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490B1 -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490B1
KR100905490B1 KR1020080073409A KR20080073409A KR100905490B1 KR 100905490 B1 KR100905490 B1 KR 100905490B1 KR 1020080073409 A KR1020080073409 A KR 1020080073409A KR 20080073409 A KR20080073409 A KR 20080073409A KR 100905490 B1 KR100905490 B1 KR 10090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stair
support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찬
Original Assignee
오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찬 filed Critical 오승찬
Priority to KR102008007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5Devices providing a back support to a person on the ladder, e.g. c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6Rail or rope for guiding a safety attachment, e.g. a fall arres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다층으로 된 건물의 베란다에 접혀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펼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아래층으로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상타출용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계단부재; 상기 제1계단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계단부재; 및 상기 제2계단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계단부재와 제2계단부재를 디디면서 내려오는 대피자가 내려설 수 있는 착지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제공한다.
화재, 비상, 탈출용사디리, 베란다, 아파트난간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다층으로 된 건물의 베란다에 접혀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펼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아래층으로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상타출용 사다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복잡화로 인하여 주거 환경이 고층화됨에 따라 화재나 지진 또는 건물의 붕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비상사태의 경우에 화재가 함께 수반되거나 무너진 건물로 인하여 제대로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렇게 고층 건물에서 위험한 상황에 접하는 경우에, 건무의 실내에서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을 일단 피하기 위해 건물의 바깥으로 뛰어내리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커튼을 찢어 엮어서 아래층으로 탈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물의 바깥으로 뛰어내리는 경우에는 사람의 목숨을 거의 보장할 수 없고, 또 커튼 등을 엮어서 아래층으로 탈출하는 경우에도 사람을 안 전하게 지지해 줄 수가 없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층 건물이나 공공건물 등에 여러 가지 탈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도르래에 감겨진 비상 탈출로프 장치를 설치해 두고, 비상시 이 로프장치를 가동시켜 로프를 타고 아래로 내려오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 로프장치를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이러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로프가 화재에 취약하여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외에도 건물자체에 여러 가지 장치가 마련된 것이 있기는 하지만 화재와 같이 화염에 의해 사람이 실내에 갇히는 경우에는 건물 자체에 구비된 어떠한 장치도 사람을 구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즉, 아파트의 베란다에 비상 탈출용 장치인 접철식 사다리를 설치하여, 건물의 화재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아래층으로 베란다에 설치된 접철식 사다리를 펼쳐서 대피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계단부재와, 상기 제1계단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계단부재 및 상기 제2계단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계단부재와 제2계단부재를 디디면서 내려오는 대피자가 내려설 수 있는 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재의 일단에는 베란다에 형성되는 고정턱부에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설치부재 상단의 양끝에 형성되되, 그 후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상단 전면부에 지지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계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제2고정부재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가로질러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디딤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디딤부재를 딛고 내려오는 대피자가 손을 놓칠 경우 뒤로 넘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제1보호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힌지핀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부재가 끼워져 상기 힌지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계단부재는, 상기 제1계단부재에 결합되어 왕복이동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계단부재의 안내부재의 안내공에 끼워져 이동되는 제3고정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3고정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제2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제2디딤부재를 디디고 내려오는 대피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제2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지부재의 양끝에는 상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어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고정돌출부에 제4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하단에서 일정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착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단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착지부재가 일정이상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착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베란다에 비상 탈출용 장치인 접혀져서 안전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사다리장치를 설치하여 건물의 화재 발생시 안전핀의 제거만으로 사다리가 아래층의 베란다까지 펼쳐지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설치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2계단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착지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와 제2계단부재의 결합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는 설치부재(100), 지지부재(200),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로 크게 구성된다.
설치부재(100)는 아파트의 베란다(20)에서 난간이 설치되는 고정턱부(21)에 고정된다.
고정턱부(21)는 난간이 설치되는 것으로, 베란다(2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다.
설치부재(100)는 고정턱부(21)에 끼워지는 고정홈(111)이 형성되는 설치본체(110)와, 설치본체(100)의 상단 양끝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120)로 구성된다.
설치본체(110)에는 체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구멍으로 별도로 구비되는 체결부재인 볼트(미도시)가 끼워져 설치부재를 베란다(20)의 고정턱부(21)에 고정하게 된다.
고정돌부(120)는 설치본체(100) 상단에서 후면 가장자리에 치우치는 상태로 형성된다.
고정돌부(120)에는 제1고정부재(130)가 고정되는 제1고정구멍(121)이 형성되며, 제1고정구멍(121)에 제1고정부재(130)로 지지부재(200)의 일단이 힌지 고정된다.
