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090B1 - 대피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대피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090B1
KR100675090B1 KR1020060031133A KR20060031133A KR100675090B1 KR 100675090 B1 KR100675090 B1 KR 100675090B1 KR 1020060031133 A KR1020060031133 A KR 1020060031133A KR 20060031133 A KR20060031133 A KR 20060031133A KR 100675090 B1 KR100675090 B1 KR 10067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evacuation structure
evacuation
frame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김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구 filed Critical 김원구
Priority to KR10200600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090B1/ko
Priority to PCT/KR2007/001649 priority patent/WO200711465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engthwise adjusta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인명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와 같이 비상시 인명이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은, 상단에 추락방지부(12)와 하단에 각각 회동부(11)이 구비되고 상기 추락방지부(12)와 회동부(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13)가 구비되며, 인명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외벽에서 상기 회동부(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힌지연결되고, 다수의 지지바(33)가 구비되어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부(30)과, 상기 발판부(3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피구조인의 전방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난간(40)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접철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전개되어 피 구조인인 구조시까지 대기하거나,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발코니, 비상, 난간, 프레임, 서포트

Description

대피용 구조물 { Emergency railing for refuge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난간이 설치된 건축물의 외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며의 대피용 구조물이 설치된 건축물의 외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이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전개 완료 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
도 7는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
도 10는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에 불연재가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포트가 구비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프가 구 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의해 로프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건물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계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고 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대피용 구조물 10 : 메인 프레임
11 : 회동부 12 : 추락방지부
13 : 연결바 14 : 평철
15 : 측면 난간 15a : 스토퍼
16 : 토션 스프링 20 : 메인 프레임 구속수단
21 : 고정바 22 : 고정바 홀더
23 : 메인 프레임 홀더 24 : 로드
25 : 압축스프링 30 : 발판부
31 : 발판부 지지대 32 : 보조 난간 회동축
33 : 지지바 40 : 보조 난간
41 : 수직바 42 : 안전바
43 : 보조 난간 전개수단 50 : 서브 프레임
51 : 서프 프레임 지지대 52 : 연결대
61 : 방화포 71 : 불연재
72 : 계단 81 : 구조 수단 설치부
82 : 서포트 83 : 측면 난간
84 : 로프 85 : 로프 손잡이
86 : 로프 홀더 91 : 간판
100 : 난간 101 : 외벽
102 : 외벽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인명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와 같이 비상시 인명이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 또는 복층건물에는 거실, 방, 주방 등의 옆에 발코니가 구비되어 거주 공간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01)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 난간(100)이 부착되어 인명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공동주택, 복층건물에서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외부로 대피하기 해서는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를 이용하거나, 구급대에서 제공하는 에어 매트리스, 고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대피하였다.
이는 업무용 또는 상업용 건물에서도 마찬가지로 외벽의 개방된 부분에 난간이 구비되어 추락을 방지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주 출입구, 비상구 등을 이용하거나 구조대에서 제공하는 대피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대피하였다.
특히,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할 목적으로 건축물이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로 고층 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비상구를 제외하고는 건축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저층 건물에서는 에어 매트리스, 고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대피할 수도 있으나, 고층 건물에서는 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는 곧바로 대형 인명사고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또한, 화재의 진행속도가 빨라서 구조대가 도착하기전에 외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 인명 피해를 우려가 매우 높았다.
비록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완강기'라 불리는 대피수단이 있으나, 이를 조작하기가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이를 사용하여 대피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할 수밖에 없게된다. 완강기는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 전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발이 구조물에 닿지 않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해소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 건축물의 외벽에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구조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대피 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추락방지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및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추락 방지부에 소정의 각도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추락방지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추락 방지부에 소정의 각도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전방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난간을 포함한다.
또한, 건축물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추락방지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추락 방지부에 소정의 각도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부에는 소정의 높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의 전개시 상기 발판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구조인이 대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 지연결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건축물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부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추락방지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추락 방지부에 소정의 각도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의 전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전방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난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회동부에는 소정의 높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의 전개시 상기 발판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구조인이 대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1)은,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힌지연결되고, 다수의 지지바(33)가 구비되어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부(30)와, 상기 발판부(3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피구조인의 전방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난간(40)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메인 프레임(10)은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건축물의 외벽(101)에 개방된 부분, 예컨대 발코니, 창문 등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인명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으로 사용되고 비상시에는 하부로 회동되어 인명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10)은 하단에 회동부(11)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11)의 상부에 추락방지부(12)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11)와 추락방지부(12)를 연결하는 연결바(13)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11)와 추락방지부(12)의 간격은 인명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가 된다.
