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536B1 - 고층건물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536B1
KR100965536B1 KR1020090107451A KR20090107451A KR100965536B1 KR 100965536 B1 KR100965536 B1 KR 100965536B1 KR 1020090107451 A KR1020090107451 A KR 1020090107451A KR 20090107451 A KR20090107451 A KR 20090107451A KR 100965536 B1 KR100965536 B1 KR 10096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nk
hinge
ladder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혜
Original Assignee
(주) 미래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래기업 filed Critical (주) 미래기업
Priority to KR102009010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덮개를 개방하면 본체의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본체의 내부에 구성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속하게 하층으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도 빠르고 신속하게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발생시에 빠르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의 회수를 구동윈치에 의해 잔단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사다리를 일자형이 아닌 자바라형으로 구성하여 대피자가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면 양측에 대응되는 제1링크조립부(11)가 구성되고 후면 상단에 제1연결편(12)이 구성되며 후측 내면 하측에 연결공(13)이 각각 통공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에 구성된 제1연결편(12)에 연결되는 연결부(21)가 내면 후측에 구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부에 장공(22)이 형성된 제2링크조립부(23)가 구성되며 중앙에 손잡이(24)가 구성된 상부덮개(20)와; 상기 상부덮개(20)의 제2링크조립부(23)에 형성된 장공(22)에 걸어지는 제1힌지돌기(31a)가 일측에 돌설된 제1링크(31)와, 상기 제1링크(31)의 타측에 제2힌지돌기(31b)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에 연결되는 제3힌지돌기(32a)가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4힌지돌기(32b)가 형성된 제2링 크(32)와, 상기 제2링크(32)의 타측에 형성된 제4힌지돌기(32b)가 걸어지는 힌지공(33)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5힌지돌기(34)가 형성된 제3링크(35)로 구성되는 링크체(30)와; 상기 본체(10)의 연결공(13)과 대응되도록 체결공(41)이 형성된 제2연결편(4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체(30)의 제3링크(35)의 제5힌지돌기(34)가 힌지결합되는 힌지편(43)이 구성된 하부덮개(4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바디(51)와, 상기 지지바디(51)의 전면에 구성되고 회수용와이어(52)가 권취된 윈치(53)와, 상기 윈치(53)에 권취된 회수용와이어(52)가 연결되는 와이어고정축(54)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서로 크로스결합되는 제1절첩부(55)와 제2절첩부(56)로 구성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탈출장치, 피난장치, 비상사다리

Description

고층건물 피난장치{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건물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덮개를 개방하면 하부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속하게 하층으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도 빠르고 신속하게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발생시에 빠르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의 회수를 구동윈치에 의해 잔단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사다리를 일자형이 아닌 자바라형으로 구성하여 대피자가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는 비상탈출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사용할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지만 대개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비상탈출수단이 거주하는 가구와 옆 가구의 마주보는 발코니의 경계벽면을 부서지기 쉬운 합판으로 시공하여 긴급상황시에 거주자 가 합판으로 시공된 경계벽면을 부수어 옆 가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비상탈출수단으로 시공된 발코니벽면에 무거운 물품을 올려 놓거나 또는 수납장을 시공하여 발코니벽면을 막고 있기 때문에, 긴급상황시에 비상탈출수단인 발코니 벽면측으로 탈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고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탈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탈출수단으로 고가 사다리차나 헬리콥터가 동원되기도 하는데, 고가 사다리차는 그 도달높이에 한계가 있고, 헬리콥터의 경우에는 강풍이나 기상악화 시 접근이 불가능하고 구조할 수 있는 인원도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특히, 화재에 따른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정전으로 인해 고층 건물의 엘리베이터가 폐쇄되고, 비상구와 연결된 비상계단 역시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에 의해 노출되므로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이 어렵다.
