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742B1 -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 Google Patents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742B1
KR100496742B1 KR10-2002-0080111A KR20020080111A KR100496742B1 KR 100496742 B1 KR100496742 B1 KR 100496742B1 KR 20020080111 A KR20020080111 A KR 20020080111A KR 100496742 B1 KR100496742 B1 KR 10049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pipe
ladder
regular intervals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271A (ko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김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종 filed Critical 김기종
Priority to KR10-2002-008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7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파이프 및 이 상,하부 파이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수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난간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파이프의 양끝단부중 상부 파이프의 양끝단과, 하부 파이프의 양끝단중 어느 한쪽 끝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나사부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를 형성하고, 이 너트부에서 일체로 난간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너트부의 지름에 비하여 확장된 크기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조인트와, 상기 난간 프레임에 구비되는 나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U자 형의 부재로, 그 외주면이 조인트의 삽입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하부파이프에서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부 끝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무나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힌지점을 갖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평상시에는 베란다 난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비상시에는 구난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며, 특히 추가비용이 크게 들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소중한인명을 지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veranda}
본 발명은 화재 또는 긴급대피를 위한 구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층 이상의 고층 건물에서 화재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정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베란다를 이용한 구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베란다가 설치되고, 이때의 베란다에는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인 난간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집합적 개인주택인 아파트는 대형 건물이면서도 소방법상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탈출에 따른 문제점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일예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출입구를 통한 대피가 이뤄지지만, 이러한 출입구를 통한 대피가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는 베란다 난간을 통한 탈출이 시도된다.
특히, 상기 베란다 난간을 통한 탈출은 구조대와 고가 사다리와 같은 특수 인력 및 장비를 통해서만 가능하므로 급박한 대피 상황에서는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피자가 불길등을 피해 무작정 뛰어 내리거나 또는 대피하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속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비상탈출장비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사고발생의 예측이 어려워 상시 구비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상시 구비시킬 경우 베란다 공간활용의 침해 및 미관을 해치게 되며, 구입비 및 유지관리에 부담을 주며, 설치 및 조작이 간단하지 않아 남녀노소의 차이에 의해 그 이용이 제한받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층 건물에서의 대피를 요하는 비상시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설치에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파이프 및 이 상,하부 파이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수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난간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파이프의 양끝단부중 상부 파이프의 양끝단과, 하부 파이프의 양끝단중 어느 한쪽 끝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를 형성하고, 이 너트부에서 일체로 난간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너트부의 지름에 비하여 확장된 크기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조인트와; 상기 난간 프레임에 구비되는 나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U자 형의 부재로, 그 외주면이 조인트의 삽입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하부 파이프에서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부 끝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무나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힌지점을 갖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난간 프레임은, 외측으로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호형의 아크 파이프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난간 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층의 난간 프레임과 연결되게 구성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 사다리가 적용된 베란다 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의 체결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B'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크게 난간 프레임(1)과 조인트(40)와 브라켓트(50) 그리고 회동링크(60)로 구성된다.
