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864B1 -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 Google Patents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864B1
KR101725864B1 KR1020160154712A KR20160154712A KR101725864B1 KR 101725864 B1 KR101725864 B1 KR 101725864B1 KR 1020160154712 A KR1020160154712 A KR 1020160154712A KR 20160154712 A KR20160154712 A KR 20160154712A KR 101725864 B1 KR101725864 B1 KR 10172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building
vertical frame
spaced apar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곤
Original Assignee
(주)경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경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5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축물에 시공된 창문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측 양단에서 건축물의 외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끝단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직보강바 및 수직프레임의 하측 양단에 형성된 고정바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보강바로 구성되는 고정형난간부,
일측은 건축물의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 경계지점에 위치되는 슬래브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바 및 수평보강바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피난구가 구비된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추락방지용가드부로 구성되는 이동형난간부,
상기 피난구에 경첩을 통해 설치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피난구를 개방시키면서 하층부로의 대피를 안내하는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형성하는 대피가이드부,
상측은 상기 수평보강바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대피가이드부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상기 피난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폐쇄유지부,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슬래브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난간부를 건축물의 외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유지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형난간부가 전진될 경우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폐쇄유지부를 커팅하여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본 발명은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 할 경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축물에서 화재 발생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평상시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 상황시 사다리를 펴서 외부와 연결되는 탈출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난간 겸용 사다리가 다수의 공개 문헌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그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에는 난간대의 일측에 비상 사다리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 방향으로 펴서 비상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는 난간대 일측에 비상 사다리가 절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사다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감으로 인하여 잡고 있던 사다리를 놓쳤을 경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추락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간을 사다리로 변형시 변형된 사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이동시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394호(2004.04.2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미끄럼틀 방식으로 타고 내려갈 수 있는 대피로가 자동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일반 성인뿐만 아니라 노약자, 유아,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수월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축물에 시공된 창문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측 양단에서 건축물의 외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끝단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직보강바 및 수직프레임의 하측 양단에 형성된 고정바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보강바로 구성되는 고정형난간부; 일측은 건축물의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 경계지점에 위치되는 슬래브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바 및 수평보강바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피난구가 구비된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추락방지용가드부로 구성되는 이동형난간부; 상기 피난구에 경첩을 통해 설치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피난구를 개방시키면서 하층부로의 대피를 안내하는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형성하는 대피가이드부; 상측은 상기 수평보강바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대피가이드부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상기 피난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폐쇄유지부;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슬래브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난간부를 건축물의 외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으로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 상기 확장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유지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형난간부가 전진될 경우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폐쇄유지부를 커팅하여 상기 대피가이드부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피난구 및 상기 보조피난구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추락방지용가드부에는 사다리부가 브라켓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사다리부는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상기 보조피난구를 통과하여 하층부에 위치된 수직프레임과 추락방지용가드부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디딤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이동형난간부가 자동으로 전진 작동되어 난간 상에 대피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형난간부에 설치된 대피가이드부가 하층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형성하게 되어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 유아,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수월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형난간부에 피난구, 보조피난구, 대피가이드부, 사다리부를 다수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의 확장부에서 여러 명의 대피자가 동시에 대피 할 수 있음에 따라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이동형난간부 및 사다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대피가이드부와 폐쇄유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확장부에 사다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원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이동형 난간부 및 사다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대피가이드부와 폐쇄유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확장부에 사다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1)은, 고정형난간부(10), 이동형난간부(20), 대피가이드부(30), 폐쇄유지부(40), 인출부(50), 커팅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난간부(10)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축물에 시공된 창문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수직프레임(11)과,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하측 양단에서 건축물의 외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고정바(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1)의 내부공간을 따라서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수직보강바(13)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측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바(12)의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수평보강바(14)가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고정바(12)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상기 각각의 고정바(12) 끝단에는 베란다의 외측벽면에 앙카볼트(미도시)를 통해 결합되는 사각판 형상의 