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632Y1 -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 Google Patents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32Y1
KR200467632Y1 KR2020120010657U KR20120010657U KR200467632Y1 KR 200467632 Y1 KR200467632 Y1 KR 200467632Y1 KR 2020120010657 U KR2020120010657 U KR 2020120010657U KR 20120010657 U KR20120010657 U KR 20120010657U KR 200467632 Y1 KR200467632 Y1 KR 200467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ixing
support
wal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to KR2020120010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작으로 난간을 베란다 외측으로 회동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상의 추락 방지용 난간으로 사용함은 물론, 비상시 신속하게 난간을 개방하여 소방차의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화재 진압 및 인명의 구조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Combined nine removable safety railing}
본 고안은 베란다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용 난간을 화재 등의 비상시 개방되게 함으로써,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를 위한 비상시 구조용 사다리의 거치 및 소방관의 진입이 용이하게 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 및 인명의 구조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연립 등을 비롯하여 다세대주택, 단독주택 등의 건물에는 건물 자체의 외관과 활용도 및 바깥 전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베란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란다에는 창문과, 부식성이 양호한 강철이나 스테인레스로 된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데, 창문은 우천시나 바람을 막는 것으로 이용되고, 난간은 창문을 열어 놓았을 때 어린이들이 베란다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층건물로부터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베란다 난간을 살펴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베란다의 벽체 또는 지주에 설치되는 고정관(21)과, 양단이 상기 고정관(21)에 삽입 고정되는 상,하부 수평대(10)(20)와, 상기 상,하부 수평대(10)(20)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30)(30')로 구성됨으로, 어린이들로 하여금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 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러한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및 인명 구조를 위한 소방차 및 사다리차 또한 가장 출입이 용이한 베란다를 통해 진입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간이 설치된 베란다로 소방차의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을 시도할 시에는 그 난간의 상부 수평대와 개방된 창문의 상단 사이를 통해 진입을 시도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때 그 사이 간격의 협소로 인해 소방차의 사다리 및 소방관의 원활한 진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함에 따라 진입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현장에서 직접 난간을 철거하여야 하는 등의 구조지연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란다 안에서 사다리차로 건너 탈 때 베란다의 높이로 인해 신속한 대피가 어려우며 베란다를 넘을 때 긴급한 상황으로 인해 중심을 잡지 못해 추락하게 되는 위험한 문제점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편한 조작으로 난간을 베란다 외측으로 회동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통상의 추락 방지용 난간으로 사용함은 물론, 비상시 신속하게 난간을 개방하여 소방차의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화재 진압 및 인명의 구조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벽체 또는 지주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대와, 벽체 또는 지주의 하부에 고정관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어 벽체 또는 지주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대와, 상기 상,하부 수평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로 된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대가 연결되는 벽체 또는 지주에 앵커볼트가 삽설되고,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벽체 또는 지주에 너트 고정되는 수평대 고정부;
상기 상부 수평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대 고정부와 결합 및 상부 수평대를 연결하는 수평대 연결부;
상기 수평대 고정부와 수평대 연결부를 연결하되, 하부의 삽입돌부와 상부의 관통형 손잡이부로 된 고정핀; 및
상기 수평대 고정부 및 상부 수평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수평대 고정부 및 상부 수평대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고정핀의 개방을 단속하는 단속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정핀의 제거시 상기 고정관을 축으로 하여 하부 수평대가 회동 및 안전난간이 개방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은, 상부 수평대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을 제거시 난간이 하부 수평대를 축으로 하여 베란다의 외측으로 회동 개방됨으로, 비상시 신속하게 난간의 개방으로 인한 소방차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신속한 진입로의 확보로 빠른 화재 진압 및 난간이 장애물이 되지 않아 안전한 인명 구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수평대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이 별도의 개방 단속관에 의해 노출 없이 단속되어 있어 어린이로 하여금 고정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베란다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전체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의 고정핀 제거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의 회동 개방상태를 나탄내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전체 결합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을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1)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벽체 또는 지주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대(10)와, 벽체 또는 지주의 하부에 고정관(21)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관(21)에 삽입되어 벽체 또는 지주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대(20)와, 상기 상,하부 수평대(10)(20)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30)(30')로 된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부 수평대(10)가 연결되는 벽체 또는 지주에 마련되는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를 수평대 고정부(100)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수평대 연결부(200)와, 고정핀(300)과, 단속관(4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는,
