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41B1 - 비상탈출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41B1
KR101310341B1 KR1020120004647A KR20120004647A KR101310341B1 KR 101310341 B1 KR101310341 B1 KR 101310341B1 KR 1020120004647 A KR1020120004647 A KR 1020120004647A KR 20120004647 A KR20120004647 A KR 20120004647A KR 101310341 B1 KR101310341 B1 KR 10131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coupled
sub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993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신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신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신엠텍
Priority to KR102012000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인 건축물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비상 시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 개구(開口)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사각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도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내벽에 장착되는 홀딩유닛; 상기 홀딩유닛 양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선회브래킷; 및 상기 두 선회브래킷에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의 폐쇄 시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선회브래킷에 의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래더(ladder)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래더유닛은
상기 두 선회브래킷에 각각 결합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체(分體)로 이루어진 두 세로대, 상기 두 세로대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세로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로대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연결됨으로써 래더유닛이 더욱 작은 크기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다리가 소형화되되, 사용 시 더욱 긴 길이로 펼쳐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사다리{EMERGENCY ESCAPE LADDER}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인 건축물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비상 시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비상탈출용 사다리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582호(2011년 05월 27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 및 하부가 열린 함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힌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접철됨과 아울러 사용 시 하층으로 전개되는 사다리와, 하층으로 전개된 상기 사다리를 접으면서 상기 프레임 내부로 복귀시키는 완강기, 및 상기 상부도어와 상기 하부도어를 연동되게 연결하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발판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수직하게 전개되는 다수의 사다리 멤버;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사다리 멤버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상기 사다리 멤버의 상기 지지프레임 배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판프레임은 측면에서 봤을 때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며, 열린 하부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 측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지지프레임은 발판프레임의 외부에서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고, 사다리를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전개시킬 수 있으며, 사다리의 뒤틀림 및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다리를 이루는 각각의 사다리 멤버들이 슬라이딩 전개되는 구조를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각 사다리 멤버가 적층되는 형태로 접히게 됨에 따라, 펼쳐진 사다리의 길이에 비해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상하 개구(開口)된 내부 수용부를 갖는 사각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도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내벽에 장착되는 홀딩유닛;
상기 홀딩유닛 양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선회브래킷; 및
상기 두 선회브래킷에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의 폐쇄 시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각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선회브래킷에 의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래더(ladder)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래더유닛은
상기 두 선회브래킷에 각각 결합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체(分體)로 이루어진 두 세로대,
상기 두 세로대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세로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가로대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의 단부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링크바,
상기 두 링크바를 상호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두 링크바가 상기 두 세로대 내측을 향해 접힘 동작케 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래더유닛에 결합되는 서브래더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래더유닛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분체로 이루어진 두 서브세로대,
상기 각 분체 중 최하단 분체와 상기 각 서브분체 중 최상단 서브분체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브래킷,
상기 두 서브세로대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서브분체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가로대,
상기 각 서브분체와 상기 각 서브가로대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각 서브가로대가 상기 각 가로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중계부재,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서브가로대,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가로대와 서브가로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서브세로대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링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펼쳐진 상태의 상기 래더유닛을 다시 접힌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폴딩수단과, 상기 래더유닛의 펼침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감속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폴딩수단은
