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19B1 -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319B1
KR101166319B1 KR1020110102353A KR20110102353A KR101166319B1 KR 101166319 B1 KR101166319 B1 KR 101166319B1 KR 1020110102353 A KR1020110102353 A KR 1020110102353A KR 20110102353 A KR20110102353 A KR 20110102353A KR 101166319 B1 KR101166319 B1 KR 10116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wire
unit
hous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욱
Original Assignee
강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욱 filed Critical 강신욱
Priority to KR102011010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갖추어져 있는 피난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테나 타입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개방식을 가지는 사다리를 구현함으로써,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아래층에 있는 물건에 사다리가 걸려서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Fire evacuation door with antenna type ladder}
본 발명은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갖추어져 있는 피난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한 모든 건물이 대형화 고층으로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며, 건물 및 주거환경의 내부 가구나 내장재들도 점점 고급화되고 화려해지면서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그 결과 화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면, 화재 시 인명을 구출하는 종래의 장비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고층 건물 등에서의 안전 수단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이와 관련한 설비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재나 기타의 재난 시 대표적인 수단은 비상구와 비상 탈출을 위한 완강기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설치 또한 법으로 엄격하게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비상구의 경우 층별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으나, 신속한 대처가 없이는 화재 시 화염의 통로가 되어 그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마땅한 탈출 수단이 비상계단에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완강기의 경우 건물의 베란다나 외벽에 설치되어 밧줄을 이용한 비상 대피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짧은 시간의 지체가 큰 인명 손실을 가져오는 상황에서는 그 사용자체가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며, 많은 수의 인원을 빠른 시간에 대피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상대피시설에 대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화재 등과 위급상황 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피난용 도어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피난용 도어는 상부 덮개를 열면 하부 덮개가 연동되면서 동시에 열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 상부 덮개를 닫으면 역시 이와 연동하여 하부 덮개가 동시에 닫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피난용 도어에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어서 층간에 사용자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최근에는 아파트 등의 발코니에 매설되어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상황 시 아래층으로 피난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피난용 도어 장치와 사다리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 10-2006-0025271호, 공개특허 10-2011-0054882호, 공개특허 10-2011-0014792호에서는 비상 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사다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다리들은 전개 시에 피난용 도어 장치의 아래층에 적재된 물건이 있거나, 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이 놓여져 있는 경우에 사다리가 물건에 걸려서 완전히 펴지지 않게 되고, 결국 사다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면서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사다리들은 사다리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만 사다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테나 타입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개방식을 가지는 사다리를 구현함으로써,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아래층에 있는 물건에 사다리가 걸려서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는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서로 연동되면서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와, 상기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연동을 위해 덮개 간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장치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한편, 특히 사용자가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사다리로서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완전히 전개되지 않더라도 전개된 부분만으로 사다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다리와, 상기 상부 덮개에 설치되어 사다리측과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와이어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작동으로 사다리의 접힘 및 펴짐을 가능하게 해주는 와이어 감압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피난용 도어 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식 사다리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가로대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홀을 가지는 양쪽의 슬라이드 관과 이 2개의 슬라이드 관을 연결하는 가로대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 사다리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의 각 단위 사다리는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일수록 그 바로 윗쪽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관을 통해 서로가 수납 및 인출되면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난용 도어 장치의 경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핀구조로 설치되며 미사용 시 접혀져 있는 사다리를 받쳐줄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한쪽으로 젖힐 수 있어 사다리를 아래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사다리거치용 레버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시 간단하게 덮개를 열고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등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안테나 방식으로 펴졌다 접었다 할 수 있는 사다리를 채택함으로써, 사다리 전개 시에 도어 장치 아래층에 적재된 물건이 있는 경우나, 또 높이가 높은 물건이 있는 경우 등과 같은 상황에서 사다리가 완전히 전개되지 않더라도 전개된 부분만으로 사다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에서 안테나식 사다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에서 안테나식 사다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난용 도어 장치는 화재 등의 위급상황 시 화염이나 연기 등의 위험에서 벗어나 윗층의 사용자가 아래층으로 긴급 대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화재 등의 위급상황에서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층과 층 간에 설치되는 대략 사각박스 형태의 하우징(10)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덮개(11)는 윗쪽으로 젖혀서 여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덮개(12)는 상부 덮개(11)와 연동되어 아래쪽으로 젖혀지면서 열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 덮개(11)를 열면 이와 동시에 하부 덮개(12)도 자동으로 열려지게 되며, 이러한 덮개 연동은 링크장치(13)가 가지는 4개의 암이 상호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의 연동구조 및 작동방식은 본 출원인의 국내 공개특허 10-2011-0064358호에 개시되어 있는 연동구조 및 작동방식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수단으로 안테나식 사다리, 즉 사다리 길이방향으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형태의 사다리를 제공한다.
