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85B1 - 층간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85B1
KR101173585B1 KR1020100037427A KR20100037427A KR101173585B1 KR 101173585 B1 KR101173585 B1 KR 101173585B1 KR 1020100037427 A KR1020100037427 A KR 1020100037427A KR 20100037427 A KR20100037427 A KR 20100037427A KR 101173585 B1 KR101173585 B1 KR 10117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interlayer
emergency escap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64A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ublication of KR2011000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각층(各層)을 구획하는 층간 슬라브에 관통 매립설치된 상태로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발생시 아래층으로의 도피를 위한 대피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간 구조물을 관통하는 매립식 설치구조이되,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수직 개방형 출구가 내측에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출구의 상,하부를 이중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보관된 상태로, 상기 하부도어의 개방시 하방으로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대피 가능토록 한 가변사다리와;
도피자의 탈출 이후 아래층으로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이 및 유입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도어를 직접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수단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변사다리가 아래층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도어를 개방토록 된 도어개방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결합된 채로, 정전시의 대피행동 편의를 위해 주변을 밝게 비추기 위한 비상조명;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상부도어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며, 상기 본체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본체의 상측이 슬라브의 상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비상탈출장치{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본 발명은 건축물 내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각층(各層)을 구획하는 층간 슬라브에 관통 매립설치된 상태로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발생시 아래층으로의 도피를 위한 대피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난 2006년 10월 말경, 경기도 양주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나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는 사이 일가족 4명이 7층에서 뛰어내려 그 자리에서 숨진 사고가 연합뉴스를 통해 보도된바 있다. 이렇듯, 최근 들어 고층아파트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나 화재 등과 같은 재난발생시 안전지대로의 대피장치 및 시설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에 있다.
또한, 각 지역소재 소방관서 대부분이 안전매트를 갖추고는 있지만 이마저도 구조대의 출동 이후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설치를 끝마쳤다 하더라도 상기한 안전매트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는데 적지않은 시간을 필요로 함으로써 일분일초로 생사가 엇갈리는 화재현장의 소방시설과 적절한 대피시설의 확충이 절실하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 10-754903호를 통해, 각 층 바닥면에 매립설치되어 상층과 하층 사이의 피난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써,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재난)발생시 도피자가 상부도어(910)를 상방으로 잡아당겨 프레임(920) 내부를 개방시킨 후, 상기 프레임(920) 내에 수용된 피난사다리(930)를 하층을 향해 아래로 펼쳐놓는 것을 통해 하층으로 피난이 가능토록 한다.
여기서, 화재로 인한 상층공간의 화원(火源)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910)의 회동링크부(940)에 구비된 글래스벌브(950)가 파손됨으로써 상기 상부도어(910)가 상기한 프레임(920)를 폐쇄하여 하층공간으로의 화재 전이를 차단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글래스벌브(950)가 화원에 의해 파손된 후 상기 상부도어(910)가 상기 프레임(920)을 폐쇄하는 그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 발생한 화염 및 유독가스의 전이를 막을 방법이 없으며, 설상가상으로 상기 글래스벌브(950)에 화원이 충분히 미치지 않을 경우의 미 파손시 상기 상부도어(910)의 개방상태에 따른 하층으로의 화재 확산을 오히려 심화시키는 폐단으로 이어져 왔다.
또한, 화재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의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피난사다리(930)를 타고 하층으로 대피한다는 그 행위 자체가 쉽지 않아, 추락사고로 인한 팔과 다리의 골절 등과 같은 신체부상을 초래한다.
