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249B1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249B1
KR101171249B1 KR1020100090430A KR20100090430A KR101171249B1 KR 101171249 B1 KR101171249 B1 KR 101171249B1 KR 1020100090430 A KR1020100090430 A KR 1020100090430A KR 20100090430 A KR20100090430 A KR 20100090430A KR 101171249 B1 KR101171249 B1 KR 10117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manhole
support plate
hatch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526A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10009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홀속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신축 사다리가 설치되어 해치를 열면 신축 사다리가 위층의 맨홀에서 아래층의 베란다고 펴어지게 되는 한편, 상가 신축 사다리가 탄성수단이 구비된 지지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경사지게 펴어진 사다리를 붙잡아 지지해 주게 되어 있고, 상기 맨홀의 하단에 받침판이 힌지에 의해 회동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맨홀의 하단입구를 막아 주고 비상시에는 수직으로 펴어져 상하층 베란다의 난간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막아주는 커튼을 이루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피난장치는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어 맨홀을 개방하면, 맨홀속에 접혀져 있는 슬라이딩 레일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여 펴어지게 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맨홀의 하단에 설치된 받침판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펴어져 상하층 사이의 난간을 막아 사다리를 타로 아래층으로 내려갈 때 난간사이의 공간을 막아 줌으로써 공포감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사다리를 타고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에 베란다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고, 맨홀 속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재가 신축할 수 있게 결합된 신축사다리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맨홀의 입구에 해치가 설치되는 한편, 맨홀의 아래쪽에 받침판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비상시에 해치를 열면 맨홀속의 사다리가 신장하면서 위층과 아래층의 베란다를 연결해 줌과 더불어, 받침판이 아래로 회동하면서 펴어져 신축사다리를 지탱해주게 하여 비상시에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한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피난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출입문을 통하여 바깥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갇혀 연기에 질식하거나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가지 비상탈출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비상탈출구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대부분 비상탈출장치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에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설치하여 화염과 연기가 닿지 않는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게 된 것이 많은데, 이러한 기존의 비상탈출장치는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피신할 때 위험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실제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09-50258, 55396호 등과 같은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파트의 베란다에 구비된 난간에 보조 확장사다리를 설치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 사다리를 확장하여 아래층의 베란다와 연결한 다음, 확장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확장사다리가 건물의 바깥면을 통하여 펼쳐지기 때문에, 사람이 확장사다리를 타고 이동할 때 아래쪽에 아무런 안전 받침판이 없는 허공을 가로질러 가야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고 분위기도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화재피난장치로서,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맨홀을 뚫고, 이 맨홀의 아래쪽 아래층에 사다리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맨홀과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의 피신할 수 있게 한 장치를 제안한 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위층에서 맨홀을 통과한 다음 아래층의 베란다 벽면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때 통상 위층의 난간과 아래층의 난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사람이 빈 허공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적으로 고층아파트 등의 건물에서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베란다의 난간과 난간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고층 아파트의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아래층으로 피신할 경우에 베란다에 형성된 맨홀과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할 때,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사람이 허공의 빈공간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공포심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여러 가지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는 연결하는 사다리가 고정설치된 장치가 있었는바, 이들 선행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정 사다리가 아래층 베란다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 설치된 사다리로 인하여 방범 상의 문제가 생기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른 화재피난장치로서, 아래층의 베란다와 위층의 베란다를 연결하는 사다리가 위층에 난간에 부가 설치되어 필요할 때 아래층으로 연결하여 사람이 타고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게 한 장치가 있었으나, 이러한 장치는 베란다의 난간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바깥면을 거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평상시에는 아래층으로 연결하는 신축 사다리가 맨홀 속에 내장되게 하여 외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비상시에 맨홀의 해치를 열면 자동으로 신축 사다리가 아래층으로 신장하여 사람이 타로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받침판이 사다리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과; 상기 맨홀의 입구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에 안전을 위해 맨홀의 입구를 막아 주는 밀폐용 해치; 다수개의 사다리부재가 신축할 수 있게 삽입 결합되고, 상단이 맨홀의 한쪽 측벽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맨홀 속에 접어 넣을 수 있게 장착된 신축 사다리; 상기 신축 사다리의 아래쪽 맨홀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을 아래쪽에서 막아주고 비상시에는 아래로 내려가 신장된 사다리를 경사지게 지탱해 주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받침판이 아래로 내려와 펴졌을 때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다리를 경사지게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버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 사다리는 해치와 록크기구를 통해 체결되어 해치가 닫혀 있을 때는 신축 사다리가 록크기구에 의해 맨홀 속에 접혀진 상태로 록크되어 있고, 해치를 열면 록크기구가 해제되어 맨홀속의 신축 사다리가 차례대로 빠지면서 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맨홀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판에는 결속기구가 구비되어 상기 결속기구에 의해 받침판이 맨홀의 하단을 막아주고, 받침판에 하중이 가해지면 결속기구가 해제되어 맨홀의 하단에서 빠져나와 맨홀을 개방해 줌으로써, 신축 사다리가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펴어지게 한다.
