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64B1 -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64B1
KR101099764B1 KR1020090057178A KR20090057178A KR101099764B1 KR 101099764 B1 KR101099764 B1 KR 101099764B1 KR 1020090057178 A KR1020090057178 A KR 1020090057178A KR 20090057178 A KR20090057178 A KR 20090057178A KR 101099764 B1 KR101099764 B1 KR 10109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plate
ro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585A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09005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를 구비한 고층 건물에 설치하는 화재피난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를 수직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갖춘 좌우의 지지기둥과, 상기 양쪽 지지기둥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게 지지해 주는 지지케이블, 상기 제1지지판이 양쪽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지지기둥의 내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록크수단, 상기 제2지지판을 지지기동에 움직이지 못하게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지지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 속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제1지지판을 지지기둥에 고정하는 록크수단의 지지기둥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케이블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록크수단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하는 내부 지지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고정시켜주는 록크수단이 지지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속에 삽입된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에 연결된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끼워진 압착판 및,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된 회전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크수단의 나사봉에 제1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하는 관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내부 지지봉이 지지기둥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내장된 로드로 이루어지고, 이 로드의 상단에 제2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하단에 록크기구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의 난간을 이루는 지지판이 접혀져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이루게 함과 더불어, 탑승구에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지지기둥에 록크된 탑승구를 간단하게 록크수단을 간단하게 해제하여, 탑승구가 지지기둥과 내부 지지봉에 의해 아래층의 베란다로 내려가게 하여 탑승구의 피난자가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게 한다.
화재, 안전 난간, 고층 건물, 피난, 탈출

Description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본 발명은 베란다를 갖춘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베란다를 통하여 피난할 수 있게 한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의 경우에는 베란다의 난간으로 사용되고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는 베란다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게 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피난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출입문을 통하여 바깥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갇혀 연기에 질식하거나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가지 비상탈출구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비상탈출구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 공개 10-2009-0042692호의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 전 회전 난간"과 같은 발명이 있는바, 이 발명에 따른 난간 프레임은 베란다에 가고 방향으로 설치하되, 한쪽 선단을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쪽을 개방할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발명의 난간 프레임은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 개방할 수 있게 이루어진 한쪽 선단을 개방하여 회동시키면, 난간 프레임이 한쪽의 지지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다른 쪽 선단이 건물의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하고, 이렇게 건물의 바깥쪽으로 멀어진 난간 프레임에 로프나 구조 바구니를 설치하여 탈출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명에 따른 난간 프레임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에 고정된 지지기둥에 한쪽 선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외팔보와 같은 상태로 펼친 다음, 이 외팔보 형태의 난간 프레임에 로프나 구조 바구니를 통하여 매달려야 하므로 안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으로도 불안하고 더구나 공중으로 뻗어 나온 외팔보의 난간 프레임에 매달리는 것 자체가 극도의 공포심을 유발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종래기술로서 제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화재 대피용 안전난간 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종래의 난간장치들은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층의 건물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더구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외관을 해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가 "10-2009-0037784" 호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 대"를 특허출원한 바가 있는데, 이 난간대는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난간대를 가변식으로 만들어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난간대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로 변형되어지게 하면서 베란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이 탑승구에 사람이 올라타서 뜨거운 화염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상기 발명의 내용을 더욱 개량하여 사람이 탑승구에 올라탄 상태에서 화재가 나지 않은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아래층의 베란다를 통하여 실내로 피난할 수 있게 한 장치가 특허발명 제 