지지부재(200)는 일단부가 설치부재(100)의 고정돌부(120)에 힌지 고정되며, 아파트의 베란다(20)에 고정턱부가 없고 베란다(20)의 바닥이 평평한 경우에는 지지부재(200)가 베란다(20)에 별도의 앵커 등의 설치부재로 고정된다.
지지부재(200)는 "ㄷ" 형상으로, 설치부재(100)의 고정돌부(120)에 제1고정부재(130)로 고정되는 제2고정구멍(201)이 형성되고, 이 제2고정구멍(201)에서 안쪽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1계단부재(300)의 상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3고정구멍(203)이 형성된다.
지지부재(200)의 타단부에는 착지부재(500)와 지지부재(200)를 연결하는 지지케이블(600)이 연결되는 케이블구멍(205)이 형성된다.
즉, 지지부재(200)는 그 일단이 설치부재(100)의 고정돌부(120) 사이에 끼워져서 제1고정구멍(121)과 제2고정구멍(20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30)가 제1,2고정구멍(121)(201)에 끼워져서 고정된 후에, 고정돌부(12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부재(130)에 별도의 빠짐방지부재인 나비 스프링(140)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제1계단부재(300)는 한 쌍의 안내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05)와, 다수의 디딤부재(320)로 크게 구성된다.
안내부재(3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상단에는 제2고정부재(305)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4고정구멍(311)이 형성된다. 즉, 안내부재(310)는 지지부재(200)의 제3고정구멍(203)에 제2고정부재(305)로 힌지 고정된다.
그리고 안내부재(310)의 전면에는 돌기부(314)가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으 로 돌출 형성된다.
안내부재(310)의 측면에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안내홈(312)이 형성되고, 안내홈(312)에 제2계단부재(400)가 끼워져 이동된다.
안내부재(310)의 안내홈(312)에는 제2계단부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3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재(310)는 제2계단부재(400)가 왕복이동되는 구간에 안내공(313)이 안내홈(312)에 연통되어 형성된다.
즉, 안내홈(312)은 제2계단부재(400)의 상단이 안내부재(310)의 하단으로 끼워져서 상부 일부까지 이동되고, 제2계단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의 일정높이 아래부분에서 하단끝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계단부재(300)에는 안내부재(310)의 돌기부(314)에 힌지 고정되어, 디딤부재(320)를 딛고 내려오는 대피자가 손을 놓칠 경우 뒤로 넘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보호부재(330)가 더 구비된다.
제1보호부재(330)는 양단에 형성된 핀 고정구멍(330a)을 돌기부(31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핀구멍(314a)에 일치시켜서 힌지핀(331)을 끼운 다음, 힌지핀(331)의 일단부에 이탈방지부재인 나비스프링(332)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즉, 제1보호부재(330)는 돌기부(314)에 힌지핀(331)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힌지핀(331)에 나비스프링(332)이 고정되어 핀고정구멍(330a)과 핀구멍(314a)에서 힌지핀(33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계단부재(400)는 프레임부재(410)와, 제3고정부재(420)와, 한쌍의 지지 바(430)와, 다수의 제2디딤부재(440)로 크게 구성된다.
프레임부재(410)는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3고정부재(420)가 고정되는 제5고정구멍(411)이 형성된다.
프레임부재(410)의 하부 일면에는 착지부재(500)가 힌지 고정되는 고정돌부(412)가 돌출 형성된다.
제3고정부재(420)는 프레임부재(410)의 상단에 가로질러 고정되고, 양단이 안내부재(310)의 안내홈(312)을 통하여 안내공(313)에 끼워져 왕복이동되며, 안내부재(310)의 안내공(313)의 하단에 걸림되어 안내부재(310)에서 제2계단부재(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고정부재(420)는 안내부재(310)의 안내공(313)에 끼워져 안내부재(310)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분리방지부재(421)에 의해 고정되어 안내부재(310)의 안내공(313)에서 제3고정부재(4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이다.
한 쌍의 지지바(430)는 제3고정부재(420)와 프레임부재(410) 하단에 수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되, 중앙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431)가 형성되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복수의 제2디딤부재(440)는 프레임부재(410)와 지지바(430)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제2디딤부재(440)는 공간부(431)에는 형성되지 않고, 공간부(431)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2계단부재(400)에는 프레임부재(410)의 양쪽에 고정된 제2디딤부 재(440)를 딛고 내려오는 사람이 손을 놓쳤을 때 사람의 등을 받쳐 보호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호부재(450)를 더 구비한다.