또, 상기 버팀대를 받침판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에는 회동제어기구가 구비되어 버팀대가 일정각도만 회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시에 받침판을 경사지게 버티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평상시에는 맨홀 속에 신축 사다리가 접혀져 내장되어 있으면서 맨홀의 입구는 해치에 의해 닫혀져 있고, 맨홀의 하단은 받침판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피난장치는 사다리가 맨홀속에 내장되어 있고, 평상시에 아래층과 위층의 베란다 및 난간 등에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란다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는 맨홀속의 사다리가 펴어져 위층과 아래층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판이 사다리를 경사지게 버티어 지지해 줌으로써 경사지게 배치된 사다리를 타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베란다에 뚫린 맨홀에 신축 사다리가 접혀져 내장되고 해치와 받침판이 각각 맨홀의 상하단에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면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로서, 신축사다리가 해치에 록크기구를 통하여 록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면 2의 상태에서 비상시에 해치의 손잡이를 열 때, 신축 사다리가 펴어지지 않게 록크하는 록크기구가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받침판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비상시에 해치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해치가 록크기구를 통하여 신축사다리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해치가 개방될 때 록크기구가 신축사다리에서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해치를 아래쪽에서 막아주는 받침판의 하면에 버팀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받침판의 하단에 장착된 버팀대의 회전축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9(a)는 버팀대가 받침판에 밀착하여 접혀질 때 내부 회전캠이 브라켓축과 떨어져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버팀대가 받침판에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내려와 수평으로 펼쳐져 벽면에 대해 받침판을 경사지게 받쳐줄 때 내부 회전캠이 브라켓축에 걸려져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잡아 주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맨홀의 하단에 설치된 받침판이 아래로 내려오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받침판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내부 받침판이 외부 받침판에서 빠져 나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면 11의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받침판의 뒤쪽에서 버팀대가 펼쳐져 벽면에 대해 받침판을 경사지게 받쳐주게 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벽면에 경사지게 지탱된 받침판위에 신축 사다리가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신축 사다리가 완전하게 펼쳐져 받침판위에 지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면 14의 상태를 측방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건물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2)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2)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홀(2) 속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
)가 차례대로 이동할 수 있게 내부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신축 사다리(4)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신축 사다리(4)의 아래쪽 맨홀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2)을 아래쪽에서 막아주고 비상시에는 아래로 내려가 신장된 사다리(4)를 경사지게 지탱해 주는 받침판(5) 및; 상기 받침판(5)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받침판(5)이 아래로 내려와 펴졌을 때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다리(4)를 경사지게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버팀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맨홀(2)은 건물을 지을 때 베란다의 바닥면(1)에 일체로 형성하되, 사람이 충분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맨홀(2)에는 밀폐용 해치(3)가 설치되고, 상기 해치(3)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해치(3)에는 손잡이(31)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31)는 해치(3)에 형성된 장공의 홈(32)을 통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33)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맨홀(2)속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신축 사다리(4)는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로 이루어지면서, 이들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차례대로 내부에 삽입되어 신축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는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슬라이딩하여 포개져 접혀질 수 있으면서, 도면 11과 도면 1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하여 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각각의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에는 발판(4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발판(48)은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서로 접혀져 있을 때는 밀착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신장되어 펼쳐졌을 때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완전하게 수축된 상태에서는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2)속에 내장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 사다리(4)는 그 한쪽 선단이 맨홀(2)의 내벽에 힌지(49)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으며, 사다리(4)가 맨홀(2)속에 내장되어 있을 때는 록크기구(7)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록크되어 있다.