회동부(11)는 건축물의 외벽(101)에 고정된 브라켓(102)에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102)의 일측을 건축물에 고정시키고, 상기 회동부(11)를 브라켓(102)의 형성된 회동축 홀더(102a)를 통해서 회동부(11)가 회전되도록 한다. 건축물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구비되는 브라켓(102)은 회동부(11)의 길이에 대응하여 구비함으로써, 회동부(11)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102)의 회동축 홀더(102a)에 삽입되어 메인 프레임(10)은 회동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회동부(11)에 토션 스프링(16)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의 회전시 그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락방지부(12)는 평상시에는 메인 프레임(10)의 상단이 된다. 추락방지부(12)는 메인 프레임(10)이 상기 회동부(11)와 인명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회동부(11)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반대로, 비상시에 메인 프레임(10)이 전개되면, 추락방지부(12)는 메인 프레임(10)의 하단이 된다.
연결바(13)는 상기 회동부(11)와 추락방지부(12)를 연결하도록 한다. 회동부(11)와 추락방지부(12)를 연결바(13)를 이용해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이 형태를 갖도록 한다. 대략 난간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바(13)의 양단을 각각 회동부(11)와 추락방지부(12)에 연결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10)의 외형을 갖추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13)와 인접한 연결바(13) 사이에는 복수의 평철(14)을 구비하여 연결바(13)와 인접한 연결바(13) 사이로 인명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대피시 발판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평철(14)은 소정의 폭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경사진 상태로 양단이 각각 연결바(13)에 연결된다. 평철(14)이 소정의 폭을 갖는 판재로 경사지게 배열하는 이유는,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고 채광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화재시에 아래층의 화염은 특성상 위층으로 전파되는데, 평철(14)을 외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구비하면,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의 화염이 더 이상 위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 전체를 하나의 판재로 커버하는 경우에는 채광에서 불리해지므로, 소정의 폭을 갖는 평철(14)을 구비함으로써, 발코니 내부가 충분히 채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측면으로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락 방지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연결바(13) 중에서,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바(13)에는 중간부분에 측면 난간(15)이 구비하여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측면으로 인명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측면 난간(15)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양측단에 위치한 연결바(13)에 힌지 연결되도록 한다. 측면 난간은 일단이 연결바(13)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나, 힌지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여, 돌출된 스토퍼(15a)에 의해서 그 회전 각도는 대략 지면과 평행한 상태까지만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15a)는 측면 난간(15)과 연결바(13) 사이에 끼워져 더 이상 측면 난간(15)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지면과 평행한 상태까지만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의 측면 난간(15) 이외에도, 후술되는 보조 난간(40)과 메인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수단, 즉 와이어, 로프, 체인, 바(bar) 등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추락 방지 수단의 전단부 즉, 보조 난간(40) 측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평상시에는 난간의 역할을 하고, 비상시에만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바(21)에 구속된다.
상기의 메인 프레임(10)은 외벽(10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평상시에는 난간의 역할을 하고 비상시에만 회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구속하는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이 필요하다.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은 외벽(101)에 고정되는 고정바 홀더(22)와, 상기 고정바 홀더(2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바(21)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를 구속하는 메인 프레임 홀더(23)와, 고정바(21)를 고정바 홀더(22)에 고정시키는 로드(24)로 이루어진다.
고정바 홀더(22)는 벽체에 돌출되는 형태로 외벽(101)에 고정된다. 고정바 홀더(22)의 단부는 고정바(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101)의 개방된 부분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고정바(21)는, 그 양단이 각각 고정바 홀더(22)에 회동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바 홀더(22)의 단부에 상기 고정바 홀더(2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고정바(21)의 양단을 각각 삽입함으로서 ,고정바(21)는 고정바 홀더(22)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고정바(21)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를 구속하여, 메인 프레임(10)을 선택적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바 홀더(22)와 고정바(21)가 설치된 높이는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의 상부가 되도록 한다.
