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75B1 -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75B1
KR102627075B1 KR1020220026916A KR20220026916A KR102627075B1 KR 102627075 B1 KR102627075 B1 KR 102627075B1 KR 1020220026916 A KR1020220026916 A KR 1020220026916A KR 20220026916 A KR20220026916 A KR 20220026916A KR 102627075 B1 KR102627075 B1 KR 10262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s
door
fall
fixed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9816A (ko
Inventor
정시응
Original Assignee
정시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응 filed Critical 정시응
Priority to KR102022002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7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와 난간 사이의 계단에 1개 이상 설치되어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등에 안전사고를 막아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는 벽체와 난간 사이에 계단을 막도록 형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전으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난간에 연결되어 상기 계단을 오를 때는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계단을 내려올 때는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를 밀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stairs fall and tumbl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와 난간 사이의 계단에 1개 이상 설치되어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등에 안전사고를 막아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층 이상의 건물에는 통행을 위해 계단이 형성되고, 이러한 계단은 건물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진다.
계단은 용도에 따라,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각 층을 연결하는 일반 계단과, 화재나 지진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피난하기 위한 비상계단으로 나누어진다.
또, 계단에는 일정 높이로 난간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난간은 통행자가 계단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고, 난간을 잡고 계단을 오르고 내림으로서 통행자, 특히 노약자가 발을 헛딛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난간에 대한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2102152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통행자는 반드시 난간을 잡고 계단을 통과해야 하는데, 통행자가 난간을 잡지 않은 채로 계단을 오르고 내리다가 부주의로 계단에서 발을 헛딛거나 쓰러지면, 난간은 이를 막지 못해, 통행자는 계단 아래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통행자가 계단 아래로 굴러 떨어지면서 신체의 일부가 벽체나 난간 또는 계단에 부딪혀 그 충격으로 부상을 입게 되고, 만약 충격이 머리에 가해지면 심할 경우,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1863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행자가 계단 위에서 발을 헛딛거나 쓰러져 계단 아래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등에 안전사고를 최대한 막을 수 있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계단을 올라갈 때는 자연스럽게 밀면 잠금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계단을 통행할 수 있고, 반대로 계단을 내려올 때는 잠금을 해제해야만 계단을 통행할 수 있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와 난간 사이에 계단을 막도록 형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전으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난간에 연결되어 상기 계단을 오를 때는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계단을 내려올 때는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를 밀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부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도어부의 반대편 계단 쪽을 살펴보기 위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2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을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과, 상기 핀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브래킷을 가압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걸쇠부와, 상기 난간에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걸쇠부를 지지하는 걸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걸고리부에 지지되는 걸림구와, 상기 샤프트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걸고리부 쪽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 걸림구와, 상기 걸고리부에 지지되며 잠기는 제2 걸림구와, 상기 제1 걸림구 및 제2 걸림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가 계단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닫힐 때, 상기 제2 걸림구가 접어져 상기 난간 및 걸고리부를 타고 넘어 통과하게 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봇에 삽입되어 접어진 상기 제2 걸림구를 가압하여 펼쳐지게 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난간에 후방이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구의 하단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양편으로 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핸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벽체에는 열린 상기 도어부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를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는 계단의 위쪽과 아래쪽 사이에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는, 계단을 올라갈 때 자연스럽게 손잡이를 잡고 도어부를 밀면, 록킹수단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도어부가 열리고, 도어부 통과 후에는 록킹부가 도어부를 자동으로 잠금에 따라, 계단을 자유롭게 오를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계단을 내려올 때는 록킹수단의 잠금을 해제해야만 도어부가 열려 계단을 통행할 수 있음에 따라, 닫히고 잠긴 도어부가 계단 위에서 발을 헛딛거나 쓰러져 계단 아래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등에 안전사고를 막아 계단 통행자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수 있다.
특히, 학교나 유지원 등에서 아이들이 내기 장난으로 계단을 빨리 이동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아이들의 계단 안전사고를 확실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거나 긴 계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통행자에서 시각 및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다.