10-2009-0048498호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 발명의 장치에서는 사람이 탑승구에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의 베란다와 연결된 상하 지지기둥에 록크된 탑승구를 록크해제 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탑승구가 평상시에는 상하 지지기둥에 록크기구에 의해 록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비상시에는 탑승구에 사람이 올라탄 상태에서 탑승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붙잡아 주는 록크기루를 해제시켜야 하는데, 탑승구에 올라탄 사람의 무게로 인하여 록크기구를 쉽게 해제작동시켜 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베란다를 갖춘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를 통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베란다의 안전난간대를 변형시켜 건물의 벽면 바깥으로 돌출된 탑승구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아래층의 베란다를 통하여 화재가 나지 않은 곳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건물의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를 수직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갖춘 좌우의 지지기둥과, 상기 양쪽 지지기둥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게 지지해 주는 지지케이블, 상기 제1지지판이 양쪽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지지기둥의 내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록크수단, 상기 제2지지판을 지지기동에 움직이지 못하게 체결하는 체결구 및, 상기 지지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 속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제1지지판을 지지기둥에 고정하는 록크수단의 지지기둥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케이블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록크수단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기둥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하는 내부 지지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고정시켜주는 록크수단이 지지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속에 삽입된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에 연결된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끼워진 압착판 및, 상기 나사봉에 나사 결합된 회전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록크수단의 나사봉에 제1지지판을 양쪽 지지기둥에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하는 관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내부 지지봉이 지지기둥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내장된 로드로 이루어지고, 이 로드의 상단에 제2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하단에 록크기구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평상 시 베란다에 장착되어 건물의 길이 방향으로 곧게 뻗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건물의 외벽에서 건물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로 구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사람이 탑승한 탑승구가 건물의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어, 필요할 때 상기 탑승구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 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간단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의 위치에서 변형하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이루게 하고, 이 탑승구가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면 3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에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의 형태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건물의 위층 베란다(1)를 수직으로 가로 질러 아래층의 베란다(2) 까지 연장 설치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에 레일을 갖춘 좌우의 지지기둥(3,4)과, 상기 양쪽 지지기둥(3,4)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1지지판(5), 상기 제1지지판(5)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6), 상기 제2지지판(6)을 양쪽 지지기둥(3,4)에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게 지지해 주는 지지케이블(7)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상기 제1지지판(5)이 양쪽 지지기둥(3,4)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지지기둥(3,4)의 내부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록크수단(8)과, 상기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을 펼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지지기둥(3,4)에 체결하는 체결구(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5)을 양쪽 지지기둥(3,4)에 고정시켜주는 상기 록크수단(8)은 지지기둥(3,4)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속에 삽입된 슬라이딩 판(81)과, 상기 슬라이딩 판(81)에 연결된 나사봉(82), 상기 나사봉(82)에 끼워진 압착판(83) 및, 상기 나사봉(82)에 나사 결합된 회전 손잡이(8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압착판(83)에는 다수개의 돌기(8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3,4)에 돌기(85)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홈(8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목홈(86)은 제1지지판(5)이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양쪽 지지기둥(3,4)에 밀착되게 한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손잡이(84)를 사용하여 압착판(83)을 지지기둥(3,4)쪽으로 밀착하였을 때, 압착판(83)의 돌기(85)가 오목홈(86) 속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록크수단(8)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고 일정 위치에 붙잡아 주게 하여,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이 도면 1과 같이 위쪽으로 접혀진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여 평상시에 난간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3,4)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 속에 내부 지지봉(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고, 이 지지봉(10)의 상단에 제2지지판(6)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7)의 선단(7a)이 연결되며, 상기 지지봉(10)의 하단에 