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60B1 -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60B1
KR101805060B1 KR1020170053842A KR20170053842A KR101805060B1 KR 101805060 B1 KR101805060 B1 KR 101805060B1 KR 1020170053842 A KR1020170053842 A KR 1020170053842A KR 20170053842 A KR20170053842 A KR 20170053842A KR 101805060 B1 KR101805060 B1 KR 10180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iling
vertical bar
arm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문
Original Assignee
윤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지 filed Critical 윤현지
Priority to KR102017005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60B1/ko
Priority to PCT/KR2018/003949 priority patent/WO20181994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3Built-in aid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베란다에 설치되어 비상시 하향식으로 계단이 펼쳐지도록 하는 대피장치는 대피자가 이동할 때 고소공포증에 의해 탈출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그 운반수단인 휠체어의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입주세대로 외부인의 침입 또는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현관을 이용하여 대피가 곤란할 경우 벽체를 사이에 둔 안전한 옆세대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베란다 난간에서 전방으로 전개시켜 복도(통로)를 확보하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남녀노소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운반하는 휠체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Corridor safety railing for building evacuation}
본 발명은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입주세대로 외부인의 침입 또는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현관을 이용하여 대피가 곤란할 경우 벽체를 사이에 둔 안전한 옆세대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베란다 난간에서 전방으로 전개시켜 복도(통로)를 제공하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남녀노소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운반하는 휠체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가 거주하도록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고층건물에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은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현관과 거실에는 창고로 사용하는 공간 또는 거실 확장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베란다가 설계되어 있고, 그 베란다에는 사람이 외부로 낙상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베란다 난간이 설치되어 입주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층건물은 전력을 이용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합선의 위험과 난방용 보일러 및 조리용 가스레인지 등의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면 고층에서 쉽게 대피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대피설비를 갖추어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피설비로는 베란다에 설비되어 대피시 와이어를 이용하여 하부층으로 이동하는 완강기가 제공되었으나 고층에서 혼자 매달려 하부층으로 내려오는 공포심으로 인하여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또는 베란다의 바닥면을 하부층 세대와 연통하는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안전사다리가 제공되었으나 그 안전사다리가 설비된 베란다 바닥 또는 그에 해당하는 하부층 베란다에 물건이 올려진 경우에는 사다리를 펼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베란다의 난간에서 펼쳐 하부층으로 계단이 자동으로 펼쳐져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등록 제1562205호(명칭: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가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마주보는 화재대피 공간부의 측부를 열고 닫는 축부 개폐 수단, 및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었을 때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대피장치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사용자가 베란다에 설비된 대피수단을 밀어 180도 회전하면서 안전한 하부층으로 계단이 자동으로 펼쳐져 내려오면 화재 대피공간으로 이동한 후 계단을 이용하여 하부층으로 대피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대피장치는 베란다 난간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대피수단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낙상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대피수단이 회전하여 펼쳐지는 과정에서 하부층 외벽과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대피수단이 펼쳐진 후에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중으로 버티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부력에 의해 크게 흔들려 완강기와 마찬가지로 공포심에 의해 탈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또한 화재가 발생한 세대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있는 경우 계단을 걸어서 내려가거나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여 내려가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대피장치는 비상시 사용하는 계단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베란다 외부로 벗어나야 하기 때문에 건물의 세로방향 세대 베란다에 지그재그식으로 놀출된 대피공간이 설비됨으로써, 비상용시 외부로 노출된 대피공간은 고층건물의 외부디자인의 심미적 요소를 저하시켜 건물의 값어치를 떨어뜨리는 문제점과 더불어 강한 태풍 또는 지진에 의한 외력에 떨어져 낙하되면서 인명 및 대물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대피장치를 구성하는 발판은 양단부가 제1,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비사용 