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742B1 -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742B1
KR102252742B1 KR1020200124758A KR20200124758A KR102252742B1 KR 102252742 B1 KR102252742 B1 KR 102252742B1 KR 1020200124758 A KR1020200124758 A KR 1020200124758A KR 20200124758 A KR20200124758 A KR 20200124758A KR 102252742 B1 KR102252742 B1 KR 10225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ing
fire
fixed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이스케이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스케이프원 filed Critical (주)이스케이프원
Priority to KR102020012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Abstract

본 발명은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줄지어 설치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양세대의 발코니와 동시에 연결되는 상하층간 대피로를 제공하는 양세대간 화재 피난 장치(A)로서,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의 하부에서 사람이 몸을 구부려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대피로 출입구(19);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로 출입도어(20);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의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각각에 설치되는 접이식 대피난간(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대피난간(30)은, 고정 프레임(10)의 양측에서 양세대 발코니에 결합되는 난간 고정프레임(31);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난간 이동프레임(32); 상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을 난간 고정프레임(3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을 분리시키는 난간 락킹수단(33);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난간 발판(34);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 및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하부에 대피로 출입구(19)와 연결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본 발명은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도록 된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건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 고층 건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발코니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 안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근 130명의 사상자를 낸 의정부시 대봉 그린 아파트와, 양주시 삼숭동 15층 아파트 등지에서의 화재사건이 잇따르면서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베란다에 완강기를 설치하고 화재 발생시에 완강기를 작동하여 대피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전부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앙카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시켜야 하나 상기 앙카 볼트 대신에 일반 볼트로 고정된 곳이 적잖아 자칫 완강기 사용 중 내벽에 고정된 완강기가 탈락되어 구난자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176978"호의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연결 링크로 연동되게 연결된 것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면 둘레에 외측패킹삽입구와 내측패킹삽입구를 형성하여 외측패킹삽입구에는 외측패킹을 삽입하고 내측패킹삽입구에는 상면에 밀착돌부가 돌출된 내측 패킹을 삽입하며, 프레임의 일측 내면 양측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를 고정 설치하여 피스톤의 끝단을 상부 도어 양측모서리에 설치된 연결 아암과 연결축으로 연결시켜 제작된다.
하지만,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베란다 바닥에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고, 방음 기능이 약해 어느 한 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다른 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에는 구난 사다리가 구비되지 않아 위층 거주자가 탈출 과정 중 낙상 사고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어린 아이나 노인의 경우 층간 높이가 높아 탈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피난시설이 미관이 좋지 않고 각 세대가 각각 설치되는 부분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9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6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39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57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건물의 외관을 좀더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되, 대피로 출입구를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접이식 대피난간과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접이식 대피난간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건물의 외관을 심플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줄지어 설치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양세대의 발코니와 동시에 연결되는 상하층간 대피로를 제공하는 양세대간 화재 피난 장치(A)로서,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의 하부에서 사람이 몸을 구부려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대피로 출입구(19);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로 출입도어(20);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의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각각에 설치되는 접이식 대피난간(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대피난간(30)은, 고정 프레임(10)의 양측에서 양세대 발코니에 결합되는 난간 고정프레임(31);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난간 이동프레임(32); 상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을 난간 고정프레임(3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을 분리시키는 난간 락킹수단(33);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난간 발판(34);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 및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하부에 대피로 출입구(19)와 연결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건물의 외관을 좀더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되, 대피로 출입구를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접이식 대피난간과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접이식 대피난간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건물의 외관을 심플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를 건물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평상시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평상시 설치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화재시 사용예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화재시 사용예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해치 개방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7a 내지 도면 7c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를 건물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줄지어 설치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양세대의 발코니와 동시에 연결되는 상하층간 대피로를 제공하는 양세대간 화재 피난 장치(A)가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신속하게 위험상황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화재 피난장치(A)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건물의 외관을 좀더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재 피난장치(A)는 크게, 고정 프레임(10), 이동 프레임(11), 이동 프레임 락킹수단(12),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전면 패널(15), 접이식 발판(16), 발판 해치(17),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대피로 출입구(19), 대피로 출입도어(20), 접이식 대피난간(30)으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 프레임(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양세대 발코니 사이의 건물 외벽을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101)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건물 외벽 단턱에 앙카 볼트를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프레임(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11)은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11)에는 이동 프레임(11)의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고 양끝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좌ㅇ우측면에 고정되는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가 부가 형성되어 구조강도가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마주보는 고정 프레임(10)의 전면에는 판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10)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ㅇ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꺽어진 리프 스프링(22)(Leaf spring)이 장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 끼어 있던 리프 스프링(22)이 탄성 복원되면서 이동 프레임(11)을 건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동 프레임 락킹수단(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면 7c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다.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은 도면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11)의 후면 상부를 관통하는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락킹바(122)(Locking Bar)가 세워진다.
상부 락킹 고정편(123)이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락킹 고정편(123)에는 이동 프레임(11)이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마주 접했을 때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락킹바(122)가 삽입되는 락킹바 삽입홈(1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 밑에 하부 락킹 회전편(124)이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은 좌측면에 걸림 후크(1241)가 갖추어지며 좌측 선단이 테이퍼(Taper)지고 우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 회전 방지턱(1242)이 갖추어지고 우측 선단에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에 갖추어진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위층 화재 피난 장치로부터 연장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편(1243)이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과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은 고정축(125)에 의해서 축 고정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126)의 중앙이 상기 고정축(125)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126)의 일단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에 고정되어 스프링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바 삽입홈(1231)안에 끼워진 락킹바(122)를 상기 걸림 후크(1241)가 물어서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위층 화재 피난 장치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연결된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락킹바(122)를 락킹바 삽입홈(1231)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 방지턱(1242)은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 상태가 된다.