이와 같이 고층건물의 상층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 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하여 발코니 난간에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될 것이 요구됨으로써,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나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비상탈출용 사다리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사다리의 경우 내부에 비치된 사다리를 발코니 난간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발코니 난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사다리를 펼치기 위한 복잡한 동작 수행을 요구한다. 즉, 1분 1초가 아까운 긴급한 비상상황에서 사 다리를 펼치기 위한 과정의 지연으로 인한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다리를 펼친 경우라도 상층 발코니 난간으로부터 외벽에 바로 근접하여 하층 발코니 난간으로 사다리가 연결되므로 대피 시에 사용자는 건물의 내부를 바라보며 외부를 등지고 내려가서, 사다리를 돌아 하층 발코니 내부로 들어가야 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소공포를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기가 더욱 두려워지고,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는 동안 외부의 화염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보호에도 미흡한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공개 제10-2009-009659호인 고층건물 피난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발코니 바닥의 관통구멍 내에 매립 설치되는 관상의 바디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바디의 상하부 개구를 개별적으로 각각 회동 개폐시키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갖는 하우징과, 스텝구멍을 갖는 판상의 몸체 양 측단에 관상의 결합가이드를 각각 갖되, 각자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상호 중첩되며 신축 가능한 다수의 사다리단위체와, 각 사다리단위체가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단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최외측 사다리단위체의 자유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하부덮개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사다리유닛 및 주위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상부덮개를 자동으로 폐쇄시켜주는 자동도어폐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신축사다리유닛을 아래층으로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상 부덮개를 개방한 다음, 신축사다리유닛의 고정브래킷에 부착되어 있는 분리핸들을 탈거하고 사다리로커의 케이싱 위로 돌출된 연결보스에 결합한 뒤, 분리핸들을 돌려 신축사다리유닛을 받쳐주고 있는 걸림레버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레버에 의해 바디의 내부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던 신축사다리유닛의 구속을 해제할 뿐만 아니라, 윈치에 의해서도 구속되어 있는 신축사다리유닛을 다시 윈치의 래치레버 돌출단을 눌러 래칫휠의 구속을 해제시켜 윈치의 권취드럼이 회전되면서 그에 감겨진 견인와이어들이 풀리는 것에 의해 신축사다리유닛이 자중에 의해 그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어 신축사다리유닛이 그 자중과 원심력에 의해 하방으로 빠져나오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게 신장된다.
따라서, 상부덮개를 개방한 다음, 신축사다리유닛을 하층으로 신장하기 위해 여러 동작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시에 분리핸들을 돌리거나 래치레어를 눌러주는 동작을 빠르게 진행할 수 없어 빠르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대개의 사람들이 마음이 급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일상적으로 해왔던 동작도 빠르게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바, 평소에 사용하지 않던 신축사다리유닛을 신장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의 동작을 빠르게 진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축사다리유닛을 신장시켜 신속하게 대피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고층건물 피난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덮개를 개방하면 본체의 하부에 구성되는 하부덮개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본체의 내부에 구성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속하게 하층으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작 없이도 빠르고 신속하게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발생시에 빠르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의 회수를 구동윈치에 의해 잔단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사다리를 일자형이 아닌 자바라형으로 구성하여 대피자가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내면 양측에 대응되는 제1링크조립부가 구성되고 후면 상단에 제1연결편이 구성되며 후측 내면 하측에 연결공이 각각 통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구성된 제1연결편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내면 후측에 구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본체의 제1링크조립부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제2링크조립부가 구성되며 중앙에 손잡이가 구성된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의 제2링크조립부에 형성된 장공에 걸어지는 제1힌지돌기가 일측에 돌설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측에 제2힌지돌기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제1링크조립부에 연결되는 제3힌지돌기가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4힌지돌기가 형 성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측에 형성된 제4힌지돌기가 걸어지는 힌지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5힌지돌기가 형성된 제3링크로 구성되는 링크체와; 상기 본체의 연결공과 대응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제2연결편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체의 제3링크의 제5힌지돌기가 힌지결합되는 힌지편이 구성된 하부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측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의 전면에 구성되고 회수용와이어가 권취된 윈치와, 상기 윈치에 권취된 회수용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고정축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서로 크로스결합되는 제1절첩부 및 제2절첩부로 구성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고층건물의 발코니 바닥면에 매설되어 고층건물의 상층과 하층 발코니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피난장치의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의 신장이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발생시에 빠르게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음에 따라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 의한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에 논슬립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대피자가 자바라형 비상사다리를 타고 하층으로 내려오는 과정에서 대피자의 발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를 상층에서 들어올려 개방시키는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부덮개가 개방되어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하층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비상사다리 를 빠르게 하층으로 신장시켜 펼칠 수 있음으로써 대피자의 신속하고 빠른 대피동작이 진행된다.
또한, 윈치에 의해 펼쳐진 자바라형 비상사다리의 접힘동작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성 및 복원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부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구성요부인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하부덮개의 닫힘상태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하부덮개가 열린상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위치구성되는 상부덮개(20)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성되는 링 크체(30)와, 상기 링크체(30)에 의해 상기 상부덮개(20)와 연결구성되는 하부덮개(4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절첩구성되어 본체(10)의 개방되는 하부측으로 신장되는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아파트의 발코니 바닥면에 매설되되 상층과 하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관통매설되는 것으로, 내면 양측에 대응되는 제1링크조립부(11)가 구성되고 후면 상단에 제1연결편(12)이 구성되며 후측 내면 하측에 연결공(13)이 각각 통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가 발코니 바닥면에 매설지지되는 고정지지편(10a)들이 더 형성된다.