고정바(21)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메인 프레임 홀더(23)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외벽(101)에서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즉, 메인 프레임 홀더(23)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21)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 형태의 메인 프레임 홀더(23)의 단부에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가 수용되면, 메인 프레임(10)은 외벽(10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바(21)는 고정바 홀더(2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바, 추락방지부(12)가 메인 프레임 홀더(23)에서 이탈되도록 고정바(21)가 회전하면, 메인 프레임(10)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회동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바(21)를 고정바 홀더(22)에 구속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에서 상기 고정바(21)를 고정바 홀더(22)에 구속시키기 위해서 로드(2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바(21)와 고정바 홀더(2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바 홀더(22)의 외주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로드(24)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상기 로드(24)는 압축스프링(25)에 의해서 항상 고정바(21)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후, 사용자가 메인 프레임(10)을 회동시키려면, 상기 로드(24)를 당겨서 고정바(21)에 형성된 관통공에서 상기 로드(24)가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 대하여 구속이 해제되므로 고정바(21)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어린이 등이 임의로 해제할 수 없도록 상기 압축스프링(25)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21)의 외측에 작동홈과 정지홈을 형성하고, 고정바(21)의 내부에서 코일 스프링(28)에 의해서 탄력지지되고 상기 작동홈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7)가 구비되어 고정바(21)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작동바(26)를 구비하고, 고정바 홀더(22)에 상기 작동바(26)의 단부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바(26)의 단부에 상기 홈에 결합되거나 해제하여 고정바(21)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라도 평상시에는 회동을 제한하고 비상시에만 회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는 것으로서, 포고-핀(pogo pin)을 이용한다거나, 고정바(21)와 고정바 홀더(22)에 환형의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를 관통하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고정바(21)를 고정바 홀더(22)에서 회전을 구속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은 복수로 구비되어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에만, 상기 고정바 홀더(22)에서 고정바(21)가 해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발판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전개시에는 인명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발판이 되도록 한다.
발판부(30)는 일단이 메인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판부 지지대(31)과, 상기 발판부 지지대(31)의 타단을 연결하는 보조 난간 회동축(32)과 상기 발판부 지지대(31)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바(33)로 이루어진다.
발판부 지지대(31)은 복수로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발판부 지지대(31)은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힌지연결되어 회동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고, 그 길이는 인명이 일시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발판부 지지대(31)은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어서, 접철시에는 메인 프레임(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혀 있다가, 전개시에는 상기 추락방지부(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메인 프레임(10)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대피용 구조물이 전개시에는 발판부 지지대(31)의 건축물의 외벽(101)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보조 난간 회동축(32)은 복수로 구비된 발판부 지지대(31)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여 복수로 구비되는 발판부 지지대(31)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복수로 구비되는 각각의 발판부 지지대(31)의 타단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있어서, 각각의 발판부 지지대(31)들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보조 난간 회동축(32)은 후술되는 보조 난간(40)이 회동하는 축이 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발판부 지지대(31)과 보조 난간 회동축(32) 만으로는 대피중인 인명의 하중을 지지할 수는 있으나, 그 설치간격으로 인하여 대피중인 인명이 추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부 지지대(31)과 수직하고 보조 난간 회동축(32)과 평행하게 지지바(33)가 구비되도록 한다. 발판부 지지대(31)과 인접한 발판부 지지대(3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지지바(33)는 비교적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인명의 대피시 발판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30)는 힌지 연결을 통해 메인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바, 발판부(30)의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가 연결되는 부위에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서로 힌지연결되는 회동부(11)와 발판부 지지대(31)의 단부에 각각 힌지연결부(11a)(31a)를 마련하되, 서로 소정의 각도로 돌출된 돌기를 마련하여 상기 돌기들이 간섭하지 않는 범위내에서만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발판부(30)는 최대로 하강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발판부(30)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를 연결한 것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도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를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발판부 지지대(31)의 단부에 형성된 회동축 홀더(31b)의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홈을 형성하고, 회동축 홀더(31b)에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가 관통됨과 동시에 상기 홈을 통하여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와 연결바(13)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바(13)가 홈이 형성된 각도 내에서 회동할 수 있으므로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바 이외에도, 메인 프레임(10)가 발판부(30)를 제한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하여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발판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개시 인명이 대기하는 발판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발판부(30)의 보조 난간 회동축(32)에는 보조 난간(40)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인명의 추락을 방지한다.
