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10B1 -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10B1
KR100953410B1 KR1020100008052A KR20100008052A KR100953410B1 KR 100953410 B1 KR100953410 B1 KR 100953410B1 KR 1020100008052 A KR1020100008052 A KR 1020100008052A KR 20100008052 A KR20100008052 A KR 20100008052A KR 100953410 B1 KR100953410 B1 KR 10095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cylindrical body
rise building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범
Original Assignee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로프(40)에 연결된 원통체(20)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MIDDLE AND LOW RISE BUILDING}
본 발명은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로프에 연결된 원통체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비상 탈출수단은 적지 않게 제안된 바 있으나 중저층 건물 전용의 비상 탈출장치는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다.
중저층 건물은 다가구 주택이나 상가빌딩을 그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건물은 대부분 옥상이나 계단을 통한 비상 탈출구만 존재할 뿐이다.
예를 들어, 중저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현관문을 통해 즉각적으로 탈출하지 못할 경우 사실상 외부의 고가 사다리 등에 의존하여 탈출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도1은선출원(20-2008-0003071)에따른고층건물용비상탈출장치를나타내는사시도이다. 선출원에따른고층건물용비상탈출장치는도1에도시된바와같이대피공간(2c)이형성되게바닥판(2a)사방으로측벽(2b)을형성한대피함(2)과,이대피함(2)을하강시키는완강수단(10)으로구성된다. 대피함(2)은세워진상태에서창문프레임또는슬래브에결합된브래킷(21)과분리가능한핀(3)으로결합된다. 완강수단(10)은상부층의슬래브에고정설치되는도르래(11)와,대피함(2)의바닥(2a)에세워진지지대(12)에회동가능하게설치되는권취드럼(13)과,상기권취드럼(13)에일단이고정된상태로권취되며타단은도르래(11)를경유하여대피함(2)의사방에고정된지지줄(15)과연결되는로프(14)와,상기권취드럼(13)의상측에위치하도록지지대(12)에설치되며권취드럼(13)에권취되어있는로프(14)를서서히풀려지게하는속도조절기(16)로구성된다. 속도조절기(16)는로프(14)가통과하는가이드관(16a)측방에로프(14)의일부가노출되게구멍(16b)을형성하고,이구멍(16b)으로는가이드관(16a)에고정된브래킷(16c)에축결합되며핸들(16d)로회동조작되는가압용캠(16e)을가진구조로이루어진다. 이와같은선출원에따른고층건물용비상탈출장치를고층건물의창문바깥쪽에설치되어실내에서화재가발생한때여러사람이함께탑승한상태에서아래층혹은지상으로안전하게대피시킬수있어인명피해를최소화할수있는것으로되어있다. 그런데,선출원에따른고층건물용비상탈출장치는인원이많은고층건물에는적합하나학교,다가구주택,원룸또는상가빌딩등과같은중저층건물에는설치공간및설치비용에대한효율등을고려할때현실적이지않은문제점을안고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로프에 연결된 원통체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체 속의 로프가 좌측캡의 쓰루홀을 통해 좌측 브래킷에 고정됨으로써 원통체가 분리될 때 좌측 브래킷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로프 및 원통체를 파지하면서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내려올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이 끼워지는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을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에 각각 고정되는 통공을 지닌 좌측 브래킷 및 우측 브래킷과,
왼나사홈 및 오른나사홈이 각각 형성된 좌측캡 및 우측캡으로 씌워진 원통체와,
상기 왼나사홈 및 오른나사홈에 각각 치합되면서 머리가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왼나사볼트 및 오른나사볼트와,
상기 좌측캡에 뚫려진 쓰루홀과,
상기 좌측 브래킷에 고정되면서 상기 쓰루홀을 통해 상기 원통체 속으로 늘어뜨려진 로프와,
상기 로프의 끝단에 고정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로프에 연결된 원통체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를 정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 및 오른나사볼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 및 우측 브래킷의 통공에 간단히 밀착 끼워질 수 있게 되어 그 설치 작업이 훨씬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를 역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 및 오른나사볼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 및 우측 브래킷의 통공으로부터 간단히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 속의 로프가 좌측캡의 쓰루홀을 통해 좌측 브래킷에 고정됨으로써 원통체가 분리될 때 좌측 브래킷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로프 및 원통체를 파지하면서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내려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공이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져 왼나사볼트 및 오른나사볼트의 머리를 합치시키거나 분리시키고자 할 때의 신속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 및 로프가 좌측 브래킷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에 의해 좌측 브래킷과 원통체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로프를 지나 원통체로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를 받아들이는 중공을 지니면서 좌측 브래킷 및 우측 브래킷을 감싸는 외장캡을 포함하여 통공으로의 이물질의 침착 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외관의 간소함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의 외주연에 