상기 사다리(14)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안테나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일직선상으로 길이를 줄였다 늘렸다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미사용 시에는 접힌 상태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게 되고, 사용 시에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길게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사다리(14)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벽면에는 대략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하우징 브라켓(21)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하우징 브라켓(21)의 양쪽 판체에 사다리(14)의 상단부, 예를 들면 사다리(14)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사다리(20) 중에서 가장 윗쪽으로 배치되는 단위 사다리(20)의 상단부가 핀(26a)에 의해 관통 체결되므로서, 사다리(14)는 핀(26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힌 상태에서의 수평자세 또는 펴진 상태에서 수직자세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 브라켓(21)에는 사다리(14)를 지지하고 있는 핀(26a)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브라켓 양쪽 판체 사이에 가로걸쳐 설치되는 스톱퍼 바(22)가 구비되며, 이때의 스톱퍼 바(22)는 사다리(14)의 후면을 뒤에서 막아주면서 사다리(14)가 대략 수직으로 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뒷쪽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벽면, 사다리 브라켓(21)이 설치되어 있는 벽면의 맞은편 벽멱에는 사다리(14)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다리(14)를 받쳐놓을 수 있는 수단으로 사다리거치용 레버(23)가 설치된다.
상기 사다리거치용 레버(23)는 핀(26b)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는 손잡이부(23a)와 사다리(14)의 하단부를 걸어줄 수 있는 핀부(23b)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사다리거치용 레버(23)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27)과 레버측 손잡이부(23a) 사이를 걸어줄 수 있는 구속용 끈(28)에 의해 임의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다리(14)는 그 하단부가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핀부(23b) 위에 걸쳐지는 자세로 받쳐지면서 하우징(10) 내에 수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구속용 끈(28)을 제거한 후에 사다리거치용 레버(23)를 한쪽으로 젖혀서 회전시키면 아래로 펼쳐지면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다리(14)의 접힘 및 펴짐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와이어 감압기(16)가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 감압기(16)는 사다리(14)측과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5)를 풀어주거나 감아주는 방식으로 사다리(14)를 접어주거나, 사다리(14)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 감압기(16)는 상부 덮개(11)의 안쪽면에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와이어 감압기(16)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5)의 끝은 사다리(14)의 하단부, 예를 들면 사다리(14)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 사다리(20) 중에서 가장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단위 사다리(2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다리(14)가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로 펼쳐지는 경우 상기 와이어(15)도 와이어 감압기(16)로부터 인출되면서 함께 연장되고, 와이어 감압기(16)의 작동으로 와이어(15)가 재차 감겨지게 되면 이때의 와이어(15)에 의한 당김작용에 의해 사다리(14)의 각 단위 사다리(20)들이 차례로 수납되면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감압기(16)는 권취휠(미도시), 감속휠(미도시) 등을 내장하고 있는 통상의 와이어 감압기로서, 한쪽 옆에 있는 조작레버(29)의 록킹 및 언록킹 작동을 통해 와이어 권취상태를 유지해주거나 와이어 풀림상태가 가능하게 해주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29)를 아래로 눌러서 젖혀주게 되면 와이어(15)를 감고 있는 권취휠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와이어(15)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또 후술하는 와이어권취용 레버(24)를 돌려서 와이어(15)를 다 감게 되면 권취휠이 조작레버(29)에 의해 록킹되면서 와이어(15)의 풀림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감압기(16)의 하단에는 위아래로 위치되면서 서로 앞뒤로 엇갈리는 구조로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와이어안내용 바(25a,25b)가 구비되며, 이때의 와이어안내용 바(25a,25b)는 와이어(15)의 진행이 "S"자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진행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와이어(15)가 꼬임 등의 방해없이 원활하게 풀려지거나 감겨지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 방식으로 접힘 및 펴짐이 가능한 구조의 사다리(14)를 채택함으로써, 사다리 이용에 