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112A -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112A
KR20220046112A KR1020200129154A KR20200129154A KR20220046112A KR 20220046112 A KR20220046112 A KR 20220046112A KR 1020200129154 A KR1020200129154 A KR 1020200129154A KR 20200129154 A KR20200129154 A KR 20200129154A KR 20220046112 A KR20220046112 A KR 2022004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locking
evacuation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789B1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류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순모 filed Critical 류순모
Priority to KR102020012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 상기 메인통로설치부 일측에서 발코니 난간 및 메인통로설치부에 결합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 및 상기 메인통로설치부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탑승한 채로 하부층으로 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로서,
상기 승강장치는, 메인통로설치부의 피난사다리 양측 수직프레임에 레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를 연결하여 모터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승강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High-rise building fire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에 피난사다리를 가이드레일로 활용하도록 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건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 고층 건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발코니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 안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근 130명의 사상자를 낸 의정부시 대봉 그린 아파트와, 양주시 삼숭동 15층 아파트 등지에서의 화재사건이 잇따르면서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베란다에 완강기를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에 완강기를 작동하여 대피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전부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앙카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시켜야 하나 상기 앙카 볼트 대신에 일반 볼트로 고정된 곳이 적잖아 자칫 완강기 사용 중 내벽에 고정된 완강기가 탈락되어 구난자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176978"호의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연결 링크로 연동되게 연결된 것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면 둘레에 외측패킹삽입구와 내측패킹삽입구를 형성하여 외측패킹삽입구에는 외측패킹을 삽입하고 내측패킹삽입구에는 상면에 밀착돌부가 돌출된 내측 패킹을 삽입하며, 프레임의 일측 내면 양측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를 고정 설치하여 피스톤의 끝단을 상부 도어 양측모서리에 설치된 연결 아암과 연결축으로 연결시켜 제작된다.
하지만,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베란다 바닥에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고, 방음 기능이 약해 어느 한 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다른 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에는 구난 사다리가 구비되지 않아 위층 거주자가 탈출 과정 중 낙상 사고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어린 아이나 노인의 경우 층간 높이가 높아 탈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피난시설이 미관이 좋지 않고 각 세대가 각각 설치되는 부분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9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6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39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57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에 피난사다리를 가이드레일로 활용하도록 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이나 승강장치의 고장으로 승강장치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도 피난사다리를 이용해 대피할 수 있도록 차선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또는 재난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를 구비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 상기 메인통로설치부 일측에서 발코니 난간 및 메인통로설치부에 결합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 및 상기 메인통로설치부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탑승한 채로 하부층으로 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로서, 상기 승강장치는, 메인통로설치부의 피난사다리 양측 수직프레임에 레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를 연결하여 모터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승강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에 피난사다리를 가이드레일로 활용하도록 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정전이나 승강장치의 고장으로 승강장치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도 피난사다리를 이용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2중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화재 또는 재난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는 접근통로설치부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평상시 접근통로설치부를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발코니 난간의 외관이 미려하며, 메인통로설치부와 착탈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계변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중앙케이지부와 피난사다리 및 개방덮개부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중앙케이지부와 개방덮개부가 있어 피난사다리 사용시 추락의 위험이 최소화 되며, 발코니 난간 작업시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메인통로설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면 3c는 이동프레임 락킹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주요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화재시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메인통로설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발코니 사이에 줄지어 설치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양세대의 발코니와 동시에 연결되는 상하층간 대피로를 제공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코니를 이용한 대피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건물의 외관을 좀더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13)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1)와;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 일측에서 발코니 난간 및 메인통로설치부(1)에 결합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1)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2); 및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탑승한 채로 하부층으로 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는, 상기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상하층간의 대피로를 제공하는 중앙케이지부(11)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각세대에서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피난도어(12)와; 고층건물의 구조부분(벽체)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13)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피난도어(12)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12)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피난도어 락장치(14)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1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13) 측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되며 대피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최하단에 형성되며, 개방덮개부(15)가 설치되고, 발코니 난간의 하단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피난도어(12)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는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발코니 난간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피난도어(12)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는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12)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117)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또는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대피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수직 보조바(118);로 구성된다.
