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028B1 -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028B1
KR101663028B1 KR1020160030916A KR20160030916A KR101663028B1 KR 101663028 B1 KR101663028 B1 KR 101663028B1 KR 1020160030916 A KR1020160030916 A KR 1020160030916A KR 20160030916 A KR20160030916 A KR 20160030916A KR 101663028 B1 KR101663028 B1 KR 10166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safety
boarding
b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열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열 filed Critical 김성열
Priority to KR102016003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에서 화재 발생시 발코니의 난간을 통해 화염 및 연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은, 발코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 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의 움직임을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대피 시 난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화염과 연기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 시 탑승 프레임을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기존의 난간과 조화를 잘 이루어 외관이 미려하며, 대피 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고, 탑승 프레임에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A safety banister for evacuaton a fire}
본 발명은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에서 화재 발생시 발코니의 난간을 통해 화염 및 연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연립 등과 같이 한 건물에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화재 발생시 현관으로 탈출이 어려울 때 외부와 개방된 발코니로 이동하여 구조를 기다리게 된다. 하지만, 화염 및 연기 또한 개방된 발코니를 통해 윗집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조를 기다리는 사람은 화염 및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사한다.
이와 같이 화재로 인한 질식사를 방지하기 위해 옆 세대간 발코니에 경량 칸막이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경량 칸막이를 부수고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경량 칸막이 부분에 짐을 쌓아 놓음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완강기 등이 구비되어 비상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 그 사용 방법을 모르고 노약자의 경우 두려움으로 인해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피용 난간이 등록특허공보 제10-0610401호로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의 베란다 벽과 베란다 벽 사이의 벽체에 수평바아와 수직바아의 연결을 통해 사각형상을 이루면서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쪽 수평바아에 링이 형성된 고정스크류가 일정간격을 두고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쪽 수평바아의 좌우측에 각각 걸림쇠가 설치되어 상기 베란다 벽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쇠의 해제를 통해 상기 하부쪽 수평바아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된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쪽 수평바아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의 선단에 세로봉이 각각 연결설치되며, 상기 세로봉과 세로봉 사이에 바닥을 이룰 수 있도록 다수의 바닥봉이 촘촘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세로봉들이 좌우측의 힌지를 통해 상부쪽 수평바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에 대해 수직된 상태로 펼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의 세로봉 일측 선단에 다수의 고정링을 매개로 수직봉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좌우측의 힌지를 매개로 바닥 프레임에 대해 직립된 상태로 펼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난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대피용 난간은 평상시에는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 사용하다가 화재 시 난간을 이용하여 대피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난간 바로 앞으로 대피하기 때문에 화염으로부터 충분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않아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937336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099764호는 난간의 앞쪽 하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어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장치가 복잡해지고 거치며, 조잡함으로 인해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610401호(2006.08.0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99764호(2011.12.2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37336호(2010.01.08)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36899호(2010.01.06)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화재 시 화염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벗어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은,