제2보호부재(450)는 반원 형상으로 그 양단이 프레임부재(410)의 양단에 고정핀(451)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계단부재(300)의 안내부재(310)에 형성되는 안내홈(312)은 제2계단부재(400)의 프레임부재(410)가 완전히 끼워지는 상태에서 이동되는 구조이지만, 도 7과 같이, 안내부재(310)의 안내홈(312)에 프레임부재(410)의 일부만 끼워져 돌출된 상태로 이동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계단부재(300)의 안내부재(310)에 형성되는 안내홈(312)에 프레임부재(4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양쪽으로 돌출되는 제3고정부재(420)가 끼워지고, 안내부재(310)의 측면 내측에 프레임부재(410)의 외측면이 접촉될 정도 가까이 밀접한 상태로, 제2계단부재(400)가 제1계단부재(300)에서 왕복 이동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착지부재(500)는 그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출부(503)가 프레임부재(410)의 고정돌부(412)에 제4고정부재(510)로 힌지 고정되고, 제4고정부재(510)의 양단에 분리방지부재(520)가 끼워져 고정돌출부(503)에서 제4고정부재(5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착지부재(500)는 평평하게 형성되되, 그 양측단에 고정리브(501)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이 고정리브(501)의 일측단부에 고정돌출부(503)가 형성되어 제2계단부재(400)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제2계단부재(400)의 고정돌부(412)가 프레임부재(410)의 하단에서 일정높이에 형성되고, 고정돌부(412)에 제4고정부재(510)로 고정되는 착지부재(500)의 고정돌출부(503)도 착지부재(500)의 상면에서 일정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착지부재(500)의 상면에 제2계단부재(400)의 하단이 지지되어, 착지부재(500)가 아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착지부재(500)는 상면 일측부에 제2계단부재(400)의 프레임부재(410) 하단이 닿아서 지지됨으로써, 프레임부재(410)에 대하여 직각보다 작은 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착지부재(500)에 내려서는 대피자가 미끄러져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구성이다. 즉, 착지부재(500)와 프레임부재(410)는 대략 80도의 각을 이루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리브(501)의 타측부에는 지지부재(200)와 착지부재(500)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케이블(600)이 고정되는 케이블구멍(505)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케이블(600)은 다수로 구비되되, 그 길이가 각각 다르게 구비되어, 지지부재(200)와 제1보호부재(330), 제1보호부재(330)와 제1보호부재(330), 제1보호부재(330)와 제2보호부재(450), 제2호보부재(450)와 착지부재(500)를 연결하여,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각 부품들이 펼쳐졌을 때 제1,2보호부재(330)(450)가 제1계단부재(300)와 제2계단부재(400)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장치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베란다(20)의 바닥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60)에 지지부재(200)를 안전핀(50)으로 고정한다. 즉, 베란다(20) 바닥에 돌출 형성된 고정턱부(21)를 설치부재(100)의 고정홈(111)에 끼워 고정하고,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가 접혀져서 지지기둥(60)의 핀구멍(61)과 지지부재(200)의 핀구멍(206)이 일치된 상태에서, 일치된 핀구멍(61)(206)에 안전핀(50)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베란다(20)에 사다리장치를 설치한다. 여기서, 지지기둥(60)은 베란다(20)의 일측 끝에서 사다리장치가 고정될 수 있을 정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베란다(20)에 사다리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자는 베란다로 나와서, 지지기둥(60)에 설치된 사다리장치에서, 지지기둥(60)의 핀구멍(61)과 지지부재(200)의 핀구멍(206)에 끼워진 안전핀(50)을 도 9와 같이, 쭉 뽑아낸 후에,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를 펼친 후에 아래층의 베란다(20)로 탈출한다. 여기서,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가 펼치지는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작용을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도 8과 도 10과 같이,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하게 된다.
즉, 베란다(20)의 바닥에 돌출 형성된 고정턱부(21)를 설치부재(100)의 설치본체(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1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한 후에, 도 10과 같이 설치본체(110)를 고정턱부(21)에 볼트로 베란다(20)에 사다리장치의 설치부재(100)를 완전 고정한다.
이후에,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에서 각부품 즉,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지지부재(200)의 핀구멍(206)과 지지기둥(60)에 형성된 핀구멍(61)을 일치시킨 후에, 일치된 핀구멍(61)(206)에 안전핀(50)을 끼워서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가 펼쳐지지 않도록 임시 고정한다.
즉,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는 지지기둥(60)에 지지부재(200)가 안전핀(50)으로 고정됨으로써, 사다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가 펼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베란다(20)를 통하여 대피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베란다(20)의 바닥에 설치되고, 지지기둥(60)에 안전핀(50)으로 접혀진 상태로 임시고정된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300), 제2계단부재(400), 착지부재(500)를 아래층의 베란다(20)로 펼쳐서 대피한다.
먼저,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베란다(20)의 바닥에 돌출 형성된 고정턱부(21)에 끼워지고 볼트로 고정되는 설치부재(100)가 고정되고, 베란다(20)의 지지기둥(60)에 제1,2계단부재(300)(400), 착지부재(5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지지부재(200)가 안전핀(50)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는 안전핀(50)을 제거한다.
