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931B1 -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931B1
KR102021931B1 KR1020190046480A KR20190046480A KR102021931B1 KR 102021931 B1 KR102021931 B1 KR 102021931B1 KR 1020190046480 A KR1020190046480 A KR 1020190046480A KR 20190046480 A KR20190046480 A KR 20190046480A KR 102021931 B1 KR102021931 B1 KR 102021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horizontal frame
frame
coupl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미
류순모
Original Assignee
김주미
류순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미, 류순모 filed Critical 김주미
Priority to KR102019004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06Devices for preventing acce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5Devices providing a back support to a person on the ladder, e.g. c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재 피난장치는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를 막아주어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판을 포함하고,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프레임부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양쪽 내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2개소의 피난도어와; 상기 고층 건물의 구조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와 피난도어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각의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피난도어 락장치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기 발판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며 피난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르면 발코니 난간의 연장이어서 외관이 미려하며, 양세대에서 같은 중앙케이지부와 피난사다리 및 개방덮개부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중앙케이지부와 개방덮개부가 있어 피난사다리 사용시 추락의 위험이 최소화 되며, 발코니 난간 작업시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Description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피난장치를 양세대에서 양측이 다 사용할 수 있는 중앙케이지부와, 중앙케이지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피난사다리가 형성되어 양측에서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개방덮개를 열어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으며, 피난도어는 양세대 측에 각각으로 설치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 건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 고층 건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발코니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코니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안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130명의 사상자를 낸 의정부시 대봉 그린 아파트와, 양주시 삼숭동 15층 아파트 등지에서의 화재 사건이 잇따르면서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설마' 했던 일이 현실로 이뤄지면서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 불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고층 아파트, 오피스텔 화재가 위험한 건 불이 나면 피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다.
게다가 피하기도 전에 가스와 연기가 엘리베이터 수직 통로나 계단을 타고 빠르게 퍼져 목숨을 잃게 될 수 있다.
엄청난 돈을 들이고 과학적으로 설계한 건물이라도 한 순간의 실수로 재앙을 몰고 올 수 있어 평소 화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도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전부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앙카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시켜야 하나 상기 앙카 볼트 대신에 일반 볼트로 고정된 곳이 적잖아 자칫 완강기 사용 중 내벽에 고정된 완강기가 탈락되어 구난자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피난시설이 미관이 좋지 않고 각세대가 각각 설치되는 부분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3545 (등록일자 : 2018년 09월 21일)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2656 (등록일자 : 2019년 03월 21일)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40261 (등록일자 : 2017년 05월 23일)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6609 (등록일자 : 2017년 02월 08일)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986 (등록일자 : 2017년 05월 01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과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프레임부와;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2개소의 피난도어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와; 상기 피난도어를 락킹하는 피난도어 락장치를 포함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화재 피난장치는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서로 접하는 양쪽 세대에서 하나의 장치로 하부로의 피난이 가능하도록 양세대가 서로 만나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다.
상기 화재 피난장치는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를 막아주어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판을 포함하고,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프레임부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양쪽 내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2개소의 피난도어와; 상기 고층 건물의 구조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와 피난도어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각의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피난도어 락장치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상기 발판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며 피난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상기 피난사다리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공간은 형성하며, 상기 피난도어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케이지부와; 일측은 중앙케이지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발코니 난간에 결합되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피난자가 발코니 창문을 열고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를 통하여 상기 중앙케이지부로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발코니 난간에서 앞쪽으로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다시 직각으로 밴딩되어 발코니 난간과 평형하게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상기 중앙케이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의 양측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발판이 형성된 2개의 세대피난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케이지부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 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과;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의 하단 수평프레임과; 상기 발코니 난간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난도어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의 중상단 수평프레임과; 상기 개방덮개부가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도어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의 중하단 수평프레임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과 중하단 수평프레임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과 중하단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중하단 수평프레임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중상단 수평프레임 또는 하단 수평프레임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수직 보조바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 하단 수평프레임, 중상단 수평프레임 및 중하단 수평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중하단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덮개발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과, 상기 개방덮개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는 발코니 난간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상단수평프레임과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중상단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며, ㄴ 형상인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발코니 난간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 코너부가 상기 난간하단수평프레임과 결합되며, 양단부는 상기 중앙케이지부에 결합되고, ㄷ 형상이며, 상기 발판이 덮히는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이 형성하는 수평면적을 덮으며,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발판과; 상기 발코니 난간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보조수평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단 보조수평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과;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의 