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17B1 -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 Google Patents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17B1
KR101925617B1 KR1020180082882A KR20180082882A KR101925617B1 KR 101925617 B1 KR101925617 B1 KR 101925617B1 KR 1020180082882 A KR1020180082882 A KR 1020180082882A KR 20180082882 A KR20180082882 A KR 20180082882A KR 101925617 B1 KR101925617 B1 KR 10192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ole
pair
fixing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석
Original Assignee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08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으로 사용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창문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체결공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 중심부에는 한 쌍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는 개폐 가능하게 안전고리가 설치된 상부난간; 상기 체결공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난간의 하부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하부난간; 상기 창문의 전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난간과 하부난간의 사이에 직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전바; 상기 설치공간과 인접한 안전바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바가 구비된 고정바; 길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사다리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바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 및 상기 하부난간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다리가 인출되게 형성되는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의 테두리 부위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방공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도어가 구비된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Veranda railing for emergency evacuation buildings}
본 발명은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베란다의 난간으로 사용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는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에 관한 것이다.
난간이란, 층계, 다리, 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울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은 고층 아파트나 주택과 같은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베란다의 외부에 설치되어 베란다를 통하여 출입하는 사람이 건물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에 적용하여 설치하는 베란다 난간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략, 성인 남성의 허리 위치보다 높게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베란다 난간은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외부 시야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각종 조경 식물 등을 키울 수 있도록 햇빛이 잘 들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베란다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 복수개의 바가 연결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베란다 난간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건축물의 비상 계단을 통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없는 사용자가 창가 또는 베란다로 대피할 수 밖에 없는 문제로 인하여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으로 제공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베란다 난간의 형태와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사람이 일정 시간 베란다 난간에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방법 등이 제공된 바 있으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베란다를 통하여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후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베란다 난간에 위치된 사람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베란다 난간의 구조를 변경하여 사람이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사다리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이, 비상상황의 발생시에 베란다 난간에 위치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기술들은 건축물의 옥상이나 벽면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으로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미관을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신속하게 사람이 대피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베란다 난간 구조는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베란다 난간의 구조를 사용자가 손쉽게 사다리의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내려오는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을 이루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낄 수 있어 사용이 어렵거나, 낙하사고와 같은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5910호(2006.03.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742호(2005.06.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에 설치된 베란다 난간을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베란다 난간의 형태를 변경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상황에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난간의 일측에 구비된 사다리 구조를 신속하게 펼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사다리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다리 구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추락의 위험과 같은 불안감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안감 없이 신속한 대피를 이룰 수 있게 하고, 추락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창문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체결공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 중심부에는 한 쌍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는 개폐 가능하게 안전고리가 설치된 상부난간; 상기 체결공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난간의 하부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하부난간; 상기 창문의 전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난간과 하부난간의 사이에 직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전바; 상기 설치공간과 인접한 안전바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바가 구비된 고정바; 길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사다리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바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 및 상기 하부난간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다리가 인출되게 형성되는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의 테두리 부위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방공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도어가 구비된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은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하부난간과 개방공의 연결 부위에 한 쌍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는 상기 연결바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연결홈의 내측에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 고정사다리와, 상기 제1프레임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 연결사다리와, 상기 관통공에 길이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스프링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인출사다리와,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사다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의 전면에 위치되는 개방공의 테두리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측에는 일단이 스프링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삽입공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공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에 설치된 베란다 난간을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베란다 난간의 형태를 변경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상황에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도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난간의 일측에 구비된 사다리 구조를 신속하게 펼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사다리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다리 구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추락의 위험과 같은 불안감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안감 