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65B1 -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65B1
KR101099765B1 KR1020090055401A KR20090055401A KR101099765B1 KR 101099765 B1 KR101099765 B1 KR 101099765B1 KR 1020090055401 A KR1020090055401 A KR 1020090055401A KR 20090055401 A KR20090055401 A KR 20090055401A KR 101099765 B1 KR101099765 B1 KR 10109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safety
veranda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131A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09005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를 구비한 고층 건물에 설치하는 화재피난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베란다 양쪽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의 지지기둥과, 상기 베란다의 선단에 힌지를 통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연결된 제3지지판 및, 양쪽 선단에 자유롭게 회동하는 결합핀을 구비하고서, 양쪽 지지기둥의 상단에 가로로 배치되거나 상기 지지판이 변형되어 탑승구를 이룰 때 탑승구와 양쪽 지지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버팀재의 역할을 하게 하는 2개의 지지바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는 평상시에는 3개의 지지판이 지지기둥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안전 난간을 이루게 하면서, 상기 지지바아가 지지판을 가로질러 양쪽 지지기둥에 결합시킴으로써, 난간의 보강재 역할을 하게 함과 더불어,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는 지지판을 건물의 바깥으로 회절시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형성시킬 때 버팀재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튼튼하게 탑승구를 지지해 줄 수가 있고, 평상시의 경우에도 난간의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화재, 안전 난간, 고층 건물, 피난, 탈출, 가스 실린더