시 대피수단을 접으면 발판이 "∧"형상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접혀진 발판을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내버려두어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발판의 회전을 위해 축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축구멍으로 축이 이동하면서 프레임에 발판이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주거생활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 또는 강도침입과 같은 비상시 베란다에서 외부로 펼쳐진 안전난간이 복도를 제공하여 비상시 안전한 옆세대로 남녀노소 및 환자가 탑승한 휠체어가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비사용 시 베란다의 난간과 안전난간이 일체감이 감득되도록 설치하여 고층건물의 외부 전체디자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접혀진 발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원천봉쇄하여 주거생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양측세대를 구분하는 벽체 전면에서 벗어나도록 벽체 양측면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난간수평바가 설치되고, 상기 벽체의 양측에 한 쌍이 직립상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개구된 출입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단이 난간수평바를 지지하는 난간수직바로 이루어진 베란다난간과, 상기 양측에 구비된 출입구의 전체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안전난간수평바가 상부와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안전난간수평바에 설치하되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난간수직바와 마주하는 위치에 복수의 안전난간수직바를 설치시켜 가로 3칸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3칸에서 중앙에 위치한 칸에는 타공 또는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패널이 설치되고, 양측에 위치한 칸에는 하부 안전난간수평바에서 상부로 간격을 두고 보조수평바가 설치되며, 그 보조수평바에서 직립으로 설치된 안전창살이 구비된 대피안전난간과, 상기 대피안전난간의 양측 안전난간수직바와 마주하는 난간수직바를 상호 연결시켜 대피안전난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측면지지수단과, 상기 난간수직바의 하부와 안전난간수직바의 하부에 연결되어 대피안전난간의 이동과 연동하여 펼침 및 접힘 되도록 설치되는 발판절첩수단과, 상기 상부에 위치한 안전난간수평바 양측에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대피안전난간이 베란다난간과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와, 상기 대피안전난간의 전개와 동시에 작동하는 비상경고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벽체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 세대의 베란다난간에 출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그 베란다에서 전방으로 전개되는 대피안전난간을 설치시켜 안전한 옆세대로 이동할 수 있는 복도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하향식으로 펼쳐진 계단으로 이동할 때 고층에서 내려다보는 공포심에 의해 대피가 곤란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건물 측면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해결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도식으로 대피안전난간이 공간을 확보하여 전개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 및 그 환자를 운반하는 휠체어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피안전난간을 비사용 시 개방된 출입구와 건물 벽체에 대피안전난간이 개방된 부분을 기존 난간형태로 폐쇄시켜 일체감을 선사하고, 그로인하여 고층건물의 외부 전체디자인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절첩되는 제1,2발판이 서로 접혀진 상태에서 개방된 양측 출입구와 벽체가 위치한 난간수평바와 난간수직바 사이로 삽입된 후, 대피안전난간을 구성하는 보조수평바와 안전창살 그리고 패널이 전방에서 지지하여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시켜 소음발생을 원천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안전난간을 비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판절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대피안전난간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대피안전난간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안전난간이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지지수단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보호커버가 측면지지수단을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측면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지지수단이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절첩수단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절척수단이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에 설치된 고정수단이 연동구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경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크게 벽체(101)를 사이에 두고 양측세대로 구분되어 그 양측세대 베란다에 설치되는 베란다난간(10)과, 그 베란다난간(10)에서 전방으로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안전난간(20)과, 상기 베란다난간(10)과 대피안전난간(20)의 양측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측면지지수단(30)(50)과, 상기 베란다난간(10)과 대피안전난간(2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대피안전난간(20)이 전개되면 연동하여 펼쳐져 복도를 형성하는 발판절첩수단(60)과,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이 이동하여 베란다난간(10)에 접촉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80)과,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이 전개될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비상상태를 알려주는 비상경고수단(90)을 포함한다.
고층건물(100)은 벽체(10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입주 세대로 구획되어 생활하고 있고, 이러한 양측 세대에는 고층건물의 편의도모를 위해 구비된 베란다에서 사람이 낙상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베란다난간(10)이 설치된다.