상기 피난도어(1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피난도어(12)는,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보조프레임(117)에 도어경첩(123)으로 결합되는 힌지고정단(121)과; 상기 힌지고정단(121)의 반대편을 형성하여 도어경첩(123)을 중심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회동하되, 평상시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에 설치된 걸쇠고리(142)에 의해 락킹되기 위한 걸쇠(141)가 상부에 설치되는 자유단(1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난사다리(13)는 고층 건물의 구조(벽체) 부분에 결합되며, 중앙케이지부(1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타고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게 한다.
상기 피난사다리(1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피난사다리(13)는, 대피자가 타고 내려오는 수직프레임(131)와,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상단과 중단부분 및 하단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31)를 고층건물의 구조체에 결합시키는 고정브래킷(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1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14)는, 피난도어(12)의 자유단(121) 측의 수직프레임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잠금 및 해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작동하는 걸쇠(141); 및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 상에 상기 걸쇠(141)의 대향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141)가 잠금방향으로 회전 시, 그 단부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제한시켜 피난도어(12)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쇠고리(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쇠(141)는 첨부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L"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꺽여진 모서리부를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L"형상의 일단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대피자가 걸쇠(141)를 잡고 회동시켜 잠금 및 해제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걸쇠고리(142)는 "U"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걸쇠(141)의 타측단부가 삽입되어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덮개부(15)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개방덮개부(15)는, 메인통로설치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피난사다리(13)를 타고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 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13) 측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되는 개방덮개(151)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평 단면이 이루는 면적 중 상기 개방덮개(151)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개방덮개(151)와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고정되며 대피자가 필요시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게 하며,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 형상의 덮개발판(152)과; 상기 개방덮개(151)를 상기 피난사다리(13) 측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시키는 개방덮개 개방장치(153)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덮개(151)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방덮개(151)는,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으로 형성되는 덮개본체부(15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본체부(1511)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본체부(1511)가 개방덮개 개방장치(153)에 의해 수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는 덮개경첩부(1512)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덮개(151)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덮개(151)의 일단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덮개경첩부(1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153)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153)는, 상기 피난사다리(13)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당겨 상기 개방덮개(151)를 상부로 들어 올려 여는 개방핸들(1531)과; 일단은 상기 개방핸들(15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덮개(151)의 일단부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 핸들(1531)에서 당기는 힘을 상기 개방덮개(151)에 전달하는 개방와이어(1532)로 구성되는데, 상기 개방와이어(1532)는 당겼을 때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가이드(15321)에 의해 가이드 되고, 상기 덮개본체부(1511)의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방와이어(1532)와 결합되며, 상기 개방덮개(151)를 당길 시 상기 개방와이어(1532)의 각도가 변화토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결합구(151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접근통로설치부(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접근통로설치부(2)는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메인통로설치부(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근통로설치부(2)는, 메인통로설치부(11)의 일측에서 발코니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22); 상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2)을 고정프레임(2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을 분리시키는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락킹해제핸들(24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역할을 하는 락킹 해제수단(24);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발판(2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되, 대피자가 허리를 숙여서 이동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27); 및 고정프레임(21)과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수단(2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1)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1)은, 사각 프레임으로 제작되는데, 대략 발코니 난간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전방에는 이동프레임(22)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2)은 고정프레임(21)과 대향구조를 갖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2)은 사각 프레임 내측에 대피자의 이탈을 막기 위한 안전펜스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은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에 의해 착탈된다.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2)을 고정프레임(2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면 3c는 이동프레임 락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은 도면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2)의 후면 상부를 관통하는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락킹바(232)(Locking Bar)가 세워진다.
상부 락킹 고정편(233)이 고정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2)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락킹 고정편(233)에는 이동프레임(22)이 상기 고정프레임(21)과 마주 접했을 때 상기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락킹바(232)가 삽입되는 락킹바 삽입홈(2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 밑에 하부 락킹 회전편(234)이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234)은 좌측면에 걸림 후크(2341)가 갖추어지며 좌측 선단이 테이퍼(Taper)지고 우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의 우측면과 맞닿는 회전 방지턱(2342)이 갖추어지고 우측 선단에 상기 락킹해제수단(24)에 갖추어진 락킹해제와이어(242)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편(2343)이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234)과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은 고정축(235)에 의해서 축 고정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236)의 중앙이 상기 고정축(235)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236)의 일단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234)에 고정되어 스프링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바 삽입홈(2331)안에 끼워진 락킹바(232)를 상기 걸림 후크(2341)가 물어서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락킹해제와이어(242)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연결된 걸림 후크(23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락킹바(232)를 락킹바 삽입홈(2331)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와이어(242) 또는 락킹해제와이어(142)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23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후크(23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 방지턱(2342)은 상부 락킹 고정편(233)의 우측면과 맞닿는 상태가 된다.