상기 래더유닛 하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bobbin),
상기 보빈에 형성된 회전축에 결합되고, 보빈과 함께 선회동작하게 되는 래칫휠(ratchet wheel),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또는 상기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칫휠을 위한 멈춤쇠를 갖는 패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유닛은
내부 수용공간부를 갖고, 상기 홀딩유닛의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recess)를 갖고, 상기 보빈의 회전축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는 고정디스크, 그리고
양측면 중앙에 상기 리세스의 측벽에 끼워지게 되는 장착홈을 갖고, 이 장착홈에 의해 상기 고정디스크의 각 리세스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수용공간부 측벽에 접촉되는 다수의 마찰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에 대한 연동개폐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연동개폐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내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결합부,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상호 둔각(鈍角)을 이루며 상하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를 갖는 제1연동부재,
일단이 상기 상부도어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의 상부연결부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부재, 그리고
일단이 상기 하부도어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의 하부연결부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동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동부재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도어의 개방 시 상기 제1연동부재의 상부연결부에 걸리게 되는 폐쇄방지용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딩유닛 양단부에는 관통형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브래킷에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동부재 타단부에는 관통형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부재의 상부연결부 단부에는 버링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체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각 도어를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상부도어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걸리어 고정되는 상부 대응걸림부와, 상기 상부도어의 초기개방을 위한 하부 슬롯을 갖는 스냅부재, 그리고
상기 스냅부재의 슬롯을 지나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 내벽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연동부재의 하부연결부 단부와 상기 제3연동부재의 타단부는 힌지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3연동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도어의 초기개방 시 상기 힌지볼트가 활주하게 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사다리는,
세로대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연결됨으로써 래더유닛이 더욱 작은 크기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다리가 소형화되되, 사용 시 더욱 긴 길이로 펼쳐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크부재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됨에 따라, 링크부재가 세로대 외측을 향해 접힘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더유닛에 서브래더유닛을 연결함으로써 펼쳐진 사다리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딩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펼쳐진 래더유닛을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으며, 감속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래더유닛이 급격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동개폐수단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비상탈출 시 상부도어의 폐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회브래킷 및 제1연동부재가 각각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 대응결합부 및 대응체결부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도어를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사다리의 미사용 시 각 도어가 래더유닛의 무게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연동부재에 장공이 형성됨에 따라, 잠금 해제를 위한 상부도어의 초기개방 시 하부도어의 연동 개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 연동개폐수단 및 잠금수단을 발췌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상부도어가 초기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상부 및 하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홀딩유닛, 선회브래킷 및 래더유닛을 발췌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래더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폴딩수단 및 감속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도 2의 "A"는 해당부위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해당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의 "C"는 해당부위의 사시도이고, 도 8의 "D" 및 "E" 그리고 도 9의 "F"는 해당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이하, '사다리'라고 함)는 크게 하우징(100), 홀딩유닛(200), 선회브래킷(300), 래더유닛(400) 및 폴딩수단(8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개구(開口)된 내부 수용부(111)를 갖는 사각 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는 상기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개폐되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에 대한 연동개폐수단(600)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개폐수단(600)은
상기 상부도어(120)의 개폐 시 상기 하부도어(130)가 연동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결합부(611),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상호 둔각(鈍角)을 이루며 상하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612, 613)를 갖는 제1연동부재(610),
일단이 상기 상부도어(12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부재(620), 그리고