상기 록크기구(7)는 해치(3)의 슬라이더(33)에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된 연장봉(71)과 상기 연장봉(71)에 수직으로 장착된 삽입봉(72) 및, 상기 사다리(4)의 발판(48)에 형성되어 삽입봉(72)이 삽입되는 삽입홈(7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록크기구(7)는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3)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연장봉(71)에 연결된 삽입봉(72)이 사다리(4)의 발판(48)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73)속으로 끼워지면 각각의 발판(48)이 삽입봉(72)에 걸려져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해 주게 된다.
이러한 록크상태에서 상기 해치(3)의 손잡이(31)를 이용하여 슬라이더(33)를 뒤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슬라이더(33)와 함께 연장봉(71)이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연장봉(71)에 장착된 삽입봉(72)을 발판(48)의 삽입홈(73) 속에서 빼내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봉(72)이 발판(48)의 삽입홈(73)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삽입봉(72)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지 못하게 지지되어 있던 사다리(4)가 힌지(49)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사다리(4)의 아래쪽에서 맨홀(2)의 하단을 막고 있는 받침판(5)은 도면 4(a)(b)에서 측단면도와 평단면도로 각각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스프링(51)에 의해 지지된 가동판(52)이 장착되고, 상기 가동판(52)의 선단에 결합구멍(53)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 힌지(54)가 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5)의 결합구멍(53)에는 맨홀(2)의 하단에 돌출된 걸림돌기(21)가 끼워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판(5)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구멍(53)에 맨홀(2)의 걸림돌기(21)가 끼워져 결합되면, 가동판(52)이 스프링(51)을 압축하면서 뒤쪽으로 물러나면서 받침판(5)이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주게 되므로, 받침판(5)이 맨홀(2)의 하단에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5)은 도면 4(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판(55)속에 내부판(56)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고, 상기 내부판(56)과 외부판(55)은 돌출턱(57)과 걸림턱(58)에 완전하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판(56)의 선단에 스프링(51)과 가동판(52)이 장착되고 결합구멍(53)이 형성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받침판(5)은 평상시에는 맨홀(2)의 하단 입구를 막아 아래층에서 맨홀(2)의 내부에 장착된 사다리(4)가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비상시에는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펼쳐져 길이가 늘어난 사다리(4)를 받쳐주는 받침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띠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판(5)을 외부판(55)과 내부판(56)이 결합된 2중 구조로 함으로써, 받침판(5)의 길이를 더 증대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사다리를 받쳐주는 효과를 좋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5)의 아랫면에 힌지(61)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버팀대(6)는 평상시에 사다리(4)가 맨홀(2)속에 내장되어 있고, 받침판(5)이 맨홀(2)의 하단에 장착되어 맨홀(2)을 아래쪽에서 막고 있을 때는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버팀대(6)의 선단이 상기 연장봉(71)의 아래쪽에 연장 설치된 지지판(74)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붙잡혀 있는 상태로 있게 되므로, 도면 8과 같이 버팀대(6)가 수평상태로 접혀져 받침판(5)의 아래쪽에 밀착되어 된다.