예컨대,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23)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2)을 고정프레임(2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락킹해제수단(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락킹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해제수단(24)은 락킹해제와이어(242)와, 상기 락킹해제와이어(24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락킹해제와이어(24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락킹해제핸들(241)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락킹해제수단(24)은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락킹해제핸들(24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 수단(23)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 사이 바닥에는 접이식 발판(25)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발판(25)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프레임(21)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외측단부에는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을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하게 발코니 난간 밖으로 대피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의 사다리 난간에 미끄럼 방지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대피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내측단부에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27)을 형성한다.
상기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27)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하부에 대피로 출입구(19)와 연결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27)은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내측단부를 연결하는 접이식 바 형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폭을 최소화하는데 특징이 있고, 가급적 대피로 출입구(19)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승강장치(3)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주요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승강장치(3)는, 메인통로설치부(1)의 피난사다리(13) 양측 수직프레임(131)에 레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기(31); 상기 승강기(31)를 연결하여 모터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구동수단(32); 및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32)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승강기 제어수단(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기(31)는, 메인통로설치부(1)에 설치되는 피난사다리(13)의 양측 수직프레임(131)의 일정구간을 외측방향에서 감싸도록 한 쌍의 레일가이드(3111)가 각각 대향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레일가이드(3111)의 후면부를 브릿지(3112)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레일 브라켓(311);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3111) 각각에 형성되고, 레일가이드(3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선방형태의 브라켓 아암(312);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아암(312) 사이에 양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작동하는 리프트 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아암(31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브라켓 아암(312) 사이가 좁혀지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구조강도를 보강하고,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트 발판(313)이 펼쳐졌을 때,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버팀재로서 작용하는 발판 지지수단(3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라켓 아암(312)은 리프트 발판(313)이 힌지 결합되기 위한 발판힌지(3121) 한 쌍이 대향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발판(313)은 개방덮개(151)의 접힌상태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승강장치(3)의 작동 불능 시, 대피자가 피난사다리(13)을 이용할 수 있도록 통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 발판(313)는 미끌림 방지 및 아래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통공(3131)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 지지수단(314)은 브라켓 아암(312)의 내측에 결합되는 삼각형 구조의 사이드 지지대(3141)와, 상기 사이드 지지대(3141) 사이를 가로질러서 연결하는 가로지지대(314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지지대(3142)는 사이드 지지대(3141) 사이를 연결하여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리프트 발판(313)의 자유단측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 가이드(3111)를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 가이드(3111)에 대향하는 피난사다리(13)의 수직프레임(131)에 "ㄷ"형상의 안내홈(1311)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 가이드(3111) 내면에는 외팔보 형태로 가이드 롤러(3113)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113)가 수직프레임(131)의 안내홈(1311) 내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에 의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32)은,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토오크를 증대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된 감속기(321); 및 일측이 감속기(32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피난사다리(13)의 하부에 마련된 피동롤러(3113)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이 이루어지고, 일개소를 승강기(31)와 연결시켜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승강기(31)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이송벨트(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기 제어수단(33)은 현재층 승강스위치(331)와 아래층 하강스위치(332)로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의 화재시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재시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0,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베란다를 통한 대피가 불가피한 경우, 대피자는 접혀진 상태로 있는 접근통로설치부(2)의 락킹 해제수단(24) 즉, 락킹 해제핸들(241)을 조작하여 이동프레임(22)의 락킹이 해제되도록 하여 이동프레임(22)이 전방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베란다와 연결되는 대피로가 개설되도록 한다.
이후, 대피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통로설치부(1)의 피난도어(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대피자는 피난도어(12)의 피난도어 락장치(14)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피난도어(12)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대피자는 도 13a 도 1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덮개(151)를 개방하여 아래층으로의 대피로가 개설되도록 한다.
이때, 대피자는 개방핸들(1531)을 잡아당겨서 개방덮개(151)가 들어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핸들(1531)의 조작에 따라 개방덮개(151)가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후, 대피자는 도 14a 내지 도 1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기(31)의 리프트 발판(313) 위에 탑승한 상태에서 승강기 제어수단(33)의 아래층 하강스위치(332)를 조작하여 아래층으로 하강하여 대피하도록 한다.
