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205B1 -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205B1
KR101562205B1 KR1020150071471A KR20150071471A KR101562205B1 KR 101562205 B1 KR101562205 B1 KR 101562205B1 KR 1020150071471 A KR1020150071471 A KR 1020150071471A KR 20150071471 A KR20150071471 A KR 20150071471A KR 101562205 B1 KR101562205 B1 KR 10156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rame
emergency
esca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순모
김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류순모
김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류순모, 김주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15007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205B1/ko
Priority to CN201520450206.4U priority patent/CN204972726U/zh
Priority to CN201510363942.0A priority patent/CN106267594A/zh
Priority to PCT/KR2015/008419 priority patent/WO2016190488A2/ko
Priority to JP2017561215A priority patent/JP635586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205B1/ko
Priority to PH12017502058A priority patent/PH120175020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를 열고 닫는 측부 개폐 수단,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으로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되어 락킹 수단을 잠금 해제하고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서 2개의 프레임이 벌어짐과 더불어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로를 제공하고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갇힌 화재 피해자는 화재 대피 공간부에서 측부 개폐 수단을 열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발 지지 수단을 밟고 아래층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형성된 상부 개폐 수단을 열고 아래층에 형성된 화재 대피 공간부로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아래로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SAFETY SYSTEM FOR ESCAPING THE FIRE PLACE IN THE HIGH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피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발코니에 장착된 난간을 비상 계단으로 구조 변경하여 화재가 발생된 고층 건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게 한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화된 건축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고층화된 건축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베란다가 설치되며, 상기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높은 빌딩 안에서 주위 경관을 내려다 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제시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위에 치솟은 건축물 내부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관계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한번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10-0927317"호의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가 있는데, 상기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건물 외벽에 고정된 힌지에 의해 축 선회되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과 마주 접하는 제1 프레임과,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1 프레임과 상층 유리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층 유리벽을 가로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되는 제2 프레임, 및 일측 양 끝단과 타측 양 끝단이 각각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층 유리벽과 나란하게 세워져 상층 거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다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하층 유리벽과 하층 외벽 방향으로 선회될 때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직교 방향으로 펼쳐져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벌림과 동시에 발 디딤 공간을 마련하는 디딤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힌지에 의해 하층 유리벽 또는 하층 외벽으로 선회되지 않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을 상층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927317 (2009.11.18)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675090 (2007.01.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고층 건물의 거주자가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을 이용하여 고층 건물 아래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으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를 열고 닫는 축부 개폐 수단, 및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었을 때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되어 락킹 수단을 잠금 해제하고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을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서 2개의 프레임이 벌어짐과 더불어 절첩된 발 지지 수단이 펼쳐져 화재 대피로를 제공하고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갇힌 화재 피해자는 화재 대피 공간부에서 측부 개폐 수단을 열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발 지지 수단을 밟고 아래층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형성된 상부 개폐 수단을 열고 아래층에 형성된 화재 대피 공간부로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아래로 대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고층 건물의 거주자가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을 비상 계단으로 구조 변경하여 비상 계단을 통해 고층 건물 아래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 1은 화재가 없는 평상시 본 발명이 발코니에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 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축 회전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3 내지 도면 5는 락킹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6 내지 도면 14는 본 발명이 동작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1)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4)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13)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4)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를 열고 닫는 측부 개폐 수단(5),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7), 및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어 락킹 수단(9)을 잠금 해제하고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서 2개의 프레임이 벌어짐과 더불어 절첩된 발 지지 수단(4)이 펼쳐져 화재 대피로를 제공한다.
또한,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갇힌 화재 피해자는 화재 대피 공간부(1)에서 측부 개폐 수단(5)을 열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발 지지 수단(4)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형성된 상부 개폐 수단(7)을 열고 아래층에 형성된 화재 대피 공간부(1)로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아래로 대피할 수 있다.