보조 난간(40)은 상기 보조 난간 회동축(3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직바(41)와 상기 수직바(41)들을 연결하는 안전바(42)로 이루어진다.
수직바(41)는 그 일단이 상기 보조 난간 회동축(3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길이는 상기 발판부 지지대(3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바(41)를 복수로 마련하여 상기의 보조 난간 회동축(32)의 전체 길이 대하여 보조 난간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바(41)의 길이가 발판부 지지대(31)의 길이보다 짧은 이유는, 접철시에 수직바(41)가 발판부 지지대(31)에서 회동하여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만약, 발판부 지지대(31)의 길이보다 수직바(41)의 길이가 더 길면, 접철시 수직바(41)의 발판부 지지대(31)에서 완전히 접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안전바(42)는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수직바(41)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의 수직바(41)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고, 인명이 대피시에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전방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 난간 회동축(3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수직바(41)를 모두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안전바(42)를 이용하여 수직바(41)들을 연결하여 수직바(41)들이 동시에 회전하고, 전방으로 인명이 추락되는 것도 방지한다.
한편, 상기의 안전바(42)는 복수로 구비되어, 수직바(41)의 단부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부분에서 구비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브 프레임(5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프레임(5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프 프레임 지지대(51)과 상기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을 연결하는 연결대(52)롤 이루어진다.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그 일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회동각도가 제한되도록 한다. 즉,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은 접철된 상태에서 전개시에 그 회동각도가 대략 지면과 평행한 상태까지만 회동하도록 하고, 그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이 대략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그 회동이 제한받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은 상기 브라켓(102)의 회동축 홀더(102a)에 소정의 각도로 홈(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서 서프 프레임 지지대(51)과 회동부(11)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이 상기 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그 회전각도를 제한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이 회동부(11)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도록 한다.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의 타단에는 가가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을 연결하는 연결대(52)가 구비되어 서프 프레임 지지대(51)들이 일체로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브 프레임(50)는 서프 프레임 지지대(51)들이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에 회동가능하되 그 회동각도를 제한받는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에 연결대(52)가 구비되어 있어서, 서브 프레임(50)는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이 전개되었을 때는 그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난간(40)과 서브 프레임(50) 사이에는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이 구비되도록 한다.
접철된 상태에서 전개되는 과정중에 보조 난간(40)을 수동으로 전개시킬 수도 있으나, 보조 난간(40)과 서브 프레임(50) 사이에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전개되는 과정에 자동으로 보조 난간(40)이 펼쳐지도록 한 다.
즉, 보조 난간(40)의 안전바(42)와 서브 프레임(50)의 연결대(52)를 연결하고, 쉽게 구부릴 수 있고 길이가 늘어나지 않는 가요성의 와이어, 로프 등을 이용하여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을 구비하면, 전개되는 과정중에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의 길이를유지하려 하므로 자동으로 보조 난간(40)이 전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브 프레임(50)에는 방화포(61)를 구비하여 낙하물의 낙하와 복사열의 복사를 방지하도록 한다.
방화포(61)는 상기 서브 프레임(50)의 일측에 권취된 형태로 구비되어,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전개가 완전히 이루어진 다음에 방화포(61)를 풀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50)를 덮도록 한다.
여기서, 방화포(61)의 전단에는 후크(미도시)를 마련하여 서프 프레임 지지대(51)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서브 프레임(50)에는 방화포(61) 대신에, 방화 유리, 판재 등이 구비되어 대피중이 인명으로 낙하물이 낙하되거나, 화염의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보조 난간(40), 서브 프레임(50)에는 구조 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수단 설치부(8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참조). 발판부(30)에서 대기중인 인명은 아래층을 통해서도 대피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대피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대피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구조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구조수단 설치부(81)를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의 외벽(101)이 메인 프레임(1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서브 프레임(50)와 발판부(30)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30)에 보조 난간(4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도 3과 같이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시에는 전개되어 도5 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인명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은, 평상시에는 도 3과 같은 상태로 접철되어 건축물의 외벽(101)이 개방된 부분으로 인명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10)은 외벽(101)에 구비된 브라켓(102)에 힌지연결되는 회동부(11)를 통하여 회동가능하지만,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가 잠금상태인 메인 프레임 홀더(23)에 걸려 있으므로, 메인 프레임(10)은 회전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도 3의 상태는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로서, 고정바 홀더(22)에 고정바(21)가 구속된 상태로, 고정바(21)는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다.