대한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14)는 규격이 다른 다수 개의 단위 사다리(20)를 슬라이드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각 단위 사다리(20)는 사각단면을 가지면서 양쪽 끝이 터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양쪽의 슬라이드 관(18)과, 상기 양쪽 2개의 슬라이드 관(18)을 사이를 일체 이어주는 가로대(19)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관(18)에는 그 내측면에 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홀(17)이 구비되며, 이때의 가이드 홀(17)은 수납 및 인출시 가로대(19)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 사다리(20)들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일수록 그 바로 윗쪽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관(18)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단위 사다리(20)들은 사다리 접힘 시 서로 이웃하면서 자신보다 윗쪽에 있는 단위 사다리(10)측으로 각자가 수납되고, 이렇게 각 단위 사다리(10)들이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한칸씩 수납되므로서, 와이어(15)와 연동에 의해 사다리(14) 전체가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가장 윗쪽에 배치되면서 가장 큰 내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가지는 단위 사다리(20)는 사다리 브라켓(21)측에 핀(26a)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고, 상기 단위 사다리(20)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자 작아지는 내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갖는 단위 사다리(20)들이 연결되는 한편,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가장 작은 직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가지는 단위 사다리(20)에는 와이어 감압기(16)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5)가 연결된다.
이때의 와이어(15)는 단위 사다리(20)의 가로대(19)에 묶이거나 체결되는 구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사다리(20)의 슬라이드 관(18)에는 사각단면의 각 면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 사다리 수납 및 인출시 각 슬라이드 관이 가이드 돌기(30)와의 선접촉을 통해 슬라이드 마찰되므로서, 사다리가 접혀지거나 펴지는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30)는 각 단위 사다리(20)가 갖는 슬라이드 관(18)에 서로 다른 갯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하나의 슬라이드 관(18)의 각 면에 짝수(2개)의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되면, 이에 수납되는 바로 인접한 슬라이드 관(18)의 각면에는 홀수(1개)의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되고, 이러한 형태로 하나 걸러 하나씩의 슬라이드 관(18)에 짝수와 홀수가 반복되면서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쪽의 슬라이드 관(18)을 이어주는 가로대(19)의 경우, 슬라이드 관(18)의 상단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아래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단위 사다리(20)들이 펴졌을 때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규격이 큰 단위 사다리(20)에서부터 점차 규격이 작아지는 단위 사다리(20)들이 차례로 연결 조립되고, 또 서로 간에는 슬라이드식으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형태로 끼워지게 되므로서, 접힘 시 최소한의 부피만을 유지한 채 하우징(10) 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사다리(20)를 슬라이드식 끼움구조로 연결조립하고, 또 와이어 감압기(16)로부터의 와이어(15)를 사다리(14)에 있는 최하단의 단위 사다리(20)에 연결시켜줌으로써, 즉 안테나 방식으로 각 단위 사다리(20)들이 수납 및 인출되면서 펴졌다 접혀졌다 할 수 있는 사다리(14)를 채택함으로써, 사다리 전개 시 아래쪽에 적재된 물건이 있거나, 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이 놓여져 있어서 사다리가0 완전히 전개되지 않더라도 이때의 전개된 부분만으로 사다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물건에 걸려서 더 이상 사다리(14)가 펼쳐지지 않는 상태 그대로의 상태에서 사다리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일부만 펴지고 나머지는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에서 안테나식 사다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14)는 위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규격이 다른 다수 개의 단위 사다리(20)를 슬라이드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각 단위 사다리(20)는 사각단면을 가지면서 양쪽 끝이 터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양쪽의 슬라이드 관(18)과, 상기 양쪽 2개의 슬라이드 관(18)을 사이를 일체 이어주는 가로대(19)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모양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대(19)의 경우에는 양쪽 슬라이드 관(18)의 전면에 가로걸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슬라이드 관(18)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각 단위 사다리(20)들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일수록 