벽체 또는 지주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 수평대(10) 단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벽체 또는 지주에는 앵커볼트(B)가 삽설되고, 상기 앵커볼트(B)에 의해 너트(N)로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고정판(110)과, 제1 연결편(120)과, 지지관(13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판(110)은, 상기 앵커볼트(B)가 삽입되어 벽체 또는 지주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앵커볼트(B)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그 고정판(110)을 벽체 또는 지주에 가압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편(120)은, 상기 고정판(11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제1 연결편(120)에는 핀 삽입공(121)이 수직 관통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130)은, 상기 고정판(110)의 외둘레 형상과 동일한 관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판(11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한편,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평대 연결부(200)는,
상기 상부 수평대(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연결 및 그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를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대 삽입관(210)과, 마감판(211)과, 제2 연결편(2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대 삽입관(210)은, 상기 상부 수평대(10)의 단부에 삽입되는 관 형태로 구성되는 한편, 그 상부 수평대(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상부 수평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판(211)은, 상기 수평대 삽입관(210)의 일단부를 마감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편(220)은, 상기 마감판(211)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제2 연결편(220)에는 핀 삽입공(221)이 수직 관통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연결편(120) 및 제2 연결편(220)은 서로 중첩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고정핀(300)은,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수평대 연결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상기 제1,2 연결편(120)(220)의 핀 삽입공(121)(221)에 삽입되는 삽입돌부(310)를 이루고, 상부에는 관통형 손잡이부(32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단속관(400)은, 관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 및 상부 수평대(10)의 단부를 감싸는 한편, 슬라이딩 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속관(400)은, 수평대 고정부(100)의 지지관(130)과 상부 수평대(10)의 단부를 동시에 감싸는 한편, 고정핀(300)을 구성하는 것이며, 그 단속관(400)을 상부 수평대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고정핀(300)의 개방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수평대 연결부(200)를 안전로프(500)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안전로프(500)의 일단은 수평대 고정부(100)의 제1 연결편(120)에 고정하고, 그 타단은 수평대 연결부(200)의 마감판(211)에 고정하는 한편, 그 안전로프(500)에는 상기 고정핀(300)의 손잡이부(320)가 계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대 고정부(100)와, 수평대 연결부(200)와, 고정핀(300)과, 단속관(400)은 상부 수평대(10)의 양측에 대칭 상으로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은, 화재 등의 비상시 안전난간을 신속하게 개방함으로 소방차의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안전난간(1)의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안전난간(1)의 하부 수평대(20)는, 통상의 하부 수평대(20) 설치 방법과 같이 벽체 또는 지주의 하부에는 양측 대칭 상으로 고정관(21)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고정관(21)에는 하부 수평대(20)의 양단이 삽입되며, 그 삽입된 하부 수평대(20)는 고정관(21)을 축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벽체 또는 지주의 상부에는 상부 수평대(10)가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부 수평대(10) 연결에 앞서 벽체 또는 지주에는 수평대 고정부(100)가 양측 대칭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가 설치되는 벽체 또는 지주에는 앵커볼트(B)가 삽설 및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돌출된 앵커볼트(B)에는 수평대 고정부(100)의 고정판(110)이 삽입 및 너트(N)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판(110)이 벽체 또는 지주에 가압됨으로 그 수평대 고정부(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부 수평대(10)의 양단 내측에는 각각 수평대 연결부(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대 연결부(200)는, 수평대 삽입관(210)에 의해 상부 수평대(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수평대(10)에는 단속관(400)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수평대 고정부(100) 및 수평대 연결부(200)는, 고정핀(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수평대 연결부(200)를 매개로 하여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평대 연결부(200)는, 수평대 삽입관(210)에 의해 상부 수평대(1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한편, 상부 수평대(10)의 양단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가변에 의해 수평대 고정부(100)의 제1 연결편(120)과 수평대 연결부(200)의 제2 연결편(220)의 각각의 핀 삽입공(121)(221)이 연통되게 중첩시키고, 그 핀 삽입공(121)(221)에 고정핀(300)의 삽입돌부(310)를 삽입시켜 연결함으로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부 수평대(10)의 외측에 설치된 단속관(400)을 수평대 고정부(100) 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 지지관(130)과 상부 수평대(10)를 연결하는 한편, 제1,2 연결편(120)(220)을 연결 고정한 고정핀(300)을 외부 노출없이 구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안전난간(1)의 비상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6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의 고정핀 제거상태를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비상시 안전난간(1)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핀(30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는 고정핀(300)을 구속하고 있는 단속관(400)을 상부 수평대(1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 고정핀(300)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후, 고정핀(300)을 제거함으로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가 분리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고정핀(300)의 손잡이부(320)를 파지하고 고정핀(300)의 삽입돌부(310)를 제1,2 연결편(120)(220)의 