발코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 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의 움직임을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 및 회동 프레임은 두 개 이상의 나란한 가로 바; 및 가로 바 사이에 다수 구비되는 세로 바;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회동 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수용부에 회동 프레임 위치 시 고정 프레임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 프레임은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탑승 프레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프레임은,
회동 프레임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대;
수직의 사각 틀 또는 사각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대의 선단에 구비되는 이동대;
양 고정대와 이동대에 각각 구비하되, 양단이 고정대와 이동대에 축 결합되고, 교차하는 중앙이 축 결합되는 'X' 모양의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와 이동대는 상부에 수직의 장공을 형성하며, 링크의 상부에 위치한 양 축이 장공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프레임은,
회동 프레임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대;
고정대의 하단에 축 결합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말단에 축 결합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정면판;
상기 고정대와 바닥판 간을 연결하는 링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 프레임은 그 둘레에 방염 막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에 동일 축선 상으로 위치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걸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의 축 및 축공은 상부가 하부보다 발코니 전방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하지 않는 제 1 기어를 고정 설치하고, 회동 프레임에 제 1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기어를 설치하며, 제 2 기어의 축을 탑승 프레임까지 연장하고, 축의 말단에 핸들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대피 시 난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화염과 연기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 시 탑승 프레임을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기존의 난간과 조화를 잘 이루어 외관이 미려하며, 대피 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고, 탑승 프레임에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회동 프레임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프레임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승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회동 프레임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프레임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은 발코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일단이 회전축(H)에 의해 결합되어 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 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20)을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30);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발코니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다란 관체로 이루어진 가로 바(11)와 세로 바(12)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로 바(11)는 상부와 하부에 구비하고, 상하부의 가로 바(11) 양단 및 상하부의 가로 바(11) 사이에 다수의 세로 바(12)를 일체화하여 형성된다. 물론 사선 방향 또는 여러 모양으로 프레임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0)은 회동 프레임(20)이 삽입되는 수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의 수용부(13)에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10)의 수용부(13) 삽입시 나란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과 같이 가로 바(21)와 세로 바(22)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세로 바(22)의 간격은 고정 프레임(10)의 세로 바(12) 간격과 동일하게 하여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은 마치 하나의 프레임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동 프레임(20)은 그 일단 상하부가 고정 프레임(10)과 회전축(H)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동 프레임(20)이 회동하며, 회동하는 타단은 잠금장치(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의 회전축(H)은 상부가 하부보다 발코니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에 동일 축선 상으로 위치하는 홀(31)을 형성하고, 상기 홀(31)에 삽입되는 걸쇠(32)로 구성된다. 그리고 걸쇠(32)를 덮는 커버(33)가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33)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며, 충격에 의해 부서지는 소재로 형성하여 화재 시 커버(33)를 파괴한 후 걸쇠(32)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30)는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탑승 프레임(40)은 회동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회동 프레임(20)의 회전축(H)과 먼 방향 즉, 잠금장치(30)가 설치된 곳에 설치한다. 