그 바로 윗쪽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관(18)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단위 사다리(20)들은 사다리 접힘 시 서로 이웃하면서 자신보다 윗쪽에 있는 단위 사다리(20)측으로 각자가 수납되고, 이렇게 각 단위 사다리(20)들이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한칸씩 수납되므로서, 와이어(15)와 연동에 의해 사다리(14) 전체가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즉, 가장 윗쪽에 배치되면서 가장 큰 내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가지는 단위 사다리(20)는 사다리 브라켓(21)측에 핀(26a)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고, 상기 단위 사다리(20)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자 작아지는 내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갖는 단위 사다리(20)들이 연결되는 한편,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면서 가장 작은 직경의 슬라이드 관(18)을 가지는 단위 사다리(20)에는 와이어 감압기(16)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5)가 연결된다.
특히, 상기 단위 사다리(20)들은 각각이 수납 및 인출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서로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위 사다리(20)의 슬라이드 관(18)의 상단부에는 스톱핀(31)이 장착되고, 이때의 스톱핀(31)의 한쪽 끝부분(예를 들면 헤드부분)을 끼우기 위하여 슬라이드 관(18)의 바깥쪽 측면상에는 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 형태의 핀 홀(3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위아래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위 사다리(20) 중에서 1개의 단위 사다리(20), 즉 윗쪽의 단위 사다리(20)에 있는 핀 홀(32)에 다른 1개의 단위 사다리(20), 즉 윗쪽의 단위 사다리(20)에 수납되는 아래쪽의 단위 사다리(20)에 있는 스톱핀(31)이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결국 단위 사다리(2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단위 사다리(20)가 가지고 있는 스톱핀(31)이 바로 윗쪽의 단위 사다리(20)가 가지고 있는 핀 홀(32)의 하단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단위 사다리(20)들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등 위급한 상황에서 윗층 주민이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하여 상부 덮개(11)를 열게 되면, 접혀져 있던 링크장치(13)의 각 암들이 연동되어 펴지게 되므로서,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가 동시에 열려지게 되고, 이때의 개방된 하우징(10)의 내측 공간을 통해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다리(14)를 걸고 있는 사다리거치용 레버(23)를 한쪽으로 젖히게 되면, 사다리(14)는 핀(26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단부가 아래를 향하게 되고, 계속해서 와이어 감압기(16)에 있는 조작레버(29)를 누르게 되면, 와이어(15)가 풀려짐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사다리(14)는 아래로 전개되면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아래쪽에 물건 등이 있어 이곳에 걸리면서 사다리(14)가 완전히 전개되지 않게 되더라도 사다리(14)가 제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윗층 주민이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위급한 상황이 종료된 후, 와이어권취용 레버(24)를 돌려서 와이어(15)를 권취하게 되면, 와이어(15)의 당김작용에 의해 사다리(14)는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수납되면서 접혀지게 되고, 이렇게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하우징(10)에 있는 사다리거치용 레버(23)측에 사다리 하단부를 걸쳐 놓은 다음,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를 닫게 되면, 사다리(14)를 재차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안테나식으로 펴졌다 접었다 할 수 있는 사다리를 구현함으로써, 사다리 전개 시에 아래층에 적재된 물건이 있는 경우나, 높이가 높은 물건이 있는 경우 등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전혀 불편함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다리를 타고 대피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상부 덮개
12 : 하부 덮개 13 : 링크장치
14 : 사다리 15 : 와이어
16 : 와이어 감압기 17 : 가이드 홀
18 : 슬라이드 관 19 : 가로대
20 : 단위 사다리 21 : 사다리 브라켓
22 : 스톱퍼 바 23 : 사다리거치용 레버
23a : 손잡이부 23b : 핀부
24 : 와이어권취용 레버 25a,25b : 와이어안내용 바
26a,26b : 핀 27 : 고정핀
28 : 구속용 끈 29 : 조작레버
30 : 가이드 돌기 31 : 스톱핀
32 : 핀 홀

Claims (6)

  1.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
    서로 연동되면서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 덮개(11) 및 하부 덮개(12);
    상기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의 연동을 위해 덮개 간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장치(13);