예컨대,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및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은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을 포함한다.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과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은 동일한 원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편의상 도 8을 통해서 함께 설명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은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와,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은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은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는 전면 패널(1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는 후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며,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무수한 환기구(151)가 타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접이식 발판(16)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발판(16)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다.
상기 접이식 발판(16)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접이식 발판(16)의 중앙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발판 해치(17)(Hatch)가 힌지(Hinge) 결합되어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반으로 포개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반으로 포개지는 반면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일자('一') 형태로 펼쳐진다.
또한, 상기 발판 해치(17)는 접이식 발판(16)이 일자('一')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탈출구(161)를 개방하게 되며, 이때, 접이식 발판(16)과는 별개로 이동 프레임(11) 측으로 접혀져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발판 해치(17)는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을 이용해서 개방시키거나 개방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해치 개방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상기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 해치(17) 윗면에 해치 개방 와이어(232)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해치 개방 와이어(232)의 타단에는 와이어 손잡이(233)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15) 후면에 와이어 방향 전환 풀리(234)가 장착되어 와이어 손잡이(233)의 작동 시, 해치 개방 와이어(232)의 이동을 안내한다.
다음으로,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은 선단 상ㅇ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에 힌지(Hinge) 결합된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단 상ㅇ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의 후단과 힌지(Hinge) 결합된 후방 측부 프레임(182)으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방 측부 프레임(182)이 서로 포개져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면 포개져 있던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방 측부 프레임(182)이 펼쳐진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의 하부에서 사람이 몸을 구부려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 대피로 출입구(19)가 형성된다.
예컨대,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을 발코니 난간 높이부터 상부쪽으로 형성하고, 그 아래쪽 공간을 대피로 출입구(19)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에 개폐 가능하게 대피로 출입도어(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는 대피로 출입구(19)에 설치되고 후단 또는 전단 중 어느 일단이 고정 프레임(10) 또는 이동 프레임(11) 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타측단이 고정 프레임(10) 또는 이동 프레임(11)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는 대피로 출입구(19)에 설치되고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를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하여 대피로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에 하부로 피난 사다리를 연장시켜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대피로 출입도어(20)의 사다리 난간에 미끄럼 방지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대피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의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각각에 접이식 대피난간(30)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 접이식 대피난간(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대피난간(30)은, 고정 프레임(10)의 양측에서 양세대 발코니에 난간 고정프레임(3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은 사각 프레임으로 제작되는데, 대략 발코니 난간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에는 난간 이동프레임(32)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은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대향구조를 갖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은 난간 락킹수단(33)에 의해 착탈된다.
상기 난간 락킹수단(33)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을 난간 고정프레임(3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난간 락킹수단(33)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설명은 도 7a 및 도 7c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때, 상기 난간 락킹수단(33)의 락킹 해제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및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에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도 8의 구조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 사이 바닥에는 접이식 난간 발판(34)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난간 발판(34)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외측단부에는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을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는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하게 발코니 난간 밖으로 대피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의 사다리 난간에 미끄럼 방지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대피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에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을 형성한다.
상기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은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하부에 대피로 출입구(19)와 연결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은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를 연결하는 접이식 바 형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폭을 최소화하는데 특징이 있고, 가급적 대피로 출입구(19)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건물 내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과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조작하면, 사람이 거주하는 현재층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A,B)에 설치된 이동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및 난간 락킹수단(33)이 각각 해제되면서 현재층과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이동 프레임(11) 및 난간 이동프레임(32)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고 반으로 접혀있던 접이식 발판(16)과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접이식 난간 발판(34),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이 각각 펼쳐지게 된다.
이에, 대피자는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발코니를 통해 접이식 대피난간(30)에 탑승하게 되고, 대피로 출입구(19)에 마련된 대피로 출입도어(20)을 개방하게 된다.
이후, 접이식 발판(16) 중앙에 마련된 발판 해치(17)를 열고 탈출구(161)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대피자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및 대피로 출입도어(20)에 형성된 대피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발코니를 이웃하는 양세대가 공용의 대피로를 형성하되, 대피로 출입구를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접이식 대피난간과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접이식 대피난간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건물의 외관을 심플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 화재 피난 장치 10. 고정 프레임
101.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 11. 이동 프레임
12.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 121.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
122. 락킹바 123. 상부 락킹 고정편
1231. 락킹바 삽입홈 124. 하부 락킹 회전편
1241. 걸림 후크 1242. 회전 방지턱
1243. 와이어 연결편 125. 고정축
126. 비틀림 스프링 13.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
131.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 132.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
14.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 141.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
142.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
15. 전면 패널 151. 환기구
16. 접이식 발판 161. 탈출구
17. 발판 해치 18. 접이식 측부 프레임
19. 대피로 출입구 20. 대피로 출입도어
22. 리프 스프링 23. 발판 해치 개방 수단
231. 와이어 고정 풀리 232. 해치 개방 와이어
233. 와이어 손잡이
30. 접이식 대피난간 31. 난간 고정프레임
32. 난간 이동프레임 33. 난간 락킹수단
34. 접이식 난간 발판 35.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
36.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