고정바(21)가 회전하지 못하면, 고정바(21)에 형성된 메인 프레임 홀더(23)가 추락방지부(12)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메인 프레임(11)은 회전하지 못하 고 건축물의 외벽(101)의 개방된 부분으로 인명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건축물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와 같이 비상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1)을 전개하여 일시적으로 인명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대와 같이 건축물이 고층화되는 추세로, 비상구를 제외하고는 건축물의 외부 대피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으르 베란다 또는 창문에 설치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만약,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메인 프레임(10)은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일시적으로 인명이 대피하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메인 프레임(10)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사용자는 로드(24)를 당겨서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로드(24)는 고정바 홀더(22)에 압축스프링(25)에 의해서 탄성지지되어 있고, 그 단부가 고정바(21)와 고정바 홀더(22)를 관통하고 있어서, 평상시에는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서 회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선 로드(24)를 당겨서 로드(24)의 단부가 고정바(2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고정바(21)가 고정바 홀더(22)에서 회동가능한 상태가되면, 사용자는 고정바(21)를 회전시켜, 메인 프레임 홀더(23)에서 추락방지부(12)가 이탈되도록 한다. 고정바(21)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어, 이를 회전시키면 메인 프레임(10)를 구속하고 있는 메인 프레임 홀더(23)도 고정바(2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후크 형태의 메인 프레임 홀더(23)가 회전하여 더 이상 메인 프레임(10)의 추락방지부(12)를 구속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10)을 밀어서 회전시킨다.
사용자가 메인 프레임(10)을 밀게되면, 메인 프레임(10)은 자중에 의해서, 회동부(11)를 중심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메인 프레임(10)이 회동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메인 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된 발판부(30), 보조 난간(40) 및 서브 프레임(50)도 메인 프레임(10)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메인 프레임(10)의 회전이 진행되어 메인 프레임(10)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지나게 되면, 메인 프레임(10)은 계속해서 회전하려 하지만, 회동각도가 제한되어 있는 서브 프레임(5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도 메인 프레임(10)은 자중에 의해서 계속해서 회전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서브 프레임(5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나, 메인 프레임(10) 측의 보조 난간(40)은 메인 프레임(10)과 함께 회전하므로, 보조 난간(40)이 전개되기 시작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50)와 보조 난간(40)은 서로 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형태를 갖는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길이를 유지 하려는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에 의하여 보조 난간(40)이 전개되는 것이다. 즉,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은 가요성으로 쉽게 휘거나 구부릴 수는 있으나, 길이방향으로는 늘어나지는 않으므로, 도 4의 상태에서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의 상부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서브 프레임(50)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하단은 보조 난간(40)의 안전바(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이 보조 난간(40)을 끌어당기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므로, 보조 난간(40)이 발판부(30)로부터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메인 프레임(10)이 회전하여 건축물의 외벽(101)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회동부(11)가 상부에 위치하고 추락방지부(12)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의 전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발코니에서 발판부(30)까지 내려와 구조될 때 까지 임시로 기다리거나,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전개가 완료된 상태 - 단, 방화포(61)는 전개되지 않은 상태 - 에서 사용자는 서브 프레임(50)와 메인 프레임(10)의 평철(14)을 이용하여 발코니에서 발판부(30)에 내려서게 된다.
사용자가 발판부(30)에 내려서면, 기본적으로 메인 프레임(10)과 발판부(30)의 연결관계에 의해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발판부(30)에서 대기하거나, 아래층으로 대피하도록 한다.
이때,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이 서브 프레임(50)와 보조 난간(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서도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발판부(30)에서 대기중인 사용자는 보조 난간(40)에 의해서 대피용 구 조물(1)의 전방으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바(13)에 구비된 측면 난간(15)을 회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대피용 구조물(1)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측면 난간(15)은 연결바(13)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를 회전시키면 대략 측면 난간(15)이 수평 상태에 도달하면, 측면 난간(15)에 형성된 스토퍼(15a)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된다. 이로 인하여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발판부(30)에서 대기중에 위층의 화재로 인하여 낙하물이 낙하하거나, 화염의 복사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서브 프레임(50)에 권취된 상태로 구비된 방화포(61)를 풀어서 방화포(61)가 서브 프레임(50) 전체를 덮도록 하여,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방화포(61)는 일종의 지붕역할을 하므로, 상부에서 낙하물이 낙하하거나, 화염의 복사열이 대피중인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보조 난간(40), 서브 프레임(50)은 상호간에 또는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보조 난간(40), 서브 프레임(50)과 건물의 외벽에 서포트(82)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하도록 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과 외벽(101)은 연결하는 서포트(82)를 구비함으로써, 대피용 구조물의 사용시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다.
