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434B1 - 화재 대피용 난간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434B1
KR101840434B1 KR1020170090080A KR20170090080A KR101840434B1 KR 101840434 B1 KR101840434 B1 KR 101840434B1 KR 1020170090080 A KR1020170090080 A KR 1020170090080A KR 20170090080 A KR20170090080 A KR 20170090080A KR 101840434 B1 KR101840434 B1 KR 10184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lcony
escape
do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열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열 filed Critical 김성열
Priority to KR102017009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양측 이웃세대 발코니 사이에 통로를 확보하여 이 통로를 통해 중증환자가 탑승한 휠체어나 침대를 간단히 밀어서 옆 이웃세대로 탈출시키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건축물 발코니(A)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는 고정프레임(2); 측면이 펼침과 복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평상시 난간(1)으로 사용하고 화재발생시 측면이 펼쳐져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이 통로가 이웃세대 발코니(A-1)까지 도달하여 양측 세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탈출자가 통로를 이용하여 이웃세대 발코니(A-1)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로를 제공하는 이동프레임(3);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이동프레임(3)과 함께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회전하여 발코니(A)에서 통로로 진입하는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4); 이동프레임(3)을 잠그는 제1잠금수단(5); 및 도어(4)를 잠금하여 제2잠금수단(6);을 포함하고,
화재발생시 이동프레임(3) 측면을 펼쳐 통로를 확보하고, 통로가 형성된 이동프레임(3)을 회전시킨 다음, 도어(4)를 회전시켜 발코니(A)와 연결된 출입구를 확보하여 이 출입구를 통해 이웃세대 발코니(A-1)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난간{Fire escape balustrade}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축물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미쳐 현관문으로 탈출하지 못하고 세대 내부에 갇힌 휠체어에 앉은 환자나 침대에 누운 환자를 옆 이웃세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코니의 난간 일부를 회전시켜 옆 이웃세대의 발코니 사이에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여 바퀴가 달린 휠체어나 또는 침대를 들어서 옮기지 않고 환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그대로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써 환자를 휠체어 또는 침대와 함께 간단히 탈출시켜 귀중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여 탈출자가 미쳐 현관문으로 탈출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옆 이웃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각 세대 발코니 사이에 충격을 가하면 파손되어 대피로가 확보되는 칸막이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이웃세대 구성원이 칸막이를 뚫고 자신의 세대로 침입하는 것을 꺼려 이웃세대는 칸막이 근처에 짐을 쌓아 탈출로를 원천 봉쇄하여 사실상 발코니로 대피한 탈출자는 이웃세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사정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대형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축물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현관문을 빠져나온 탈출자는 외부로 대피할 수 있지만, 미쳐 실내를 빠져나오지 못하는 탈출자가 세대 내부에 갇힐 경우에는 거기에 구비된 완강기와 같은 구조장비를 이용하여 탈출하거나, 또는 소방차의 고가 사다리와 같이 외부 도움을 받아 탈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도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중증환자, 예컨대 허리를 크게 다쳐 움직이지 못하여 휠체어 앉은 환자 또는 침대에 누운 환자는 휠체어나 또는 침대와 같이 대피하여야 하므로 완강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고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사실상 대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현관문으로 탈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건강한 탈출자를 비롯하여 휠체어나 침대에 의존하는 중증환자는 유일한 탈출구인 발코니로 이동하여 외부에 간절히 구조를 요청하면서 기다리지만, 소방차가 늦게 도착하거나 또는 일찍 도착하더라도 고가 사다리가 도달하지 못한 높은 장소에 위치한 탈출자는 구조가 불가능하여 이들을 눈앞에 두고서도 구조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알면서도 딱히 구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인명 피해가 계속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 매우 안타깝기만 하다.