일단이 상기 하부도어(13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하부연결부(613)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동개폐수단(600)은 상기 상부도어(120)의 개방 시 상기 제2연동부재(620)에 의해 상기 제1연동부재(610)가 선회동작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하부연결부(613)가 상기 제3연동부재(63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도어(130)가 상기 상부도어(120)와 함께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120)의 폐쇄 시에는 상기 제1연동부재(610)가 개방 시의 반대방향으로 선회동작함에 따라, 상기 하부연결부(613)가 상기 제3연동부재(630)를 상측으로 끌어올리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도어(130)가 상기 상부도어(120)와 함께 폐쇄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동부재(620)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도어(120)의 개방 시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에 걸리게 되는 스토퍼(6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21)는 상기 상부도어(120)를 완전히 개방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연동부재(610, 620)를 상기 상부도어(12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612)에 걸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621)는 상기 상부도어(120)가 자중(自重) 및 외력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장착되어 후술될 래더유닛(400)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2,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장착되는 두 고정브래킷(210), 그리고
상기 두 고정브래킷(210)에 개재(介在)되는 지지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브래킷(30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홀딩유닛(200) 양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선회브래킷(300)과 상기 홀딩유닛(2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홀딩유닛(200)의 양단부에 배치된 상기 각 고정브래킷(210)에는 관통형 결합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브래킷(300)에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1)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결합부(3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치 않는바, 사다리의 제작 시 조립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상기 연동개폐수단(6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2연동부재(620) 타단부에는 관통형 체결부(6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 단부에는 버링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22)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체결부(614)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동부재(610, 620)가 상호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브래킷(300) 후단부에는 상기 폴딩수단(230)을 향해 절곡 형성된 걸림편(320)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320)은 상기 래더유닛(400)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졌을 때에, 상기 고정브래킷(210)의 하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래더유닛(400)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되, 이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래더(ladder)유닛(400)은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120, 130)의 폐쇄 시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에 배치되고, 상기 각 도어(120, 130)의 개방 시 상기 선회브래킷(300)에 의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각각 결합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체(分體)(411)로 이루어진 두 세로대(410),
상기 두 세로대(410)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4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42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4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세로대(410)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분체(411)는 내경이 상이한 파이프로 이루어져 하측에 배치된 분체(411)가 상측에 배치된 분체(411)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최상측에 배치된 분체(411)가 상기 선회브래킷(300)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가로대(420)는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41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및 하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430)는 상기 가로대(42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420)의 단부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링크바(431),
상기 두 링크바(431)를 상호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432), 그리고
상기 힌지축(432)에 결합되어 상기 두 링크바(431)가 상기 두 세로대(410) 내측을 향해 접힘 동작케 하는 토션스프링(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433)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상기 두 링크바(431)에 걸리어 상기 두 링크바(431)가 상기 두 세로대(410) 내측을 향해 접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430)는 상기 각 가로대(42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각 분체(411)가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각 링크부재(430)는 상기 두 링크바(431)가 상호 펼쳐졌을 때에 상기 각 분체(411)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딩수단(800)은
펼쳐진 상태의 상기 래더유닛(400)을 다시 접힌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더유닛(400) 하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810),
상기 와이어(810)가 감기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bobbin)(820),
상기 보빈(820)에 형성된 회전축(821)에 결합되고, 보빈(820)과 함께 선회동작하게 되는 래칫휠(ratchet wheel)(830),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20) 또는 상기 프레임(11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칫휠(830)을 위한 멈춤쇠(841)를 갖는 패달부재(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810)는 상기 가로대(420) 중 최하단 가로대(420)에 연결된다.
상기 패달부재(840)는 평상 시 상기 멈춤쇠(841)가 상기 래칫휠(8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를 개방시킨 후 상기 래더유닛(400)이 하측을 향해 선회되면, 상기 패달부재(840)를 밟아 상기 멈춤쇠(841)에 의한 상기 래칫휠(83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래더유닛(400)이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더유닛(400)을 다시 접힌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보빈(820)의 회전축(821)에 별도의 레버(미도시)를 결합하여 상기 보빈(82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810)를 감아 상기 레더유닛(400)을 다시 접을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유닛(200) 및 상기 폴딩수단(800)에는 감속유닛(900)이 결합된다.