비록, 메인 프레임(10)-외벽(101) 간에만 서포트(82)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만 도면으로 도시되었지만,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보조 난간(40), 서브 프 레임(50)은 상호간에 또는 외벽(101)과 서포트(82)로 연결됨으로써,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82)의 예로는 와이어, 로프, 체인과 같은 쉽게 구부릴 수있으나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이 적은 가요성 부재나, 슬라이더, 실린더와 같은 신축 가능한 부재, 또는 링크 구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에 로프(84)를 연결하여, 전개된 후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시키고도록 하고, 일부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84)의 일단을 메인 프레임(10) 또는 발판부(30)에 연결하고, 타단은 건물의 외벽(101)을 관통하도록 하면, 전개된 본 발명의 대피용 구조물을 다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건물의 내벽에는 도 15와 같이 로프 홀더(86)를 구비하여, 로프(84)의 타단 또는 로프(84)의 타단에 구비된 로프 손잡이(85)를 고정시키면, 이를 통해서 일부 하중을 지지하고, 로프(84)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평철(14)을 구비하는 대신에, 불연재(71)가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방화 유리, 불연 패널과 같은 판재형태의 불연재(71)를 메인 프레임(10)에 구비함으로써, 상기의 평철(14)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방화유리를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되도록 하면, 평철(1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채광량을 확보하여 실내를 밝게할 수 있고, 아래층의 화재시 화염이 전 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연결바(13)에 복수의 계단(72)이 구비되어 비상시 인명이 대피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발판부(30)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16 참조).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에 광고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에 간판(91), 현수막, 플래카드 등과 같은 광고 수단을 부착함으로써, 광고 수단의 부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내부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은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층건물의 어떠한 개구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추락방지용 난간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대피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용 구조물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건물의 외벽에 접철된 상태로 구비되어 추락 방지용 난간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전개됨으로써, 일시적으로 구조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대기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도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회동부위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개시에 대피용 구조물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건축물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11)와 상기 회동부(11)의 상부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추락방지부(12)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10);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추락 방지부(12)에 소정의 각도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부(30); 및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회동부(11)에는 소정의 높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0)의 전개시 상기 발판부(3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피구조인이 대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서브 프레임(50)을 포함하는 대피용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의 전단부에는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전방 추락을 방지하는 보조 난간(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소정의 폭을 갖고 양단이 메인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평철(14)이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메인 프레임(10)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불연재(7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에는,
    발판부(30)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지지바(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50)의 전단과 보조 난간(40)의 상단을 연결하는 보조 난간 전개 수단(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간(40)과 건축물의 외벽(101)을 연결하는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서브 프레임(50) 중 어느 하나와, 건축물의 외벽(101)을 연결하는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간(40)과 메인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와 서브 프레임(50) 중 어느 하나와, 메인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와 상기 서브 프레임(50)을 연결하는 서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제한하는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구속 수단(20)은,
    외벽(101)에 고정되고 고정바 홀더(22)와,
    양단이 상기 고정바 홀더(2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바(21)와,
    후크형태로 고정바(21)에 돌출되어 상기 추락방지부(12)를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홀더(23)와,
    상기 고정바 홀더(22)와 고정바(21)를 관통하고 고정바 홀더(22)에 탄성지지되는 로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건축물의 내측에 위치하는 로프(8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측에는 로프(84)의 단부를 구속하는 로프 홀더(8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19. 삭제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간(40)에는 구조 수단 설치부(81)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 발판부(30), 서브 프레임(50) 중 어느 하나에는 구조 수단 설치부(81)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 연결부에는 소정의 각도에서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101)에 메인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라켓(103)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브라켓(103)이 치합되어 메인 프레임(1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회동시 완충시키는 탄성부재(16)가 구비되어 외벽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측면 추락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추락 방지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양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5a)가 형성되어, 측면 추락을 방지하는 측면 난간(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추락 방지 수단은,
    메인 프레임(10)과 보조 난간(4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50)에는,
    낙하물과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해 서브 프레임(50)을 덮을 수 있는 방화포(6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2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계단(7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3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외측에는 광고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구조물.