일측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을 결합시켜 지지해주는 세대피난 수직프레임과; 상기 세대피난 수직프레임의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과 결합시켜주며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세대피난 수직보조바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덮개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중앙케이지의 상기 발판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는 개방덮개와; 상기 중앙케이지의 수평 단면이 이루는 면적 중 상기 개방덮개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개방덮개와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고정되며 피난자가 필요시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게 하며,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 형상의 덮개발판과; 상기 개방덮개를 상기 피난사다리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개방덮개 개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케이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발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해 상기 덮개발판보다 일정 길이만큼 긴 발판브래킷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덮개는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으로 일정 부분의 좌우가 상기 발판브래킷에 얹히는 덮개본체부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본체부가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는 덮개경첩부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는 상기 피난사다리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내려오면서 당겨 상기 개방덮개를 상부로 들어올려 여는 개방핸들과; 일단은 상기 개방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덮개의 일단부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핸들에서 당기는 힘을 상기 개방덮개에 전달하는 개방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와이어는 당겼을 때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덮개본체부의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방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개방덮개를 당길 시 상기 개방와이어의 각도가 변화도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중앙케이지부의 수직 메인프레임의 하단부분에 설치되는 락킹본체와, 상기 피난도어의 하단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본체에 락킹되고 조작했을 때 상기 락킹본체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락킹로드로 구성되는 락킹장치와; 상기 수직 메인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핸들을 돌려 상기 락킹로드가 상기 락킹본체에서 락킹이 해제되게 하는 구동력을 주는 락킹 조작핸들부과; 일단은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의 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락킹본체에 전달하여 상기 락킹본체를 작동시켜 상기 락킹로드가 해제되게 하는 조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와이어는 와이어 가이드로 가이드된다.
상술한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르면 발코니 난간의 연장이어서 외관이 미려하며, 양세대에서 같은 중앙케이지부와 피난사다리 및 개방덮개부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중앙케이지부와 개방덮개부가 있어 피난사다리 사용시 추락의 위험이 최소화 되며, 발코니 난간 작업시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전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후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내측에서 본 본체프레임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외측에서 본 본체프레임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본체프레임부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외측에서 본 중앙케이지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내측에서 본 중앙케이지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외측에서 본 피난세대 프레임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내측에서 본 피난세대 프레임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사다리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개방덮개부가 닫혔을 때의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개방덮개부가 열렸을 때의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락장치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락장치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상하층 설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전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후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양세대별 오픈후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내측에서 본 본체프레임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외측에서 본 본체프레임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본체프레임부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외측에서 본 중앙케이지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내측에서 본 중앙케이지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외측에서 본 피난세대 프레임부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의 본체프레임부에 따른 내측에서 본 피난세대 프레임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사다리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개방덮개부가 닫혔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개방덮개부가 열렸을 때의 개략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락장치 개략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에 따른 피난도어 락장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화재 피난장치(A)는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서로 접하는 양쪽 세대에서 하나의 장치로 하부로의 피난이 가능하도록 양세대가 서로 만나는 발코니 난간(B)에 설치되며,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B)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를 막아주어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판(121)을 포함하고,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프레임부(1)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양쪽 내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2개소의 피난도어(2)와; 상기 고층 건물의 구조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3)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와 피난도어(2)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각의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2)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피난도어 락장치(4)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상기 발판(121)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며 피난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5)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피난장치(A)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난도어(2)와 상기 개방덮개부(5)가 열렸을 때 경보를 울리기 위해 상기 상기 피난도어(2)와 상기 개방덮개부(5)가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와, 상기 감지센서(6)가 열림을 감지했을 때 경보를 울리는 경보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부(1)는 상기 피난사다리(3)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공간은 형성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케이지부(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Cage)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발코니 난간(B)에 결합되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피난자가 발코니 창문을 열고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를 통하여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에서 앞쪽으로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다시 직각으로 밴딩되어 상기 발코니 난간(B)과 평형하게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결합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발판(121)이 형성된 2개의 세대피난프레임부(12)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는 청구항 6과 같이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외면이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수직 보조바(118)가 설치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는 청구항 7과 같이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외면이 펀칭패널(119)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제1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를 층별로 설치한 것을 보여주며, 피난자는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로 상기 피난도어(2)를 열고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로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가 열린 프레임을 통과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들어가 상기 개방덮개부(5)의 개방덮개 개방장치(53)을 돌려 개방덮개(51)을 열고 피난자의 층에 설치된 상기 피난사다리(3)를 잡고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피난사다리(3)를 밟고 아래로 피난한다.