상기 상부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에 구성된 제1연결편(12)에 연결되는 연결부(21)가 내면 후측에 구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부에 장공(22)이 형성된 제2링크조립부(23)가 구성되며 중앙에 손잡이(24)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4)는 평상시에는 상기 상부덮개(20)의 내측 다시 말해, 상기 상부덮개(20)가 연결구성되는 본체(10)의 내부측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되며, 유사시에는 사용자가 손잡이(24)를 잡고 신속히 비상사다리로 대피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제1연결편(12)과 상부덮개(20)의 연결부(21)는 서로 대응되게 밀착된 후 별도의 리벳핀이나 힌지핀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링크체(30)는, 상기 상부덮개(20)의 제2링크조립부(23)에 형성된 장공(22)에 걸어지는 제1힌지돌기(31a)가 일측에 돌설된 제1링크(31)와, 상기 제1링 크(31)의 타측에 제2힌지돌기(31b)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에 연결되는 제3힌지돌기(32a)가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4힌지돌기(32b)가 형성된 제2링크(32)와, 상기 제2링크(32)의 타측에 형성된 제4힌지돌기(32b)가 걸어지는 힌지공(33)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5힌지돌기(34)가 형성된 제3링크(35)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체(30)에 의해 본체(10)와 상부덮개(20)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체(30)의 제1링크(31)는 제1힌지돌기(31a)가 상기 상부덮개(20)의 제2링크조립부(23)에 형성된 장공(22)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링크체(30)의 제2링크(32)에 형성된 제3힌지돌기(32a)가 상기 본체(10)의 내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링크조립부(1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상부덮개(20)가 연결된다.
상기 하부덮개(40)는, 상기 본체(10)의 연결공(13)과 대응되도록 체결공(41)이 형성된 제2연결편(4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체(30)의 제3링크(35)의 제5힌지돌기(34)가 힌지결합되는 힌지편(43)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덮개(40) 역시, 상기 링크체(30)에 의해 상부덮개(20)와 연결되어 상부덮개(20)의 동작에 따라 본체(10)의 하부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체(30)의 제3링크(35)에 형성된 제5힌지돌기(34)가 상기 하부덮개(40)의 힌지편(43)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부덮개(20)와 연결되며 또한, 상기 본체(10)의 연결공(13)에 상기 하부덮개(40)의 제2연결편(42)에 형성된 체결공(41)이 서로 대응되도록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리벳핀(40a)으로 힌지체결된다.
또한,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후면에 고정 되는 지지바디(51)와, 상기 지지바디(51)의 전면에 구성되고 회수용와이어(52)가 권취된 윈치(53)와, 상기 윈치(53)에 권취된 회수용와이어(52)가 연결되는 와이어고정축(54)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서로 크로스결합되는 제1절첩부(55)와 제2절첩부(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20)를 상부측으로 당기어 상부덮개(20)를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열어 개방하면, 상기 상부덮개(20)와 본체(10) 및 하부덮개(40)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체(30)의 작동에 의해 하부덮개(40)가 본체(10)의 하부측으로 열어져 본체(10)의 하부측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측이 개방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가 개방된 본체(10)의 하부측으로부터 신장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으로 벌어져 신장되는 바, 본체(10)의 하부측으로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의 제1절첩부(55) 횡단을 밟고 하층으로 대피하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상기 상부덮개(20)를 본체(10)의 상부측으로 여는 동작에 의해 하부덮개(40)가 링크체(30)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체(10)의 하부측으로부터 개방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가 신장되기 때문에, 빠르고 신속하게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시의 빠른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가 제1절첩부(55)와 이 제1절첩부(55)와 크로스결합되는 제2절첩부(56)에 의해 자바라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대피자가 더욱 안심하고 안전하게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의 제1절첩부(55)에는 대피자가 밟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non-slip)돌기(57)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대피자의 대피 도중에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는 긴급상황이 끝난 후에는 다시 본체(10)의 내부측으로 접어 회수하여야 하는 바, 상기 지지바디(51)에 결합 고정된 윈치(53)에 권취된 회수용와이어(52)가 상기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의 하부측에 구성된 와이어고정축(54)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윈치(53)를 작동시켜 회수용와이어(52)를 윈치(53)측으로 권취시키면 신장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의 제1절첩부(55)와 제2절첩부(56)가 접어지면서 본체(10)의 내부측으로 회수된다.