난간 프레임(1)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 파이프(10) 및 하부 파이프(20)와, 이들 상부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의 사이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파이프(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들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는 수직 파이프(30)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수직 파이프(30)는 양단이 각각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에 용접으로 접합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난간 프레임(1)은 상부 파이프(10)의 양끝단부 외주연에 나사선이 가공된 나사부(11)를 형성하고, 하부 파이프(20)의 양끝단중 어느 한쪽 끝단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하부 파이프(2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 끝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우측 끝단에는 무나사부(22)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조인트(40)는 상기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11)에 일단이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4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때의 너트부(41)의 일측으로 즉, 상기 난간 프레임(1)의 외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면서 너트부(41)의 지름에 비하여 확장된 크기의 삽입구멍(42)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조인트(40)는 일단이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의 각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나사부의 축선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그 타단이 후술할 브라켓트(50)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감싸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브라켓트(50)는 상기 난간 프레임(1)에 구비되는 나사부와 마주보는 구조물(2) 즉, 베란다가 설치되는 건물의 측벽에 각각 일단이 설치되어 그 타단으로 상기 나사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브라켓트(50)는 일단이 구조물(2)에 설치 고정되어지고 그 타단은 각 나사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U자 형의 부재로서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브라켓트(50)는 상술한 조인트(40)의 삽입구멍(4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나사부를 구조물(2)상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도 4를 참조하여 조인트(40)의 체결 및 해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는 상부 파이프(10)의 양끝단부 및 하부 파이프(20)의 어느 한쪽 끝단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파이프의 양선단부에 대해서만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비상시가 아닌 경우, 상부 파이프(10) 양 선단은 브라켓트(50)의 U자 형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되고, 상부 파이프(10)의 양측 나사부(11)에 나합된 조인트(40)의 삽입구멍(42)에 상기 브라켓트(50) 및 상부 파이프(10)의 선단이 함께 내재되게 함으로서, 조인트(40)가 구조물(2)에 밀착되어 난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부 프레임(10)의 양 선단에 나합된 조인트(40)를 각각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10)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4의 하부 그림과 같이 상부 프레임(10)과 브라켓트(50)는 상호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브라켓트(50)의 외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40)의 삽입구멍(42) 내주면에도 동일한 나사선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트(50)와 조인트(40)가 단순 끼움구조가 아닌 상호 체결되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회동링크(60)는 상기 하부 파이프(20)에서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부(22) 끝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무나사부(22)에 연결되어지고 타단은 구조물(2)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힌지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동링크(60)는 크게 제1링크부재(61)와 제2링크부재(62) 그리고 제3링크부재(63) 및 제1힌지(65)와 제2힌지(66)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61)는 일단이 하부 파이프(20)의 무나사부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구조이고, 그 타단은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중앙부가 절개되어 양편으로 분리되는 형태로 그 측면으로부터 상호 연결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3링크부재(63)는 상기 하부 파이프(20)의 무나사부와 마주보는 방향의 구조물(2)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그 타단은 무나사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서, 그 연장된 단부는 중앙부가 절개되어 양편으로 분리되는 형태로 그 측면으로부터 상호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1링크부재(61)와 제3링크부재(63)는 상호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절개된 부분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3링크부재(63)가 끼움되어지며, 이때의 상기 제3링크부재(63)는 제1링크부재(61)와 제3링크부재(63)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결되는 한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61)와 제2링크부재(62)의 절개된 부분으로 제3링크부재(6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힌지(65)와 제2힌지(66)가 각각의 관통홀에 삽입되어지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회동링크(60)는 상기 제1힌지(65)와 제2힌지(66)를 기준으로 각 링크부재가 소정각도로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회동링크(6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1힌지(65)와 제2힌지(66)의 축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난간 프레임(1)이 제1힌지(65)와 제2힌지(66)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아래층으로 회동되기 위해서는 각 나사부가 브라켓트(50)의 폭을 벗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 난간 프레임(1)은 비상시 대피자가 사다리로 이용하는 경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 프레임(1)의 외측으로 복수의 아크 파이프(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 파이프(70)는 통상 수직 파이프(30)가 설치된 위치에 구비되어지며, 대략 원호로 굽힘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아크 파이프(70)는 사용자가 난간 프레임(1)을 구난 사다리로 이용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바라보면 하 파이프(20)의 중간부분에는 지지바(미부호)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지지바는 난간 프레임(1)이 베란다 난간의 역할을 수행할 때구조물(베란다 바닥면측)에 고정된 삽입공을 형성한 고정부(미부호)에 삽입되어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회동링크(60)는 3개의 링크부재를 포스트 형태의 제1힌지(65)와 제2힌지(66)로 연결하여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점에서 회동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회동링크(60)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형상 및 수량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의 동작을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난 사다리는 평상시에 브라켓트(50)와 조인트(40)의 상호 결합에 의해 베란다의 난간 프레임(1)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와 같이 비상시에는 브라켓트(50)와 조인트(40)의 상호 체결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구난 사다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평상시에 도 2 및 도 4의 상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란다의 난간 프레임(1)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의 각 나사부에 결합된 조인트(40)가 구조물(2)에 설치된 브라켓트(5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조인트(40)는 