상기 베란다난간(10)은 벽체(101)의 양측면 상부에 고층건물(100) 외부로 돌출 설치된 브라켓(14)에 난간수평바(11)의 양단부가 횡방향으로 삽입 고정되고, 상기 벽체(101)의 양측에 간격을 갖고 한 쌍이 난간수직바(12)가 설치되어 난간수평바(11)를 지지하는 동시에 벽체(101)의 양측에 개구된 출입구(1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중앙 벽체(101)부분은 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과 양측 개구된 출입구(13)에 의해 개방부분이 총3칸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13)를 제외한 난간수평바(11)의 하부에는 창살이 형성되어 사람이나 물건이 부주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수직바(12)에 의해 개구된 출입구(13)는 후술할 대피안전난간(20)이 전개된 후, 사용자가 그 출입구(13)를 통해 안전한 옆세대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은 베란다난간(10)에서 전방으로 전개되어 대피할 수 있는 복도(통로)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벽체(101) 양측에 각각 구성된 출입구(13)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안전난간수평바(21)가 출입구(13)의 높이로 상하 간격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그 한 쌍의 안전난간수평바(21)의 상하 간격에 안전난간수직바(22)가 설치되어 지지하되, 상기 안전난간수직바(22)는 출입구(13)를 형성하기 위해서 직립으로 설치된 난간수직바(12)와 마주하는 동일한 위치의 대피안전난간(20)에 복수가 직립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피안전난간(20)도 복수로 설치된 안전난간수직바(22)에 의해 베란다난간(10)과 마찬가지로 총3칸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의 구획된 3칸 중 중앙을 제외한 양측 칸의 하부에는 안전난간수평바(21)에서 상부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수평바(23)가 구성되어 그 상부에 안전창살(24)이 직립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란다난간(10)으로 대피안전난간(20)이 이동하여 비사용 상태가 되면 개구된 양측 출입구(13)에 대피안전난간(20)의 안전창살(24)이 위치하여 차단함으로써, 일반 베란다 창살의 낙하방지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피안전난간(20)의 구획된 3칸 중 중앙부분에는 패널(25)을 구성시켜 마감된다. 상기 패널(25)은 무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원형이거나 또는 장공 형상을 타공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고층건물(100)의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이나 회사로고와 같은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그 벽체(101) 전면에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 홍보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써, 고층건물(100)의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창살(24)과 패널(25)은 비상시 대피안전난간(20)이 전개된 상태에서 대피자가 이동할 때 혼란과 부주의로 인한 낙상을 방지하도록 보호하는 작용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지지수단(30)(50)은 베란다난간(10)과 대피안전난간(20)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비상시 대피안전난간(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을 안내하면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측면지지수단(30)(50)은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한다.
제1실시례의 측면지지수단(30)은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대피안전난간 양측에 직립으로 설치된 안전난간수직바(22)의 외측면 하부와 제1회전암(31)이 회전가능하게 제1힌지핀(33)으로 설치되고, 제1힌지핀(33)과 마주하는 위치의 난간수직바(12)의 측면 하부에 제2회전암(32)이 제2힌지핀(34)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회전암(31)(32)의 최상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핀(36)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회전암(31)(32)의 중앙을 서로 교차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힌지(35)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2회전암(31)(32)은 중앙힌지(35)를 중심으로 "X"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수직바(22)의 상부와 제1힌지핀(33)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가이드암(37)이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암(37)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9)이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암(32)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36)을 수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난간수직바(12)의 상부와 제2힌지핀(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가이드암(38)이 설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암(38)의 측면에 장공의 가이드홈(39)이 형성되어 제1회전암(31)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36)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실시례의 측면지지수단(30)은 대피안전난간(20)을 전개하면 제1,2회전암(31)(32)이 