Description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본 발명은 베란다를 갖춘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베란다를 통하여 피난할 수 있게 한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의 경우에는 베란다의 난간으로 사용하면서 난간의 상단부에 지지바아를 설치하여 버팀재 역할을 하게 하고,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는 난간을 변형시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이루게 할 때, 상기 지지바아가 탑승구와 지지기둥 사이를 지지하는 버팀재의 역할을 하게 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피난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출입문을 통하여 바깥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갇혀 연기에 질식하거나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가지 비상탈출구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비상탈출구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 공개 10-2009-0042692호의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과 같은 발명이 있는바, 이 발명에 따른 난간 프레임은 베란다에 가고 방향으로 설치하되, 한쪽 선단을 지지기둥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쪽을 개방할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발명의 난간 프레임은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 개방할 수 있게 이루어진 한쪽 선단을 개방하여 회동시키면, 난간 프레임이 한쪽의 지지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다른 쪽 선단이 건물의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하고, 이렇게 건물의 바깥쪽으로 멀어진 난간 프레임에 로프나 구조 바구니를 설치하여 탈출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명에 따른 난간 프레임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에 고정된 지지기둥에 한쪽 선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외팔보와 같은 상태로 펼친 다음, 이 외팔보 형태의 난간 프레임에 로프나 구조 바구니를 통하여 매달려야 하므로 안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으로도 불안하고 더구나 공중으로 뻗어 나온 외팔보의 난간 프레임에 매달리는 것 자체가 극도의 공포심을 유발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발명의 종래기술로서 제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화재 대피용 안전난간 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종래의 난간장치들은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층의 건물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더구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외관을 해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 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가 "10-2009-0037784" 호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를 특허출원한 바가 있는데, 이 난간대는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난간대를 가변식으로 만들어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안전 난간대로 사용되고,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난간대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로 변형되게 하면서 베란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이 탑승구에 사람이 올라타서 뜨거운 화염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발명의 장치에서는 난간을 변형시켜 사람이 탑승하기 위한 탑승구를 만들고, 이 탑승구가 지지기둥에 대해 지지되게 하는 지지수단이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상시가 아닌 평소에 난간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있는 경우에 난간과 지지기둥 사이에 지지 케이블이 늘어지게 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의 경우를 위해 설치한 지지 케이블이 오래되면 노후화로 인해 강도가 떨어져 안전상의 보장을 담보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케이블을 사용하여 지지기둥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 비상사태의 순간에 난간의 형태에서 지지판을 바깥으로 밀어 탑승구로 변형시킬 때, 상기 지지케이블이 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이동하면서 충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의한 충격이 고층 건물의 고공에서 발생할 때 심리적으로 불안 할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 발명에 따른 난간을 다수개의 지지판이 서로 연결되어 난간프레임 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면서, 지지판이 그대로 난간 프레임의 상단을 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 확고하게 버텨 주지 못하므로 구조적으로 튼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베란다를 갖춘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베란다를 통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베란다의 난간대를 바깥으로 밀어내어 탑승구로 변형시킬 때, 부드럽고 탄성적으로 난간대를 지지하면서 밀어 변형시킬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평소의 경우에 난간대를 이루는 지지판과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지지수단이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게 하고, 이 지지수단이 오랜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노후화되어 강도가 약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 소지가 적게 한 화재 피난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지지판이 조립되어 수직 구조물의 난간을 이룰 때 난간의 상단을 가로 방향으로 확실하게 버텨 줄 수 있게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을 얻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지지판이 변형 조립되어 이루는 탑승구와 지지기둥 사이를 튼튼하게 보강 연결해 줄 수 있게 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건물의 베란다 양쪽에 고정 설치되는 갖춘 좌우의 지지기둥과, 상기 베란다의 선단에 힌지를 통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연결된 제3지지판 및, 양쪽 선단에 자유롭게 회동하는 결합핀을 구비하고서, 양쪽 지지기둥의 상단에 가로로 배치되어 제1,2,3지지판이 수직으로 지지기둥과 나란히 배열되어 난간을 이룰 때, 난간의 가로보강재의 역할을 함과 더불어 제1,2,3 지지판이 접혀져 탑승구를 이룰 때 지지기둥에 대해 탑승구를 지지하는 버팀재의 역할을 하게 하는 2개의 지지바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는 평상시에는 3개의 지지판이 지지기둥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안전 난간을 이루게 하면서, 상기 지지바아가 지지판을 가로질러 양쪽 지지기둥에 결합시킴으로써, 난간의 보강재 역할을 하게 함과 더불어,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아를 사용하여 지지판이 건물의 바깥으로 회절하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형성시킬 때 버팀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안전하게 튼튼하게 탑승구를 지지해 줄 수가 있고, 평상시의 경우에도 난간의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등의 편리함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면 2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에서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의 형태로 변형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건물의 베란다(1) 양쪽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의 지지기둥(2,3)과, 상기 베란다(1)의 선단에 힌지(4)를 통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지지판(5), 상기 제1지지판(5)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6), 상기 제2지지판(6)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연결된 제3지지판(7) 및, 평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제3지지판(7)의 양단에 관통구멍(14)을 갖춘 연장 브라켓(1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기둥(2,3)의 상단에 결합구멍(16)을 뚫어서 상기 연장 브라켓(15)이 지지기둥(2,3)의 상단과 일치하게 한 다음 연장 브라켓(15)의 관통구멍(14)과 지지기둥(2,3)의 결합구멍(16) 속으로 지지바아(10)의 결합핀(8,9)을 끼워 결합하고, 비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기둥(2,3)의 중간부분과 제 3지지판(7)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바아(10,1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판(6)의 양쪽에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지지판(19,20)이 선회축(21)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지지판(19,20)은 제 2 지지판(6)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록크 기구(R)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된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0,11)는 내부가 빈공간으로 이루어진 각 파이프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각 파이프의 양단 내부에 결합핀(8,9)을 회동할 수 있게 설치한다.
한편, 건물의 베란다(1) 벽면에 힌지(4)에 의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제1지지판(5)에 제2지지판(6)과 제3지지판(7)이 차례대로 개개의 힌지(12,13)를 통하여 관절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 난간대는 화재가 기타 비상의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5)과 제2지지판(6) 및 제3지지판(7)을 위쪽으로 펼쳐서 지지기둥(2,3)에 결합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판(5,6,7)을 지지기둥(2,3)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제3지지판(7)의 양단에 관통구멍(14)을 갖춘 연장 브라켓(15)을 형성하고, 지지기둥(2,3)의 상단에 결합구멍(16)을 뚫어서, 상기 연장 브라켓(15)이 지지기둥(2,3)의 상단과 일치하게 한 다음, 연장 브라켓(15)의 관통구멍(14)과 지지기둥(2,3)의 결합구멍(16) 속으로 지지바아(10)의 결합핀(8,9)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3개의 지지판(5,6,7)이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
그 다음 상기 지지바아(10)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구멍(17,18)에 또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11) 양단에 구비된 결합핀(8a,9a)를 끼워 넣어 2개의 지지바아(10,11)가 포개어 조립되게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된 3개의 지지판(5,6,7) 중간에 걸림고리와 같은 체결기구(도시 안 됨)를 설치하여, 지지판(5,6,7)의 중간 부분이 지지기둥(2,3)의 중간에 체결되게 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지지판(5,6,7)을 지지기둥(2,3)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서 고정시키면, 일반적인 베란다의 안전 난간 프레임을 이루게 되고, 안전 난간 프레임의 상단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5,6,7)의 상단에 2개의 지지바아(10,11)가 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바아(10,11)가 버팀재의 역할을 하여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할 수가 있고, 난간의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 건물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타 다른 비상의 상황으로 인하여 출입문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지지바아(10,11)를 지지기둥(2,3)에서 뽑아낸 후, 지지바아(10,11)의 한쪽 결합핀(8,8a)를 제3지지판(7)의 상단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지지바아(10,11)의 다른 한쪽 결합핀(9,9a)에 결합한 다음, 상기 지지판(5,6,7)을 가볍게 밀면 도면3의 (가)위치에서 (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계속하여 지지바아(10,11)를 밀면 마지막으로 (다)의 위치로 이동하여, 3개의 지지판(5,6,7)이 탑승구(T)를 이루게 된다.
상기 탑승구(T)는 베란다의 바깥쪽으로 뻗어나가 건물의 외벽에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이 탑승구(T)에 탑승하여 화재로 인한 화염과 연기 등에서부터 임시로 벗어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난간대에서는 각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로 이루어진 지지바아(10,11)가 탑승구(T)와 지지기둥(2,3)을 연결하여 버텨 주게 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구(T)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 장치에서는 평상시의 경우에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지지판 위에 2개의 지지바아(10,11)가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바아(10,11)가 버팀재의 역할을 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튼튼한 난간을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아(10,11)가 3개의 지지판(5,6,7)에 의해 만들어지는 탑승구(T)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탑승구(T)의 지지구조를 안정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평상시에 튼튼한 난간을 제공함은 물론,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튼튼한 탑승구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임시 대피하면서 화염과 연기 등으로부터 피할 수가 있고, 안전하게 구조를 기다릴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시 베란다에 장착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평상의 위치에서 변형하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를 이루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의 보조 지지판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베란다 2, 3 - 지지기둥
4 - 힌지 5,6,7 - 지지판
8,8a,9,9a - 결합핀 10, 11 - 지지바아
12,13 - 힌지 14 - 관통구멍
15 - 브라켓 16 - 결합구멍