상기 측부 개폐 수단(5)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경첩을 통해 연결되고,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세워진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에 가로 막혀 열리지 않는다.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1)가 설치되지 않은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의 측부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난간(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 회전 수단(13)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없는 평상시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세워졌을 때 제1 프레임(15)의 하단으로부터 제1 프레임(15)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확장 브라켓(51)과, 상기 발코니 바닥에 장착되고 확장 브라켓(51)을 사이에 두고 11자 형태로 나란하게 뻗어나온 11자형 고정 브라켓(53), 및 상기 11자형 고정 브라켓(53)과 확장 브라켓(51)을 관통 고정하여 확장 브라켓(51)이 11자형 고정 브라켓(53)에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도록 하는 제1 고정축(55)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 수단(9)은 도면 3 내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제1 프레임(15)의 상단 양측에서 발코니 방향으로 굽어진 2개 이상의 회전봉 고정 브라켓(39)과,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와 안전 난간(37)으로부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바(41), 상기 돌출바(41)로부터 돌출바(41)의 상부 방향으로 굽어지고 발코니를 마주보지 않는 한쪽이 트여있는 고리 형태의 후크(43), 상기 회전봉 고정 브라켓(39)에 관통 고정된 채 회전되고 화재가 없는 평상시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세워졌을 때 양끝단이 화재 대피 공간부(1)와 안전 난간(37)에 장착된 후크(43)에 고정된 회전봉(45), 및 기역자 형태로서 상기 후크(43)와 마주 접한 회전봉(45)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고 화재가 없는 평상시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세워졌을 때 발코니를 마주보는 후크(43)의 한쪽면에 걸쳐 고정됨으로써 회전봉(45)의 양끝단이 후크(43)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기역자형 잠금쇄(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락킹 수단(9)은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회전봉(45)의 양끝단이 후크(43)에 걸침과 동시에 기역자형 잠금쇄(47)가 발코니를 마주보는 후크(43)의 한쪽면에 걸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되어 기역자형 잠금쇄(47)를 후크(43) 상부로 축 회전시킨 다음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발코니 바깥 방향으로 밀면 회전봉(45)의 양끝단이 후크(43)로부터 빠져나와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봉(45)에는 기역자 형태로서 회전봉(45)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되고 기역자형 잠금쇄(47)와 90도 각도를 이루는 기역자형 브라켓(49)이 장착되어 락킹 수단(9)이 해제되었을 때 기역자형 브라켓(49)의 안쪽 면이 제1 프레임(15)의 상부 바깥 측면에 걸친다.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은 도면 9 내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 형태로서 사각 프레임 안쪽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하부가 사각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중간 연결 부재(11a)가 갖추어지고 발코니 바닥과 축 회전 수단(13)을 통해 결합되어 발코니 바닥에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프레임(15)과, 사각 프레임 형태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제1 프레임(15)의 일측면과 맞닿은 채 제1 프레임(15)에 겹쳐지고 사각 프레임 안쪽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하부가 사각 프레임의 안쪽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중간 연결 부재(11b)가 갖추어진 제2 프레임(17), 상기 제1·2 프레임(15,17)의 양측면을 제1·2 프레임(15,1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시킨 길이홀(19), 바(Bar) 형태의 제1 연결암(21)과 제2 연결암(23)이 제2 고정축(25)에 의해 축 고정되어 'X' 형태를 이루고 제1·2 프레임(15,17)의 양측면에 한쌍이 장착되며 제1 연결암(21)의 양끝단은 각각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에 형성된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길이홀(19)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제2 연결암(23)의 양끝단은 각각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에 형성된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길이홀(19)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X형 링크(27),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면이 제1 프레임(15)에 갖추어진 중간 연결 부재(11a)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1 프레임(15)의 측부에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발판(29), 및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면이 제2 프레임(17)에 갖추어진 중간 연결 부재(11b)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2 프레임(17)의 측부에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발판(29)과 힌지(30) 결합된 제2 발판(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은 화재가 발생되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겹쳐진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제1 발판(29)과 제2 발판(31)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계단을 형성하고 상기 X형 링크(27)의 각 끝단은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슬라이드되면서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을 붙들어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 개폐 수단(7)은 도면 12 내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코니와 마주 접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 일측면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 타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단면을 폐쇄하거나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 덮개(33)와,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과 마주 접하지 않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덮개(33)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고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단면을 폐쇄하거나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 덮개(35)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가 포개져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다.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를 개방하면,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가 화재 대피 공간부(1)의 높이 방향으로 곧게 세워진 상태에서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화재 대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덮개(35)는 폐쇄되었을 때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개폐 수단(5)의 상단에 걸쳐 화재 대피 공간부(1) 안쪽으로 꺽어지지 않고, 상기 제1 덮개(33)는 폐쇄되었을 때 폐쇄된 제2 덮개(35) 상부에 걸쳐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 1 내지 도면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코니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으로 작동된다.
한편, 화재가 발생되어 도면 3 내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봉(4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역자형 잠금쇄(47)가 회전봉(45)을 따라 회전되어 후크(43) 상부에 기역자형 잠금쇄(47)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바깥 방향으로 밀면 회전봉(45)의 양끝단이 후크(43)로부터 빠져나오고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은 축 회전 수단(13)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회전된다.