또한, 화재피난장치가 설치되는 장소가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인 경우 화재피난장치로 물이 유입되어 비상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층간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 설치할 수 없는 단일 규격으로 된 프레임(920)의 제한적 사용성 및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상기 프레임(920) 제조생산에 따른 제조단가 상승과 더불어 그로 인한 시공의 불편성을 유발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프레임)의 상,하 간격을 다양한 층간 구조에 대하여 자유롭게 조절 가능토록 하면서, 건축마감재의 시공 상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높낮이에도 용이하게 대응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출 이후 아래층에서 당김손잡이를 손쉽게 잡아당기는 것만으로도 화재의 전이 방지를 위한 상부도어의 폐쇄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인양손잡이를 간단히 끌어당기는 것을 통해 하부도어의 개방과 사다리 펼쳐짐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전이의 완벽한 차단과 더불어 보다 안전한 대피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탈출장치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비상시에 원활한 기능이 실현되도록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부도어의 개방시 주변을 밝게 비출 수 있으면서도 하부도어의 개방시 재난발생을 알리는 부저를 포함한 비상조명을 구비하여, 정전시 최선의 대피행동을 위한 주변환경의 식별을 용이 및 주변인들 모두에게 비상사태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층간 구조물을 관통하는 매립식 설치구조이되,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수직 개방형 출구가 내측에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출구의 상,하부를 이중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보관된 상태로, 상기 하부도어의 개방시 하방으로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대피 가능토록 한 가변사다리와; 도피자의 탈출 이후 아래층으로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이 및 유입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도어를 직접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수단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변사다리가 아래층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도어를 개방토록 된 도어개방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결합된 채로, 정전시의 대피행동 편의를 위해 주변을 밝게 비추기 위한 비상조명;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상부도어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며, 상기 본체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본체의 상측이 건축마감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층간 비상탈출장치는, 도피자가 직접 아래층으로 대피한 이후에 상부도어를 직접 폐쇄시킬 수 있음에 따라, 화재 전이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미연에 완벽히 차단함과 같이 재난발생의 피해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화재발생에 따른 전력공급 중단으로 인한 정전시 상기 상부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비상조명 및 그에 함께 구비된 상태로 하부도어의 개방시 경고음을 울리게 되는 부저를 통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최선의 대피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도 주변인들에게 비상사태를 자동으로 인지시켜줌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비상탈출장치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슬라브의 상부면으로 제공되는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매립이 가능하여 비상탈출장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로프사다리와 안테나식 사다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안전한 대피수단으로의 사용성 증대와 그에 따른 단순구조를 통한 제조단가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도어개방수단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신장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구성중 가변사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안테나식 사다리의 구성중 가변봉의 이탈방지수단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9는 도 7의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로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A)는, 층간 구조물을 관통하는 매립식 설치구조이되,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수직 개방형 출구(1a)가 내측에 마련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출구(1a)의 상,하부를 이중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부도어(2) 및 하부도어(3)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보관된 상태로, 상기 하부도어(3)의 개방시 하방으로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대피 가능토록 한 가변사다리와; 도피자의 탈출 이후 아래층으로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이 및 유입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도어(2)를 직접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수단(5)과;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변사다리가 아래층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도어(3)를 개방토록 된 도어개방수단(6)과;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결합된 채로, 정전시의 대피행동 편의를 위해 주변을 밝게 비추기 위한 비상조명(7); 그리고 상기 본체(1)와 상기 상부도어(2)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며, 상기 본체(1)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본체(1)의 상측이 건축마감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재(9);로 구성된다.
본체(1)는, 평시 상기 도어폐쇄수단(5) 및 상기 도어개방수단(6)의 내재 수용을 위하는 한편 재난발생시 해당 층으로부터 그 아래층으로 즉시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각 층간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s) 및 상기 슬라브(s)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이격 설치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석고보드(b)와 근접한 범위까지 매립되는 메인하우징(11)과, 상기 메인하우징(11)의 하부에 연계조립과 동시에 자유로운 신장으로 상기 슬라브(s)와 석고보드(b)의 간격차에 대응 설치 가능한 신장하우징(12)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측벽 하단에는 상기 신장하우징(12)의 승강범위 조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공(11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신장하우징(12)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장공(111)에 삽입과 동시에 그 장공(111)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핀(121)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하부도어(2,3)는,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최상단부 및 상기 신장하우징(12)의 최하단부 각각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2)의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1) 상단 폐쇄시 상기 승강부재(9)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차단막(2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정확하게는, 후술하게되는 상기 승강부재(9)를 구성하는 절곡림부(81)로부터 연장 절곡된 밀착부(83)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도어(2)의 회동측 외면에는, 사람의 손으로 부여잡고 상기 상부도어(2)를 개방함에 용이한 파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변사다리는, 재난발생의 해당 층에서 그 아래층으로의 대피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로프사다리가 제공된다.