도 3은 제2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를 층별로 설치한 것을 보여주며, 피난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외형이 제1실시예에 수직 보조바(118)가 설치된 것과는 달리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외면이 펀칭패널(119)이 설치되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제1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에서 상기 피난도어(2)와 개방덮개(51)이 오픈되지 않은 평상시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6과 도 7은 제1실시예의 화재 피난장치(A)에서 상기 피난도어(2)와 개방덮개(51)이 오픈된 재난 및 화재발생시의 피난시의 상태를 보여주며, 피난자는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로 상기 피난도어(2)를 열고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로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가 열린 프레임을 통과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들어가 상기 개방덮개부(5)의 개방덮개 개방장치(53)을 돌려 개방덮개(51)을 열고 피난자의 층에 설치된 상기 피난사다리(3)를 잡고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피난사다리(3)를 밟고 아래로 피난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부(1)는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B)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를 막아주어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판(121)을 포함하고,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프레임부(1)는 상기 피난사다리(3)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공간은 형성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케이지부(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발코니 난간(B)에 결합되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피난자가 발코니 창문을 열고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를 통하여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에서 앞쪽으로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다시 직각으로 밴딩되어 상기 발코니 난간(B)과 평형하게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결합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발판(121)이 형성된 2개의 세대피난프레임부(12)로 구성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상기 피난사다리(3)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공간은 형성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실시예의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 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상기 개방덮개부(5)가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2)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117)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 또는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또는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수직 보조바(118)로 구성된다.
제2실시예의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 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상기 개방덮개부(5)가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2)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설치되는 부분의 제외한 상기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외면에는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펀칭패널(119)이 설치된다.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 하단 수평프레임(112),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및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에는 상기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1111, 1121, 1131, 1141)가 형성된다.
상기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에는 상기 덮개발판(52)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52)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51)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1142)과,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는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발코니 난간(B)에 결합되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피난자가 발코니 창문을 열고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를 통하여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에서 앞쪽으로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다시 직각으로 밴딩되어 상기 발코니 난간(B)과 평형하게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결합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발판(121)이 형성된다.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는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에 결합되며, ㄴ 형상인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 코너부가 상기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결합되며, 양단부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ㄷ 형상이며, 상기 발판(121)이 덮히는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결합되며,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발코니 난간(B)과 중앙케이지부(11)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과; 상기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의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결합시켜주며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세대피난 보조바(126)으로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난도어(2)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양쪽 내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한다.
상기 피난도어(2)는 상기 피난도어(2)의 1/2를 담당하며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보조프레임(117)에 도어경첩(23)으로 결합되는 제1도어프레임(21)과; 상기 피난도어(2)의 1/2를 담당하며 평상시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에 설치된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에 의해 락킹되기 위하여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의 락킹로드(412)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프레임(21)과 접혀서 열릴 수 있도록 접힘경첩(24)으로 결합되는 제2도어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도어프레임(22)의 하단에는 감지센서 감지플레이트(25)가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2)의 열림과 닫힘을 상기 감지센서(6)으로 감지한다.
상기 제2도어프레임(22)에는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의 락킹로드(412)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본체(411)에 락킹되거나,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의 락킹 조작핸들(421)의 조작으로 상기 락킹본체(411)에서 락킹이 해제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난사다리(3)은 상기 고층 건물의 구조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올 수 있게 한다.
상기 피난사다리(3)은 피난자가 타고 내려오는 사다리본체(31)와, 상기 사다리본체(31)의 상단과 중단부분 및 하단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본체(31)를 고층건물의 구조체에 결합시키는 6개의 고정브래킷(32)으로 구성된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개방덮개부(5)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상기 발판(121)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며 피난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게 한다.
상기 개방덮개부(5)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상기 발판(121)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는 개방덮개(51)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평 단면이 이루는 면적 중 상기 개방덮개(51)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개방덮개(51)와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고정되며 피난자가 필요시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게 하며,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 형상의 덮개발판(52)과; 상기 개방덮개(51)를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개방덮개 개방장치(53)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발판(52)과 개방덮개(51)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발판(52)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52)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51)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1142)과,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덮개(51)는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으로 일정 부분의 좌우가 상기 발판브래킷(521)에 얹히는 덮개본체부(5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본체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본체부(511)가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53)에 의해 수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덮개(51)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상기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53)는 상기 피난사다리(3)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내려오면서 당겨 상기 개방덮개(51)를 상부로 들어올려 여는 개방핸들(531)과; 일단은 상기 개방핸들(5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부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핸들(531)에서 당기는 힘을 상기 개방덮개(51)에 전달하는 개방와이어(532)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와이어(532)는 당겼을 때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가이드(5321)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덮개본체부(511)의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방와이어(532)와 결합되며, 상기 개방덮개(51)를 당길 시 상기 개방와이어(532)의 각도가 변화토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결합구(5111)가 형성된다.