Claims (2)

  1. 건물의 베란다(1) 양쪽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의 지지기둥(2,3)과, 상기 베란다(1)의 선단에 힌지(4)를 통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지지판(5), 상기 제1지지판(5)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6), 상기 제2지지판(6)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연결된 제3지지판(7) 및, 평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제3지지판(7)의 양단에 관통구멍(14)을 갖춘 연장 브라켓(1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기둥(2,3)의 상단에 결합구멍(16)을 뚫어서 상기 연장 브라켓(15)이 지지기둥(2,3)의 상단과 일치하게 한 다음 연장 브라켓(15)의 관통구멍(14)과 지지기둥(2,3)의 결합구멍(16) 속으로 지지바아(10)의 결합핀(8,9)을 끼워 결합하고, 비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기둥(2,3)의 중간부분과 제 3지지판(7)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바아(10,11)로 이루어진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판(6)의 양쪽에는 보조 지지판(19,20)이 선회축(21)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0090055401A 2009-06-22 2009-06-22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01A KR101099765B1 (ko) 2009-06-22 2009-06-22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01A KR101099765B1 (ko) 2009-06-22 2009-06-22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31A KR20100137131A (ko) 2010-12-30
KR101099765B1 true KR101099765B1 (ko) 2011-12-28

Family

ID=4351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401A KR101099765B1 (ko) 2009-06-22 2009-06-22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56B1 (ko)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888B1 (ko) * 2009-09-11 2012-02-14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658B1 (ko) 2005-10-26 2006-06-26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7-01-29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592658B1 (ko) 2005-10-26 2006-06-26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675090B1 (ko) 2006-04-05 2007-01-29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56B1 (ko)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31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6355864B2 (ja) 高層建築物における安全な避難システム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099811B1 (ko) 비상 탈출용 사다리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200265513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