중앙힌지(35)를 중심으로 벌어질 때, 각각 하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제1,2회전핀(33)(34)에 의해 상기 중앙힌지(35)의 위치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한 거리의 보상은 제1,2회전암(31)(32)의 각각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핀(36)이 가이드홈(39)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섭없이 원활하게 전개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36)은 제1,2회전암(31)(3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그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핀(36)을 한 쌍의 제1가이드암(37) 및 제2가이드암(38)이 양측에서 고정하는 것이 대피안전난간(20)의 하중을 지탱하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실시례의 측면지지수단(30)에는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대피안전난간(20) 양측에서 노출되어 "X"형상으로 작동되는 각각의 제1,2회전암(31)(32) 및 제1,2가이드암(37)(38)을 빗물이나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의 양측에 각각 직립으로 구성된 안전난간수직바(22)의 외측에 후방이 개방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보호커버(41)를 구성하되, 그 후방의 길이는 안전난간수직바(22)의 후면보다 더 길게 연장 돌출되어 후술할 제2보호커버(42)가 삽입된 후 겹쳐 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1보호커버(41) 내부에 상,하부에 배치된 제1힌지핀(33)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양측 안전난간수직바(22)와 마주하는 난간수직바(12)에는 상기 제1보호커버(4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2보호커버(42)에는 상,하부에 배치된 제2힌지핀(34)이 수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1,2보호커버(41)(42)는 베란다난간(10)과 대피안전난간(20)이 접촉된 비사용상태에서 제1,2회전암(31)(32) 및 제1,2가이드암(37)(38)이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할 수 있고, 특히 비교적 큰 크기와 후방이 더 연장된 제1보호커버(41) 내부로 제2보호커버(42)를 삽입시켜 제1보호커버(41)의 후단이 건물과 마주하게 하여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건물방향으로 비바람이 불어올 때, 후단이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음 제2실시례의 측면지지수단(50)은 첨부된 도면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대피안전난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안전난간수직바(1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측면판(51)과 측면힌지(53)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경첩판(54)으로 구성되고, 또한 난간수직바(1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측면판(52)과 측면힌지(53)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경첩판(55)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1,2경첩판(54)(55)이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중앙연결힌지(56)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측면판(51)(52)과 제1,2경첩판(54)(55)을 3개의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써, 이렇게 구성된 측면지지수단(50)의 길이를 짧게 형성시켜 설치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구된 양측 전체를 가려 대피시 보호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례의 측면지지수단(50)은 대피안전난간(20)의 비사용 시 대피안전난간(20) 내부에 수용되어 가려짐으로써, 고층건물(100)의 외형디자인을 저해시키지 않고 심플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발판절첩수단(60)은 첨부된 도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비상시 대피안전난간(20)을 전개하면 발판이 연동하여 펼쳐져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복도(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암(61)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암(62)과 절첩되는 제1발판(71)과 제2발판(72)으로 구성된다.
상기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연결암(61)은 대피안전난간(20)을 3칸으로 분할한 복수의 안전난간수직바(22)의 각각의 간격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고, 대피안전난간(20)이 구성된 전방은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안전난간수직바(22)와 제1회전핀(63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연결암(61)과 제2연결암(62)은 베란다난간(10)에서 벽체(101)와 양측 출입구(13)를 형성한 3칸의 개구부의 각각 길이만큼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암(61)의 절곡된 하단에서 제1회전핀(63a)의 중심 길이는 회전시 난간수직바(12)의 폭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으로 이격된 제1연결암(61)의 내측면에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살(64)이 설치되고, 그 보강살(64)이 형성된 직하부에는 후술할 제2연결암(62)에 형성된 보강살(64)이 절첩된 과정에서 