즉, 계단이 높거나 길면, 통행자는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등에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함을 느끼게 되는데, 본 발명이 설치됨으로써, 통행자는 불안감을 떨치고 부담 없이 계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벽체 및 난간 사이의 계단에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본 기술이 됨으로써, 향후에 본 발명을 전동 및 자동화하여 좀더 편리하게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도어부 및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록킹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오를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내려올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록킹수단이 통행자가 내려온 후에 자동으로 잠기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홀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도어부 및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록킹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오를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내려올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1)는, 벽체(10)와 난간(20) 사이에 계단(30)을 막도록 형성되는 도어부(100)와, 상기 도어부(100)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1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100)를 회전으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부(200)와, 상기 도어부(10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난간(20)에 연결되어 상기 계단(30)을 올라갈 때는 상기 도어부(100)를 밀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계단(30)을 내려올 때는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부(100)를 밀면 개방되게 하는 록킹수단(300)과, 상기 도어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100)를 밀기 위한 손잡이부(400)로 대별된다.
상기 도어부(100)는, 벽체(10)와 난간(20) 사이에 계단(30)을 막도록 파이프로 연결된 사각형상의 프레임본체(110)가 형성되고, 프레임본체(110)의 내측에는 도어부(100)의 반대편 계단(30) 쪽에 통행에 방해물이 있는지 눈으로 살펴보기 위한 구멍(12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200)는, 상기 도어부(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210)과, 상기 벽체(10)에 고정되는 제2 브래킷(220)과, 상기 제1 브래킷(210) 및 제2 브래킷(22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230)과, 상기 핀(230)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브래킷(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브래킷(22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100)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브래킷(210)을 가압하는 제1 탄성체(240)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래킷(210) 및 제2 브래킷(220)은 각각 판상으로 이루어져 도어부(100)의 일측 및 벽체(10)에 각각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핀(230)은 환봉으로, 제1 브래킷(210) 및 제2 브래킷(220)이 연결되는 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체(240)는 열린 도어부(100)가 닫히면 제1 브래킷(210)의 가압을 멈추는 탄성 강도를 지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수단(300)은, 상기 도어부(100)의 타측에는 걸쇠부(310)가 연결되고, 상기 난간(20)에는 전방(계단 오르는 방향) 및 상부(계단 상부 방향)가 개방되고 후방(계단 내려가는 방향) 및 하부(계단 하부 방향)가 폐쇄되어 상기 걸쇠부(310)를 지지하는 걸고리부(32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쇠부(310)는, 상기 도어부(100)의 타측에 고정되는 연결구(311)와, 상기 연결구(31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샤프트(312)와, 상기 샤프트(312)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12)를 회전시키는 레버(313)와, 상기 샤프트(312)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걸고리부(320)에 지지되는 걸림구(314)와, 상기 샤프트(312)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구(3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313)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구(314)를 상기 걸고리부(320) 쪽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체(315)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탄성체(315)는 걸림구(314)가 걸고리부(320)에 잠기면 걸림구(314)에 가압을 멈추는 탄성 강도를 지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구(314)는 상기 샤프트(312)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 걸림구(314a)와, 상기 걸고리부(320)에 지지되며 잠기는 제2 걸림구(314b)와, 상기 제1 걸림구(314a) 및 제2 걸림구(314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100)가 계단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닫힐 때, 상기 제2 걸림구(314b)가 접어져 상기 난간(20) 및 걸고리부(320)의 고정편(321)을 타고 넘어 통과하게 하는 경첩(314c)과, 상기 경첩(314c)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봇(314ca)에 삽입되어 접어진 상기 제2 걸림구(314b)를 가압하여 펼쳐지게 하는 제3 탄성체(314d)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탄성체(314d)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고리부(320)는, 전방(계단 오르는 방향) 및 상부(계단 상부 방향)가 개방되고 후방(계단 내려가는 방향) 및 하부(계단 하부 방향)가 폐쇄되도록 하기 위해, 난간(20)에 후방이 고정되는 고정편(321)과, 상기 고정편(32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구(314)의 하단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지지편(322)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도어부(100)의 상부에 양편으로 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지주(410)와, 상기 지주(410)의 상단에 고정되어 통행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바(420)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에는 열린 상기 도어부(10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500)는 후방에 벽체(10)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510)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도어부(100)의 프레임본체(110)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후크(5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부(500)는 물건을 들고 나르거나 비상상황 시, 도어부(100)를 계속 열어 둘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오를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30)을 올라갈 때는 통행자가 손잡이부(400)의 핸들바(420)를 잡고, 손잡이부(400)를 앞으로 밀면, 미는 힘에 의해, 록킹수단(300)인 걸쇠부(310)와 걸고리부(320)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도어부(100)가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계단(30)을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도어부(100)는 자연스럽게 열리게 된다.