핀 삽입공(121)(221)으로부터 이탈시키면 그 연결력이 해제되는 것으로, 이에, 상부 수평대(10)는 수평대 고정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도 7은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의 회동 개방상태를 나탄내 작동도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안전난간(1)의 상부 수평대(10)에 외력을 가해 베란다의 외측으로 밀어 개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안전난간(1)의 하부 수평대(20)는 고정관(21)을 축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것인바, 그 하부 수평대(20)를 축으로 하여 안전난간(1)은 회전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에, 베란다에는 소방차 사다리 및 소방관의 진입로가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로프(500)는 상부 수평대(10)의 양단 길이를 가변하는 수평대 연결부(200)가 상부 수평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안전난간(1)을 개방시 고정핀(300)의 이탈 및 안전난간(1)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은, 상기와 구성 및 일련의 작동 과정에 의해 안전난간을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는 것으로, 소방차 사다리의 원활한 거치 공간 및 소방관의 진입로가 확보되어 신속한 화재진압 및 인명의 구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 상부 수평대 20 : 하부 수평대
21 : 고정관 30,30' : 수직대
100 : 수평대 고정부 110 : 고정판
120 : 제1 연결편 121 : 핀 삽입공
130 : 지지관
200 : 수평대 연결부 210 : 수평대 삽입관
211 : 마감판 220 : 제2 연결편
221 : 핀 삽입공 300 : 고정핀
310 : 삽입돌부 320 : 손잡이부
400 : 단속관 500 : 안전로프

Claims (3)

  1. 벽체 또는 지주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대(10)와, 벽체 또는 지주의 하부에 고정관(21)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고정관(21)에 삽입되어 벽체 또는 지주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대(20)와, 상기 상,하부 수평대(10)(20)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대(30)(30')로 된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대(10)가 연결되는 벽체 또는 지주에 앵커볼트(B)가 삽설되고, 상기 앵커볼트(B)에 의해 벽체 또는 지주에 너트(N) 고정되는 수평대 고정부(100);
    상기 상부 수평대(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결합 및 상부 수평대(10)를 연결하는 수평대 연결부(200);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수평대 연결부(200)를 연결하되, 하부의 삽입돌부(310)와 상부의 관통형 손잡이부(320)로 된 고정핀(300); 및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 및 상부 수평대(10)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 및 상부 수평대(1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고정핀(300)의 개방을 단속하는 단속관(4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정핀(300)의 제거시 상기 고정관(21)을 축으로 하여 하부 수평대(20)가 회동 및 안전난간이 개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는,
    앵커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벽체 또는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하부에서 수평 돌출되는 핀 삽입공(121)을 갖는 제1 연결편(120)과, 상기 고정판(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편, 돌출 형성되는 지지관(13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평대 연결부(200)는,
    상부 수평대(10)에 삽입되는 한편, 단부에는 수평대 고정부(100) 측으로 핀 삽입공(221)을 갖는 제2 연결편(220)이 돌출 형성되는 마감판(211)으로 마감된 수평대 삽입관(21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2 연결편(120)(220)의 중첩 결합 및 각각에 형성된 핀 삽입공(121)(221)을 통해 고정핀(300)이 삽입되어 수평대 고정부(100)와 상부 수평대(10)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 고정부(100)와 수평대 연결부(200)를 안전로프(500)로 연결하되,
    안전로프(500)에는 고정핀(300)의 손잡이부(320)가 계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2020120010657U 2012-11-20 2012-11-20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200467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57U KR200467632Y1 (ko) 2012-11-20 2012-11-20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57U KR200467632Y1 (ko) 2012-11-20 2012-11-20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632Y1 true KR200467632Y1 (ko) 2013-06-24

Family

ID=5139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57U KR200467632Y1 (ko) 2012-11-20 2012-11-20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82B1 (ko) * 2018-05-10 2018-10-11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대
KR20200111427A (ko) * 2019-03-19 2020-09-29 육종현 난간용 로프의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3A (ja) * 1993-06-21 1995-01-06 Asahi Chem Ind Co Ltd 非常口用窓構造
KR20000008819U (ko) * 1998-10-28 2000-05-25 김필용 베란다난간의 벽체고정구조
KR100715992B1 (ko) 2006-11-30 2007-05-0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090042692A (ko) * 2007-10-26 2009-04-30 장수일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3A (ja) * 1993-06-21 1995-01-06 Asahi Chem Ind Co Ltd 非常口用窓構造
KR20000008819U (ko) * 1998-10-28 2000-05-25 김필용 베란다난간의 벽체고정구조
KR100715992B1 (ko) 2006-11-30 2007-05-0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090042692A (ko) * 2007-10-26 2009-04-30 장수일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82B1 (ko) * 2018-05-10 2018-10-11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난간대
KR20200111427A (ko) * 2019-03-19 2020-09-29 육종현 난간용 로프의 고정장치
KR102203294B1 (ko) * 2019-03-19 2021-01-15 육종현 난간용 로프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20100138585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663582B1 (ko) 공동주택용 이중 안전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738377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53786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CN210422413U (zh) 一种防火控火装置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90087792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208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CN203001712U (zh) 一种楼房的逃生系统
KR200469278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