이러한 탑승 프레임(40)은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프레임(20)에 고정된 고정대(41)와, 고정대(41)와 밀착되거나 멀어지는 이동대(43)와, 고정대(41)와 이동대(43) 간을 연결하는 링크(4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41)는 수직의 기다란 관체 한 쌍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회동 프레임(20)의 수직 프레임(22)이 고정대(41)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프레임을 회동 프레임(20)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대(41)는 상부에 수직 방향의 장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대(43)는 고정대(41)의 선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의 사각 틀 또는 수직의 사각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대(43)는 양측 상부에 수직의 장공(42)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44)는 'X' 모양으로 형성하되, 중앙이 축(S) 결합되면서 양단이 고정대(41)와 이동대(43)에 각각 축(S) 결합된다. 여기서 링크(44)의 상부에 구비된 축(S)은 고정대(41) 및 이동대(43)의 장공(42)에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동대(43)는 링크(44)의 상부 축(S)이 고정대(41) 및 이동대(43)의 장공(42)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고정대(41)에 밀착되거나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동대(43)의 일단에 걸고리(미도시)를 구비하고 고정대(41) 또는 이동 프레임(20)에 걸고리가 걸림되는 고리(미도시)를 형성하여 평상시 이동대(43)가 고정대(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탑승 프레임(4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염 막(50)을 설치한다. 방염 막은 플랙시블하면서 열 차단 성능을 가지는 난연성 소재로 제조하여 이동대(43)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같이 접히고 펼쳐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 회동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의 수용부(13)에 삽입되고 잠금장치(3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 난간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발코니로 대피할 수밖에 없는 경우 안전 난간을 대피용 난간으로 이용한다. 먼저, 탑승 프레임(40)에 구비된 걸고리를 고리로부터 해제하고 이동대(43)를 당기면 링크(44)의 상부에 구비된 축(S)이 고정대(41)와 이동대(43)의 장공(42)을 따라 하강하면서 이동대(43)는 고정대(41)로부터 멀어지며 방염 막(50)이 펼쳐지면서 내부에 탑승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탑승 공간이 형성되면 대피자는 탑승 공간에 탑승하고, 잠금장치(30)의 커버(33) 충격을 가해 커버(33)를 파괴한다. 커버(33)가 파괴됨으로써 걸쇠(32)가 노출되고 걸쇠(32)를 당기면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의 홀(31)로부터 제거된다. 파손된 회동 프레임(20)은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난간으로부터 멀어져 연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방염 막(50)이 화염의 열을 차단한다. 이때, 회동 프레임(20)은 회전축(H)의 상부가 선단으로 돌출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난간 전방으로 회전하여 위치하게 된다. 물론, 회동 프레임(20)을 충분히 회전시키면 옆집으로 대피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탑승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 프레임(40)은 회동 프레임(20)에 연결되어 펼쳐지는 고정대(41)와, 고정대(41)에 연결되어 펼쳐지는 바닥판(45)과, 바닥판(45)에 연결되어 펼쳐지는 정면판(46)과, 고정대(41)와 바닥판(45) 간을 연결하는 링크(4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41)는 회동 프레임(20)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 수직의 장공(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대(41)의 하단에 바닥판(45)의 일단이 축(S) 결합되어 축(S)을 중심으로 바닥판(45)이 회동함에 따라 수직으로 위치하거나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바닥판(45)의 말단에는 정면판(46)이 축(S) 결합되어 바닥판(45)으로부터 정면판(46)이 접히거나 펼쳐진다. 또한, 상기 고정대(41)와 바닥판(45) 간에는 링크(47)가 연결되는데, 링크(47)의 일단은 바닥판(45)에 축(S)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대(41)의 장공(42)에 축(S) 결합된다. 이러한 탑승 프레임(40)의 둘레로 방염 막(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탑승 프레임(40)은 접히거나 펼치지는 동작에 의해 탑승 공간이 형성된다. 즉, 고정대(41)로부터 바닥판(45)을 펼치고, 바닥판(45)으로부터 정면판(46)을 펼치면 사각의 탑승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바닥판(45)은 하강하는 링크(47)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정 프레임(10)에 회전하지 않는 제 1 기어(61)를 고정 설치하고, 회동 프레임(20)에 제 1 기어(6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기어(62)를 설치하며, 제 2 기어(62)의 축(S)을 탑승 프레임(40)까지 연장하고, 그 말단에 제 3 기어(63) 및 제 4 기어(64)를 설치하며 제 4 기어(64)에 핸들(65)을 설치한다. 핸들(65)은 탑승 공간에 구비하여 탑승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기어(61) 및 제 2 기어(62)는 베벨기어를 이용하되, 제 1 기어(61)는 축 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하고, 제 2 기어(62)는 축 방향이 수평 프레임(22)과 나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기어(62)의 축 반대 편에 제 3 기어(63)와 제 4 기어(64)를 구비하되, 제 3 기어(63)는 웜휠이 이용되고, 제 4 기어(64)는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이용된다. 그리고 제 4 기어(64)는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6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탑승 프레임(40)에 위치한 사용자가 핸들(65)을 회전시키면 제 4 기어(64) 및 제 3 기어(63)가 회전하고 이와 연결된 제 2 기어(62)가 회전하면서 고정된 제 1 기어(61)로부터 회동 프레임(20)이 회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 3 기어(63) 및 제 4 기어(64)가 웜 및 웜휠로 이루어짐에 따라 감속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진다.