도 19과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는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와 피난도어(2)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각의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2)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의 하단부분에 설치되는 락킹본체(411)와,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본체(411)에 락킹되고 조작했을 때 상기 락킹본체(411)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락킹로드(412)로 구성되는 락킹장치(41)와; 상기 수직 메인프레임(116)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핸들을 돌려 상기 락킹로드(412)가 상기 락킹본체(411)에서 락킹이 해제되게 하는 구동력을 주는 락킹 조작핸들부(42)와; 일단은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본체(411)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의 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락킹본체(411)에 전달하여 상기 락킹본체(411)를 작동시켜 상기 락킹로드(412)가 해제되게 하는 조작와이어(43)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는 피난자가 조작하여 상기 조작와이어(43)를 감거나 푸는 힘을 주는 조작핸들(421)과,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를 본체프레임부(1) 설치할 수 있게 케이싱 역할을 하며 일면 외부에 상기 조작핸들(421)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와이어(43)가 감겼다 풀렸다 하는 롤러가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본체(4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재 피난장치(A)에 따르면 상기 발코니 난간(B)의 연장이어서 외관이 미려하며, 양세대에서 같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피난사다리(3) 및 개방덮개부(5)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개방덮개부(5)가 있어 상기 피난사다리(3) 사용시 추락의 위험이 최소화 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B) 작업시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B : 발코니 난간 B1 : 난간상단수평프레임
B2 : 난간하단수평프레임 B3 : 난간보조수평프레임
A : 화재 피난장치
1: 본체프레임부 11 : 중앙케이지부
111 : 상단 수평프레임 1111 : 결합플레이트
112 : 하단 수평프레임 1121 : 결합플레이트
113 : 중상단 수평프레임 1131 : 결합플레이트
114 : 중하단 수평프레임 1141 : 결합플레이트
1142 : 발판브래킷 1143 : 경첩설치프레임
115 : 중단 보조수평프레임 116 : 수직 메인프레임
117 : 수직 보조프레임 118 : 수직 보조바
119 : 펀칭패널 12 : 세대피난프레임부
121 : 발판 122 :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
123 :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 124 :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
125 : 세대피난 수직프레임 126 : 세대피난 수직보조바
2 : 피난도어 21 : 제1도어프레임
22 : 제2도어프레임 23 : 도어경첩
24 : 접힘경첩 25 : 감지센서 감지플레이트
3 : 피난사다리 31 : 사다리본체
32 : 고정브래킷 4 : 피난도어 락장치
41 : 락킹장치 411 : 락킹본체
412 : 락킹로드 42 : 락킹 조작핸들부
421 : 조작핸들 422 : 조작본체
43 : 조작와이어 431 : 와이어 가이드
5 : 개방덮개부 51 : 개방덮개
511 : 덮개본체부 5111 : 와이어 결합구
512 : 덮개경첩부 52 : 덮개발판
521 : 발판브래킷 53 : 개방덮개 개방장치
531 : 개방핸들 532 : 개방와이어
5321 : 와이어 가이드 6 : 감지센서

Claims (8)

  1.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서로 접하는 양쪽 세대에서 하나의 장치로 하부로의 피난이 가능하도록 양세대가 서로 만나는 발코니 난간(B)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장치(A)에 있어서,
    상기 화재 피난장치(A)는 양세대의 발코니 난간(B)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 폭만큼 바깥으로 튀어나와 양세대에서 피난자가 나오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를 막아주어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판(121)을 포함하고,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프레임부(1)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양쪽 내측에 열고 닫을 수 있게 힌지 결합되며, 양세대에서 중앙을 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는 공간의 도어 역할을 하여 양세대를 격리시키고,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양세대에서 각각 열고 중앙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게 하는 2개소의 피난도어(2)와;
    상기 고층 건물의 구조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피난사다리(3)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와 피난도어(2)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는 잠겨 있고 화재 또는 재난 발생시 각각의 세대에서 상기 피난도어(2)를 열고 피난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피난도어 락장치(4)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상기 발판(121)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며 피난자가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개방덮개부(5)를 포함하고,
    상기 피난도어(2)는 상기 피난도어(2)의 절반을 담당하며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보조프레임(117)에 도어경첩(23)으로 결합되는 제1도어프레임(21)과;
    상기 피난도어(2)의 절반을 담당하며 평상시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에 설치된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에 의해 락킹되기 위하여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의 락킹로드(412)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프레임(21)과 접혀서 열릴 수 있도록 접힘경첩(24)으로 결합되는 제2도어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방덮개부(5)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상기 발판(121)과 같은 레벨에 설치되어 아래층의 상기 피난사다리(3)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피난시에는 열 수 있고 평상시에는 중앙부분의 일정 부분을 덮고 있으며,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되는 개방덮개(51)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수평 단면이 이루는 면적 중 상기 개방덮개(51)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 개방덮개(51)와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고정되며 피난자가 필요시 임시로 발을 디딜 수 있게 하며,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 형상의 덮개발판(52)과;