종래에 고층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발코니로 대피한 탈출자를 구조하는 구조장치는 무수히 많이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발코니에서 아래층 세대로 사다리를 연결하거나 또는 발코니 바닥을 뚫어 확보된 탈출구 사이로 사다리나 미끄럼봉을 연결하여 탈출자가 아래층 세대로 대피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피시설은 사다리나 미끄럼봉을 타고 이동해야 하므로 신체가 건강한 탈출자들은 아래층 세대로 탈출할 수 있으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비롯하여 스스로 움직하지 못하는 중증환자와 같은 탈출자는 휠체어나 침대에 탑승한 그 상태에서 사다리를 이용하지 못하므로 탈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종래 인명 구조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1676346호가 개시되었다. 이 기술은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로서, 탈출구를 갖춘 난간과 벽체를 구비하는 베란다; 상기 베란다에 설치되어 난간에 수용실을 형성하는 안전펜스; 상기 난간의 탈출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롤러가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탈출구를 관통하도록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사다리; 상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안전펜스의 모서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앵글; 상기 가이드앵글을 따라 승강하고, 가이드레일의 롤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탈출구를 차폐하며, 스토퍼와 인양줄을 구비하는 거치대; 상기 벽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과, 이송블록에 설치되어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윈치와, 윈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윈치를 동작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74327호의 아파트 비상 탈출 장치가 개시되었다. 이 기술은 아파트의 베란다에 구비되어 비상상황 발생시 거주자의 탈출을 용이하게 하는 아파트 비상 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란다의 내측 벽면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20); 상기 회전부재(20)의 어느 한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는 거치대(30)에 안착되며, 끝단에는 일정 넓이의 발판(42)이 형성된 지지부재(40); 및 상기 회전부재(20)의 다른 한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란다의 외측 벽면에 설치되는 클램프(50)에 의해 탈착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ㅏ'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60)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겁고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30)에서 분리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60)는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클램프(50)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휠체어나 침대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중증환자가 탑승한 휠체어나 침대를 밀어서 옆 세대로 탈출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다른 기술로는 본 출원인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663028호의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이 있다. 이 기술은 발코니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일단이 회전축(H)에 의해 결합되어 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 프레임(20); 및 고정 프레임(10)과 회동 프레임(20) 간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20)을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장치(3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회전하지 않는 제 1 기어(61)를 고정 설치하고, 회동 프레임(20)에 제 1 기어(6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 기어(62)를 설치하며, 제 2 기어(62)의 축(S)을 탑승 프레임(40)까지 연장하고, 축(S)의 말단에 제 3 기어(63) 및 제 3 기어(63)와 치합되는 제 4 기어(64)를 설치하며, 제 4 기어(64)에 핸들(65)을 설치한 기술이다.
본 출원인이 선등록받은 상기 종래 기술은 회동 프레임에 탑승 프레임을 장착하여 회동 프레임을 회전시켜 탑승 프레임에 수용된 탈출자를 옆 이웃세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도 이웃세대의 발코니와 연결하는 통로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의존하는 휠체어나 침대를 밀어서 탑승 프레임으로 이동시키기 못하여 사실상 중증 환자를 구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중증환자가 탑승하고 있는 휠체어 또는 침대를 간단히 밀어서 옆 이웃세대로 탈출시킬 수 있는 화재 대피용 발코니 난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3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43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3028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발코니 난간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코니의 난간을 구성하는 이동프레임을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접어서 난간 용도로 사용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이동프레임을 펼쳐 통로를 확보한 후 이를 회전시켜 옆 이웃세대의 발코니까지 도달하게 한 다음 양측 이웃세대의 난간에 설치된 도어를 개방하여 양측 이웃세대 발코니 사이에 통로를 확보하여 이 통로를 통해 중증환자가 탑승한 휠체어나 침대를 간단히 밀어서 옆 이웃세대로 탈출시켜 소중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화재 대피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재 대피용 난간은 건축물 발코니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코니의 난간을 형성하는 고정프레임;
측면이 펼침과 복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발코니의 난간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측면이 펼쳐져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이 통로가 이웃세대 발코니까지 도달하여 양측 세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탈출자가 상기 통로를 이용하여 이웃세대 발코니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로를 제공하는 이동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과 함께 발코니의 난간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회전하여 발코니에서 통로로 진입하는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
평상시 상기 이동프레임이 난간 기능을 하도록 이동프레임을 잠금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1잠금수단; 및
평상시 상기 도어가 난간 기능을 하도록 도어를 잠금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2잠금수단;을 포함하고,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제1잠금수단을 해제한 후, 이동프레임 측면을 펼쳐 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통로가 확보된 이동프레임을 이웃세대의 발코니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킨 다음, 제2잠금수단을 해제하고 도어를 회전시켜 발코니와 통로 사이에 입구를 확보하여, 이 입구와 통로를 통해 이웃세대의 발코니까지 이동한 후 이웃세대 발코니의 도어를 개방하여 출구를 확보함으로써 이 출구를 통해 이웃세대 발코니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프레임은 평상시 난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재 내부 전역에 복수 개의 수직봉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발코니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
테두리부재 내부 중앙부분에 복수 개의 수직봉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내측프레임과 병렬로 배치되도록 발코니 외측방향에 위치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외측프레임;
한 쌍으로 구성된 몸체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접힘과 펼침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 몸체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내측프레임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 몸체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어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