즉, 록킹수단(300)의 걸고리부(32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계단 오르는 방향) 및 상부(계단 상부 방향)가 개방됨에 따라, 도어부(100)의 타측이 계단(30)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지지편(322)에 하단이 지지되어 있던 걸림구(314)도 도어부(100)와 함께 계단(30) 오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걸림구(314)가 지지편(322)에서 빠져나오면서 걸쇠부(310)와 걸고리부(320)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계단(30)을 올라가는 통행자는 도어부(100)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도어부(100)를 통과한 이후, 통행자가 손잡이부(400)의 핸들바(420)를 놓으면, 힌지부(200)의 제1 탄성체(240)가 제1 브래킷(210)을 가압함으로써, 제1 브래킷(210)과 연결된 도어부(100)가 계단(30)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닫히게 되고, 곧이어 닫힌 도어부(100)는 록킹수단(300)에 의해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즉, 도어부(100)가 닫히면, 걸림구(314)의 제2 걸림구(314b)가 고정편(321)에 막혀 계단(30)을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더는 회전 이동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걸림구(314)가 지지편(322)에 지지되면서 걸쇠부(310)와 걸고리부(320)는 잠기게 되고, 도어부(100)는 벽체(10)와 난간(20) 사이의 계단(30)을 막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21)은 경첩(314c)이 펼쳐진 상태에서 경첩(314c)이 접히지 못하도록 막고, 제1 걸림구(314a)의 단부와 제2 걸림구(314b)의 단부는 서로 면이 맞닿아 있어 제2 걸림구(314b)가 경첩(314c)이 접히는 반대방향으로도 접히지 못하게 됨에 따라, 걸림구(314)의 제2 걸림구(314b)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부(100)를 통과하여 계단(30) 오르는 통행자가 발을 헛딛거나 쓰러질 경우에는 계단(30)에 설치된 도어부(100)가 통행자가 계단 아래로 넘어지거나 굴러 떨어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통행자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의 계단 내려올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30)을 내려갈 때는 통행자가 록킹수단(300)의 잠금을 먼저 해제한 후, 손잡이부(400)의 핸들바(420)를 잡고 앞으로 밀면, 미는 힘에 의해, 도어부(100)는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계단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열리게 된다.
즉, 록킹수단(300)의 걸고리부(32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계단 내려가는 방향으로서 후방 및 하부가 폐쇄됨에 따라, 레버(313)를 상부방향으로 돌리면, 레버(313)와 샤프트(312)로 연결된 걸림구(314)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구(314)가 고정편(321)과 지지편(322)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도어부(100)는 힌지부(200)를 중심으로 계단(30)을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열리게 된다.
따라서 통행자는 열린 도어부(100)를 통과해 계단(30) 아래로 내려올 수 있다.
이후, 도어부(100)를 통과한 통행자가 손잡이부(400)의 핸들바(420)를 놓으면, 힌지부(200)의 제1 탄성체(240)가 제1 브래킷(210)을 가압함으로써, 제1 브래킷(210)과 연결된 도어부(100)는 계단(30)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자가 계단(30)을 내려간 후에 도어부(100)가 자동으로 닫힐 때는, 계단(30)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걸림구(314)가 난간(20)에 걸리지만, 경첩(314c)에 의해 제2 걸림구(314b)가 접어지면서 걸림구(314)가 난간(20) 및 걸고리부(320)의 고정편(321)을 타고 넘어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걸림구(314b)가 난간(20) 및 걸고리부(320)의 고정편(321)을 통과한 후에는 경첩(314c)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봇(314ca)에 삽입된 제3 탄성체(314d)가 상기 제2 걸림구(314b)를 가압하여 다시 펼쳐지게 함으로서, 펼쳐진 제2 걸림구(314b)에 의해 걸림구(314)는 지지편(322)에 안착하여 지지되면서 걸쇠부(310)와 걸고리부(320)는 잠기게 되고, 도어부(100)는 벽체(10)와 난간(20) 사이의 계단(30)을 막게 된다.