없이 신속한 대피를 이룰 수 있게 하고, 추락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의 사다리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설치공(1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건축물(1)의 외벽(1a)에 창문(2)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10); 상기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2)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 중심부에는 한 쌍의 안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의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는 개폐 가능하게 안전고리(22)가 설치된 상부난간(20); 상기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2)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난간(20)의 하부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하부난간(30); 상기 창문(2)의 전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공간(40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의 사이에 직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전바(40); 상기 설치공간(40a)과 인접한 안전바(4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2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51)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바(52)가 구비된 고정바(50); 길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사다리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바(52)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2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60); 및 상기 하부난간(30)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다리(60)가 인출되게 형성되는 개방공(71)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71)의 테두리 부위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방공(71)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도어(72)가 구비된 바닥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은 도시한 도 2, 도 4, 도 5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1)에 볼트(P)로 고정 설치되어 그 전면으로 상부난간(20) 및 하부난간(30)이 결합 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0)의 설치공(11)으로는 복수개의 볼트(P)가 도 4에서와 같이, 외벽(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결공(12)으로는 상부난간(20) 및 하부난간(30)의 단부에 돌출된 부위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판(10)은 연결 설치되는 상부난간(20), 하부난간(30)은 물론이고, 상기 상부난간(20), 하부난간(30)에 설치되는 안전바(40), 고정바(50), 사다리(60), 바닥판(70)의 하중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0)을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건축물의 외벽(1) 형상이나, 외벽(1)에 볼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난간(2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0)의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되고, 건축물의 외벽(1)에 구비된 창문(2)의 전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설치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판(10)의 체결공(12)으로 상부난간(20)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상기 체결공(12)에 삽입된 상부난간(20)의 단부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 또는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고정판(10)의 일측에 상부난간(20)이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난간(20)의 안착홈(21)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난간(20)의 길이 방향 내측 중심부에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사다리(60)가 안착되어 보관 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21)과 인접한 위치에는 안전고리(2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21)에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보관된 사다리(6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시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일 방향으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난간(30)은 상기 고정판(10)의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건축물의 외벽(1)에 구비된 창문(2)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즉, 상기 상부난간(20)의 하부 방향으로 상부난간(20)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이 건축물의 외벽(1)에 구비된 창문(2)의 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후술할 안전바(40), 고정바(50), 사다리(60), 바닥판(7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바(40)는 상기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의 수평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안전바(40)의 형상 및 설치되는 형태는 상기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의 사이로 도 3에서와 같이, 사다리(6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40a)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50)는 상기 안전바(40)를 통하여 형성된 설치공간(40a)의 내측에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21)과 대응되는 위치로 연결홈(51)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홈(51)에는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연결바(52)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사다리(60)의 단부가 상기 연결바(52)에 힌지(h)를 통하여 회전되게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6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40a)에 설치된 상기 안전바(40)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난간(20)의 안착홈(21)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안전고리(22)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바닥판(70)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사다리(6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다리(60)는 상기 연결바(52)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어 연결홈(51)의 내측에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61a)과, 상기 제1프레임(61a)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프레임(61b)으로 구성된 고정사다리(61)와, 상기 제1프레임(61a)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고, 타단에는 관통공(62a-1)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프레임(62a)과, 상기 제2프레임(62a)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프레임(62b)으로 구성된 연결사다리(62)와, 상기 관통공(62a-1)에 길이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스프링(S)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고정공(63a)이 형성된 인출사다리(63)와, 상기 관통공(62a-1)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사다리(6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고정캡(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사다리(6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52)에 일단이 힌지(h)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바(52)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사다리(62)는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사다리(61)의 일측에 힌지(h)를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사다리(61)를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사다리(61)와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고정사다리(61)와 연결사다리(62)가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사다리(63)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62a)의 관통공(62a-1)에 삽입되는 바 형상으로 관통공(62a-1)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설치됨으로써, 관통공(62a-1)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캡(64)을 제거하는 경우, 스프링(S)의 탄성을 통하여 제2프레임(62a)의 외측으로 신속하게 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하부난간(30)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바닥판(70)의 도어(72)를 사용자가 이동시켜 개방공(71)이 열리도록 한 후, 상기 사다리(60)를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개방공(71)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펼쳐지도록 하여 아래층의 베란다 상부로 사다리를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70)에는 상기 안착홈(21)과 대응되는 하부난간(30)과 개방공(71)의 연결 부위에 한 쌍의 고정홈(73)을 더 형성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개방공(70)으로 인출되는 사다리(60)의 하부가 밀착되어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창문(2)의 전면에 위치되는 개방공(71)의 테두리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공(7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삽입공(74)의 내측에는 일단이 스프링(S)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삽입공(74)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공(63a)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75)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다리(60)를 펼쳐진 상태로 하여 바닥판(70)의 개방공(71)으로 인출시키는 경우에 인출사다리(63)에 형성된 고정공(63a)으로 고정와이어(75)가 연결되도록 하여 펼쳐진 사다리(6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와이어(75)의 단부에는 고리와 같은 결합구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공(63a)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바닥판(70)의 개방공(71)을 연 후, 개방공(71)의 방향으로 사다리(60)가 펼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하층의 베란다 상부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외벽