상기 내,외측프레임 양측단 외측에 제1,2레버가 각각 내,외측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교차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펼침 또는 복원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한 쌍의 몸체로 구성된 상기 바닥부재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 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몸체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내측프레임의 테두리부재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는 제1받침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타측 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몸체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외측프레임 테두리부재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받침부재와 힌지축으로 조립되는 제2받침부재; 및
상기 제1받침부재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양측 몸체가 통로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제2받침부재 상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2받침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프레임을 회전시켜 그의 자유단부를 이웃세대의 발코니에 근접시키면 외측프레임의 중앙 수직봉 양측에 준비된 공간부는 양측 세대의 도어와 대응되어, 탈출자가 상기 양측 도어를 개방할 때 개방된 각 도어는 그와 대응되는 공간부를 통해 통로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확보된 양측 입구와 출구가 이동프레임의 통로와 연통되어 이웃세대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프레임이 회전하여 이웃세대의 발코니에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를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웃세대 발코니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프레임과 이웃세대 발코니에 모두 설치하여, 감지센서가 이동프레임이 근접됨을 감지하면 이웃세대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경비실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이웃세대와 경비실에 모두 설치된 경보수단이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점멸하여 이웃세대 주민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난간은 화재가 발생하면 평상시 난간으로 사용된 이동프레임을 탈출자가 펼쳐서 통로를 확보한 다음 이웃세대의 난간에 있는 양측 도어를 개방하면 이웃세대 발코니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되므로, 중증환자가 탑승하고 있는 휠체어나 또는 침대를 탈출로로 밀어서 이웃세대 발코니로 신속히 이동하여 간단히 탈출할 수 있으므로 귀중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난간이 적용된 아파트 전경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면 중 양측 옆 이웃세대의 난간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난간이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된 것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좌측 세대의 난간을 구성하느 이동프레임이 회전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프레임을 펼쳐 통로를 확보한 다음에 그 이동프레임을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펼쳐져 통로를 확보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가 접힌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처짐방지수단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가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통로를 만든 상태에서 양측 세대의 도어가 개방되어 양측 이웃세대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이동프레임을 확대하여 탈출로가 확보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용 난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난간(1)은 크게 구분하면, 고정프레임(2), 화재발생시 통로를 형성하는 이동프레임(3), 상기 통로에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4), 상기 이동프레임(3)이 임의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하는 제1잠금수단(5), 및 상기 도어(4)가 임의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하는 제2잠금수단(6)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은 건축물, 예컨대 아파트 발코니(A)에 설치된 난간(1)을 붇박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은 아파트 구조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난간(1)을 구성하는 것들 중 이동프레임(3)과 도어(4)를 제외한 나머지 것들이 모두 고정프레임(2)이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은 세대간을 구분하는 측벽(B)과 발코니(A) 바닥에 매립되어 발코니(A)의 난간(1)을 붇박이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이동프레임(3)은 화재발생시 펼쳐서 이웃세대의 발코니(A-1) 사이에 탈출로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동프레임(3)은 측면이 펼침과 복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2)과 함께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측면이 펼쳐져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이 통로가 이웃세대 발코니(A-1)까지 도달하여 양측 세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탈출자가 상기 통로를 이용하여 이웃세대 발코니(A-1)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로를 제공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3)은 평상시 난간(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재(311) 내부 전역에 복수 개의 수직봉(312)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발코니(A)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31);
테두리부재(321) 내부 중앙부분에 복수 개의 수직봉(322)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내측프레임(31)과 병렬로 배치되도록 발코니(A) 외측방향에 위치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외측프레임(32);
한 쌍으로 구성된 몸체(331)(332)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접힘과 펼침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 몸체(331)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내측프레임(31)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 몸체(332)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32)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어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33);
상기 내,외측프레임(31)(32) 양측단 외측에 제1,2레버(341)(342)가 각각 내,외측프레임(31)(32)과 연결되도록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교차부의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내측프레임(31)과 외측프레임(32)을 펼침 또는 복원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34); 및
한 쌍의 몸체(331)(332)로 구성된 상기 바닥부재(33)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3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프레임(3)은 평상시 난간(1)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내측프레임(31)과 외측프레임(32)이 긴밀하게 접힌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내측프레임(31)은 난간(1)으로 사용할 때 발코니(A)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직봉(312)이 전역에 걸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조립되어 안전한 난간(1)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프레임(32)은 도 5와 같이 중앙부분에 수직봉(322)이 집중 조립되고, 그 양측에는 수직봉(322)이 조립되지 않아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프레임(32)의 내부 양측에 수직봉(322)을 조립하지 않는 이유는 도 13과 같이 통로가 확보된 이동프레임(3)이 회전시켜 그의 자유단부를 이웃세대의 발코니(A-1)에 근접시키면 외측프레임(32)의 중앙 수직봉 양측에 준비된 공간부는 양측 세대의 도어(4)와 대응되어, 탈출자가 상기 양측 도어(4)를 개방할 때 개방된 각 도어(4)는 그와 대응되는 공간부를 통해 통로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4)의 개방으로 확보된 양측 입구(C)와 출구(D)가 이동프레임(3)의 통로와 연통되어 이웃세대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외측프레임(32)의 중앙 수직봉 양측 공간부는 탈출자가 통로로 출입하는 입구(C)와 출구(D)가 된다.