상기 감속유닛(900)은 상기 래더유닛(400)의 펼침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수용공간부(911)를 갖고, 상기 홀딩유닛(200)의 지지플레이트(22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910),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recess)(921)를 갖고, 상기 보빈(820)의 회전축(821)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에 배치되는 고정디스크(920),
양측면 중앙에 상기 리세스(921)의 측벽에 끼워지게 되는 장착홈(931)을 갖고, 이 장착홈(931)에 의해 상기 고정디스크(920)의 각 리세스(921)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 또는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 측벽에 접촉되는 다수의 마찰블록(9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찰블록(930)은 상기 수용공간부(911) 측벽과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코르크,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마찰블록(930)은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 측벽에 접촉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축(821)과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접촉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감속유닛(900)은 상기 마찰블록(93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 또는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 측벽에 마찰됨에 따라 상기 보빈(82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래더유닛(400)이 급격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각 도어(120, 130)를 위한 잠금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700)은 사다리의 미사용 시 사용자의 부주의나 상기 래더유닛(4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각 도어(120, 13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도어(120)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부(710),
상기 걸림부(710)에 걸리어 고정되는 상부 대응걸림부(721)와,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을 위한 하부 슬롯(722)을 갖는 스냅부재(720), 그리고
상기 스냅부재(720)의 슬롯(722)을 지나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체결되는 고정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초기개방"이라 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상부도어(1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도어(120)를 일부 개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슬롯(722)은 상기 스냅부재(720)가 상기 고정부재(730)를 타고 상승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도어(120)가 초기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상부도어(120)를 초기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710)와 상기 대응걸림부(721)를 분리함으로써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하부연결부(613) 단부와 상기 제3연동부재(630)의 타단부는 힌지볼트(6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3연동부재(630)의 타단부에는 상기 힌지볼트(640)가 체결되는 장공(631)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장공(631)은 상기 각 도어(120, 130)의 연동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 시 상기 힌지볼트(640)가 활주하게 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잠금 해제를 위한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 시 상기 하부도어(130)의 연동 개방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다리는 상기 래더유닛(400)에 결합되는 서브래더유닛(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래더유닛(500)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분체(511)로 이루어진 두 서브세로대(510),
상기 각 분체(411) 중 최하단 분체(411)와 상기 각 서브분체(511) 중 최상단 서브분체(511)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브래킷(540),
상기 두 서브세로대(510)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서브분체(511)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가로대(520),
상기 각 서브분체(511)와 상기 각 서브가로대(5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각 서브가로대(520)가 상기 각 가로대(42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중계부재(55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서브가로대(52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가로대(420)와 서브가로대(5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서브세로대(510)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링크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세로대(510), 서브가로대(520) 및 서브링크부재(530)는 각각 상기 래더유닛(400)의 세로대(410), 가로대(420) 및 링크부재(4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팅브래킷(540)은 상기 최하단 분체(411)에서 이에 결합된 가로대(420)와 대향(對向)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세로대(510)는 상기 래더유닛(400) 및 상기 서브래더유닛(500)이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세로대(410)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중계부재(550)는 상기 세로대(410) 하측에 배치된 상기 서브세로대(510)로부터 상기 서브가로대(520)를 이격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각 서브가로대(520)를 상기 각 가로대(420)와 동일선상에 배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 서브래더유닛(500)은 상기 각 도어(120, 130)의 개방 시 상기 래더유닛(400)과 함께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다리는 펼침 시 더욱 긴 길이를 갖게 된다.
당연하게도, 이때 상기 폴딩수단(800)의 와이어(810)는 상기 서브가로대(520) 중 최하단 서브가로대(5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비상탈출용 사다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프레임 111 ; 수용부
120 ; 상부도어 130 ; 하부도어
200 ; 홀딩유닛
210 ; 고정브래킷 211 ; 결합부
220 ; 지지플레이트
300 ; 선회브래킷
310 ; 대응결합부 320 ; 걸림편
400 ; 래더유닛
410 ; 세로대 411 ; 분체
420 ; 가로대 421 ; 요철부
430 ; 링크부재 431 ; 링크바
432 ; 힌지축 433 ; 토션스프링