상기 로프사다리(4)는, 상기 본체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과 근접하는 위치에까지 이르는 복수의 로프(41)와, 상기 로프(41)들 사이에 횡으로 연이어 구비되되, 도피자가 발을 차례로 내딛고 아래층까지 내려가기에 적당한 간격마다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디딤대(42)와, 상기 본체의 출구 일 측을 가로질러 횡단하도록 구비결합됨에 따라 상기 로프의 최상단을 묶어놓을 수 있도록 한 고정봉(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딤대(42)들 각 외면에는, 어두운 공간에서의 자체 발광을 통해 다수의 상기 디딤대(42)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형광물질을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도어폐쇄수단(5)은, 탈출 이후 화재가 아래층으로 확산됨을 차단목적으로 상기 상부도어(2)를 직접 수동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도어(2)의 일측 바닥면 및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일측 내벽면에 양측 각단이 연계조립됨에 따라 상기 상부도어(2)를 개폐시킬 수 있게 구비결합된 절첩편(51)과, 상기 절첩편(51)을 하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상부도어(2)가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상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52)와, 상기 절첩편(51)을 끌어당기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와이어(52)의 최하단에 구비결합되는 당김손잡이(53)와, 상기 와이어(52)가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측벽에 밀착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2)를 끌어당기도록 한 고정클립(54)으로 구성된다.
도어개방수단(6)은, 평시 상기 로프사다리(4)와 도어폐쇄수단(5)의 내재수용을 위해 상기 본체(1)의 하부를 상기 하부도어(3)로 폐쇄하는 반면 대피시 상기 도어폐쇄수단(5) 및 상기 도어개방수단(6)이 아래층으로 펼쳐질 수 있게 상기 하부도어(3)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2)의 개방시 상기한 본체(1) 내부 일 측에 노출상태임에 따라 도피자가 손으로 부여잡고 강제로 끌어올려 상기 하부도어(3)의 폐쇄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도록 된 인양손잡이(61)와, 상기 인양손잡이(61)의 상승 및 이후 원위치 복원을 위한 기통(62)과, 상기 기통(62)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돌출형성되는 제1전산볼트(63)와, 상기 제1전산볼트(63)의 하측에 일직선상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3)의 내면 일측과의 힌지조립을 위한 고리형 힌지부(651)가 최말단에 형성된 제2전산볼트(64)와, 상기 제1,2전산볼트(63)(64)의 각 마주 선단이 상,하부에 관통체결됨에 따라 정,역으로 회전동작시 상기 제1,2전산볼트(63)(64)의 상호 마주 선단을 근접 또는 이격의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메인하우징(11)과 신장하우징(12)의 간격차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한 턴버클(65)과, 상기 제2전산볼트(64)의 힌지부(651)를 끼움한 채로 상기 하부도어(3)의 내면에 부착시키게 된 고정고리(66)와, 상기 인양손잡이(61)를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일측 상단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ㄴ"자형 지지고리(6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양손잡이(61)이에는, 상기 지지고리(67)에 대응 걸림시킬 수 있도록 된 "ㄱ"자형 걸고리(6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기통(62)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되 확장 두부를 갖는 로드바(612)가 일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통(62) 내부에는, 상기 로드바(612)의 확장 두부를 지속적으로 끌어내려 상기 인양손잡이(61)의 걸고리(611)와 상기 지지고리(67)가 견고한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621)이 더 구비된다.
비상조명(7)은, 화재로 인해 전력공급이 중단된 정전시와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탈출자가 상기 로프사다리(4)의 디딤대(42)를 순차적으로 내딛고 아래층으로 대피할 경우의 주변 사물 식별이 용이하도록 빛을 비추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도어(2)를 개방할 경우 빛을 자동 발광하는 전구가(도시하지 않음) 내장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함께 추가로 내장된 자체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능하다.