따라서 통행자가 계단(20)을 내려온 후에도 도어부(100)가 록킹수단(300)에 의해 자동으로 잠김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도어부(100)의 프레임본체(110)의 내측에는 구멍(120)이 형성됨에 따라, 통행자가 계단(30)을 오르고 내려올 때, 구멍(120)을 통해 도어부(100)의 반대편 계단(30) 쪽에 통행에 방해물이 있는지 눈으로 살펴볼 수 있어, 이 또한 계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벽체(10)와 난간(20) 사이의 계단(30)에 설치되었지만, 벽체(10)와 난간(20) 사이의 계단(30)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힌지부(200) 및 록킹수단(300)이 설치가 가능하다면, 다른 구조물의 계단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10: 벽체
20: 난간
30: 계단
100: 도어부
110: 프레임본체
120: 구멍
200: 힌지부
210: 제1 브래킷
220: 제2 브래킷
230: 핀
240: 제1 탄성체
300: 록킹수단
310: 걸쇠부
311: 연결구
312: 샤프트
313: 레버
314: 걸림구
314a: 제1 걸림구
314b: 제2 걸림구
314c: 경첩
314ca: 피봇
314d: 제3 탄성체
315: 제2 탄성체
320: 걸고리부
321: 고정편
322: 지지편
400: 손잡이부
410: 지주
420: 핸들바
500: 홀더부
510: 플레이트
520: 후크

Claims (10)

  1.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에 있어서,
    벽체와 난간 사이에 계단을 막도록 형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를 회전으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난간에 연결되어 상기 계단을 오를 때는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고, 상기 계단을 내려올 때는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부를 밀면 개방되게 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를 밀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도어부의 반대편 계단 쪽을 살펴보기 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2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을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과,
    상기 핀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브래킷을 가압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쇠부와,
    상기 난간에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쇠부를 지지하며 잠그기 위한 걸고리부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도어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레버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걸고리부에 지지되며 잠기는 걸림구와,
    상기 샤프트에 내측이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걸고리부 쪽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 걸림구와,
    상기 걸고리부에 지지되며 잠기는 제2 걸림구와,
    상기 제1 걸림구 및 제2 걸림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가 계단 오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닫힐 때, 상기 제2 걸림구가 접어져 상기 난간 및 걸고리부를 통과하게 하는 경첩과,
    상기 경첩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봇에 삽입되어 접어진 상기 제2 걸림구를 가압하여 펼쳐지게 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난간에 후방이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구의 하단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양편으로 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되는 핸들바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열린 상기 도어부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를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는 계단의 위쪽과 아래쪽 사이에 1개 이상 형성되는,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KR1020220026916A 2022-03-02 2022-03-02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KR10262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16A KR102627075B1 (ko) 2022-03-02 2022-03-02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16A KR102627075B1 (ko) 2022-03-02 2022-03-02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16A KR20230129816A (ko) 2023-09-11
KR102627075B1 true KR102627075B1 (ko) 2024-01-18

Family

ID=8802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916A KR102627075B1 (ko) 2022-03-02 2022-03-02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2738A (ja) 2006-01-10 2007-07-19 Richell Corp 幼児又はペット用ゲ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633B1 (ko) 2005-05-27 2005-10-07 주식회사 제일.원 종합 건축사 사무소 건축용 계단난간 지주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2738A (ja) 2006-01-10 2007-07-19 Richell Corp 幼児又はペット用ゲ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16A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114740B1 (ko) 레미콘 차량용 안전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627075B1 (ko)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715989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설치구조
KR20180006341A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0923208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