간섭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65)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암(61)의 타단 상부에는 후술할 제1 또는 제2고정턱(67)(68)에 걸려 고정되는 지지핀(6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ㅡ"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암(62)의 일단과 제1연결암(61)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제2회전핀(63b)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암(62)의 타단은 난간수직바(12)의 하부에 제3회전핀(63c)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한 쌍으로 이격된 제2연결암(62)의 내측면에는 지지력을 위한 보강살(64)이 설치되는데 그 보강살(64)은 제1,2연결암(61)(62)이 상호 절첩될 때 위치하는 수용홈(65)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제1,2연결암(61)(62)이 상호 절첩되어 직립상태를 이루면 동일하게 겹쳐진 상태를 이루기 위함이고, 이렇게 겹쳐진 상태가 되면 제1연결암(61)의 절곡된 일단이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개구된 출입구(13) 및 벽체(10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직립된 상태의 제1,2연결암(61)(62)은 난간수직바(12)와 겹쳐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암(62)의 선단은 외경의 크기보다 작게 즉 상기 제1연결암(61)에 구비되는 지지핀(66)의 외경이 간섭없이 안내될 수 있는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대피안전난간(20)이 전개되면 절첩된 제1,2연결암(61)(62)이 수평하게 펴지면 지지핀(66)과 제1고정턱(67)이 맞닿아 그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지지하고, 다시 제1,2연결암(61)(62)을 절첩시켜 직립상태가 되면 지지핀(66)이 제2고정턱(68)과 맞닿아 지지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핀(63b)이 고정되는 제1연결암(61)과 제2연결암(62)의 사이에는 틈새(g)를 갖도록 설치하여 후술할 절첩된 제1,2발판(71)(72)의 양측 단부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1,2연결암(61)(62)이 절첩되어 직립상태가 될 때 발판이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제2연결암(62)의 양측에 제1연결암(61)을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제1연결암(61) 사이에 제2연결암(62)을 개재한 되면 보강살(64)과 더불어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핀(66)이 한 쌍의 제1연결암(61)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연결암(61)(62)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9)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9)은 절첩된 발판절첩수단(60)을 적은 힘으로 밀어도 쉽게 펼쳐지게 하여 크게는 대피안전난간(20)의 전개를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제1,2연결암(61)(62)을 상호 연결하는 제2회전핀(63b)의 외주연에 스프링(69)을 설치하고 일단은 제1연결암(61)에 고정하며 타단은 제2연결암(62)에 고정시켜 탄성 펼침력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제2회지핀(63b)에 설치된 스프링(69)과 더불어 큰 펼침력을 제공하도록 제1회전핀(63a)에 설치한 후, 일단을 안전난간수직바(22)에 고정하고, 타단은 제1연결암(61)에 고정하며, 반대 측 제3회전핀(63c)에 스프링(69)을 설치한 후, 일단을 난간수직바(12)에 고정하고, 타단을 제2연결암(62)에 고정하여 총3개의 스프링(6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발판(71)과 제2발판(72)은 각각 한 쌍의 제1연결암(61) 또는 제2연결암(62)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하부로 절곡시키고, 그 절곡부에는 제1,2연결암(61)(62)에 구비된 보강살(64)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73)이 각각 형성되어 장착이 완료되면 제1,2연결암(61)(62)과 양측단부를 리벳으로 고정시켜 발판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발판(71)(72)은 판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중량을 줄이고 펼쳐진 후에는 빗물 등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장공으로 이루어진 타공구멍(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발판절첩수단(60)은 비사용 시 대피안전난간(20)이 베란다난간(10)과 맞닿은 상태가 되면 제1,2연결암(61)(62)이 겹쳐 직립상태로 출입구(13)와 벽체(101)를 이루는 난간수직바(12) 내부로 수용되어 제1,2발판(71)(72)의 각각 하부가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때 제1연결암(61)의 수용홈(65)에 제2연결암(62)에 형성된 보강살(64)이 수용되어 간섭없이 겹치게 되며, 이렇게 겹쳐진 제1,2발판(71)(72)을 대피안전난간(20)의 보조수평바(23) 및 안전창살(24)이 전방에서 밀착됨으로써, 임의로 펼쳐지지 않고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아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80)은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대피안전난간(2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안전난간수평바(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81)은 전방 상면에 손으로 밀어 해제할 수 있도록 레버(82)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오목한 잠금홈(83)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난간수평바(21)의 내부를 관통 설치되는 