또,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도면 7 내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절첩된 제1 발판(29)과 제2 발판(31)이 펼쳐져 비상 계단을 형성하고, 상기 X형 링크(27)에 갖추어진 제1·2 연결암(21,23)의 양끝단은 길이홀(19)에 장착된 채 길이홀(19)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1 연결암(21)과 제2 연결암(23)의 사이각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위층에 거주하는 화재 대피자는 화재 대피 공간부(1)로 들어간 다음 측부 개폐 수단(5)을 열고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 사이에 형성된 발 지지 수단(4)을 통해 아래층으로 내려간다.
또한, 아래층에 설치된 화재 대피 공간부(1)에 다다르면 도면 12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층 화재 대피 공간부(1)에 형성된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를 열고 아래층 화재 대피 공간부(1)로 들어간 다음, 아래층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다시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최하층으로 내려가 화재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가 진압된 다음, 측부 개폐 수단(5)을 닫은 다음, 본 발명에 갖추어진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위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제1 발판(29)과 제2 발판(31)이 절첩됨과 동시에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이 겹쳐지고 상기 X형 링크(27)에 갖추어진 제1 연결암(21)과 제2 연결암(23)이 절첩된다.
다음, 회전봉(45)의 양끝단을 후크(43)에 장착시킨 다음, 회전봉(4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역자형 잠금쇄(47)가 발코니를 마주보는 후크(43)의 한쪽면에 걸쳐 고정되어 더 이상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은 고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고층 건물의 거주자가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을 비상 계단으로 구조 변경하여 비상 계단을 통해 고층 건물 아래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에 설치된 안전 난간을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화재 대피 공간부 3.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
5. 측부 개폐 수단 7. 상부 개폐 수단
9. 락킹 수단 11a. 중간 연결 부재
13. 축 회전 수단 15. 제1 프레임
17. 제2 프레임 19. 길이홀
21. 제1 연결암 23. 제2 연결암
25. 제2 고정축 27. X형 링크
29. 제1 발판 31. 제2 발판
33. 제1 덮개 35. 제2 덮개
37. 안전 난간 39. 회전봉 고정 브라켓
41. 돌출바 43. 후크
45. 회전봉 47. 잠금쇄
49. 기역자형 브라켓 51. 확장 브라켓
53. 11자형 고정 브라켓 55. 제1 고정축

Claims (4)

  1. 입체 형상으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한쪽 면이 개방된 화재 대피 공간부(1)와,
    창살 형태를 갖는 2개의 프레임이 포개지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2개 이상의 발 지지 수단(4)이 절첩된 상태에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세워져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축 회전 수단(13)에 의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었을 때 2개의 프레임 사이 간격이 벌어짐과 더불어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절첩된 발 지지 수단(4)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비상 계단을 형성하는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를 열고 닫는 측부 개폐 수단(5),
    상기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를 열고 닫는 상부 개폐 수단(7),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붙들어 고정하여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회전 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잠금 해제되어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 수단(9)으로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되어 락킹 수단(9)을 잠금 해제하고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면,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서 2개의 프레임이 벌어짐과 더불어 절첩된 발 지지 수단(4)이 펼쳐져 화재 대피로를 제공하고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갇힌 화재 피해자는 화재 대피 공간부(1)에서 측부 개폐 수단(5)을 열고 2개의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발 지지 수단(4)을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한 다음, 아래층에 형성된 상부 개폐 수단(7)을 열고 아래층에 형성된 화재 대피 공간부(1)로 들어가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 아래로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서 사각 프레임 안쪽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하부가 사각 프레임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중간 연결 부재(11a)가 갖추어지고 발코니 바닥과 축 회전 수단(13)을 통해 결합되어 발코니 바닥에 고정된 축 회전되는 제1 프레임(15)과,
    사각 프레임 형태로서 발코니 내부를 마주보는 제1 프레임(15)의 일측면과 맞닿은 채 제1 프레임(15)에 겹쳐지고 사각 프레임 안쪽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하부가 사각 프레임의 안쪽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중간 연결 부재(11b)가 갖추어진 제2 프레임(17),
    상기 제1·2 프레임(15,17)의 양측면을 제1·2 프레임(15,17)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시킨 길이홀(19),
    바(Bar) 형태의 제1 연결암(21)과 제2 연결암(23)이 제2 고정축(25)에 의해 축 고정되어 'X' 형태를 이루고 제1·2 프레임(15,17)의 양측면에 한쌍이 장착되며 제1 연결암(21)의 양끝단은 각각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에 형성된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길이홀(19)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제2 연결암(23)의 양끝단은 각각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에 형성된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길이홀(19)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X형 링크(27),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면이 제1 프레임(15)에 갖추어진 중간 연결 부재(11a)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1 프레임(15)의 측부에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는 제1 발판(29),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양측면이 제2 프레임(17)에 갖추어진 중간 연결 부재(11b)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2 