아래층으로 대피한 후에는 현재층 승강스위치(331)를 눌러서 리프트 발판(313)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대피자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에 피난사다리를 가이드레일로 활용하도록 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없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정전이나 승강장치의 고장으로 승강장치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도 피난사다리를 이용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2중 안전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또는 재난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는 접근통로설치부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 접근통로설치부를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발코니 난간의 외관이 미려하며, 메인통로설치부와 착탈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계변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중앙케이지부와 피난사다리 및 개방덮개부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중앙케이지부와 개방덮개부가 있어 피난사다리 사용시 추락의 위험이 최소화 되며, 발코니 난간 작업시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메인통로설치부
11 : 중앙케이지부 111 : 상단 수평프레임
112 : 하단 수평프레임 1122 : 발판브래킷
1123 : 경첩설치프레임 113 : 중상단 수평프레임
115 : 중단 보조수평프레임 116 : 수직 메인프레임
117 : 수직 보조프레임 118 : 수직 보조바
12 : 피난도어 121 : 힌지고정단
122 : 자유단 123 : 도어경첩
13 : 피난사다리 131 : 수직프레임
132 : 사다리 손잡이 133 : 고정브래킷
14 : 피난도어 락장치
141: 걸쇠 142: 걸쇠고리
15 : 개방덮개부 151 : 개방덮개
1511 : 덮개본체부 15111 : 와이어 결합구
1512 : 덮개경첩부 152 : 덮개발판
1521 : 발판브래킷 153 : 개방덮개 개방장치
1531 : 개방핸들 1532 : 개방와이어
15321 : 와이어 가이드
2: 접근통로설치부
21: 고정프레임 22: 이동프레임
23: 이동프레임 락킹수단 231: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
232: 락킹바 233: 상부 락킹 고정편
2331: 락킹바 삽입홈 234: 하부 락킹 회전편
2341: 걸림 후크 2342: 회전 방지턱
2343: 와이어 연결편 235: 고정축
236: 비틀림 스프링 24: 락킹 해제수단
241: 락킹 해제핸들 242: 락킹 해제와이어
25: 접이식 발판 26: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
27: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 28: 체결수단
3: 승강장치 31: 승강기
311: 레일 브라켓 3111: 레일 가이드
3112: 브릿지 3113: 롤러
312: 브라켓 아암 3121: 발판힌지
313: 리프트 발판 3131: 통공
314: 발판 지지수단 3141: 사이드 지지대
3142: 가로지지대 32: 승강기 구동수단
321: 감속기 322: 이송벨트
323: 피동롤러 33: 승강기 제어수단
331: 현재층 승강스위치 332: 아래층 하강스위치

Claims (8)

  1.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13)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1);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 일측에서 발코니 난간 및 메인통로설치부(1)에 결합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1)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2); 및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탑승한 채로 하부층으로 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3);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로서,
    상기 승강장치(3)는, 메인통로설치부(1)의 피난사다리(13) 양측 수직프레임(131)에 레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기(31); 상기 승강기(31)를 연결하여 모터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구동수단(32); 및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32)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승강기 제어수단(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2.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하부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피난사다리(13)를 이용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설치부(1);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 일측에서 발코니 난간 및 메인통로설치부(1)에 결합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발코니 난간의 전방으로 확장 돌출되어 각 세대의 발코니 난간과 메인통로설치부(1) 사이에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개설하고, 평상시에는 발코니 난간 측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이동로가 폐쇄되도록 하여 어린이의 접근을 차단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세대별로 설치되는 접근통로설치부(2); 및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탑승한 채로 하부층으로 하강 작동하는 승강장치(3);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로서,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는, 상기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어 상하층간의 대피로를 제공하는 중앙케이지부(11)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각세대에서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피난도어(12)와; 고층건물의 구조부분(벽체)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통로설치부(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13)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피난도어(12)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12)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피난도어 락장치(14)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1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13) 측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되며 대피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통로설치부(2)는, 메인통로설치부(11)의 일측에서 발코니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22); 상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22)을 고정프레임(2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을 분리시키는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락킹해제핸들(24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역할을 하는 락킹 해제수단(24);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발판(2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외측부 프레임(26);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이동프레임(2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이 고정프레임(2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되, 대피자가 허리를 숙여서 이동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접이식 내측부 프레임(27); 및 고정프레임(21)과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수단(28);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3)는, 메인통로설치부(1)의 피난사다리(13) 양측 수직프레임(131)에 레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승강기(31); 상기 승강기(31)를 연결하여 모터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도록 하는 승강기 구동수단(32); 및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32)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승강기 제어수단(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31)는, 메인통로설치부(1)에 설치되는 피난사다리(13)의 양측 수직프레임(131)의 일정구간을 외측방향에서 감싸도록 한 쌍의 레일가이드(3111)가 각각 대향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레일가이드(3111)의 후면부를 브릿지(3112)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레일 브라켓(311);