    상기 개방덮개(51)를 상기 피난사다리(3) 측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개방덮개 개방장치(53)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발판(52)과 개방덮개(51)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덮개발판(52)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52)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51)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1142)과,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덮개(51)는 하부를 일정 부분 볼 수 있게 일정 크기의 원이 다수 개 타공된 타공판으로 일정 부분의 좌우가 상기 발판브래킷(1142)에 얹히는 덮개본체부(5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본체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본체부(511)가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53)에 의해 수직으로 열리고 닫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덮개(51)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상기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덮개 개방장치(53)는 상기 피난사다리(3)에 설치되어 피난자가 내려오면서 당겨 상기 개방덮개(51)를 상부로 들어올려 여는 개방핸들(531)과;
    일단은 상기 개방핸들(5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부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핸들(531)에서 당기는 힘을 상기 개방덮개(51)에 전달하는 개방와이어(532)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와이어(532)는 당겼을 때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가이드(532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덮개본체부(511)의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방와이어(532)와 결합되며, 상기 개방덮개(51)를 당길 시 상기 개방와이어(532)의 각도가 변화토록 롤러 타입의 와이어 결합구(5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피난장치(A)는 상기 피난도어(2)와 상기 개방덮개부(5)가 열렸을 때 경보를 울리기 위해 상기 상기 피난도어(2)와 상기 개방덮개부(5)가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와, 상기 감지센서(6)가 열림을 감지했을 때 경보를 울리는 경보장치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부(1)는 상기 피난사다리(3)가 설치되어 피난자가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공간은 형성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케이지부(11)와;
    일측은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타측은 발코니 난간(B)에 결합되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시 피난자가 발코니 창문을 열고 들어와 상기 피난도어(2)를 통하여 상기 중앙케이지부(11)로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에서 앞쪽으로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다시 직각으로 밴딩되어 상기 발코니 난간(B)과 평형하게 일정 폭만큼 형성된 후 상기 중앙케이지부(11)와 결합되고,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발판(121)이 형성된 2개의 세대피난프레임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도어 락장치(4)는 상기 본체프레임부(1)의 중앙케이지부(11)의 수직 메인프레임(116)의 하단부분에 설치되는 락킹본체(411)와,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부분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본체(411)에 락킹되고 조작했을 때 상기 락킹본체(411)에서 락킹이 해제되는 락킹로드(412)로 구성되는 락킹장치(41)와;
    상기 수직 메인프레임(116)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핸들을 돌려 상기 락킹로드(412)가 상기 락킹본체(411)에서 락킹이 해제되게 하는 구동력을 주는 락킹 조작핸들부(42)와;
    일단은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락킹본체(411)에 결합되며, 상기 락킹 조작핸들부(42)의 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락킹본체(411)에 전달하여 상기 락킹본체(411)를 작동시켜 상기 락킹로드(412)가 해제되게 하는 조작와이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 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상기 개방덮개부(5)가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2)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117)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 또는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일정 간격으로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또는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수직 보조바(118)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 하단 수평프레임(112),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및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에는 상기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1111, 1121, 1131, 1141)가 형성되고,
    상기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에는 상기 덮개발판(52)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52)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51)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1142)과,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되며,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는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에 결합되며, ㄴ 형상인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 코너부가 상기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결합되며, 양단부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ㄷ 형상이며, 상기 발판(121)이 덮히는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과;
    상기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이 형성하는 수평면적을 덮으며,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발판(121)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결합되며,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의 일측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을 결합시켜 지지해주는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과;
