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583A -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583A
KR20080075583A KR1020070014645A KR20070014645A KR20080075583A KR 20080075583 A KR20080075583 A KR 20080075583A KR 1020070014645 A KR1020070014645 A KR 1020070014645A KR 20070014645 A KR20070014645 A KR 20070014645A KR 20080075583 A KR20080075583 A KR 2008007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ence
connecting rods
outer frame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린
Original Assignee
(주)드림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인기술 filed Critical (주)드림인기술
Priority to KR102007001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583A/ko
Publication of KR2008007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사다리로 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베란다에 설치된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 일측에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외곽프레임의 일단에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앵커공을 갖는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의 제1 수직바가 결합되며, 일측면에 와이어 권취된 완강기가 설치된 차단팬스;
상기 안전난간을 통해 사람이 이동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 타측에 상기 차단휀스와 대향되게 제2 외곽프레임이 위치되고, 상기 제2 외곽프레임 내측에 다수개의 제2 수직바가 결합된 추락방지팬스;
상기 추락방지팬스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자유단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봉;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봉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연결구가 안전봉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연결구에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 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바;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차단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너트 체결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형성된 마감프레임;
상기 차단팬스와 인접한 측의 개구부 하부에 설치되며, 자유단측에 돌기가 형성된 힌지핀;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 중 하나의 연결봉 외주면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며, 일측에 볼트공을 갖는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의 타측에 반원띠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띠의 타측에 상기 돌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힌지구 및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과 추락방지팬스의 힌지회동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동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란다, 난간, 완강기, 안전봉, 와이어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차단펜스 120 : 추락방지펜스
130 : 연결봉 140 : 걸림바
150 : 마감프레임 160 : 힌지핀
170 : 힌지구 200 : 작동구
210 : 본체프레임 220 : 손잡이
C : 개구부
본 발명은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사다리로 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 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평상시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 상황 시 사다리를 펴서 외부와 연결되는 탈출로 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베란다 겸용 사다리가 다수의 공개 문헌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그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에는 난간대의 일측에 비상 사다리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사다리를 아래 방향으로 펴서 비상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는 난간대 일측에 비상 사다리가 절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사다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감으로 인하여 잡고 있던 사다리를 놓쳤을 경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추락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난간을 사다리로 변형시 변형된 사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이동시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난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사다리로 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회동되는 난간에 완강기에 권취된 와이어가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간에서 사다 리로 전환시 안정된 동작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베란다에 설치된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 일측에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외곽프레임의 일단에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앵커공을 갖는 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다수개의 제1 수직바가 결합되며, 일측면에 와이어 권취된 완강기가 설치된 차단팬스;
상기 안전난간을 통해 사람이 이동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 타측에 상기 차단휀스와 대향되게 제2 외곽프레임이 위치되고, 상기 제2 외곽프레임 내측에 다수개의 제2 수직바가 결합된 추락방지팬스;
상기 추락방지팬스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자유단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봉;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봉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연결구가 안전봉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연결구에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바;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차단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너트 체결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의 자유단측 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가 형성된 마감프레임;
상기 차단팬스와 인접한 측의 개구부 하부에 설치되며, 자유단측에 돌기가 형성된 힌지핀;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 중 하나의 연결봉 외주면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며, 일측에 볼트공을 갖는 설치편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의 타측에 반원띠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띠의 타측에 상기 돌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힌지구 및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과 추락방지팬스의 힌지회동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동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구는 상기 개구부 상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수용공간과 개구홈이 한 쌍의 수용공을 갖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삽입공을 갖는 마감편이 고정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수용공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외주면에 탄성스프링이 개재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삽입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ㄷ"자형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100)은 차단팬스(110), 추락방지팬스(120), 다수개의 연결봉(130), 다수개의 걸림바(140), 마감프레임(150), 힌지핀(160), 힌지구(170) 및 작동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팬스(110)는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C) 일측에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팬스(110)는 제1 외곽프레임(111)의 일단에 연결편(11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편(11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앵커공(1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112)을 개구부(C)의 일측벽에 위치시킨 후, 상기 앵커공(113)에 앵커볼트를 체결하여 개구부(C) 측벽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 외곽프레임(111)은 그 내측에 다수개의 제1 수직바(114)가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와이어(115)가 권취된 완강기(11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완강기(116)는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긴급대피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일반화된 공지공용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외곽프레임(111)의 타측면에는 복수개의 고무편(118)이 부착된다.