KR1020060031133A 2006-04-05 2006-04-05 대피용 구조물 KR10067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33A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6-04-05 대피용 구조물
PCT/KR2007/001649 WO2007114651A1 (en) 2006-04-05 2007-04-04 Emergency railing for ref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33A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6-04-05 대피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090B1 true KR100675090B1 (ko) 2007-01-29

Family

ID=3801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133A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6-04-05 대피용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5090B1 (ko)
WO (1) WO2007114651A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11B1 (ko) 2009-04-29 2009-07-07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15305B1 (ko) * 2009-06-12 2009-09-03 류순모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7317B1 (ko) 2009-08-21 2009-11-18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6899B1 (ko) * 2009-06-23 2010-01-14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2009-06-22 2011-06-22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924B1 (ko) 2009-06-29 2011-06-29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셔터형 안전 난간대
KR101080810B1 (ko) 2009-06-29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080809B1 (ko)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1B1 (ko) *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0B1 (ko) *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2009-06-22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4B1 (ko)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02788B1 (ko) * 2009-06-22 2012-01-05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06924893A (zh) * 2017-03-24 2017-07-07 廖华 一种建筑物的应急逃生系统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227463B1 (ko) * 2020-05-25 2021-03-12 배경삼 화재 대피용 바스켓
KR102361541B1 (ko) 2021-01-27 2022-02-14 김규진 확장형 화재 대피 구조물
KR20240001407A (ko) 2022-06-27 2024-01-03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3821B1 (fr) * 2015-03-16 2017-03-31 Alcom Tech Passerelle a rabattement automatique, procede de rabattement et procede de deploiement
DE102020130808A1 (de) 2020-11-20 2022-05-25 Sebastian Förschl Freisitz zum Anordnen in oder an einer einen Innenraum mit einem Außenraum verbindenden Gebäudeöff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4A (ko) * 1994-08-08 1996-03-22 정지형무효전력보상장치
JPH08177274A (ja) * 1994-12-20 1996-07-09 Takiron Co Ltd 面状採光装置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585A (en) * 1976-11-09 1978-05-23 Laub Charles E Balcony for use on exterior walls of buildings below windows
JPS5832989B2 (ja) * 1977-10-28 1983-07-16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避難装置
US4290503A (en) * 1980-01-16 1981-09-22 Briles Wayne A Portable security fire escape
KR100614037B1 (ko) * 2004-08-26 2006-08-25 조수원 방범창을 이용한 완강기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4A (ko) * 1994-08-08 1996-03-22 정지형무효전력보상장치
JPH08177274A (ja) * 1994-12-20 1996-07-09 Takiron Co Ltd 面状採光装置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177274 *
1019960009324 *
1020040069307 *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11B1 (ko) 2009-04-29 2009-07-07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15305B1 (ko) * 2009-06-12 2009-09-03 류순모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02788B1 (ko) * 2009-06-22 2012-01-05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2009-06-22 2011-06-22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2009-06-22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6899B1 (ko) * 2009-06-23 2010-01-14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1B1 (ko) *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09B1 (ko)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0B1 (ko) *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4B1 (ko)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10B1 (ko) 2009-06-29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043924B1 (ko) 2009-06-29 2011-06-29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셔터형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0927317B1 (ko) 2009-08-21 2009-11-18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06924893A (zh) * 2017-03-24 2017-07-07 廖华 一种建筑物的应急逃生系统
CN106924893B (zh) * 2017-03-24 2020-06-16 廖华 一种建筑物的应急逃生系统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KR102227463B1 (ko) * 2020-05-25 2021-03-12 배경삼 화재 대피용 바스켓
KR102361541B1 (ko) 2021-01-27 2022-02-14 김규진 확장형 화재 대피 구조물
KR20240001407A (ko) 2022-06-27 2024-01-03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4651A1 (en)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090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101111888B1 (ko)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44474B1 (ko)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