500 ; 서브래더유닛
510 ; 서브세로대 511 ; 서브분체
520 ; 서브가로대 530 ; 서브링크부재
540 ; 커넥팅브래킷 550 ; 중계부재
600 ; 연동개폐수단
610 ; 제1연동부재 611 ; 힌지결합부
612 ; 상부연결부 613 ; 하부연결부
614 ; 대응체결부 620 ; 제2연동부재
621 ; 스토퍼 622 ; 체결부
630 ; 제3연동부재 631 ; 장공
640 ; 힌지볼트
700 ; 잠금수단
710 ; 걸림부 720 ; 스냅부재
721 ; 대응걸림부 722 ; 슬롯
730 ; 고정부재
800 ; 폴딩수단
810 ; 와이어 820 ; 보빈
821 ; 회전축 830 ; 래칫휠
840 ; 패달부재 841 ; 멈춤쇠
900 ; 감속유닛
910 ; 커버부재 911 ; 수용공간부
920 ; 고정디스크 921 ; 리세스
930 ; 마찰블록 931 ; 장착홈

Claims (8)

  1. 상하 개구(開口)된 내부 수용부(111)를 갖는 사각 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장착되는 홀딩유닛(200);
    상기 홀딩유닛(200) 양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선회브래킷(300); 및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120, 130)의 폐쇄 시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에 배치되고, 상기 각 도어(120, 130)의 개방 시 상기 선회브래킷(300)에 의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래더(ladder)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래더유닛(400)은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각각 결합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체(分體)(411)로 이루어진 두 세로대(410),
    상기 두 세로대(410)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4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42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4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세로대(410)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부재(430)는 상기 가로대(420)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420)의 단부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링크바(431),
    상기 두 링크바(431)를 상호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432), 그리고
    상기 힌지축(432)에 결합되어 상기 두 링크바(431)가 상기 두 세로대(410) 내측을 향해 접힘 동작케 하는 토션스프링(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2. 상하 개구(開口)된 내부 수용부(111)를 갖는 사각 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장착되는 홀딩유닛(200);
    상기 홀딩유닛(200) 양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선회브래킷(300);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결합되되, 상기 각 도어(120, 130)의 폐쇄 시 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에 배치되고, 상기 각 도어(120, 130)의 개방 시 상기 선회브래킷(300)에 의해 선회되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되는 래더(ladder)유닛(400); 및
    상기 래더유닛(400)에 결합되는 서브래더유닛(500);을 포함하되,
    상기 래더유닛(400)은
    상기 두 선회브래킷(300)에 각각 결합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분체(分體)(411)로 이루어진 두 세로대(410),
    상기 두 세로대(410)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분체(411)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42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가로대(4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세로대(410)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링크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래더유닛(500)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분체(511)로 이루어진 두 서브세로대(510),
    상기 각 분체(411) 중 최하단 분체(411)와 상기 각 서브분체(511) 중 최상단 서브분체(511)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브래킷(540),
    상기 두 서브세로대(510)에서 상호 마주하는 각 서브분체(511)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가로대(520),
    상기 각 서브분체(511)와 상기 각 서브가로대(52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각 서브가로대(520)가 상기 각 가로대(42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중계부재(55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두 서브가로대(520), 그리고 상호 인접 배치된 가로대(420)와 서브가로대(52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서브세로대(510)를 따라 접힘 및 펼침 동작하게 되는 다수의 서브링크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의 상기 래더유닛(400)을 다시 접힌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폴딩수단(800)과, 상기 래더유닛(400)의 펼침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감속유닛(900)이 구비되되,
    상기 폴딩수단(800)은
    상기 래더유닛(400) 하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810),
    상기 와이어(810)가 감기고, 상기 홀딩유닛(20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bobbin)(820),
    상기 보빈(820)에 형성된 회전축(821)에 결합되고, 보빈(820)과 함께 선회동작하게 되는 래칫휠(ratchet wheel)(830), 그리고
    상기 홀딩유닛(200) 또는 상기 프레임(11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칫휠(830)을 위한 멈춤쇠(841)를 갖는 패달부재(8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유닛(900)은
    내부 수용공간부(911)를 갖고, 상기 홀딩유닛(2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910),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세스(recess)(921)를 갖고, 상기 보빈(820)의 회전축(821)에 결합되되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에 배치되는 고정디스크(920), 그리고
    양측면 중앙에 상기 리세스(921)의 측벽에 끼워지게 되는 장착홈(931)을 갖고, 이 장착홈(931)에 의해 상기 고정디스크(920)의 각 리세스(921)에 장착되어 상기 홀딩유닛(200) 또는 상기 커버부재(910)의 수용공간부(911) 측벽에 접촉되는 다수의 마찰블록(9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120, 130)에 대한 연동개폐수단(600)이 구비되되,
    상기 연동개폐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결합부(611),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상호 둔각(鈍角)을 이루며 상하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612, 613)를 갖는 제1연동부재(610),