이에 따라, 그 상층에 설치된 안전난간(100)이 힌지회동시 상기 고무편(118)과 접촉하여 그 충격을 최소화한다.
상기 추락방지팬스(120)는 상기 안전난간(100)을 통해 사람이 이동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팬스(120)는 제2 외곽프레임(121)이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C) 타측에서 상기 차단팬스(110)와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외곽프레임(121)의 내측에 다수개의 제2 수직바(123)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은 상기 추락방지팬스(120)의 일측면에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연결봉(130)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31)이 형성되고, 그 자유단측에는 체결돌기(1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연결봉(130) 중 개구부(C)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연결봉(13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ㄷ"자형 손잡이(2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홀(1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걸림바(140)는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봉(130)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3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그 꼭지점 부위에 각각 상기 연결봉(130)이 삽입되는 연결홈(141)을 갖는 연결 구(143)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연결구(143)는 안전봉(145)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연결구(143)는 외주면에 상기 체결공(131)과 연통되는 결합공(147)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프레임(150)은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봉(130) 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감프레임(150)은 그 내측에 상기 체결돌기(133)가 각각 삽입되어 너트체결될 수 있도록 설치공(15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115)의 자유단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15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팬스(110)와 인접한 측의 개구부(C) 하부에는 힌지핀(160)이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160)의 자유단측에는 돌기(O)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구(170)는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 중 하나의 연결봉(130) 외주면에 2조 1쌍이 서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구(170)는 그 일측에 볼트공(171)을 갖는 설치편(173)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173)의 타측에 반원띠(175)가 형성되며, 상기 반원띠(175)의 타측에 상기 돌기(O)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용홈(17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추락방지팬스(120), 연결봉(130), 걸림바(140) 및 마감프레임(150)은 상기 힌지핀(160)을 기준으로 힌지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C)의 타측에는 추락방지팬스(120), 연결봉(130), 걸림 바(140) 및 마감프레임(150)의 힌지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동구(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구(200)는 본체프레임(210)과 "ㄷ"자형 손잡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상기 개구부(C) 상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홈부(2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수용공간(212)과 개구홈(213)이 한 쌍의 수용공(214)을 갖는 격벽(214)에 의해 구획된다. 이때, 상기 홈부(211)를 이루는 측벽에는 앵커볼트를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홀(21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상기 앵커볼트에 의해 개구부(C)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12)의 일측는 그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삽입공(217)을 갖는 마감편(218)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ㄷ"자형 손잡이(220)는 상기 수용공(214)을 통해 그 단부가 수용공간(212)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12) 내에서 "ㄷ"자형 손잡이(220)의 외주면에는 탄성스프링(222)이 개재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삽입공(21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ㄷ"자형 손잡이(220)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22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은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사다리로 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 로, 이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안전난간(100)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층간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ㄷ"자형 손잡이(220)를 당기면, 상기 탄성스프링(222)의 탄성력을 통해 삽입공(217)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ㄷ"자형 손잡이(220)의 단부가 상기 체결홀(135)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22)은 상기 단턱(224)에 의해 압축되어 "ㄷ"자형 손잡이를 놓으면 "ㄷ"자형 손잡이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상기 "ㄷ"자형 손잡이(220)의 단부가 체결홀(135)에서 이탈되면, 추락방지펜스(120), 연결봉(130),걸림바(140) 및 마감프레임(150)이 힌지핀(160)을 기준으로 힌지회동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중 개구부(C)의 바닥면에 인접한 하나의 연결봉(130)에 볼트체결된 힌지구(170)가 힌지핀(160)을 중심으로 힌지회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회동되는 마감프레임(150)의 연결고리(154)에는 완강기(116)의 와이어(115)가 연결되어 추락방지펜스(120), 연결봉(130), 걸림바(140) 및 마감프레임(150)으로 이루어진 안전난간(100)이 비상계단으로 변환시보다 안정된 동작관계 및 안정된 결합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방향전환된 걸림바(14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층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층간 이동중 추락사고가 발생시 상기 추락방지펜스(120)에 걸림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을 선택적으로 힌지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사다리로 변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회동되는 난간에 완강기에 권취된 와이어가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간에서 사다리로 전환시 안정된 동작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동주택의 화재와 같은 비상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베란다에 설치된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100)은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C) 일측에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외곽프레임(111)의 일단에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앵커공(113)을 갖는 연결편(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곽프레임(111)의 내측에 다수개의 제1 수직바(114)가 결합되며, 일측면에 와이어(115)가 권취된 완강기(116)가 설치된 차단펜스(110);