프레임(17)의 측부에 축 고정된 채 축 회전되고 제1 발판(29)과 힌지(30) 결합된 제2 발판(31)으로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회전되면 겹쳐진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제1 발판(29)과 제2 발판(31)이 펼쳐져 화재 대피를 위한 계단을 형성하고 상기 X형 링크(27)의 각 끝단은 길이홀(19)에 연결된 채 슬라이드되면서 제1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17)을 붙들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개폐 수단(5)은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경첩을 통해 연결되고,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측부에 세워진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에 가로 막혀 열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폐 수단(7)은 발코니와 마주 접한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 일측면을 마주보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부 타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단면을 폐쇄하거나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 덮개(33)와,
    상기 추락 방지 및 비상 대피 수단(3)과 마주 접하지 않는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덮개(33)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고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단면을 폐쇄하거나 화재 대피 공간부(1)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2 덮개(35)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가 포개져 화재 대피 공간부(1)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고,
    화재가 발생되어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를 개방하면, 제1 덮개(33)와 제2 덮개(35)가 화재 대피 공간부(1)의 높이 방향으로 곧게 세워진 상태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화재 대피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20150071471A 2015-05-22 2015-05-22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56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71A KR101562205B1 (ko) 2015-05-22 2015-05-22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CN201520450206.4U CN204972726U (zh) 2015-05-22 2015-06-26 高层建筑物中的安全的火灾避难系统
CN201510363942.0A CN106267594A (zh) 2015-05-22 2015-06-26 高层建筑物中的安全的火灾避难系统
PCT/KR2015/008419 WO2016190488A2 (ko) 2015-05-22 2015-08-12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JP2017561215A JP6355864B2 (ja) 2015-05-22 2015-08-12 高層建築物における安全な避難システム
PH12017502058A PH12017502058A1 (en) 2015-05-22 2017-11-10 Safe fire escape system fir high-rise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71A KR101562205B1 (ko) 2015-05-22 2015-05-22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205B1 true KR101562205B1 (ko) 2015-10-23

Family

ID=5442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471A KR101562205B1 (ko) 2015-05-22 2015-05-22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5864B2 (ko)
KR (1) KR101562205B1 (ko)
CN (2) CN204972726U (ko)
PH (1) PH12017502058A1 (ko)
WO (1) WO2016190488A2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50700B1 (ko) *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KR20180006341A (ko) * 2016-07-08 2018-01-17 유길용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840434B1 (ko) * 2017-07-16 2018-03-20 김성열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843842B1 (ko) * 2017-06-16 2018-03-30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863901B1 (ko) *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910740B1 (ko) 2017-05-16 2018-10-22 유순기 비상계단용 프리존 기능을 가지는 힌지장치
KR20180137688A (ko) 2017-06-19 2018-12-28 유순기 비상탈출 계단용 증속부 일체형 점성유체 댐퍼
KR101962656B1 (ko) *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976281B1 (ko) 2017-11-20 2019-08-28 유순기 프리존 기능을 가지는 증속기 일체형 오리피스 점성유체 댐퍼
KR101976277B1 (ko) 2017-10-27 2019-08-28 유순기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지는 타원형 하우징 점성유체 댐퍼
CN110255450A (zh) * 2019-06-26 2019-09-20 燕山大学 一种折叠式高空升降维修梯
US10653900B2 (en) 2017-08-28 2020-05-19 Edun-Eng Co., Ltd. Lifesaving system using drone and lifesa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26502B1 (ko) 2020-01-10 2020-07-08 엄태형 인명 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CN112282397A (zh) * 2020-09-10 2021-01-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建设公司 一种人工掏挖基础施工紧急避险装置
KR20220032353A (ko) 2020-09-07 2022-03-15 김학선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05B1 (ko) *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782139B1 (ko)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141719B1 (ko) * 2020-03-31 2020-08-05 김동우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CN113529928B (zh) * 2021-07-26 2022-08-23 广东善建建设股份有限公司 装配式建筑的安装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7B1 (ko) 2009-08-21 2009-11-18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7336B1 (ko)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993Y2 (ko) * 1975-06-23 1979-08-15
JPS587303B2 (ja) * 1978-02-10 1983-02-09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建物用避難装置
JPS6420864A (en) * 1987-07-16 1989-01-24 Naka Tech Lab Upper and lower stair drive type refuge apparatus
NO164820C (no) * 1988-05-24 1990-11-21 Histi Dev As Redningstrapp.