상기 바닥부재(33)는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부재(33)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된 양측 몸체(331)(332)가 접힘과 펼침가능하게 조립된다. 양측 몸체(331)(332)를 연결하는 일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양측 몸체(331)(332) 중앙부분을 경첩(333)으로 연결하여 접힘과 펼침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통로를 이동할 때 접히는 중앙부분이 탈출자의 체중에 의해 하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처짐방지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경첩(333)의 최대 회전각도를 180도로 하면 간단히 처짐방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경첩이 180만 회전하게 되면 바닥부재(33)를 펼칠 때 양측 몸체(331)(332)가 경첩에 의해 180도 이상 회전하지 않아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탈출자 통로를 이동하더라도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33)는 일측 몸체(331)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내측프레임(31)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 몸체(332)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32)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는데, 도 7과 같이 이들을 경첩(334)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경첩(334)의 경우도 180도로 회전하게 하여 탈출자가 통과할 때 양측 몸체가 (331)(332)가 내,외측프레임(31)(32)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바닥부재(33)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35)의 다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바닥부재(33)의 일측 몸체(3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몸체(331)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내측프레임(31)의 테두리부재(311)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는 제1받침부재(351);
상기 바닥부재(33)의 타측 몸체(33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몸체(332)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외측프레임(32)의 테두리부재(321)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받침부재(351)와 힌지축(H)으로 조립되는 제2받침부재(352); 및
상기 제1받침부재(351)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양측 몸체(331)(332)가 통로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제2받침부재(352)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352a)에 삽입되어 상기 제1,2받침부재(351)(35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53);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처짐방지수단(35)은 이동프레임(3)을 접어 난간(1)으로 사용할 때 바닥부재(33)의 양측 몸체(331)(332)가 접히는데, 이때 제1받침부재(351)의 돌출된 자유단부가 몸체(332) 상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돌출된 자유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도 11과 같이 몸체(332)에 절개부(332a)를 형성하여 바닥부재(33)가 접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처짐방지수단(35)은 바닥부재(33)가 펼쳐져 양측 몸체(331)(332)가 수평위치에 도달할 때 제1받침부재(351)의 스토퍼(353)가 제2받침부재(352)의 수용홈(352a)에 삽입되어 양측 몸체(331)(332)는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하부로 쳐지지 않아 안전한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34)은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제1,2레버(341)(342)가 교차되게 연결되고 각각의 단부가 내측프레임(31)과 외측프레임(32)에 연결되어 내측프레임(31)과 외측프레임(32)을 펼침 또는 복원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통로의 양단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양측 이웃세대의 난간(1)에 설치된 양측 도어(4)가 통로 내부로 회전하여 입구(C)와 출구(D)를 개방할 때 상기 제1,2레버(341)(342)는 도어(4)가 통로 외부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통로는 입구(C)와 출구(D)를 제외하고 사방이 차단되어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도어(4)는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이동프레임(3)과 함께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고,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회전하여 발코니(A)에서 통로로 진입하는 입구(C)와 출구(D)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4)는 탈출로를 형성할 때 통로 내부로 회전하여 입구(C)와 출구(D)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잠금수단(5)은 이동프레임(3)이 난간(1) 기능을 할 때 안전을 위해 열리지 않도록 이동프레임(3)을 잠금하는 것이다. 상기 제1잠금수단(5)은 고정프레임(2)에 설치된 잠금부재(51)와, 상기 잠금부재(5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부재(51)에 삽입될 때 이동프레임(3)을 잠금하고 잠금부재(51)에서 벗어날 때 이동프레임(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막대(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막대(52)는 잠금부재(51) 내부에 수용될 때 이동프레임(3)을 차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상기 제2잠금수단(6)은 도어(4)가 난간(1) 기능을 할 때 안전을 위해 열리지 않도록 도어(4)를 잠금하는 것이다. 