상기 윈치(53)는, 윈치(53)를 돌리는 수동레버를 더 구성하여 수동식으로 돌려 회수용와이어(52)를 윈치(53)측으로 권취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상기 윈치(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윈치(53)를 구동시키는 윈치스위치(60)가 더 구성함으로써 윈치(53)를 전동방식으로 구동시켜 회수용와이어(52)를 권취시킴으로써 신장된 바라형 비상사다리(50)의 제1절첩부(55)와 제2절첩부(56)를 접어 회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부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구성요부인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하부덮개의 닫힘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상하부덮개가 열린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자바라형 비상사다리가 신장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제1링크조립부
12 : 제1연결편 13 : 연결공
20 : 상부덮개 21 : 연결부
22 : 장공 23 : 제2링크조립부
24 : 손잡이 30 : 링크체
31 : 제1링크 31a : 제1힌지돌기
31b : 제2힌지돌기 32 : 제2링크
32a : 제3힌지돌기 32b : 제4힌지돌기
33 : 힌지공 34 : 제5힌지돌기
35 : 제3링크 40 : 하부덮개
41 : 체결공 42 : 제2연결편
43 : 힌지편 50 : 자바라형 비상사다리
51 : 지지바디 52 : 회수용와이어
53 : 윈치 54 : 와이어고정축
55 : 제1절첩부 56 : 제2절첩부
57 : 논슬립돌기 60 : 윈치스위치

Claims (3)

  1. 내면 양측에 대응되는 제1링크조립부(11)가 구성되고 후면 상단에 제1연결편(12)이 구성되며 후측 내면 하측에 연결공(13)이 각각 통공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에 구성된 제1연결편(12)에 연결되는 연결부(21)가 내면 후측에 구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내부에 장공(22)이 형성된 제2링크조립부(23)가 구성되며 중앙에 손잡이(24)가 구성된 상부덮개(20)와;
    상기 상부덮개(20)의 제2링크조립부(23)에 형성된 장공(22)에 걸어지는 제1힌지돌기(31a)가 일측에 돌설된 제1링크(31)와, 상기 제1링크(31)의 타측에 제2힌지돌기(31b)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제1링크조립부(11)에 연결되는 제3힌지돌기(32a)가 중앙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4힌지돌기(32b)가 형성된 제2링크(32)와, 상기 제2링크(32)의 타측에 형성된 제4힌지돌기(32b)가 걸어지는 힌지공(33)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제5힌지돌기(34)가 형성된 제3링크(35)로 구성되는 링크체(30)와;
    상기 본체(10)의 연결공(13)과 대응되도록 체결공(41)이 형성된 제2연결편(4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링크체(30)의 제3링크(35)의 제5힌지돌기(34)가 힌지결합되는 힌지편(43)이 구성된 하부덮개(4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바디(51)와, 상기 지지바디(51)의 전면에 구성되고 회수용와이어(52)가 권취된 윈치(53)와, 상기 윈치(53)에 권취된 회수용와이어(52)가 연결되는 와이어고정축(54)이 하부측에 구성되고 서로 크로스결합되는 것으로 논슬립 돌기(57)가 형성된 제1절첩부(55)와 제2절첩부(56)로 구성된 자바라형 비상사다리(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107451A 2009-11-09 2009-11-09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96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451A KR100965536B1 (ko) 2009-11-09 2009-11-09 고층건물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451A KR100965536B1 (ko) 2009-11-09 2009-11-09 고층건물 피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536B1 true KR100965536B1 (ko) 2010-06-23

Family

ID=423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451A KR100965536B1 (ko) 2009-11-09 2009-11-09 고층건물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5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60B1 (ko) 2011-04-04 2011-05-19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036210B1 (ko) 2011-04-18 2011-05-20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037582B1 (ko) 2010-11-25 2011-05-27 (주) 네오텍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070179B1 (ko) 2011-03-22 2011-10-05 한 기 김 하향식 화재피난장치
KR101310341B1 (ko) * 2012-01-16 2013-09-23 주식회사 영신엠텍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511680B1 (ko) * 2014-05-14 2015-04-17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피난사다리
KR102193664B1 (ko) * 2020-09-04 2020-12-21 주식회사 영신이엔에스 층간 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582B1 (ko) 2010-11-25 2011-05-27 (주) 네오텍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070179B1 (ko) 2011-03-22 2011-10-05 한 기 김 하향식 화재피난장치
KR101035860B1 (ko) 2011-04-04 2011-05-19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036210B1 (ko) 2011-04-18 2011-05-20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310341B1 (ko) * 2012-01-16 2013-09-23 주식회사 영신엠텍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511680B1 (ko) * 2014-05-14 2015-04-17 주식회사 에스엠이엔지 피난사다리
KR102193664B1 (ko) * 2020-09-04 2020-12-21 주식회사 영신이엔에스 층간 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8213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