플랜지(P)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고정바(12)와 수직보강바(13) 및 수평보강바(14)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형난간부(10)는 베란다 또는 방의 내부에 시공된 창가를 일정한 높이로 막아 사람이나 물건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형난간부(20)는 화재, 지진 등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후술되는 대피가이드부(30)와 함께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장부(21)와, 추락방지용가드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부(21)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피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확장부(21)는 일부분이 상기 건축물의 상층부와 하충부 사이 경계지점에 위치되는 슬래브(100)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01)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바(12) 및 수평보강바(14)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슬래브(100)에 마련된 수용공간(101)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21) 및 후술되는 인출부(50)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확장부(21) 중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피난구(21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난구(21a)는 150kg 이상의 비만자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추락방지용가드부(22)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21)의 상면 끝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용가드부(22)는 상기 확장부(21)가 후술되는 인출부(50)에 의해 인출 작동되기 전까지는 수직프레임(11)과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확장부(21)가 인출 작동될 경우 수직프레임(11)과 멀어져 그 사이에 대피자가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추락방지용가드부(22)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대피자가 대피하는 과정에서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한편,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상기 확장부(21)에 대피자가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피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상기 피난구(21a)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피난구(21a)에 삽입된다.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경첩(90)을 통해 확장부(21)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대피가이드부(30)는 평상시 후술되는 폐쇄유지부(40)에 의해 피난구(21a)를 폐쇄시키며, 폐쇄유지부(40)가 끊어질 경우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난구(21a)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확장부(21)의 저면에는 상기 하 방향으로 회동된 대피가이드부(30)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8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80)는 확장부(21)의 저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는 수평부(81) 및 상기 수평부(81)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 방향으로 회동된 대피가이드부(30)의 저면을 실제로 지지하는 경사부(8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경사부(82)와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제공하여, 대피자는 상기 대피가이드부(30)를 타고 하층부에 위치한 다른 확장부(21)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80)는 대피가이드부(30)의 하중 뿐만 아니라 대피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폐쇄유지부(40)는 노끈, 와이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은 상기 수평보강바(14)에 묶음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대피가이드부(30)의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31)에 묶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상기 이동형난간부(20)가 후술되는 인출부(50)에 의해 전진 작동 하기 전까지는 상기 피난구(21a)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인출부(50)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이동형난간부(20)를 전진 작동시켜, 고정형난간부(10)와 이동형난간부(20)의 사이에 대피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면서 폐쇄유지부(40)가 커팅부(60)에 의해 끊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슬래브(100)의 수용공간(101)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출부(50)는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슬래브(100)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이동형난간부(20)를 전진 시킬 경우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인출부(50)는 공지의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51)가 상기 확장부(21)의 끝단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인출부(5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공급장치(미도시)는 상기 슬래브(100)의 수용공간(10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인출부(50)의 내부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될 경우 로드(51)가 인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형난간부(20)가 전진 작동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으로 대피가이드부(30)가 노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확장부(21)의 저면에는 슬래브(100)를 따라 구름이동하는 다수개의 바퀴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이동형난간부(20)가 용이하게 전진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부(50)는 공지의 화재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화재발생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화재발생 신호에 의해 공급장치를 작동시켜 인출부(5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인출부(50)는 상기 이동형난간부(20)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전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쇄유지부(40)는 이동형난간부(20)가 전진 작동할 경우, 커팅부(60)를 통해 쉽게 끊어질 수 있다.
상기 커팅부(60)는 지지대(61)를 통해 상기 확장부(21)의 상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형태로 설치되고, 화재나 지진이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폐쇄유지부(4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60)는 화재나 지진이 발생되어 상기 이동형난간부(20)가 인출부(50)에 의해 전진 작동될 경우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폐쇄유지부(40)의 일부분을 커팅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폐쇄유지부(40)의 지지력이 소멸됨에 따라 상기 대피가이드부(30)는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1)은 건축물의 모든 층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 또한 건축물의 모든 층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모든 층에 설치된 인출부(5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대피자는 어느 층에 위치하고 있던지 각 층마다 제공된 대피로를 통해 지상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확장부(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피난구(21b)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피난구(21b)는 추가 대피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150kg 이상의 비만자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즉, 상기 확장부(21)에 피난구(21a)와 보조피난구(21b)를 형성하므로서, 하나의 확장부(21)에서 두명 이상의 대피자가 동시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층부에 위치된 확장부(21)에 형성되는 보조피난구(21b)와 하층부에 위치된 확장부(21)에 형성되는 보조피난구(21b)는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용가드부(22)에는 대피자가 상기 보조피난구(21b)를 통해 하층부로 수월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사다리부(70)가 브라켓(221)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확장부(21)의 상면에는 상기 사다리부(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1c)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난구(21a)와 보조피난구(21b)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고정홀(21c)은 상기 보조피난구(21b)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피난구(21a)를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와 보조피난구(21b)를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가 충돌하지 않고 수월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부(70)는 본체부(71), 위치고정부(72), 디딤부(7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71), 