상기 제2잠금수단(6)은 고정프레임(2)에 설치된 잠금부재(61)와, 상기 잠금부재(61) 일측 도어(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막대(62)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막대(62)가 도어(4)에 설치되므로 도어(4)와 잠금막대(62)는 일체가 되어 이 잠금막대(62)가 잠금부재(61) 내부에 수용되면 도어(4)는 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재 대피용 난간(1)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웃세대 거주자가 통로를 이용하여 양측 세대 발코니(A)(A-1)로 부당하게 침입하는 것을 알리는 수단을 갖추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프레임(3)이 회전하여 상대방이 각자의 발코니(A)(A-1)에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미도시)를 상기 이동프레임(3)에 설치하거나, 또는 발코니(A)(A-1)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프레임(3)과 발코니(A)(A-1)에 모두 설치하여, 감지센서가 이동프레임(3)이 근접됨을 감지하면 이웃세대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경비실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이웃세대와 경비실에 모두 설치된 경보수단이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점멸하여 이웃세대 주민이 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웃세대의 발코니 부호를 (A)(A-1)로 표시하는 이유는 양측 세대 입장에서 보면 상대방이 이웃세대 이므로 양측 세대 발코니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할 때 탈출자가 이동프레임(3)을 펼쳐서 바퀴가 구르는 바닥면이 구비된 통로를 확보한 다음 이웃세대의 난간(1)의 양측 도어(4)를 개방하면 이웃 양측 세대 발코니(A)(A-1)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되므로, 중증환자가 탑승하고 있는 휠체어나 또는 침대를 밀어 탈출로를 통해 이웃세대 발코니(A-1)로 신속히 이동하여 간단히 탈출할 수 있으므로 귀중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1 : 난간 2 : 고정프레임
3 : 이동프레임 4 : 도어
5 : 제1잠금수단 6 : 제2잠금수단
31 : 내측프레임 32 : 외측프레임
33 : 바닥부재 34 : 지지수단
35 : 처짐방지수단 51,61 : 잠금부재
52,62 : 잠금막대 351 :제1받침부재
352 : 제2받침부재 353 : 스토퍼
A : 발코니 A-1 : 이웃세대 발코니
C : 입구 D : 출구

Claims (5)

  1. 건축물 발코니(A)의 단부에 설치되어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는 고정프레임(2);
    측면이 펼침과 복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2)과 함께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측면이 펼쳐져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이 통로가 이웃세대 발코니(A-1)까지 도달하여 양측 세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탈출자가 상기 통로를 이용하여 이웃세대 발코니(A-1)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로를 제공하는 이동프레임(3);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 상기 고정프레임(2) 및 이동프레임(3)과 함께 발코니(A)의 난간(1)을 형성하며, 화재발생시 탈출자에 의해 회전하여 발코니(A)에서 통로로 진입하는 출입구를 제공하는 도어(4);
    평상시 상기 이동프레임(3)이 난간(1) 기능을 하도록 이동프레임(3)을 잠금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1잠금수단(5); 및
    평상시 상기 도어(4)가 난간(1) 기능을 하도록 도어(4)를 잠금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2잠금수단(6);을 포함하고,
    화재발생시 탈출자가 제1잠금수단(5)을 해제한 후, 이동프레임(3) 측면을 펼쳐 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통로가 확보된 이동프레임(3)을 이웃세대의 발코니(A-1)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킨 다음, 제2잠금수단(6)을 해제하고 도어(4)를 회전시켜 발코니(A)와 통로 사이에 입구(C)를 확보하여, 이 입구(C)와 통로를 통해 이웃세대의 발코니(A-1)까지 이동한 후 이웃세대 발코니(A-1)의 도어(4)를 개방하여 출구(D)를 확보함으로써 이 출구(D)를 통해 이웃세대 발코니(A-1)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이동프레임(3)은 평상시 난간(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재(311) 내부 전역에 복수 개의 수직봉(312)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발코니(A)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내측프레임(31);
    테두리부재(321) 내부 중앙부분에 복수 개의 수직봉(322)이 간격을 두고 조립되고, 내측프레임(31)과 병렬로 배치되도록 발코니(A) 외측방향에 위치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외측프레임(32);
    한 쌍으로 구성된 몸체(331)(332)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접힘과 펼침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 몸체(331)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내측프레임(31)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 몸체(332) 길이방향 외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32) 하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조립되어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33);
    상기 내,외측프레임(31)(32) 양측단 외측에 제1,2레버(341)(342)가 각각 내,외측프레임(31)(32)과 연결되도록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교차부의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내측프레임(31)과 외측프레임(32)을 펼침 또는 복원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34); 및
    한 쌍의 몸체(331)(332)로 구성된 상기 바닥부재(33)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331)(332)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수단(35);을 포함하고;

    상기 처짐방지수단(35)은 상기 바닥부재(33)의 일측 몸체(3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몸체(331)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내측프레임(31)의 테두리부재(311)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는 제1받침부재(351);