10 : 고정 프레임 11, 21 : 가로 바 12, 22 : 세로 바
13 : 수용부 20 : 회동 프레임 30: 잠금장치
31 : 홀 32 : 걸쇠 40 : 탑승 프레임
41 : 고정대 42 : 장공 43 : 이동대
44, 47 : 링크 45 : 바닥판 46 : 정면판
50 : 방염 막 61 : 제 1 기어 62 : 제 2 기어
63 : 제 3 기어 64 : 제 4 기어 65 : 핸들
H : 회전축 S : 축

Claims (8)

  1. 발코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일단이 회전축(H)에 의해 결합되어 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 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20)을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3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회전하지 않는 제 1 기어(61)를 고정 설치하고,
    회동 프레임(20)에 제 1 기어(6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기어(62)를 설치하며,
    제 2 기어(62)의 축(S)을 탑승 프레임(40)까지 연장하고,
    축(S)의 말단에 제 3 기어(63) 및 제 3 기어(63)와 치합되는 제 4 기어(64)를 설치하며,
    제 4 기어(64)에 핸들(6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회동 프레임(20)이 위치할 수 있는 수용부(13)를 형성하여 수용부(13)에 회동 프레임(20) 위치 시 고정 프레임(10)과 나란히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20)은 사용자가 올라서거나 앉을 수 있는 탑승 프레임(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프레임(40)은,
    회동 프레임(20)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대(41);
    수직의 사각 틀 또는 사각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대(41)의 선단에 구비되는 이동대(43);
    양 고정대(41)와 이동대(43)에 각각 구비하되, 양단이 고정대(41)와 이동대(43)에 축(S) 결합되고, 교차하는 중앙이 축(S) 결합되는 'X' 모양의 링크(44);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41)와 이동대(43)는 상부에 수직의 장공(42)을 형성하며, 링크(44)의 상부에 위치한 양 축(S)이 장공(42)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프레임(40)은 그 둘레에 방염 막(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30916A 2016-03-15 2016-03-15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KR10166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16A KR101663028B1 (ko) 2016-03-15 2016-03-15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16A KR101663028B1 (ko) 2016-03-15 2016-03-15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028B1 true KR101663028B1 (ko) 2016-10-06

Family

ID=5716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916A KR101663028B1 (ko) 2016-03-15 2016-03-15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34B1 (ko) * 2017-07-16 2018-03-20 김성열 화재 대피용 난간
KR102227463B1 (ko) * 2020-05-25 2021-03-12 배경삼 화재 대피용 바스켓
KR102230345B1 (ko) * 2020-08-31 2021-03-22 정석봉 공동주택용 긴급 대피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26B1 (ko) *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위급시 수동식 탈출장치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20090042692A (ko) * 2007-10-26 2009-04-30 장수일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936899B1 (ko) 2009-06-23 2010-01-14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7336B1 (ko)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20100092175A (ko) * 2009-02-12 2010-08-20 차영흥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099764B1 (ko)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50102832A (ko) * 2014-02-28 2015-09-08 (주) 태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01B1 (ko)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607826B1 (ko) *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위급시 수동식 탈출장치
KR20090042692A (ko) * 2007-10-26 2009-04-30 장수일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20100092175A (ko) * 2009-02-12 2010-08-20 차영흥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0936899B1 (ko) 2009-06-23 2010-01-14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4B1 (ko)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7336B1 (ko)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20150102832A (ko) * 2014-02-28 2015-09-08 (주) 태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34B1 (ko) * 2017-07-16 2018-03-20 김성열 화재 대피용 난간
KR102227463B1 (ko) * 2020-05-25 2021-03-12 배경삼 화재 대피용 바스켓
KR102230345B1 (ko) * 2020-08-31 2021-03-22 정석봉 공동주택용 긴급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663028B1 (ko)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11549310B2 (en) Foldable balcony balustrade-combined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RU26077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при пожаре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692844B1 (ko)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180048183A (ko) 접이식 대피 통로가 구비된 주택용 안전 난간
KR101117548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1692843B1 (ko) 비상용 대피 난간
KR102437071B1 (ko) 비상용 대피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