KR100610401B1 (ko) * 2004-07-12 2006-08-10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1141292B1 (ko) * 2010-01-04 2012-05-04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KR101011239B1 (ko) * 2010-11-29 2011-01-26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CN102199984B (zh) * 2011-04-21 2013-02-27 熊浩祖 防火防盗逃生网
CN102943609B (zh) * 2012-11-26 2014-07-16 湖南工程学院 高楼自救逃生窗
KR101562205B1 (ko) *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7B1 (ko) 2009-08-21 2009-11-18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37336B1 (ko) 2009-08-28 2010-01-18 류순모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WO2017179855A1 (ko) * 2016-04-11 2017-10-19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80006341A (ko) * 2016-07-08 2018-01-17 유길용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922174B1 (ko) * 2016-07-08 2018-11-26 주식회사 디딤돌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706609B1 (ko)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DE112016007341T5 (de) 2016-10-13 2019-06-27 Fine Dnc Co., Ltd Evakuierungsvorrichtung mit integriertem Klappsicherheitsgeländer und Außenfluchttreppe
GB2561038B (en) * 2016-10-13 2021-12-15 Fine Dnc Co Ltd Intergrated folding safety handrail and outdoor escape stairs
WO2018070602A1 (ko) * 2016-10-13 2018-04-19 (주)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
AU2016425976B2 (en) * 2016-10-13 2019-07-04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US10260285B2 (en) 2016-10-13 2019-04-16 Fine Dnc Co., Ltd.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GB2561038A (en) * 2016-10-13 2018-10-03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JP2018533379A (ja) * 2016-10-13 2018-11-15 ファイン ディーエヌ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Fine Dnc Co. Ltd 一体型畳み式安全欄干及び屋外避難階段として活用される避難待避装置。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50700B1 (ko) *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WO2018101602A1 (ko) * 2016-12-02 2018-06-07 (주)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KR101910740B1 (ko) 2017-05-16 2018-10-22 유순기 비상계단용 프리존 기능을 가지는 힌지장치
KR101843842B1 (ko) * 2017-06-16 2018-03-30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WO2018230836A1 (ko) * 2017-06-16 2018-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180137688A (ko) 2017-06-19 2018-12-28 유순기 비상탈출 계단용 증속부 일체형 점성유체 댐퍼
KR102020229B1 (ko) * 2017-06-19 2019-11-04 유순기 비상탈출 계단용 증속부 일체형 점성유체 댐퍼
KR101840434B1 (ko) * 2017-07-16 2018-03-20 김성열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903545B1 (ko) 2017-08-28 2018-10-02 류순모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US10653900B2 (en) 2017-08-28 2020-05-19 Edun-Eng Co., Ltd. Lifesaving system using drone and lifesav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9045219A1 (ko) * 2017-08-30 2019-03-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863901B1 (ko) *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US11549310B2 (en) 2017-08-30 2023-01-1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Foldable balcony balustrade-combined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KR101976277B1 (ko) 2017-10-27 2019-08-28 유순기 유성기어 증속기를 가지는 타원형 하우징 점성유체 댐퍼
KR101962656B1 (ko) * 2017-10-31 2019-03-27 류순모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976281B1 (ko) 2017-11-20 2019-08-28 유순기 프리존 기능을 가지는 증속기 일체형 오리피스 점성유체 댐퍼
CN110255450A (zh) * 2019-06-26 2019-09-20 燕山大学 一种折叠式高空升降维修梯
CN110255450B (zh) * 2019-06-26 2021-03-30 燕山大学 一种折叠式高空升降维修梯
KR102126502B1 (ko) 2020-01-10 2020-07-08 엄태형 인명 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KR20220032353A (ko) 2020-09-07 2022-03-15 김학선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및 방법
CN112282397A (zh) * 2020-09-10 2021-01-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建设公司 一种人工掏挖基础施工紧急避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5034A (ja) 2018-02-22
CN204972726U (zh) 2016-01-20
CN106267594A (zh) 2017-01-04
WO2016190488A2 (ko) 2016-12-01
WO2016190488A3 (ko) 2017-05-18
PH12017502058A1 (en) 2018-04-23
JP6355864B2 (ja)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00138585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KR101047147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69645B1 (ko)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