아울러, 탈출목적으로 상기 도어개방수단(6)을 조작하여 상기 하부커버(3)를 개방할 경우, 화재(재난)발생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경보음(警報音)이 울리는 부저(71)가 더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8)는, 상기 본체(1)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슬라브(s)의 상부면에 시공되는 건축마감재(타일 또는 시멘트)에 의해 그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도 2 화살표 참조), 내측이 상기 본체(1)의 외측둘레면과 대응되며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림부(81)와, 상기 절곡림부(81)의 내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절곡림부(81)가 상기 본체(1)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홈(82)을 갖는 밀착부(8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83)의 수용홈(82)에 수용되는 상기 본체(1)의 상측과 밀착부(83)는 리벳팅 또는 스폿용접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변사다리는 다른 실시예로 제시되는 안테나식 사다리(9)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는, 비상시 상,하부도어(2,3)의 개폐시 자중에 의해 회동됨과 동시에 그 길이가 가변되어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디딤대(92)가 구비된 다수개의 가변봉(91)이 상호 중첩되게 슬라이딩 결합된 지지대(93)와, 상기 지지대(93) 상단의 상기 가변봉(91)의 상측 말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말단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1)의 출구 일 측을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봉(94)과, 비상시 상기 가변봉(91)들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본체(1)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가변될 때 상기 가변봉(91)들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도 8과 같이, 상호 중첩되게 결합된 상기 가변봉(91) 중 어느 한 가변봉(91)에 돌출형성된 걸림턱(91a)과, 다른 가변봉(91)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91a)에 걸쳐지는 걸림돌기(91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구비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상기 본체(1)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가변될 때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재(2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각도유지부재(200)는 회동과 동시에 가변되는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와 접촉되기 때문에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피난하는 도피자가 안정적인 하강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디딤대(92)들 각 외면에는, 어두운 공간에서의 자체 발광을 통해 다수의 상기 디딤대(92)의 위치를 파악하여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형광물질을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s)는 건축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이고, (b)는 상기한 슬라브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각 층의 천장을 형성하게 된 석고보드이고, (p)는 상기 상,하부도어의 내면 및 상기 슬라브와 석고보드 사이에의 상기 본체 테두리에 각각 부착시키게 된 흡음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비상탈출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층간 비상탈출장치(A)가 제조시판되는 것이며, 슬라브(s) 및 석고보드(b)를 통해 건축물의 층간을 이루는 구조물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매립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본 발명의 층간 비상탈출장치(A)는, 평소 상기 상,하부도어(2,3)가 상기 본체(1)의 출구(1a) 상,하단을 이중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한 흡음제(p) 부착으로 인해 층간 소음 전달 방지를 위한 방음 및 방수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각종 재난발생시 대피함에 있어 해당 층의 일반 출입구를 통해 대피하기 어려운 경우,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A)를 통해 아래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최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1)를 도피자가 직접 손으로 부여잡고 끌어올려 상기 상부도어(2)를 개방한다. 이 경우, 상기한 상부도어(2)의 개방을 감지한 상기 비상조명(7)으로부터 빛이 발광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전력공급의 중단으로 어두운 주변 환경의 식별이 가능케 된다.
이 후, 도 4b 및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개방수단(6)의 상기 인양손잡이(61)를 강제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상기 본체(1) 내부 일측 내벽면의 상기 지지고리(67)에 걸림된 상기 걸고리(611)의 분리를 이루어 상기 메인하우징(11)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도어(3)가 지지력을 상실한 채로 자중에 의해 하향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어(3)의 상단에 거치된 채로 상기 본체(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로프사다리(4)와 상기 도어폐쇄수단(5) 역시도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어, 상기 로프사다리(4)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어(3)의 개방시 상기 비상조명(7)에 내장된 상기 부저(71)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주변인들이 화재 등과 같은 재난발생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하부도어(2,3)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출구(1a)가 마련되는 것이며, 아래층으로 펼쳐지는 상기 로프사다리(4)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대피하되 상기 로프(41)를 붙잡고 상기 디딤대(42)들을 차례로 밟고 내려갈 수 있음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화재가 발생 해당 층에서 그 아래층으로 탈출을 성공한 이후에는, 화재에 따른 화염과 유독가스가 상기 본체(1)의 출구(1a)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이 및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도어(2)를 폐쇄하게 되는데, 이를 목적으로 상기 당김손잡이(53)를 아래로 잡아당겨 상기 와이어(52)가 상기 절첩편(51)의 힌지부위를 절곡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한 상기 절첩편(51)이 절첩 회동으로 상기 상부도어(2)가 상기한 본체(1)의 출구(1a) 상단부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와 석고보드(b)의 간격차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11)으로부터 그 하단에 조립된 상기 