레버회전축(84)과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이 고정되어 어느 하나의 레버(82)를 회전시키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82)를 회전시켜 잠금홈(83)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잠금핀(85)이 난간수직바(12)에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80)에 의해서 대피안전난간(20)의 상부가 베란다난간(10)에 고정되어 임의로 전개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6과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라켓(81)과 잠금핀(85)을 상,하부에 배치된 안전난간수평바(21) 측면에 2열로 설치하고, 상부의 고정브라켓(81)과 하부의 고정브라켓(81)을 줄 또는 와이어 또는 철사로 이루어진 연동구(86)로 상호 연결시켜 상부의 고정브라켓(81)이 회전을 하면 하부의 고정브라켓(81)도 동시에 회전 가능함으로써, 대피안전난간(20)의 상부와 하부가 베란다난간(10)에 2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임의로 전개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강풍에 의해서 하부측이 흔들리는 현상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억제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비상경보수단(90)은 첨부된 도면 도 16과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대피안전난간(20)을 전개 시 자동으로 경보가 작동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건물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91)가 구비되고, 대피안전난간(20)이 베란다난간(10)에서 밀어 전개되면 전원부(91)에서 공급된 전력을 도통시키는 스위치(92)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92)의 도통으로 작동되는 비상등(93) 및 비상벨(9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등(93) 및 비상벨(94)은 각 세대와 관리실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한 세대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건물의 해당단지 전체에서 경보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상경고수단(90)은 화재상황을 외부에 알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더불어 외부인이 옆세대로 침입하기 위해서 대피안전난간(20)을 작동시킨 경우에도 범죄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사용 시 베란다난간(10)과 대피안전난간(20)이 맞닿아 접촉된 상태로 일체감이 감득되도록 하는 동시에 개구된 양측 출입구(13)를 대피안전난간(20)의 안전창살(24)이 폐쇄하여 기존 베란다의 난간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비상시 대피안전난간(20)을 전개하면 절첩된 제1,2발판(71)(72)이 펼쳐져 안전한 옆세대로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복도(통로)가 확보됨으로써, 종래 하향식으로 구성되어 계단을 이용해 하부층으로 이동할 때 아래를 바라보는 공포심에 의한 대피 불가능과 더불어 휠체어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한 유용한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베란다난간: 10 난간수평바: 11 난간수직바: 12
출입구: 13 브라켓: 14 대피안전난간: 20
안전난간수평바: 21 안전난간수직바: 22 보조수평바: 23
안전창살: 24 패널: 25 측면지지수단: 30,50
제1,2회전암: 31,32 제1,2힌지핀: 33,34 중앙힌지: 35
가이드핀: 36 제1,2가이드암: 37,38 가이드홈: 39
제1,2보호커버: 41,42 제1,2측면판: 51,52 측면힌지: 53
제1,2경첩판: 54,55 중앙연결힌지: 56 발판절첩수단: 60
제1,2연결암: 61,62 제1,2,3회전핀: 63a,63b,63c
보강살: 64 수용홈: 65 지지핀: 66
제1,2고정턱: 67,68 스프링: 69 제1,2발판: 71,72
장착홈: 73 고정수단: 80 고정브라켓: 81
레버: 82 잠금홈: 83 레버회전축: 84 잠금핀: 85
연동구: 86 비상경고수단: 90 전원부: 91
스위치: 92 비상등: 93 비상벨: 94

Claims (9)

  1. 양측세대를 구분하는 벽체(101) 양측면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14)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101)의 전면에서 벗어나게 횡방향으로 난간수평바(11)가 설치되고, 상기 벽체(101)의 양측에 한 쌍이 직립상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개구된 출입구(1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단이 난간수평바(11)를 지지하는 난간수직바(12)로 이루어진 베란다난간(10);
    상기 양측에 구비된 출입구(13)의 전체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안전난간수평바(21)가 상부와 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안전난간수평바(21)에 설치하되 상기 출입구(13)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난간수직바(12)와 마주하는 위치에 복수의 안전난간수직바(22)를 설치시켜 가로 3칸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3칸에서 중앙에 위치한 칸에는 타공 또는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패널(25)이 설치되고, 양측에 위치한 칸에는 하부 안전난간수평바(21)에서 상부로 간격을 두고 보조수평바(23)가 설치되며, 그 보조수평바(23) 상면에서 직립으로 설치된 안전창살(24)이 구비된 대피안전난간(20);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의 양측 안전난간수직바(22)와 마주하는 난간수직바(12)를 상호 연결시켜 대피안전난간(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측면지지수단(30)(50);