    사용자가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사다리로서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사다리(14);
    상기 상부 덮개(11)에 설치되어 사다리(14)측과는 와이어(15)를 통해 연결되며 와이어(15)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작동으로 사다리(14)의 접힘 및 펴짐을 가능하게 해주는 와이어 감압기(16); 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14)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가로대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홀(17)을 가지는 양쪽의 슬라이드 관(18)과 이 2개의 슬라이드 관(18)을 연결하는 가로대(19)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단위 사다리(20)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 사다리(20)는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일수록 그 바로 윗쪽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관(18)을 통해 서로가 수납 및 인출되면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 사다리(20)의 슬라이드 관(18)의 상단부에는 스톱핀(31)이 장착되고, 상기 스톱핀(31)의 한쪽 끝부분을 끼우기 위하여 슬라이드 관(18)의 바깥쪽 측면상에는 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 형태의 핀 홀(32)이 구비되어, 단위 사다리 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14)의 지지를 하면서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는 사다리 브라켓(21)에는 사다리가 펴진 상태에서 더 이상 뒷쪽으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는 스톱퍼 바(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벽면에 핀구조로 설치되며 미사용 시 접혀져 있는 사다리(14)를 받쳐줄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한쪽으로 젖힐 수 있어 사다리(14)를 아래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사다리거치용 레버(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감압기(16)는 사다리(14)의 자유낙하 시 와이어(15)의 풀림 속도를 감속시켜주는 형식으로서, 전면에는 와이어(15)을 감을 때 사용하는 와이어권취용 레버(24)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와이어(15)의 진행을 "S"자 형태로 유도하는 2개의 와이어안내용 바(25a,25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6. 삭제
KR1020110102353A 2011-10-07 2011-10-07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116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53A KR101166319B1 (ko) 2011-10-07 2011-10-07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53A KR101166319B1 (ko) 2011-10-07 2011-10-07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319B1 true KR101166319B1 (ko) 2012-07-18

Family

ID=4671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353A KR101166319B1 (ko) 2011-10-07 2011-10-07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3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54B1 (ko) 2012-08-14 2012-11-12 (주)와이제이테크 하향전개식 피난용 사다리장치
KR20210132547A (ko) * 2020-04-27 2021-11-04 (주)수정테크 접이식사다리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RU2780993C2 (ru) * 2017-12-01 2022-10-04 Клайнгор Сейфти Апс Система спасения с раздвижной лестницей
US11486200B2 (en) 2017-12-01 2022-11-01 Klejngaard Safety Aps Escape system comprising extendible ladd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54B1 (ko) 2012-08-14 2012-11-12 (주)와이제이테크 하향전개식 피난용 사다리장치
RU2780993C2 (ru) * 2017-12-01 2022-10-04 Клайнгор Сейфти Апс Система спасения с раздвижной лестницей
US11486200B2 (en) 2017-12-01 2022-11-01 Klejngaard Safety Aps Escape system comprising extendible ladder
KR20210132547A (ko) * 2020-04-27 2021-11-04 (주)수정테크 접이식사다리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2338446B1 (ko) * 2020-04-27 2021-12-13 (주)수정테크 접이식사다리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하향식 피난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US20080116007A1 (en) Stowable, unobtrusive access and escape devices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US4079812A (en) Movable shelter floor type emergency escape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2437071B1 (ko) 비상용 대피 난간
KR102528446B1 (ko) 연결이 용이한 아파트용 연결형 난간
KR101200054B1 (ko) 하향전개식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2630093B1 (ko) 수직형 비상탈출장치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