2: 창문 10: 고정판
11: 설치공 12: 체결공
20: 상부난간 21: 안착홈
22: 안전고리 30: 하부난간
40: 안전바 40a: 설치공간
50: 고정바 51: 연결홈
52: 연결바 60: 사다리
61: 고정사다리 61a: 제1프레임
61b: 제1연결프레임 62: 연결사다리
62a: 제2프레임 62a-1: 관통공
62b: 제2연결프레임 63: 인출사다리
63a: 고정공 64: 고정캡
70: 바닥판 71: 개방공
72: 도어 73: 고정공
74: 삽입공 75: 고정와이어
h: 힌지 S: 스프링

Claims (3)

  1.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설치공(1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건축물의 외벽(1)에 창문(2)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판(10);
    상기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2)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내측 중심부에는 한 쌍의 안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의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는 개폐 가능하게 안전고리(22)가 설치된 상부난간(20);
    상기 체결공(12)에 양측 단부가 체결되어 창문(2)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난간(20)의 하부에 이격 되게 설치되는 하부난간(30);
    상기 창문(2)의 전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공간(40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난간(20)과 하부난간(30)의 사이에 직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전바(40);
    상기 설치공간(40a)과 인접한 안전바(4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2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51)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바(52)가 구비된 고정바(50);
    길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사다리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바(52)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2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60); 및
    상기 하부난간(30)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다리(60)가 인출되게 형성되는 개방공(71)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71)의 테두리 부위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개방공(71)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도어(72)가 구비된 바닥판(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70)은 상기 안착홈(21)과 대응되는 하부난간(30)과 개방공(71)의 연결 부위에 한 쌍의 고정홈(7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60)는
    상기 연결바(52)에 일단이 힌지(h) 연결되어 연결홈(51)의 내측에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61a)과, 상기 제1프레임(61a)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연결프레임(61b)으로 구성된 고정사다리(61)와,
    상기 제1프레임(61a)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고, 타단에는 관통공(62a-1)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프레임(62a)과, 상기 제2프레임(62a)을 상호 연결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연결프레임(62b)으로 구성된 연결사다리(62)와,
    상기 관통공(62a-1)에 길이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게 스프링(S)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인출이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고정공(63a)이 형성된 인출사다리(63)와,
    상기 관통공(62a-1)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출사다리(6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고정캡(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2)의 전면에 위치되는 개방공(71)의 테두리 내측에는 한 쌍의 삽입공(7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74)의 내측에는 일단이 스프링(S)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삽입공(74)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공(63a)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7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20180082882A 2018-07-17 2018-07-17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192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82A KR101925617B1 (ko) 2018-07-17 2018-07-17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882A KR101925617B1 (ko) 2018-07-17 2018-07-17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617B1 true KR101925617B1 (ko) 2019-02-26

Family

ID=6556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882A KR101925617B1 (ko) 2018-07-17 2018-07-17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4B1 (ko) * 2019-04-25 2019-10-23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CN112012652A (zh) * 2020-09-09 2020-12-01 温州砼程维禹科技有限公司 建筑物紧急逃生梯装置
KR102195095B1 (ko) * 2020-09-11 2020-12-24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220136761A (ko) * 2021-04-01 2022-10-11 원종심 사다리와 결합하여 작업대로 사용 가능한 우마사다리
KR102665158B1 (ko) * 2023-08-11 2024-05-10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피난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확장형 조립식 발코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809Y1 (ko) * 2003-07-26 2003-10-22 박용문 난간 대피장치
KR100496742B1 (ko) 2002-12-16 2005-06-28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100565910B1 (ko) 2006-01-10 2006-03-31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탈출 구조
KR101710468B1 (ko) * 2016-07-29 2017-02-27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42B1 (ko) 2002-12-16 2005-06-28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0330809Y1 (ko) * 2003-07-26 2003-10-22 박용문 난간 대피장치
KR100565910B1 (ko) 2006-01-10 2006-03-31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탈출 구조
KR101710468B1 (ko) * 2016-07-29 2017-02-27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4B1 (ko) * 2019-04-25 2019-10-23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CN112012652A (zh) * 2020-09-09 2020-12-01 温州砼程维禹科技有限公司 建筑物紧急逃生梯装置
KR102195095B1 (ko) * 2020-09-11 2020-12-24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220136761A (ko) * 2021-04-01 2022-10-11 원종심 사다리와 결합하여 작업대로 사용 가능한 우마사다리
KR102588273B1 (ko) * 2021-04-01 2023-10-12 원종심 사다리와 결합하여 작업대로 사용 가능한 우마사다리
KR102665158B1 (ko) * 2023-08-11 2024-05-10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피난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확장형 조립식 발코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617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CN102711922B (zh) 火灾避难逃离装置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EP1666100B1 (en) Rescue cage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US51039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ire escape for a multi-story building
KR20040069307A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110003154A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CN208017947U (zh) 滑道式救援疏散安全梯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WO2018230836A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107165351A (zh) 高层建筑所需要的折叠式紧急避难装置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US5131493A (en) Emergency stairs for external mounting on buildings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0636880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