    상기 난간수직바(12)의 하부와 안전난간수직바(22)의 하부에 연결되어 대피안전난간(20)의 이동과 연동하여 펼침 및 접힘 되도록 설치되는 발판절첩수단(60);
    상기 상부에 위치한 안전난간수평바(21) 양측에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대피안전난간(20)이 베란다난간(10)과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80);
    상기 대피안전난간(20)의 전개와 동시에 작동하는 비상경고수단(90);을 포함하되,
    상기 발판절첩수단(60)은 대피안전난간(20)을 3칸으로 각각 구획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안전난간수직바(22)의 내부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된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어 내부에 보강살(64)로 상호 연결되고, 일단은 회전시 난간수직바(12)의 폭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ㄴ"형상을 이루어 안전난간수직바(22)와 보조수평바(23) 사이에 제1회전핀(63a)으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강살(64) 직하부에 오목한 수용홈(65)을 형성시켜 이루어진 제1연결암(61)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암(61)의 타단과 일단이 제2회전핀(63b)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간격에는 직립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65)으로 삽입되는 위치에 보강살(64)이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난간수직바(12)의 하부에 제3회전핀(63c)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은 전체 폭보다 작은 반원으로 형성시켜 상부에 제1고정턱(67)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고정턱(68)을 형성시켜 이루어진 제2연결암(62)과, 상기 제1연결암(61)의 타단과 제2연결암(62)의 일단의 상부를 관통되게 설치되어 제1,2연결암(61)(62)이 회전하면서 제1고정턱(67) 또는 제2고정턱(68)에 걸려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핀(66)과,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제1연결암(61)의 양측 내부와 양측면이 리벳으로 고정되되, 그 양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암(61)에 설치된 보강살(64)을 수용시켜 안착하도록 장착홈(73)이 형성된 제1발판(71)과,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제2연결암(62)의 양측 내부와 양측면이 리벳으로 고정되되, 그 양측면에는 상기 제2연결암(62)에 설치된 보강살(64)을 수용시켜 안착하도록 장착홈(73)이 형성된 제2발판(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수단(30)은 대피안전난간(20) 양측에 각각 설치된 안전난간수직바(22)의 외측면 하부와 제1힌지핀(33)으로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암(31);
    베란다난간(10)에서 상기 안전난간수직바(22)와 마주하는 난간수직바(12)의 측면 하부와 제2힌지핀(34)으로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암(32);
    상기 제1,2회전암(31)(32)의 각각 상부에 돌출된 가이드핀(36);
    상기 제1,2회전암(31)(32)의 중앙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교차시켜 "X"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중앙힌지(35);
    상기 안전난간수직바(22)와 상부가 제1회전핀(3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암(32)의 가이드핀(36)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9)이 형성된 제1가이드암(37);
    상기 난간수직바(12)와 상부가 제2회전핀(34)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암(31)의 가이드핀(36)이 삽입 연결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9)이 형성된 제2가이드암(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수직바(22)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하부에 배치된 제1힌지핀(33)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후단이 안전난간수직바(22)의 후면에서 더 연장 돌출되게 형성된 제1보호커버(41)와
    난간수직바(12) 외측에 설치되고, 상,하부에 배치된 제2힌지핀(34)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보호커버(42)로 구성되되,
    대피안전난간(20)이 베란다난간(10)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보호커버(42)의 전방이 제1보호커버(41)의 돌출된 후단으로 삽입되어 개방부분을 폐쇄되어 그 내부에 오므려진 제1,2회전암(31)(32)과 제1,2가이드암(37)(38)이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수단(50)은 대피안전난간(20) 외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안전난간수직바(2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측면판(51)과, 상기 제1측면판(51)과 일단이 측면힌지(53)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경첩판(54)과, 상기 제1측면판(51)이 설치된 안전난간수직바(22)와 마주하는 난간수직바(1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2측면판(52)과, 상기 제2측면판(52)과 일단이 측면힌지(53)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경첩판(55)과, 상기 제1경첩판(54)과 제2경첩판(55)의 타단을 중앙연결힌지(56)로 연결하여 대피안전난간(20)의 이동에 따라 제1,2경첩판(54)(55)이 중앙연결힌지(56)를 중심으로 