제1지지판(5)을 지지기둥(3,4)에 고정하는 상기 록크수단(8)의 슬라이딩 판(81)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봉(10)은 기다란 강철봉과 같은 로드(rod)로 이루어지고, 이 지지봉(10)에 지지케이블(7)의 선단(7a)은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록크기구(8)의 슬라이드판(81)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딩판(81)과 지지봉(10)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판(6)과 연결된 지지케이블(7)과 제1지지판(5)과 연결된 록크수단(8)이 상기 지지봉(1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기둥(3,4)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하여,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이 도면 2 또는 도면 3과 같이 아래로 내려와 접혀 졌을 때 일정한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이 접혀지지 않고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록크수단(8)의 나사봉(82)에 제1지지판(5)을 양쪽 지지기둥(3,4)에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하는 관절기구(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절기구(9)는 나사봉(82)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연결된 브라켓(91)과, 상기 제1지지판(5)에서 돌출된 돌출 브라켓(92), 상기 양쪽 브라켓(91,92)을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하는 핀(9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판(5)은 양쪽 지지기둥(3,4)에 대해 록크수단(8)에 의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게 함과 더불어 지지 기둥(3,4)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관절기구(9)에 의해 상하로 회절시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판(6)은 제1지지판(5)과 힌지(11)를 매개하여 연결되어 서로 펼치고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케이블(7)의 상단은 지지봉(10)에 연결되고, 이 지지케이블(7) 의 하단은 지지 브라켓(7b)을 통하여 제2지지판(6)에 연결되어, 제2지지판(6)이 도면 2 또는 도면 3과 같이 접혀 졌을 때 지지케이블(7)이 제2지지판(6)을 지탱해 주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 난간대는 화재가 기타 비상의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을 위쪽으로 펼쳐서 체결구(R)를 사용하여 제2지지판(6)을 지지기둥(3,4)에 고정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지지판(5)의 아래쪽에 구비된 록크수단(8)의 회전손잡이(84)를 돌려서 압착판(83)이 지지기둥(3,4)으로 밀착되게 하면 지지기둥(3,4)의 내부에 장착된 슬라이드판(81)과 압착판(83) 사이에 지지기둥(3,4)의 벽면이 밀착되어 록크수단(8)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압착판(83)이 지지기둥(3,4)으로 밀착될 때, 상기 압착판(83)의 돌기(85)가 지지기둥(3,4)의 오목홈(86)속으로 들어가서 록크수단(8)이 더욱 단단한 체결력으로 체결되어지게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이 수직으로 펼쳐져서 도면 2에서 (가)의 상태와 같이 베란다(1)의 난간 프레임을 이루어 낙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의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타 다른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가 없는 경우에, 상기 체결구(R)를 록크해제하고 제2지지판(6)을 아래로 밀어 내리면, 제2지지판(6)의 상단이 케이블(7)을 통하여 지지기둥(3,4)에 연결되어 있고, 제2지지판(6)의 아래쪽에 제1지지판(5)이 힌지(11)를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판(5)는 록크수단(8)에 대해 관절기구(9)를 통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록크수단(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기둥(3,4)에 록크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면 2의 (가) 위치에서 아래로 내려와 (나)의 위치로 접혀지게 된다.
즉, 제1지지판(5)은 수평으로 접혀지고, 제2지지판(6)는 제1지지판(6)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혀져서, 전면이 개방된 탑승구(T)를 이루게 된다.
이 탑승구(T)에 피난하고자 하는 사람이 탑승한 후에 상기 록크수단(8)의 회전 손잡이(84)를 돌려서, 압착판(83)이 지지기둥(3,4)에 대해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록크 상태가 풀려서 제1지지판(5)이 아래로 지지기둥(3,4)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제1지지판(5)이 아래로 내려가면, 제1지지판(5)에 관절기구(9)와 록크수단(8)을 통하여 연결된 지지봉(10)이 지지기둥(3,4)의 내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지지봉(10)의 상단에 연결된 지지 케이블(7)도 함께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에 의해 이루어지는 탑승구(T)가 도면 2의 (나)위치에서 지지기둥(3,4)을 따라 (다)의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다)의 위치는 아래층의 베란다를 이루는 공간이 되므로, 탑승구(T)가 아래층의 베란다로 이동하여 내려오면, 탑승구(T)에 탑승하고 있던 사람이 화재가 발생한 위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안전하고 간단하게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상기 제1지지판(5)의 양쪽에 보조 지지판(A,B)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때 상기 보조 지지판(A,B)은 힌지(a,b)를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보조 지지판(A,B)은 제1지지판(5)가 제2지지판(6)을 록크시켜 주기 위한 체결구(R)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체결구(R)는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 수직으로 펼쳐서 난간을 이루게 할 때는 지지기둥(3,4)에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을 체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지만, 상기 보조 지지판(A,B)이 측벽의 역할을 하기 위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보조 지지판(A,B)을 체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를 사용하면 베란다는 갖춘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평상시에 베란다의 안전 난간 프레임이 사람을 탑승시킬 수 있게 탑승구로 변형가능하게 하고, 이 탑승구가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화염과 연기 등으로부터 피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탑승구의 양쪽 측면에 측벽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안전한 탑승구를 이루게 하여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의 위치에서 변형하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이루게 하고, 이 탑승구가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에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의 형태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의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지지기둥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체결한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에서 제1지지판을 지지기둥에 연결하는 관절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의 바닥판에 측벽을 이루는 보조 지지판을 설치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2 - 베란다 3,4 - 지지기둥