    상기 바닥부재(33)의 타측 몸체(33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몸체(332) 하부에 고정되고 그 일단부가 외측프레임(32) 테두리부재(321) 하부에 힌지축으로 조립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받침부재(351)와 힌지축으로 조립되는 제2받침부재(352); 및
    상기 제1받침부재(351) 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양측 몸체(331)(332)가 통로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펼쳐질 때 제2받침부재(352)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352a)에 삽입되어 상기 제1,2받침부재(351)(35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토퍼(3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난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을 회전시켜 그의 자유단부를 이웃세대의 발코니(A-1)에 근접시키면 외측프레임(32)의 중앙 수직봉(322) 양측에 준비된 공간부는 양측 세대의 도어(4)와 대응되어, 탈출자가 상기 양측 도어(4)를 개방할 때 개방된 각 도어(4)는 그와 대응되는 공간부를 통해 통로 내부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4)의 개방으로 확보된 양측 입구(C)와 출구(D)가 이동프레임(3)의 통로와 연통되어 양측 세대의 발코니(A)(A-1) 사이에 탈출로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난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이 회전하여 양측 세대의 발코니(A)(A-1)에 근접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를 상기 이동프레임(3)에 설치하거나, 또는 양측 세대 발코니(A)(A-1)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프레임(3)과 양측 세대 발코니(A)(A-1)에 모두 설치하여, 감지센서가 이동프레임(3)이 근접됨을 감지하면 이웃세대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경비실에 설치된 경보수단, 또는 이웃세대와 경비실에 모두 설치된 경보수단이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점멸하여 이웃세대 주민이 이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난간.
KR1020170090080A 2017-07-16 2017-07-16 화재 대피용 난간 KR10184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080A KR101840434B1 (ko) 2017-07-16 2017-07-16 화재 대피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080A KR101840434B1 (ko) 2017-07-16 2017-07-16 화재 대피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434B1 true KR101840434B1 (ko) 2018-03-20

Family

ID=6191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080A KR101840434B1 (ko) 2017-07-16 2017-07-16 화재 대피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510A (zh) * 2018-12-04 2019-02-19 福建工程学院 一种可逃生窗户防盗网结构及其工作方法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20240008748A (ko) 2022-07-12 2024-01-19 엄태형 대피 기능을 갖는 발코니 난간
KR102644652B1 (ko) * 2023-05-08 2024-03-08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피난구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05B1 (ko) *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663028B1 (ko) * 2016-03-15 2016-10-06 김성열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05B1 (ko) * 2015-05-22 2015-10-23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663028B1 (ko) * 2016-03-15 2016-10-06 김성열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510A (zh) * 2018-12-04 2019-02-19 福建工程学院 一种可逃生窗户防盗网结构及其工作方法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20240008748A (ko) 2022-07-12 2024-01-19 엄태형 대피 기능을 갖는 발코니 난간
KR102644652B1 (ko) * 2023-05-08 2024-03-08 주식회사 이 건 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피난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34B1 (ko) 화재 대피용 난간
ES2602208T3 (es) Barrera contra incendios o humos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2005895B1 (ko)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KR101925617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2076672B1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WO2018230837A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CH638862A5 (it) Impianto antirapina con porta mobile angolarmente, controllante l'accesso al locale protetto.
KR20110003154A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US51039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ire escape for a multi-story building
US4211306A (en) Emergency building escape ladder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20100092175A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262991B1 (ko) 사다리차용 승강기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EP0440636B1 (en) Emergency stairs for external mounting on buildings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KR101725864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