그러나 비상시에 해치(3)의 손잡이(31)를 뒤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록크기구(7)의 연장봉(71)이 함께 이동하면서, 연장봉(71)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74)이 버팀대(6)의 선단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버팀대(6)가 자유로운 상태로 되므로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61)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버팀대(6)를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힌지(61)에는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62)에 외부 걸림턱(63)을 갖춘 외부 회전축(64)이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6)와 직접 연결되면서 내부 걸림턱(65)을 갖춘 내부 회전축(66)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 상기 버팀대(6)가 자유로이 회전하여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내부 회전축(66)의 내부 걸림턱(65)이 외부 회전축(64)의 외부 걸림턱(63)에 걸려져 일정 각도만큼만 회전하고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회전축(66)과 연결된 버팀대(6)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다음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붙잡히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받침판(5)이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내려가면서 내부 받침판(56)이 빠져 나와 길게 펴지면, 도면 11과 도면 1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팀대(6)의 선단이 벽에 먼저 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받침판(5)이 상기 버팀대(6)에 의해 비스듬하게 지탱되게 된다.
도면 11과 도면 1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판(5)이 건물의 벽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팅되면, 이어 자체의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내려오는 사다리(4)가 도면 1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차례대로 빠지면서 늘어나면서, 벽면에 비스듬하게 지탱하는 받침판(5)을 받침으로 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판(5)에 지탱된 사다리(4)은 계속하여 차례대로 빠져나와 결국 도면 13과 도면 1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4)의 하단이 아래층의 베란다 바닥면에 닿으면 작동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위층의 베란다에서부터 아래층의 베란다까지 길게 늘여진 사다리(4)가 벽면에 비스듬하게 지탱된 받침판(5)에 의해 지지되게 되므로, 사람이 사다리를 타고 아래로 내려와도 튼튼하게 받쳐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4)가 맨홀(2)속에 접혀져 들어가고, 맨홀(2)의 위쪽에는 해치(3)가 덮혀지며, 맨홀(2)의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접혀져 있으면서, 록크기구(7)에 의해 록크되어 있게 되므로, 사다리가(5)가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맨홀(2)의 하단에는 받침판(5)이 닫혀져 있는데, 이 받침판(5)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맨홀(2)의 하단에 밀착되었을 때 선단에 형성된 구멍(53) 속에 맨홀(2)에 돌출 형성된 돌기(21)가 끼워져 받침판(5)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록크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사다리(4)가 내장된 맨홀(2)의 상단은 해치(3)에 의해 덮혀지고 하단은 받침판(5)에 의해 막혀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다른 곳으로 피난하여야 할 경우에,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해치(3)의 손잡이(31)를 잡고 슬라이더(33)를 뒤쪽으로 당기면, 슬라이더(33)가 슬라이딩 홈(32)을 타고 뒤로 이동하면서 록크기구(7)의 연장봉(71)과 삽입봉(72)을 뒤쪽으로 당겨서,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4)를 직접 록크하고 있는 삽입봉(73)이 발판(48)의 삽입홈(73)에서 빠져나오게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리(34)에 의해 록크되어 있던 사다리(4)가 록크해제 됨에 따라 자체의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게 내려가게 되고, 상기 사다리(4)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받침판(5)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사다리(4)가 받침판(5)을 누르면 받침판(5)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53)을 통하여 맨홀(2)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21)와 결합되어 있던 받침판(5)이 상기 돌기(21)에서 빠져나와 도면 1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쳐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5)이 회동하여 쳐지면,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2중구조로 결합된 내부판(56)이 외부판(55)에서 빠져 나와 도면 1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로 연장되게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5)의 아래쪽에 힌지(61)를 통하여 연결된 버팀대(6)가 내외부 걸림턱(63,65)으로 인해 일정 각도만큼만 회동하여 펴지면서, 상기 받침판(5)을 건물의 벽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지탱하게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판(5)이 맨홀(2)의 하단에서 완전하게 빠져나오게 되면 맨홀(2)의 하단이 개방되게 되므로, 사다리(4)는 자중(自重)에 의해 계속하여 아래로 내려오면서 한쪽의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사다리(4)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서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위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아래로 빠져나오면서 벽면에 비스듬하게 버티고 있는 받침판(5)에 밀착하여 지탱되고, 마침내 도면 14와 도면 1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의 한쪽 선단이 아래층의 베란다 바닥면에 닿게 된다.