    상기 한 쌍의 레일가이드(3111) 각각에 형성되고, 레일가이드(3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선방형태의 브라켓 아암(312);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아암(312) 사이에 양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작동하는 리프트 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아암(31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브라켓 아암(312) 사이가 좁혀지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구조강도를 보강하고,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트 발판(313)이 펼쳐졌을 때,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버팀재로서 작용하는 발판 지지수단(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가이드(3111)를 "ㄷ"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일 가이드(3111)에 대향하는 피난사다리(13)의 수직프레임(131)에 "ㄷ"형상의 안내홈(1311)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 가이드(3111) 내면에는 외팔보 형태로 가이드 롤러(3113)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113)가 수직프레임(131)의 안내홈(1311) 내에 삽입되어 구름운동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5.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구동수단(32)은,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토오크를 증대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된 감속기(321); 및
    일측이 감속기(32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피난사다리(13)의 하부에 마련된 피동롤러(3113)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이 이루어지고, 일개소를 승강기(31)와 연결시켜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승강기(31)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이송벨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14)는, 피난도어(12)의 자유단(121) 측의 수직프레임 상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잠금 및 해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작동하는 걸쇠(141); 및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 상에 상기 걸쇠(141)의 대향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141)가 잠금방향으로 회전 시, 그 단부가 삽입되어 움직임을 제한시켜 피난도어(12)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쇠고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은, 이동프레임(22)의 후면 상부를 관통하는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 상기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락킹바(232); 고정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2)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동프레임(22)이 상기 고정프레임(21)과 마주 접했을 때 상기 이동프레임측 락킹 홀(231)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락킹바(232)가 삽입되는 락킹바 삽입홈(2331)이 형성되는 상부 락킹 고정편(233);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 밑에 설치되고 좌측면에 걸림 후크(2341)가 갖추어지며 좌측 선단이 테이퍼(Taper)지고 우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의 우측면과 맞닿는 회전 방지턱(2342)이 갖추어지고 우측 선단에 상기 락킹해제수단(24)에 갖추어진 락킹해제와이어(242)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편(2343)이 갖추어지는 하부 락킹 회전편(234);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234)과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을 축 고정하는 고정축(235); 및 중앙이 상기 고정축(235)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2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234)에 고정되어 스프링 복원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2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해제수단(24)은, 이동프레임 락킹수단(23)의 와이어 연결편(2343)에 연결되는 락킹해제와이어(242); 및 상기 락킹해제와이어(24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락킹해제와이어(24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락킹해제핸들(2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0200129154A 2020-10-07 2020-10-07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45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54A KR102457789B1 (ko) 2020-10-07 2020-10-07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54A KR102457789B1 (ko) 2020-10-07 2020-10-07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12A true KR20220046112A (ko) 2022-04-14
KR102457789B1 KR102457789B1 (ko) 2022-10-20

Family

ID=8121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154A KR102457789B1 (ko) 2020-10-07 2020-10-07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78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78B1 (ko) 2010-10-14 2012-08-24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CN106276496A (zh) * 2016-09-30 2017-01-04 安徽理工大学 一种适合老年人用的手摇式多功能爬升梯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903545B1 (ko) *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21931B1 (ko) *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78B1 (ko) 2010-10-14 2012-08-24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CN106276496A (zh) * 2016-09-30 2017-01-04 安徽理工大学 一种适合老年人用的手摇式多功能爬升梯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903545B1 (ko) *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21931B1 (ko) *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789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457789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225274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1070179B1 (ko) 하향식 화재피난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