신장하우징(12)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켜 간편히 대응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8)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A)가 층간 슬라브(s)에 시공될 때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건축마감재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비상탈출장치(A)가 건축마감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2)의 둘레면에 형성된 수분차단막(2a)은 상기 비상탈출장치(A)의 본체(1) 상단을 폐쇄하면서 비상탈출장치(A)의 설치장소가 물 사용이 빈번한 장소일 경우, 상기 본체(1)의 메인하우징(11) 및 상기 상부도어(2)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상시 각 부품들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안테나식 사다리(9)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상술한 내용중 동일한 부분에 관련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가 가변되는 과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상기 상부도어(2)를 개방하고 상기 도어개방수단(6)의 인양손잡이(61)를 끌어올려 상기 하부도어(3)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는 상기 하부도어(3)의 상단에 거치된 채로 상기 고정봉(9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봉(94)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해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는 회동과 동시에 가변되면서 그 길이가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기 가변봉(91)들의 슬라이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한편, 상기 각도유지부재(200)는 회동하면서 가변되는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직각을 이루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도피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하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하강중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비상탈출장치 1 : 본체
1a : 출구 2 : 상부도어
2a : 수분차단막 3 : 하부도어
4 : 로프사다리 5 : 도어폐쇄수단
6 : 도어개방수단 7 : 비상조명
8 : 승강부재 9 : 안테나식 사다리
11 : 메인하우징 12 : 신장하우징
21 : 파지부 41 : 로프
42 : 디딤대 43,94 : 고정봉
51 : 절첩편 52 : 와이어
53 : 당김손잡이 54 : 고정클립
61 : 인양손잡이 62 : 기통
63 : 제1전산볼트 64 : 턴버클
65 : 제2전산볼트 66 : 고정고리
67 : 지지고리 71 : 부저
81 : 절곡림부 82 : 수용홈
83 : 밀착부 91 : 가변봉
91a : 걸림턱 91b : 걸림돌기
92 : 디딤대 93 : 지지대
94 : 고정봉 111 : 장공
121 : 가이드핀 200 : 각도유지부재
611 : 걸고리 612 : 로드바
621 : 탄성스프링 651 : 힌지부
s : 슬라브

Claims (12)

  1. 층간 구조물을 관통하는 매립식 설치구조이되,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수직 개방형 출구(1a)가 내측에 마련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출구의 상,하부를 이중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부도어(2) 및 하부도어(3)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보관된 상태로, 상기 하부도어(3)의 개방시 하방으로 도피자가 내딛고 아래층으로 대피 가능토록 한 가변사다리와;
    도피자의 탈출 이후 아래층으로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이 및 유입 방지를 목적으로 상기 상부도어(2)를 직접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수단(5)과;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변사다리가 아래층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도어(3)를 개방토록 된 도어개방수단(6)과;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면에 구비결합된 채로, 정전시의 대피행동 편의를 위해 주변을 밝게 비추기 위한 비상조명(7); 그리고
    상기 본체(1)와 상기 상부도어(2)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개재되며, 상기 본체(1)가 층간 구조물에 매립될 때 상기 본체(1)의 상측이 건축마감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승강부재(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건축물의 각 층간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슬라브(s) 및 상기 슬라브(s)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이격 설치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석고보드(b)와 근접한 범위까지 매립되는 메인하우징(11)과,
    상기 메인하우징(11)의 하부에 연계조립과 동시에 자유 신장으로 상기 슬라브(s)와 석고보드(b)의 간격차에 대응설치 가능한 신장하우징(12)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측벽 하단에는, 상기 신장하우징(12)의 승강범위 조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공(11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신장하우징(12)의 측벽 상단에는, 상기 장공(111)에 삽입조립된 채로 그 장공(111)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핀(121)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사다리는, 상기 본체(1)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과 근접하는 위치에까지 이르는 복수의 로프(41)와,
    도피자가 아래층으로 피난할 때 밟을 수 있도록 상기 로프(41)들 사이에 횡으로 연이어 구비된 다수의 디딤대(42)와,
    상기 본체(1)의 출구 일 측을 가로질러 횡단하도록 구비결합됨에 따라, 상기 로프(41)의 최상단을 묶어놓을 수 있도록 한 고정봉(43)으로 구성된 로프(41)사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사다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호 마주하며 그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디딤대(92)가 구비된 다수개의 가변봉(91)이 상호 중첩되게 슬라이딩 결합된 지지대(93)와,
    상기 지지대(93) 상단의 상기 가변봉(91)의 상측 말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말단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본체(1)의 출구 일 측을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봉(94)과,
    비상시 상기 가변봉(91)들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본체(1)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가변될 때 상기 가변봉(91)들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 안테나식 사다리(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6. 제 5항에 있어서,