    상기 안전난간(100)을 통해 사람이 이동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란다의 개구부(C) 타측에 상기 차단펜스(110)와 대향되게 제2 외곽프레임(121)이 위치되고, 상기 제2 외곽프레임(121)의 내측에 다수개의 제2 수직바(123)가 결합된 추락방지펜스(120);
    상기 추락방지펜스(12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자유단측에 체결돌기(133)가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봉(130);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봉(13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연결구(143)가 안전봉(14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연결구(143)에 상기 체결공(131)과 연통되는 결합공(147)이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바(140);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 단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기 체결돌기(133)가 각각 삽입되어 너트체결되는 설치공(15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115)의 자유단측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154)가 형성된 마감프레임(150);
    상기 차단펜스(110)와 인접한 측의 개구부(C) 하부에 설치되며, 자유단측에 돌기(O)이 형성된 힌지핀(160);
    상기 다수개의 연결봉(130) 중 하나의 연결봉(130) 외주면에 2조 1쌍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며, 일측에 볼트공(171)을 갖는 설치편(173)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편(173)의 타측에 반원띠(175)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띠(175)의 타측에 상기 돌기(O)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용홈(177)이 형성된 힌지구(170) 및
    상기 개구부(C)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130)과 추락방지펜스(120)의 힌지회동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동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200)는
    상기 개구부(C) 상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홈부(2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수용공간(212)과 개구홈(213)이 한 쌍의 수용공(214)을 갖는 격벽(214)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수용공간(212)의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212)을 선택적으로 차단 할 수 있도록 삽입공(217)을 갖는 마감편(218)이 고정된 본체프레임(210)과
    상기 수용공(214)을 통해 수용공간(212)으로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212) 내에서 외주면에 탄성스프링(222)이 개재되며, 외주면 일측에 상기 삽입공(21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224)이 형성된 "ㄷ"자형 손잡이(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KR1020070014645A 2007-02-13 2007-02-13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KR20080075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645A KR20080075583A (ko) 2007-02-13 2007-02-13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645A KR20080075583A (ko) 2007-02-13 2007-02-13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83A true KR20080075583A (ko) 2008-08-19

Family

ID=3987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645A KR20080075583A (ko) 2007-02-13 2007-02-13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5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47B1 (ko) *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53410B1 (ko) * 2010-01-28 2010-04-19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111887B1 (ko) * 2009-09-17 2012-02-13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을 위한 회전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
KR101457571B1 (ko) * 2014-04-09 2014-11-03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갖춘 안전펜스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47B1 (ko) *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111887B1 (ko) * 2009-09-17 2012-02-13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을 위한 회전 사다리형 안전 난간대
KR100953410B1 (ko) * 2010-01-28 2010-04-19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457571B1 (ko) * 2014-04-09 2014-11-03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갖춘 안전펜스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321B2 (en)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20080075583A (ko)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KR100738377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20090042692A (ko)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210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 보강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0610310B1 (ko)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