절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핀(63a)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안전난간수직바(22)와 제1연결암(61)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9)과, 제2회전핀(63b)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1연결암(61)과 제2연결암(62)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9)과, 제3회전핀(63c)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각각 제2연결암(62)과 난간수직바(12)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80)은 레버(82)가 전방 상면에 구비되고, 후방에는 오목한 잠금홈(83)이 형성된 고정브라켓(81)을 대피안전난간(20)에서 상부에 설치된 안전난간수평바(22)의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그 한 쌍의 고정브라켓(81)을 상호 연동하도록 구비된 레버회전축(84)으로 고정되며, 상기 잠금홈(83)이 회전하면서 걸리거나 이탈 가능하도록 난간수직바(12)에서 돌출된 잠금핀(8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81)과 잠금핀(85)은 안전난간수직바(22)와 난간수직바(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하고, 그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81)을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줄 또는 와이어 또는 철사로 이루어진 연동구(86)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경고수단(90)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91)와, 대피안전난간(20)이 베란다난간(10)에서 전개되면 상기 전원부(91)에서 공급된 전력을 도통시키는 스위치(92)와, 상기 스위치(92)의 도통으로 작동되는 비상등(93) 및 비상벨(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20170053842A 2017-04-26 2017-04-26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80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42A KR101805060B1 (ko) 2017-04-26 2017-04-26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PCT/KR2018/003949 WO2018199495A1 (ko) 2017-04-26 2018-04-04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42A KR101805060B1 (ko) 2017-04-26 2017-04-26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060B1 true KR101805060B1 (ko) 2017-12-14

Family

ID=609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42A KR101805060B1 (ko) 2017-04-26 2017-04-26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5060B1 (ko)
WO (1) WO20181994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62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투웨이 접이식 대피장치
KR20200079809A (ko) * 2018-12-26 2020-07-06 윤현지 화재 차단문이 구비된 건물 대피용 전개식 안전난간
KR102543710B1 (ko) * 2022-09-16 2023-06-14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접이식 피난계단
KR102612618B1 (ko) * 2022-08-02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145B1 (ko) * 2007-03-13 2009-09-15 김탁수 방화대피용 사다리
KR101139611B1 (ko) * 2010-02-02 2012-04-27 문근술 피난용 발코니 난간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20150102832A (ko) * 2014-02-28 2015-09-08 (주) 태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62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투웨이 접이식 대피장치
KR102085587B1 (ko) 2018-07-02 2020-03-06 주식회사 투웨이 접이식 대피장치
KR20200079809A (ko) * 2018-12-26 2020-07-06 윤현지 화재 차단문이 구비된 건물 대피용 전개식 안전난간
KR102183490B1 (ko) * 2018-12-26 2020-11-27 레스큐레일 주식회사 화재 차단문이 구비된 건물 대피용 전개식 안전난간
KR102612618B1 (ko) * 2022-08-02 2023-12-12 주식회사 매직웨이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WO2024029652A1 (ko) * 2022-08-02 2024-02-08 주식회사 매직웨이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KR102543710B1 (ko) * 2022-09-16 2023-06-14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접이식 피난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495A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8702B (zh) 一体型折叠式安全栏杆以及室外避难楼梯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216204B1 (ko)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20170138948A (ko) 화재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29439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2183490B1 (ko) 화재 차단문이 구비된 건물 대피용 전개식 안전난간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180048183A (ko) 접이식 대피 통로가 구비된 주택용 안전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