5 - 제1지지판 6 - 제2지지판
7 - 지지케이블 8 - 록크기구
9 - 관절기구 10 - 내부 지지봉
11 - 힌지

Claims (4)

  1. 건물의 위층 베란다(1)를 수직으로 가로 질러 아래층의 베란다(2) 까지 연장 설치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을 갖춘 좌우의 지지기둥(3,4)과; 상기 양쪽 지지기둥(3,4)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1지지판(5); 상기 제1지지판(5)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6); 상기 제2지지판(6)을 양쪽 지지기둥(3,4)에 연결하여 지탱할 수 있게 지지해 주는 지지케이블(7); 상기 제1지지판(5)이 양쪽 지지기둥(3,4)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지지기둥(3,4)의 내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록크수단(8);, 상기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을 펼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지지기둥(3,4)에 체결하는 체결구(R) 및; 상기 지지기둥(3,4)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 속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판(6)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7)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제1지지판(5)을 지지기둥(3,4)에 고정하는 록크수단(8)의 지지기둥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케이블(7)의 지지기둥 연결부와 록크수단(8)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기둥(3,4)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하는 내부 지지봉(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화재피난용 안전난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수단(8)이 지지기둥(3,4)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3a,4a)속에 삽입된 슬라이딩 판(81)과, 상기 슬라이딩 판(81)에 연결된 나사 봉(82), 상기 나사봉(82)에 끼워진 압착판(83) 및, 상기 나사봉(82)에 나사 결합된 회전 손잡이(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83)에는 다수개의 돌기(8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3,4)에 돌기(85)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홈(8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5)의 양쪽에는 보조 지지판(A,B)이 힌지(a,b)를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지지판(A,B)이 체결구(R)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
KR1020090057178A 2009-06-25 2009-06-25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78A KR101099764B1 (ko) 2009-06-25 2009-06-25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178A KR101099764B1 (ko) 2009-06-25 2009-06-25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585A KR20100138585A (ko) 2010-12-31
KR101099764B1 true KR101099764B1 (ko) 2011-12-28

Family

ID=4351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178A KR101099764B1 (ko) 2009-06-25 2009-06-25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028B1 (ko) 2016-03-15 2016-10-06 김성열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KR101692844B1 (ko)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692843B1 (ko)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932624B1 (ko) 2018-02-28 2018-12-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210080917A (ko) * 2019-12-23 2021-07-0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437071B1 (ko) 2022-03-03 2022-08-26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888B1 (ko) * 2009-09-11 2012-02-14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08915182B (zh) * 2018-07-20 2020-05-15 无锡市亨利富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使用的高层建筑用阳台护栏
CN114525940A (zh) * 2022-03-03 2022-05-2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土建工程施工用洞口防护安全支撑装置
CN117284611B (zh) * 2023-11-24 2024-03-29 江苏力库塑料托盘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空间可调的塑料托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58B1 (ko) 2005-10-26 2006-06-26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7-01-29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592658B1 (ko) 2005-10-26 2006-06-26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7-01-29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028B1 (ko) 2016-03-15 2016-10-06 김성열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KR101692844B1 (ko)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692843B1 (ko)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932624B1 (ko) 2018-02-28 2018-12-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210080917A (ko) * 2019-12-23 2021-07-0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350018B1 (ko) * 2019-12-23 2022-01-11 이윤호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KR102437071B1 (ko) 2022-03-03 2022-08-26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58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6355864B2 (ja) 高層建築物における安全な避難システム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923208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2627075B1 (ko)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93689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