    상기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의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결합시켜주며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세대피난 수직보조바(1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케이지부(11)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ㄷ 형상의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최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하단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의 상단 프레임 역할을 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상기 개방덮개부(5)가 설치되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레벨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도어(2)의 하단 프레임 역할을 하며,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의 중하단 수평프레임(114)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동일한 형상의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상단부는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단 수평프레임(112)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높이를 결정하며,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부도 각각 결합되어 상기 중앙케이지부(11)를 형성케 하는 2개의 수직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중상단 수평프레임(113)과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난도어(2)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담당하는 2개의 수직 보조프레임(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난도어(2)가 설치되는 부분의 제외한 상기 상기 중앙케이지부(11)의 외면에는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펀칭패널(119)이 설치되고,
    상기 상단 수평프레임(111), 하단 수평프레임(112), 중상단 수평프레임(113) 및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의 양단에는 상기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1111, 1121, 1131, 1141)가 형성되며,
    상기 중하단 수평프레임(114)에는 상기 덮개발판(52)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덮개발판(52)을 수평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개방덮개(51)가 평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밑에서 받쳐주기 위한 3개의 발판브래킷(1142)과, 상기 개방덮개(51)의 일단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덮개경첩부(512)가 설치되는 경첩설치프레임(1143)이 형성되고,
    상기 세대피난프레임부(12)는 발코니 난간(B)의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상단수평프레임(B1)과 직각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중상단 수평프레임(113)에 결합되며, ㄴ 형상인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 코너부가 상기 난간하단수평프레임(B2)과 결합되며, 양단부는 상기 중앙케이지부(11)에 결합되고, ㄷ 형상이며, 상기 발판(121)이 덮히는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과;
    상기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이 형성하는 수평면적을 덮으며, 피난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발판(121)과;
    상기 발코니 난간(B)의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난간보조수평프레임(B3)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중단 보조수평프레임(115)과 결합되며,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의 일측을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을 결합시켜 지지해주는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과;
    상기 세대피난 수직프레임(125)의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세대피난 상부수평프레임(122), 세대피난 하부수평프레임(123) 및 세대피난 보조수평프레임(124)과 결합시켜주며 피난자가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창살 역할을 하는 다수 개의 세대피난 수직보조바(1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8. 삭제
KR1020190046480A 2019-04-22 2019-04-22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80A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04-22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80A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04-22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931B1 true KR102021931B1 (ko) 2019-11-05

Family

ID=6857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80A KR102021931B1 (ko) 2019-04-22 2019-04-22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9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5415A (zh) * 2020-02-29 2020-06-19 四川启创建设工程有限公司 房屋建筑墙体结构及施工方法
KR102252742B1 (ko) *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252741B1 (ko) *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220046112A (ko) *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521481B1 (ko) * 2022-09-21 2023-04-13 주식회사 썬라이트 접이식 대피 사다리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405A (ko) * 2003-09-08 2005-03-14 안중길 비상용 피난사다리
CN103599598A (zh) * 2013-11-29 2014-02-26 朱戈墨 一种楼房逃生装置
KR101663582B1 (ko) * 2016-02-24 2016-10-07 (주)기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이중 안전난간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740261B1 (ko)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62656B1 (ko)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405A (ko) * 2003-09-08 2005-03-14 안중길 비상용 피난사다리
CN103599598A (zh) * 2013-11-29 2014-02-26 朱戈墨 一种楼房逃生装置
KR101663582B1 (ko) * 2016-02-24 2016-10-07 (주)기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이중 안전난간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40261B1 (ko)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33986B1 (ko) 2016-12-16 2017-05-10 최영림 건물일체형 화재대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대피 방법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62656B1 (ko)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5415A (zh) * 2020-02-29 2020-06-19 四川启创建设工程有限公司 房屋建筑墙体结构及施工方法
KR102252742B1 (ko) *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252741B1 (ko) * 2020-09-25 2021-05-17 (주)이스케이프원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220046112A (ko) * 2020-10-07 2022-04-14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457789B1 (ko) * 2020-10-07 2022-10-20 류순모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521481B1 (ko) * 2022-09-21 2023-04-13 주식회사 썬라이트 접이식 대피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1111888B1 (ko)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41292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KR102457789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KR10225274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