미끄럼방지턱을 구비하여 탈출자의 파지력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 출원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좌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우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난간으로 활용되고 비상시에는 탈출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도 3과 같이 로프(40)에 연결된 원통체(20)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4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각각 고정되는 통공(13a)을 지닌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과,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된 좌측캡(21) 및 우측캡(22)으로 씌워진 원통체(20)와,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각각 치합되면서 머리(33)가 통공(13a)에 끼워지는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와, 좌측캡(21)에 뚫려진 쓰루홀(21b)과, 좌측 브래킷(11)에 고정되면서 쓰루홀(21b)을 통해 원통체(20) 속으로 늘어뜨려진 로프(40), 그리고 이 로프(40)의 끝단에 고정된 스토퍼(41)를 포함한다.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을 각각 고정시키고,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각각 치합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머리(33)를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에 끼운 상태에서 원통체(20)를 정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에 밀착 끼워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원통체(20)를 역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으로부터 원통체(20)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통체(20) 속의 로프(40)는 좌측캡(21)의 쓰루홀(21b)을 통해 좌측 브래킷(11)에 고정됨으로써 원통체(20)가 분리될 때 좌측 브래킷(11)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프(40) 및 원통체(20)를 파지하면서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이때, 통공(13a)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져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머리(33)를 합치시키거나 분리시키고자 할 때의 신속함을 보장토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좌측캡(21) 및 스토퍼(41) 사이에서 로프(40)를 수용하면서 원통체(20)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체(20) 및 로프(40)가 좌측 브래킷(11)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50)에 의해 좌측 브래킷(11)과 원통체(20)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로프(40)를 지나 원통체(20)로의 이동을 보다 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20)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은 고정홀(13b)을 포함하고, 이 고정홀(13b)을 통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박혀지는 스크류(14)에 의해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고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원통체(20)를 받아들이는 중공(61)을 지니면서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을 감싸는 외장캡(60)을 포함하여 통공(13a)으로의 이물질의 침착 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외관의 간소함을 함께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은 통공(13a)의 양측에 안전구멍(13d)을 포함하고, 이 안전구멍(13d)에 끼워지는 안전핀(15)을 포함하여 평상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좌측 브래킷(11)은 체결홀(13c)을 구비하고, 로프(40)는 체결홀(13c)에 끼워져 좌측외벽(W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13b)에 박혀지는 스크류(14)와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통체(20)는 외주연에 미끄럼방지턱(23; 기타 미끄럼방지 접착 스프레이 등)을 구비하여 탈출자의 파지력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설치동작 및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치동작
좌측캡(21)의 쓰루홀(21b)을 통해 로프(40)를 원통체(20)의 압출 스프링(50) 속으로 늘어뜨리면서 스토퍼(41)를 장착시키고[좌측캡(21) 및 우측캡(22)은 용접으로 원통체(20)에 일체화시킬 수 있음], 원통체(20)의 좌측캡(21) 및 우측캡(22)에 각각 형성된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를 치합시킨다.
그리고, 쓰루홀(21b)을 통해 빠져나온 로프(40)를 외장캡(60)의 중공(61)을 통해 좌측 브래킷(11)의 체결홀(13c)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홀(13b)을 통해 좌측외벽(W1)에 스크류(14)와 함께 휘감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우측 브래킷(12) 역시 고정홀(13b)을 통해 우측외벽(W2)에 스크류(14)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원통체(20)를 수평으로 맞춘 상태에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머리(33)를 통공(13a)에 합치시키고, 안전구멍(13d)에 안전핀(15)을 끼운 후, 원통체(20)를 정회전시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진 운동토록 하여 외장캡(60)을 사이에 두고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에 각각 밀착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를 완료한다.