    이탈방지수단은, 상호 중첩되게 결합된 상기 가변봉(91) 중 어느 한 가변봉(91)에 돌출형성된 걸림턱(91a)과, 다른 가변봉(91)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91a)에 걸쳐지는 걸림돌기(9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구비된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9)가 상기 본체(1)로부터 아래층의 바닥면까지 가변될 때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부재(2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대(42,92) 외면에는, 어두운 공간에서의 자체 발광이 가능토록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8)는,
    내측이 상기 본체(1)의 외측둘레면과 대응되며,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림부(81)와,
    상기 절곡림부(81)의 내측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절곡림부(81)가 상기 본체(1)의 상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홈(82)을 갖는 밀착부(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폐쇄수단(5)은, 상기 상부도어(2)의 일측 바닥면 및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면에 양측 각단이 연계조립됨에 따라, 상기 상부도어(2)를 개폐시킬 수 있게 구비결합된 절첩편(51)과,
    상기 절첩편(51)을 하측으로 끌어당겨 상기 상부도어(2)가 상기 본체(1)의 상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52)와,
    상기 절첩편(51)을 끌어당기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와이어(52)의 최하단에 구비결합되는 당김손잡이(53)와,
    상기 와이어(52)가 상기 본체(1)의 일측 내벽면에 밀착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2)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한 고정클립(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수단(6)은, 상기 상부도어(2)의 개방시 상기 본체(1) 내부 일 측에 노출상태임에 따라 강제로 끌어올려 상기 하부도어(3)의 폐쇄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도록 되되, "ㄱ"자형 걸고리(6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최말단에 확장 두부를 갖는 로드바(612)가 하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된 인양손잡이(61)와,
    상기 인양손잡이(61)의 상승 및 이후 원위치 복원을 목적으로, 상기 로드바(612)의 확장 두부를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탄성스프링(621)이 내재된 기통(62)과,
    상기 기통(62)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돌출형성되는 제1전산볼트(63)와,
    상기 제1전산볼트(63)의 하측에 일직선상으로 이격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3)의 내면 일측과의 힌지조립을 위한 고리형 힌지부(651)가 최말단에 형성된 제2전산볼트(65)와,
    상기 제1,2전산볼트(63,65)의 각 마주 선단이 상,하부에 관통체결됨에 따라, 정,역으로 회전시 상기 제1,2전산볼트(63,65)의 상호 마주 선단을 근접 또는 이격 조절을 통해 상기 메인하우징(11)과 상기 신장하우징(12)의 간격차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한 턴버클(64)과,
    상기 제2전산볼트(65)의 힌지부(651)를 끼움한 채로, 상기 하부도어(3)의 내면에 부착시키게 된 고정고리(66)와,
    상기 인양손잡이(61)의 상기 걸고리(611)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하우징(11)의 일측 상단 내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ㄴ"자형 지지고리(6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2)의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1) 상단 폐쇄시 상기 승강부재(8)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차단막(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비상탈출장치(A).
KR1020100037427A 2009-07-06 2010-04-22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173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129 2009-07-06
KR1020090061129 2009-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64A KR20110004264A (ko) 2011-01-13
KR101173585B1 true KR101173585B1 (ko) 2012-08-13

Family

ID=4361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427A KR101173585B1 (ko) 2009-07-06 2010-04-22 층간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524B1 (ko) *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681032B1 (ko)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2253040B1 (ko) * 2020-11-19 2021-05-14 나판주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53B1 (ko) * 2011-05-12 2013-09-04 김대훈 피난용 사다리
KR101290693B1 (ko) * 2011-11-01 2013-07-29 정상근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288272B1 (ko) * 2011-12-20 2013-07-26 신재학 탈출봉을 이용한 비상 탈출 장치
KR101701282B1 (ko) * 2012-03-23 2017-02-01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바닥맞춤형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317858B1 (ko) * 2013-04-02 2013-10-14 (주)에이치엔피테크 암거용 버켓
KR101659943B1 (ko) * 2016-05-30 2016-09-26 현대공영(주)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
CN108952293B (zh) * 2018-10-18 2024-04-05 吉林建筑大学 一种家庭应急避险方仓
KR102082508B1 (ko) 2019-03-28 2020-02-27 (주)엠에스엔지니어링 비상 피난 장치
CN110124221A (zh) * 2019-06-03 2019-08-16 李祖艺 逃生组件
KR20210000806A (ko) 2019-06-25 2021-01-07 주식회사 하이로닉 갈바닉 및 플라즈마를 이용한 복합 시술 장치
CN110496324A (zh) * 2019-09-19 2019-11-26 肖铭 楼房火灾地震逃生装置
KR20240044555A (ko) 2022-09-28 2024-04-05 구연주 AIoT 기반 사용자 맞춤형 피부미용기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12B1 (ko) 2007-01-04 2007-12-21 정원규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12B1 (ko) 2007-01-04 2007-12-21 정원규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524B1 (ko) * 2014-01-20 2015-08-19 (주)디딤디앤씨 피난 장치
KR101681032B1 (ko)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2253040B1 (ko) * 2020-11-19 2021-05-14 나판주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64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029640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20090096594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KR101944474B1 (ko)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