그러면, 도 10과 같은 상태에 있던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부품중 접혀진 착지부재(500), 제1,2계단부재(300)(400), 지지부재(200)가 자중에 의해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1과 같이, 설치부재(100)의 상단에 지지부재(200)가 지지되어 설치부재(100)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부재(200)는 설치부재(100)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2계단부재(300)(400)와 착지부재(500)는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도 12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후에, 제1계단부재(300)의 안내부재(310)에 형성된 안내홈(312)에 끼워진 제2계단부재(400)의 프레임부재(410)가 아래로 하강함과 동시에, 제2계단부재(400) 하단의 고정돌부(412)에 힌지 고정되는 착지부재(500)가 회동되어 프레임부재(410)의 하단에 착지부재(500)의 윗면에 닿아 지지되어 도 13과 같이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가 도 13과 같이, 완전히 펼쳐지면 위층에 있는 대피자는 지지부재(200)를 통하여 내려와 손은 지지부재(200)를 붙잡고, 발은 제1계단부재(300)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1디딤부재(320)의 위쪽부터 아래로 한발한발 디디면서 내려온다.
이와 같이, 제2계단부재(400)의 제2디딤부재(440)를 디디면서 내려와 착지부재(500)로 내려 선후에, 대피자는 제2계단부재(400)에 형성되는 공간부(431)를 통하여 아래층의 베란다(20)로 대피하면 되는 것이다.
아래층의 베란다(20)에 창문이 있을 경우에는 착지부재(500)에 내려선 상태에서 유리창을 깬 후에, 제2계단부재(400)의 공간부(431)를 통하여 아래층의 베란다로 대피하게 된다.
만약 여러층이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각층의 베란다(20) 마다 구비된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펼쳐서 화재가 나지 않은 베란다(20)까지 내려와 대피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아파트나 고층 건물의 베란다에 설치하게 되면, 특정한 층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펼쳐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층으로 대피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설치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2계단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착지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제1계단부재와 제2계단부재가 결합된 부분을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가 베란다의 지지기둥에 안전핀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가 베란다의 지지기둥에 안전핀을 뽑았을 때 사다리장치의 일부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의 작 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란다 40 : 난간
50 : 안전핀 60 : 지지기둥
100 : 설치부재 200 : 지지부재
300 : 제1계단부재 310 : 안내부재
320 : 제1디딤부재 330 : 보호부재
400 : 제2계단부재 410 : 프레임부재
420 : 제3고정부재 430 : 지지바
440 : 제2디딤부재 450 : 제2보호부재
500 : 착지부재 510 : 제4고정부재
600 : 지지케이블

Claims (10)

  1. 설치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계단부재;
    상기 제1계단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계단부재; 및
    상기 제2계단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계단부재와 제2계단부재를 디디면서 내려오는 대피자가 내려설 수 있는 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재의 일단에는 베란다에 형성되는 고정턱부에 끼워지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설치부재 상단의 양끝에 형성되되, 그 후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상단 전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제2고정부재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를 가로질러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디딤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디딤부재를 딛고 내려오는 대피자가 손을 놓칠 경우 뒤로 넘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힌지공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힌지핀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부재가 끼워져 상기 힌지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단부재는,
    상기 제1계단부재에 결합되어 왕복이동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계단부재의 안내부재의 안내공에 끼워져 이동되는 제3고정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3고정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의 제2디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제2디딤부재를 디디고 내려오는 대피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제2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부재의 양끝에는 상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어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고정돌출부에 제4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고정돌부가 하단에서 일정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착지부재의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단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착지부재가 일정이상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착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케이블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20080073409A 2008-07-28 2008-07-28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90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09A KR100905490B1 (ko) 2008-07-28 2008-07-28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09A KR100905490B1 (ko) 2008-07-28 2008-07-28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490B1 true KR100905490B1 (ko) 2009-07-01

Family

ID=4133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409A KR100905490B1 (ko) 2008-07-28 2008-07-28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777B1 (ko) * 2009-07-14 2010-03-30 송일상 높이조절 사다리의 승강장치
KR101129439B1 (ko) 2008-11-07 2012-03-26 오정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CN115263176A (zh) * 2022-06-15 2022-11-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87Y1 (ko) 2004-04-26 2004-08-05 배종식 난간용 사다리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87Y1 (ko) 2004-04-26 2004-08-05 배종식 난간용 사다리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39B1 (ko) 2008-11-07 2012-03-26 오정아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949777B1 (ko) * 2009-07-14 2010-03-30 송일상 높이조절 사다리의 승강장치
CN115263176A (zh) * 2022-06-15 2022-11-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CN115263176B (zh) * 2022-06-15 2023-12-01 中国矿业大学 一种地下农场低能耗逃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03154A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129439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762208B1 (ko) 대피난간용 발판절첩장치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