    일단이 상기 상부도어(12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동부재(620), 그리고
    일단이 상기 하부도어(130)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하부연결부(613) 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동부재(6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동부재(620)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도어(120)의 개방 시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에 걸리게 되는 폐쇄방지용 스토퍼(6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200) 양단부에는 관통형 결합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선회브래킷(300)에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1)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동부재(620) 타단부에는 관통형 체결부(6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상부연결부(612) 단부에는 버링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622)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대응체결부(6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120, 130)를 위한 잠금수단(700)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상부도어(120)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부(710),
    상기 걸림부(710)에 걸리어 고정되는 상부 대응걸림부(721)와,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을 위한 하부 슬롯(722)을 갖는 스냅부재(720), 그리고
    상기 스냅부재(720)의 슬롯(722)을 지나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체결되는 고정부재(7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120, 130)를 위한 잠금수단(700)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상부도어(120) 하면에 형성되는 걸림부(710),
    상기 걸림부(710)에 걸리어 고정되는 상부 대응걸림부(721)와,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을 위한 하부 슬롯(722)을 갖는 스냅부재(720), 그리고
    상기 스냅부재(720)의 슬롯(722)을 지나 상기 프레임(110)의 수용부(111) 내벽에 체결되는 고정부재(7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부재(610)의 하부연결부(613) 단부와 상기 제3연동부재(630)의 타단부는 힌지볼트(6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3연동부재(630)의 타단부에는 상기 상부도어(120)의 초기개방 시 상기 힌지볼트(640)가 활주하게 되는 장공(6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
  8. 삭제
KR1020120004647A 2012-01-16 2012-01-16 비상탈출용 사다리 KR10131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647A KR101310341B1 (ko) 2012-01-16 2012-01-16 비상탈출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647A KR101310341B1 (ko) 2012-01-16 2012-01-16 비상탈출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993A KR20130083993A (ko) 2013-07-24
KR101310341B1 true KR101310341B1 (ko) 2013-09-23

Family

ID=4899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647A KR101310341B1 (ko) 2012-01-16 2012-01-16 비상탈출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259A (ko) * 2016-12-22 2018-07-02 동일산업(주) 등받이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200B1 (ko) * 2021-01-25 2022-03-15 홍완식 사다리용 전도 방지장치
KR102269608B1 (ko) * 2021-02-03 2021-06-24 고지광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된 고정식 포크레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835A (ja)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二重天井用避難装置
KR100965536B1 (ko) * 2009-11-09 2010-06-23 (주) 미래기업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10014792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하향식 피난 사다리
KR20110001707U (ko) * 2011-01-23 2011-02-18 김현신 내림식 피난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835A (ja)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二重天井用避難装置
KR20110014792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하향식 피난 사다리
KR100965536B1 (ko) * 2009-11-09 2010-06-23 (주) 미래기업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10001707U (ko) * 2011-01-23 2011-02-18 김현신 내림식 피난사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259A (ko) * 2016-12-22 2018-07-02 동일산업(주) 등받이울 조립체
KR101972305B1 (ko) * 2016-12-22 2019-04-26 동일산업(주) 등받이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993A (ko)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3496B2 (en) Loft ladder assembly
KR102021690B1 (ko) 보안 문
EP2711496B1 (en) Portable ladder with a stand off device
KR101310341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WO2020093659A1 (zh) 一种一键收合式床架以及游戏床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PL228252B1 (pl) Schody składane, zwłaszcza lekkie, drewniane
US7954890B2 (en) Folding chair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JP4176745B2 (ja) 幼児用安全柵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0680693B1 (ko) 공동주택의 현관문에 설치되는 빗물막이 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20200029709A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KR20120028525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4690121B2 (ja) 避難用梯子装置
GB2531166A (en) Foldable trampoline
KR101260232B1 (ko) 비상용 사다리 구조물
KR101037582B1 (ko)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JP6901744B2 (ja) 避難用はしご
JP6913336B2 (ja) 避難用はしご装置
US20150090532A1 (en) Collapsible escape ladder with guards
JP3506677B2 (ja) 物品収納具
US7159693B2 (en) Window shutter escape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