본 발명의 사용동작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창문을 열고 원통체(20)를 역회전시키면,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으로부터 원통체(20)가 벗어나게 되고, 이 원통체(20)를 떨어뜨리면 좌측 브래킷(11)의 체결홀(13c)에 고정된 로프(40)가 노출되면서 원통체(20)가 지상을 향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출자가 로프(40)를 잡고 내려가면서 원통체(20)를 파지할 경우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던 압출 스프링(50)이 수축되면서 탄성적으로 탈출자의 하강을 부드럽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탈출자는 미끄럼방지턱(23)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원통체(20)를 파지할 수 있게 되고, 더 낮은 위치로 내려온 후 지상의 공기 주머니나 쇼파 또는 지면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저층 건물(고층 건물의 응용 가능)의 비상 탈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산업분야에 이용된다.
D : 창틀 W1 : 좌측외벽
W2 : 우측외벽 11 : 좌측 브래킷
12 : 우측 브래킷 13a : 통공
13b : 고정홀 13c : 체결홀
13d : 안전구멍 14 : 스크류
15 : 안전핀 20 : 원통체
21 : 좌측캡 21a : 왼나사홈
21b : 쓰루홀 22 : 우측캡
22a : 오른나사홈 23 : 미끄럼방지턱
31 : 왼나사볼트 32 : 오른나사볼트
33 : 머리 40 : 로프
41 : 스토퍼 50 : 압출 스프링
60 : 외장캡 61 : 중공

Claims (8)

  1. 창틀(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을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각각 고정되는 통공(13a)을 지닌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과,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된 좌측캡(21) 및 우측캡(22)으로 씌워진 원통체(20)와,
    상기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각각 치합되면서 머리(33)가 상기 통공(13a)에 끼워지는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와,
    상기 좌측캡(21)에 뚫려진 쓰루홀(21b)과,
    상기 좌측 브래킷(11)에 고정되면서 상기 쓰루홀(21b)을 통해 상기 원통체(20) 속으로 늘어뜨려진 로프(40)와,
    상기 로프(40)의 끝단에 고정된 스토퍼(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3a)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캡(21) 및 스토퍼(41) 사이에서 상기 로프(40)를 수용하면서 상기 원통체(20)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에 각각 뚫려진 고정홀(13b)과,
    상기 고정홀(13b)을 통해 상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박혀지는 스크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0)를 받아들이는 중공(61)을 지니면서 상기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을 감싸는 외장캡(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은 상기 통공(13a)의 양측에 안전구멍(13d)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구멍(13d)에 끼워지는 안전핀(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브래킷(11)은 체결홀(13c)을 구비하고,
    상기 로프(40)는 상기 체결홀(13c)에 끼워져 상기 좌측외벽(W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13b)에 박혀지는 스크류(14)와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0)는 외주연에 미끄럼방지턱(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20100008052A 2010-01-28 2010-01-28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095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52A KR100953410B1 (ko) 2010-01-28 2010-01-28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52A KR100953410B1 (ko) 2010-01-28 2010-01-28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410B1 true KR100953410B1 (ko) 2010-04-19

Family

ID=4222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052A KR100953410B1 (ko) 2010-01-28 2010-01-28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11B1 (ko) 2010-10-14 2012-11-16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CN110254386A (zh) * 2019-06-28 2019-09-20 胡泽兵 一种借助重力安全降落防受伤的双层巴士逃生急救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94A (ja) * 1990-07-19 1992-03-13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バルコニー
KR20040052271A (ko) * 2002-12-16 2004-06-23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20080075583A (ko) * 2007-02-13 2008-08-19 (주)드림인기술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94A (ja) * 1990-07-19 1992-03-13 Misawa Homes Co Ltd 建物用バルコニー
KR20040052271A (ko) * 2002-12-16 2004-06-23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20080075583A (ko) * 2007-02-13 2008-08-19 (주)드림인기술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11B1 (ko) 2010-10-14 2012-11-16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CN110254386A (zh) * 2019-06-28 2019-09-20 胡泽兵 一种借助重力安全降落防受伤的双层巴士逃生急救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0953410B1 (ko)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CN112870570A (zh) 一种适用于高层建筑的逃生装置
KR101202211B1 (ko)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20200096053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TWM523470U (zh) 逃生載具
KR102483319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101269645B1 (ko)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JP3107891U (ja) ビル避難用設備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1771709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