층 방향으로 하강된 탈출 프레임(13)을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3) 상부까지 내려간 다음 아래층에 펼쳐진 접이식 계단형 발판(25)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3)을 마주보는 외곽 프레임(5)의 측면에는 외곽 프레임(5)의 측면을 열고 닫는 접이식 외곽 프레임 측면 도어(119)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는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가 장착되며,
    상기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에는 잠금 장치가 장착되어 잠금 설정시 베란다나 발코니 내부에서는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를 열 수 있는 반면에 외곽 프레임(5) 안쪽에서는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를 열 수 없고,
    상기 탈출 프레임 진입 도어(121)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1)에는 외부 침입 방지를 위해 판재나 메쉬망으로 가로막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수단(15)은 외곽 프레임(5)의 상부 후방에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밑면에 소정 너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2개의 밑면 가이드홀(39)(Guide Hole)과;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내부에 설치되고 양 끝단에 밑면 가이드홀(39)을 통해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하부로 돌출된 하향 걸림바(41)가 갖추어지며 상기 하향 걸림바(41)의 하부 둘레면에는 환형 턱(43)이 가공된 디귿형 걸림쇠(45);
    2개의 상기 밑면 가이드홀(39)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탈출 프레임(13)의 윗면에 가공된 2개의 제1 걸림 장홀(47);
    및 상기 제1 걸림 장홀(47)의 일측 끝을 관통하고 내경이 환형 턱(43)의 외경보다 큰 제1 걸림 해제 홀(49)을 구비하여,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제1 걸림 해제 홀(49)을 통해 탈출 프레임(13) 내부로 삽입된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장홀(47)의 내부 가장자리에 걸쳐 탈출 프레임(13)이 외곽 프레임(5) 하부로 내려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장홀(47)과 제1 걸림 해제 홀(49)이 관통된 탈출 프레임(13)의 윗면에는 판 형태로서 제1 걸림 장홀(47)과 맞닿는 면에 제1 걸림 장홀(47)과 연통되는 제2 걸림 장홀(67)이 관통되고,
    상기 제1 걸림 해제 홀(49)과 맞닿는 면에 제1 걸림 해제 홀(49)과 연통되는 제2 걸림 해제 홀(69)이 관통된 보강 걸림편(71)이 장착되어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환형 턱(43)에 걸친 제1 걸림 장홀(47)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17)은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정면을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일자형 바(Bar)로서 상기 제1 정면 가이드홀(51)에 끼워진 채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와 십자(十) 형태로 배치되고 제1 정면 가이드홀(5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Slide)되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 내부로 삽입된 몸체가 디귿형 걸림쇠(45)와 연결된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
    및 상기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의 전·후단에 장착된 실·내외 락킹 해제 손잡이(55,57)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장홀(47)의 내부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상태에서 실내 락킹 해제 손잡이(55)나 실외 락킹 해제 손잡이(57)를 디귿형 걸림쇠(45) 방향으로 밀면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제1 정면 가이드홀(51)을 따라 이동되면서 디귿형 걸림쇠(45)를 제1 걸림 해제 홀(49) 방향으로 밀어내고 디귿형 걸림쇠(45)에 갖추어진 하향 걸림바(41)의 환형 턱(43)이 제1 걸림 해제 홀(49)에 다다르면 하향 걸림바(41)가 제1 걸림 해제 홀(49)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탈출 프레임(13)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정면에는 정면에 상기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연통되고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끼워지는 제2 정면 가이드홀(59)이 관통된 제1 안내 프레임(61)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 가로바(37)의 후면에는 정면에 상기 제1 정면 가이드홀(51)과 연통되고 디귿형 걸림쇠 이동바(53)가 끼워지는 제3 정면 가이드홀이 관통된 제2 안내 프레임(65)이 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33)은 고정 프레임(3)의 전면 상부를 고정 프레임(3)의 가로 방향으로 관통한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과,
    바(Bar) 형태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장착되고 일단이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축 고정되며 타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정홀(75)이 관통되어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에는 고정홀(75)이 관통된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통해 고정 프레임(3) 바깥으로 빠져나오는 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3) 바깥으로 노출된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통해 고정 프레임(3) 안으로 삽입되는 이동 프레임 홀딩바(77),
    및 상기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을 마주보는 이동 프레임(19) 후면으로부터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역자 형태로 굽어진 일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에 가공된 고정홀(75)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역자형 고정바(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해제 수단(35)은 고정 프레임(3)의 상부에서 고정 프레임(3)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푸쉬바(83)와;
    화재나 재난 발생시 상기 푸쉬바(83)가 고층 건물 위층에서 하강한 탈출 프레임(13)에 눌려 하강되었을 때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일단에 고정된 축을 시계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타단을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바깥으로 내보내는 방향 전환 기어부(85)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상기 이동 프레임 홀딩바(7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 프레임 홀딩바(77)의 타단이 이동 프레임 홀딩바 통과홀(73) 바깥으로 빠져나오면 이동 프레임(19)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기역자형 고정바(79)의 일단은 고정홀(7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고정홀(75)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접이식 계단형 발판(25)과 추락 방지용 측부 접이판(31)은 펼쳐져 화재 피난용 비상 계단으로 구조 변경되고,
    상기 푸쉬바(83)의 상단에는 고층 건물 위층에 설치된 탈출 프레임(13)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완충 고무(8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기어부(85)는 푸쉬바(83)의 외부 둘레면에 푸쉬바(83)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푸쉬바 기어(113)와;
    상기 이동 프레임 홀딩바(77)가 고정된 축 상단에 장착되고 윗면에 원주 방향으로 톱니 기어가 가공된 축 회전 기어(115);
    및 상기 고정 프레임(3) 내부에 장착되고 푸쉬바 기어(113)가 푸쉬바(83)를 따라 수직 운동할 때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 축 회전 기어(115)로 전달하는 중간 방향 전환 기어(117)로 이루어져,
    상기 푸쉬바(83)가 위층 탈출 프레임(13)에 눌려 하강 되면 중간 방향 전환 기어(117)가 푸쉬바(83)의 수직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꿔 축 회전 기어(115)로 전달하고,
    상기 축 회전 기어(115)는 이동 프레임 홀딩바(77)를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0170108562A 2017-08-28 2017-08-28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0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62A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7-08-28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62A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7-08-28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545B1 true KR101903545B1 (ko) 2018-10-02

Family

ID=6386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562A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7-08-28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5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37B1 (ko) *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200112474A (ko) *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CN113464040A (zh) * 2020-03-31 2021-10-01 门恩特技术与咨询有限公司 火灾及灾难避难装置
KR20220046112A (ko) *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612619B1 (ko) * 2022-11-25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36B1 (ko) *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562205B1 (ko)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50700B1 (ko)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36B1 (ko) *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562205B1 (ko)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50700B1 (ko)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37B1 (ko) *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20200112474A (ko) *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190468B1 (ko) 2019-03-22 2020-12-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CN113464040A (zh) * 2020-03-31 2021-10-01 门恩特技术与咨询有限公司 火灾及灾难避难装置
KR20220046112A (ko) *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457789B1 (ko) * 2020-10-07 2022-10-20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612619B1 (ko) * 2022-11-25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WO2024111729A1 (ko) * 2022-11-25 2024-05-30 주식회사 매직웨이 비상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CN108368702B (zh) 一体型折叠式安全栏杆以及室外避难楼梯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922173B1 (ko) 화재 피난 장치
KR20130047815A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2612619B1 (ko) 연계 전개식 비상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