일단이 각 나사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구조물(2)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트(50)의 외주면에 끼움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조인트(40)와 브라켓트(5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난간 프레임(1)이 브라켓트(50)와 조인트(40)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게 되므로 베란다의 난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내에 화재와 같은 비상시의 경우에는 상기 조인트(40)와 브라켓트(50)의 결합력을 해제하여 베란다 난간을 구난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프레임(1)을 이루는 상부 파이프(10)와 하부 파이프(20)의 각 나사부에 결합된 조인트(40)를 결합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일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인트(40)는 나사부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면서 브라켓트(50)와의 결합력이 해제되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와 같이 조인트(40)를 해제시킨 후, 난간 프레임(1)을 구난용 사다리로 활용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하부 도면의 부호 표기를 생략하였다.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 프레임(1)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회동링크(6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각 나사부는 'U'자형의 브라켓트(50)의 상부로 탈거 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난간 프레임(1)을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같이 전방측으로, 즉 베란다 바깥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놓게 되면, 난간 프레임(1)은 회동링크(60)를 축으로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을 이루게 되어 도 8에서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대피자는 난간 프레임(1)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이므로 수직 파이프(30)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를 하나의 구조물(2) 즉, 한층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고 각 층에 본 발명의 구난 사다리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층에 설치된 구난 사다리를 상호 연결하게 되면 화재와 같은 비상시의 경우 고층에서의 대피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평상시에는 베란다 난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비상시에는 구난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며, 특히 추가비용이 크게 들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소중한 인명을 지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은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는 아파트의 각 층에 구비된 베란다 난간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효과적인 고가 사다리의 형성이 가능해지므로 고층에서의 비상 대피시에도 효과적인 비상탈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파트의 베란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 사다리가 적용된 베란다 난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의 체결 및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난 사다리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간 프레임 2 : 구조물
10 : 상부 파이프 20 : 하부 파이프
11 : 나사부 22 : 무나사부
30 : 수직 파이프 40 : 조인트
41 : 너트부 42 : 삽입구멍
50 : 브라켓트 60 : 회동 링크
61,62,63 : 링크부재 65,66 : 제1,2힌지
70 : 아크 파이프

Claims (3)

  1.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파이프 및 이 상,하부 파이프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수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난간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파이프의 양끝단부중 상부 파이프의 양끝단과, 하부 파이프의 양끝단중 어느 한쪽 끝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를 형성하고, 이 너트부에서 일체로 난간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너트부의 지름에 비하여 확장된 크기의 삽입구멍을 형성한 조인트와;
    상기 난간 프레임에 구비되는 나사부와 마주보는 위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가 상측으로부터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U자 형의 부재로, 그 외주면이 조인트의 삽입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하부 파이프에서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부 끝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무나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힌지점을 갖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프레임은, 외측으로 수직프레임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호형의 아크 파이프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프레임은 인접한 다른 층의 난간 프레임과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10-2002-0080111A 2002-12-16 2002-12-16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10049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11A KR100496742B1 (ko) 2002-12-16 2002-12-16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11A KR100496742B1 (ko) 2002-12-16 2002-12-16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402U Division KR200308448Y1 (ko) 2002-12-16 2002-12-16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271A KR20040052271A (ko) 2004-06-23
KR100496742B1 true KR100496742B1 (ko) 2005-06-28

Family

ID=3734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111A KR100496742B1 (ko) 2002-12-16 2002-12-16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17B1 (ko) 2018-07-17 2019-02-26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1988250B1 (ko) 2018-12-31 2019-06-12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7B1 (ko) * 2009-08-21 2009-11-18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53410B1 (ko) * 2010-01-28 2010-04-19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850069B1 (ko) * 2017-09-26 2018-04-18 우성안전 주식회사 구명 겸용 안전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17B1 (ko) 2018-07-17 2019-02-26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KR101988250B1 (ko) 2018-12-31 2019-06-12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271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812B1 (ko)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0496742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10103181A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08448Y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130000893U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215563978U (zh) 一种消防逃生用逃生梯
EP2536471A1 (en) Rescue device
KR20050012603A (ko) 난간 대피장치
CN211007383U (zh) 一种新型的逃生栏杆装置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CN2494681Y (zh) 可拆卸式抢险救生平台
JP2009077962A (ja) 緊急避難器具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CN217632140U (zh) 一种用于逃生的防火窗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0850017B1 (ko)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KR102645820B1 (ko) 고층 건물용 조립식 소방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