이와 같이 사다리(4)가 완전하게 펼쳐지면 화재가 발생한 층에 있던 사람이 사다리(4)를 타고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상시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로 이루어진 신축 사다리(4)가 겹쳐진 상태에서 맨홀(2)속에 내장되어 있고, 맨홀(2)의 상단에는 해치(3)가 덮혀 있으며, 맨홀(2)의 하단에는 받침판(5)으로 막혀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맨홀을 아래쪽에서 쳐다보나 위쪽에서 보아도 맨홀(2)속에 내장된 신축 사다리(4)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해치(3)를 열면 신축 사다리(4)가 아래로 펴짐과 더불어 받침판(5)이 벽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지탱하여 펴지면서 사다리(4)를 받쳐 주게 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사다리를 이용하여서도 고층에서 안전하게 사다리(4)를 타고 안전하게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1 - 베란다 바닥면 2 - 맨홀
3 - 해치 4 - 사다리
5 - 받침판 6 - 버팀대
7 - 록크기구 21 - 돌기
31 - 손잡이 32 - 슬라이딩 홈
33 - 슬라이더 34 - 걸림고리
41,42,43,44,45,46,47 - 사다리부재 48 - 발판
51 - 스프링 52 - 가동판
53 - 결합구멍 54 - 힌지
55 - 외부판 56 - 내부판
61 - 힌지 71 - 연장봉
72 - 삽입봉 73 - 삽입홈
74 - 지지판

Claims (4)

  1.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2)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2)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홀(2) 속에 다수개의 사다리부재(41,42,43,44,45,46,47)가 차례대로 이동할 수 있게 내부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신축 사다리(4)가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신축 사다리(4)의 아래쪽 맨홀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2)을 아래쪽에서 막아주고 비상시에는 아래로 내려가 신장된 사다리(4)를 경사지게 지탱해 주는 받침판(5) 및; 상기 받침판(5)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받침판(5)이 아래로 내려와 펴졌을 때 벽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다리(4)를 경사지게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버팀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사다리(4)가 록크기구(7)에 의해 맨홀(2) 속에서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되어 있고, 상기 록크기구(7)는 해치(3)의 슬라이더(33)에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된 연장봉(71)과 상기 연장봉(71)에 수직으로 장착된 삽입봉(72) 및, 상기 사다리(4)의 발판(48)에 형성되어 삽입봉(72)이 삽입되는 삽입홈(73)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더(33)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연장봉(71)에 연결된 삽입봉(72)이 사다리(4)의 발판(48)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73) 속으로 끼워지면 각각의 발판(48)이 삽입봉(72)에 걸려져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해 주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대(6)의 선단이 상기 연장봉(71)의 아래쪽에 연장 설치된 지지판(74)에 지지되어 아래쪽으로 쳐지지 못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대(6)를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힌지(61)에 브라켓(62)에 외부 걸림턱(63)을 갖춘 외부 회전축(64)이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6)와 직접 연결되면서 내부 걸림턱(65)을 갖춘 내부 회전축(66)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버팀대(6)가 자유로이 회전하여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내부 회전축(66)의 내부 걸림턱(65)이 외부 회전축(64)의 외부 걸림턱(63)에 걸려져 일정 각도만큼만 회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20100090430A 2010-09-15 2010-09-15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30A KR101171249B1 (ko) 2010-09-15 2010-09-15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30A KR101171249B1 (ko) 2010-09-15 2010-09-15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26A KR20120028526A (ko) 2012-03-23
KR101171249B1 true KR101171249B1 (ko) 2012-08-06

Family

ID=4613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30A KR101171249B1 (ko) 2010-09-15 2010-09-15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59B1 (ko) * 2012-12-27 2014-06-17 김창경 천정 맞춤형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12012652A (zh) * 2020-09-09 2020-12-01 温州砼程维禹科技有限公司 建筑物紧急逃生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162A (ja) 2000-09-19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ロフト梯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162A (ja) 2000-09-19 2002-03-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ロフト梯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26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090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JP6949147B2 (ja)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00138585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53908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0655858B1 (ko)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