위치고정부(72), 디딤부(73)는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됨으로, 대피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본체부(7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71)는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상기 보조피난구(21b)를 관통하여 하층부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1)과 추락방지용가드부(2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고정부(72)는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추락방지용가드부(2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된 본체부(71)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어느 일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부(72)는 상기 본체부(7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부(72)는 일측이 상기 고정홀(21c)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71)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홀(21c)과 위치고정부(72)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고정부(72)는 고정홀(21c)에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부(71) 또한 회전되지 않아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딤부(73)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기 본체부(71)의 양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71)의 일측에 형성된 디딤부(73)와 본체부(71)의 타측에 형성된 디딤부(73)는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대피자는 상기 디딤부(73)들을 순차적으로 밟아가면서 하층부에 위치된 확장부(21)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을 반복하여 건축물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비상상황 발생시 이동형난간부(20)가 자동으로 전진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대피가이드부(30)가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제공함에 따라 성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 유아,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수월하고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난간부(20)에 피난구(21a), 보조피난구(21b), 대피가이드부(30), 사다리부(70)를 다수개로 형성할 경우, 하나의 확장부(21)에서 여러 명의 대피자가 동시에 대피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고정형난간부 11 : 수직프레임
12 : 고정바 13 : 수직보강바
14 : 수평보강바 20 : 이동형난간부
21 : 확장부 21a : 피난구
21b : 보조피난구 21c : 고정홀
22 : 추락방지용가드부 221,31 : 브라켓
30 : 대피가이드부 40 : 폐쇄유지부
50 : 인출부 51 : 로드
60 : 커팅부 61 : 지지대
70 : 사다리부 71 : 본체부
72 : 위치고정부 73 : 디딤부
80 : 지지부 81 : 수평부
82 : 경사부 90 : 경첩
100 : 슬래브 101 : 수용공간

Claims (2)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축물에 시공된 창문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하측 양단에서 건축물의 외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그 끝단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바(12)와, 상기 수직프레임(11)의 내부공간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직보강바(13) 및 수직프레임(11)의 하측 양단에 형성된 고정바(12)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보강바(14)로 구성되는 고정형난간부(10),
    일측은 건축물의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 경계지점에 위치되는 슬래브(100)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01)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바(12) 및 수평보강바(14)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되, 상기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피난구(21a)가 구비된 확장부(21)와, 상기 확장부(21)의 끝단에서 상측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추락방지용가드부(22)로 구성되는 이동형난간부(20),
    상기 피난구(21a)에 경첩(90)을 통해 설치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피난구(21a)를 개방시키면서 하층부로의 대피를 안내하는 경사진 형태의 대피로를 형성하는 대피가이드부(30),
    상측은 상기 수평보강바(14)에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대피가이드부(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대피가이드부(30)가 상기 피난구(21a)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폐쇄유지부(40),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상기 슬래브(100)의 수용공간(101)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난간부(20)를 건축물의 외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으로 상기 대피가이드부(30)가 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50),
    상기 확장부(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유지부(4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이동형난간부(20)가 전진될 경우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폐쇄유지부(40)를 커팅하여 상기 대피가이드부(30)가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커팅부(60)를 포함하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피난구(21b) 및 상기 보조피난구(21b)와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홀(21c)이 형성되고,
    상기 추락방지용가드부(22)에는 사다리부(70)가 브라켓(221)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사다리부(70)는,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상기 보조피난구(21b)를 통과하여 하층부에 위치된 수직프레임(11)과 추락방지용가드부(2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본체부(71),
    상기 본체부(7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1c)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71)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72),
    상기 본체부(71)의 양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디딤부(73)로 구성되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20160154712A 2016-11-21 2016-11-21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72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12A KR101725864B1 (ko) 2016-11-21 2016-11-21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12A KR101725864B1 (ko) 2016-11-21 2016-11-21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864B1 true KR101725864B1 (ko) 2017-04-12

Family

ID=5858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12A KR101725864B1 (ko) 2016-11-21 2016-11-21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53B1 (ko) * 2018-01-11 2018-07-02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94Y1 (ko) 2004-01-16 2004-05-04 조양일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200450122Y1 (ko) * 2009-09-23 2010-09-10 정지만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101171248B1 (ko) * 2010-09-15 2012-08-06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216204B1 (ko) * 2010-08-31 2012-12-28 진재효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101225755B1 (ko) * 2012-09-11 2013-01-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94Y1 (ko) 2004-01-16 2004-05-04 조양일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200450122Y1 (ko) * 2009-09-23 2010-09-10 정지만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101216204B1 (ko) * 2010-08-31 2012-12-28 진재효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101171248B1 (ko) * 2010-09-15 2012-08-06 주식회사 에스엠텍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225755B1 (ko) * 2012-09-11 2013-01-23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53B1 (ko) * 2018-01-11 2018-07-02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20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US5377778A (en)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190131296A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840434B1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725864B1 (ko)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913091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