Claims (5)

  1.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줄지어 설치되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양세대의 발코니와 동시에 연결되는 상하층간 대피로를 제공하는 양세대간 화재 피난 장치(A)로서,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이웃하는 양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의 하부에서 사람이 몸을 구부려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대피로 출입구(19);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로 출입도어(20);
    상기 대피로 출입구(19)의 좌우 양측의 양세대 발코니에 각각에 설치되는 접이식 대피난간(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대피난간(30)은, 고정 프레임(10)의 양측에서 양세대 발코니에 결합되는 난간 고정프레임(31);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겹쳐지고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난간 이동프레임(32);
    상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을 난간 고정프레임(31)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을 분리시키는 난간 락킹수단(33);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난간 고정프레임(31)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난간 발판(34);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 및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과 난간 이동프레임(32)의 내측단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의 상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과 난간 고정프레임(3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난간 이동프레임(32)이 난간 고정프레임(31)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하부에 대피로 출입구(19)와 연결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접이식 난간 내측부 프레임(36);을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는 대피로 출입구(19)에 설치되고 후단 또는 전단 중 어느 일단이 고정 프레임(10) 또는 이동 프레임(11) 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타측단이 고정 프레임(10) 또는 이동 프레임(11)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 및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을 피난 사다리 형태로 제작하여 대피로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대피로 출입도어(20)는 대피로 출입구(19)에 설치되고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대피로 출입도어(20)의 사다리 난간, 접이식 난간 외측부 프레임(35)의 사다리 난간에 미끄럼 방지패드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에는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101)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24758A 2020-09-25 2020-09-25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58A KR102252742B1 (ko) 2020-09-25 2020-09-25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58A KR102252742B1 (ko) 2020-09-25 2020-09-25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742B1 true KR102252742B1 (ko) 2021-05-17

Family

ID=7615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58A KR102252742B1 (ko) 2020-09-25 2020-09-25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54B1 (ko) * 2022-11-30 2023-11-10 전말숙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KR102625595B1 (ko) * 2023-03-03 2024-01-16 주식회사 썬라이트 접이식 대피 사다리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78B1 (ko) 2010-10-14 2012-08-24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962656B1 (ko) *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78B1 (ko) 2010-10-14 2012-08-24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962656B1 (ko) *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975737B1 (ko) 2019-01-17 2019-05-07 김주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 2019-04-22 2019-11-05 김주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54B1 (ko) * 2022-11-30 2023-11-10 전말숙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KR102625595B1 (ko) * 2023-03-03 2024-01-16 주식회사 썬라이트 접이식 대피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225274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WO2018230836A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20028525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