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11B1 -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11B1
KR101202211B1 KR1020100100318A KR20100100318A KR101202211B1 KR 101202211 B1 KR101202211 B1 KR 101202211B1 KR 1020100100318 A KR1020100100318 A KR 1020100100318A KR 20100100318 A KR20100100318 A KR 20100100318A KR 101202211 B1 KR101202211 B1 KR 10120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hole
wall
rise building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715A (ko
Inventor
최수범
Original Assignee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고정봉(F)에 의해 균등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제 1 좌측 고정수단(L1), 제 2 좌측 고정수단(L2), 제 1 우측 고정수단(R1)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R2)에 의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때 제 1 지지로프(J1) 및 제 2 지지로프(J2)에 의해 우측외벽(W2)에 매달려 화재시 탈출자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 사이의 고정봉(F)을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탈출을 가능케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MIDDLE AND LOW RISE BUILDING}
본 발명은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안전하고도 간단히 그리고 신속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비상 탈출수단은 적지 않게 제안된 바 있으나 중저층 건물 전용의 비상 탈출장치는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다.
중저층 건물은 다가구 주택이나 상가빌딩을 그 예로 들 수 있고, 이러한 건물은 대부분 옥상이나 계단을 통한 비상 탈출구만 존재할 뿐이다.
예를 들어, 중저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현관문을 통해 즉각적으로 탈출하지 못할 경우 사실상 외부의 고가 사다리 등에 의존하여 탈출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선출원(20-2008-0003071)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선출원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공간(2c)이 형성되게 바닥판(2a) 사방으로 측벽(2b)을 형성한 대피함(2)과, 이 대피함(2)을 하강시키는 완강수단(10)으로 구성된다. 대피함(2)은 세워진 상태에서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21)과 분리 가능한 핀(3)으로 결합된다. 완강수단(10)은 상부층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11)와, 대피함(2)의 바닥(2a)에 세워진 지지대(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13)과, 상기 권취드럼(13)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타단은 도르래(11)를 경유하여 대피함(2)의 사방에 고정된 지지줄(15)과 연결되는 로프(14)와, 상기 권취드럼(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2)에 설치되며 권취드럼(13)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14)를 서서히 풀려지게 하는 속도조절기(16)로 구성된다. 속도조절기(16)는 로프(14)가 통과하는 가이드관(16a) 측방에 로프(14)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멍(16b)을 형성하고, 이 구멍(16b)으로는 가이드관(16a)에 고정된 브래킷(16c)에 축 결합되며 핸들(16d)로 회동 조작되는 가압용 캠(16e)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선출원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를 고층건물의 창문 바깥쪽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때 여러 사람이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 혹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선출원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는 인원이 많은 고층건물에는 적합하나 학교, 다가구 주택, 원룸 또는 상가 빌딩 등과 같은 중저층 건물에는 설치공간 및 설치비용에 대한 효율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이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7a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좌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7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우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난간으로 활용되고 비상시에는 탈출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도 3과 같이 로프(40)에 연결된 원통체(20)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4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각각 고정되는 통공(13a)을 지닌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과,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이 각각 형성된 좌측캡(21) 및 우측캡(22)으로 씌워진 원통체(20)와,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각각 치합되면서 머리(33)가 통공(13a)에 끼워지는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와, 좌측캡(21)에 뚫려진 쓰루홀(21b)과, 좌측 브래킷(11)에 고정되면서 쓰루홀(21b)을 통해 원통체(20) 속으로 늘어뜨려진 로프(40), 그리고 이 로프(40)의 끝단에 고정된 스토퍼(41)를 포함한다.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을 각각 고정시키고, 왼나사홈(21a) 및 오른나사홈(22a)에 각각 치합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머리(33)를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에 끼운 상태에서 원통체(20)를 정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에 밀착 끼워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원통체(20)를 역회전시킬 경우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여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통공(13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으로부터 원통체(20)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통체(20) 속의 로프(40)는 좌측캡(21)의 쓰루홀(21b)을 통해 좌측 브래킷(11)에 고정됨으로써 원통체(20)가 분리될 때 좌측 브래킷(11)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프(40) 및 원통체(20)를 파지하면서 아래층으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이때, 통공(13a)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져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머리(33)를 합치시키거나 분리시키고자 할 때의 신속함을 보장토록 할 수 있다.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좌측캡(21) 및 스토퍼(41) 사이에서 로프(40)를 수용하면서 원통체(20)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체(20) 및 로프(40)가 좌측 브래킷(11)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50)에 의해 좌측 브래킷(11)과 원통체(20)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로프(40)를 지나 원통체(20)로의 이동을 보다 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20)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은 고정홀(13b)을 포함하고, 이 고정홀(13b)을 통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에 박혀지는 스크류(14)에 의해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의 고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원통체(20)를 받아들이는 중공(61)을 지니면서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을 감싸는 외장캡(60)을 포함하여 통공(13a)으로의 이물질의 침착 등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외관의 간소함을 함께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좌측 브래킷(11) 및 우측 브래킷(12)은 통공(13a)의 양측에 안전구멍(13d)을 포함하고, 이 안전구멍(13d)에 끼워지는 안전핀(15)을 포함하여 평상시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좌측 브래킷(11)은 체결홀(13c)을 구비하고, 로프(40)는 체결홀(13c)에 끼워져 좌측외벽(W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13b)에 박혀지는 스크류(14)와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통체(20)는 외주연에 미끄럼방지턱(23; 기타 미끄럼방지 접착 스프레이 등)을 구비하여 탈출자의 파지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좌측캡(21)의 왼나사홈(21a) 및 우측캡(22)의 오른나사홈(22a)에 왼나사볼트(31) 및 오른나사볼트(32)가 각각 치합되면서 통공(13a)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창문을 열고 하나의 원통체(20)에 의존하여 하강하여야만 하여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저층에 화재가 발생되고 현관문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탈출자가 제 1 지지로프 및 제 2 지지로프에 연결된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를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 간단히 파지하면서 더욱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고정봉에 의해 균등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제 1 좌측 고정수단, 제 2 좌측 고정수단, 제 1 우측 고정수단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에 의해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때 제 1 지지로프 및 제 2 지지로프에 의해 우측외벽에 매달려 화재시 탈출자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 사이의 고정봉을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탈출을 실행할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가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고정봉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지지로프의 길이가 제 1 지지로프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치됨으로써 탈출자가 중저층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수평상태의 고정봉을 손으로 파지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내려올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뚫려진 쓰루홀에 우측캡의 통관으로 간단히 끼워져 조립되어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가 통관 및 쓰루홀을 경유하여 우측외벽에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 또한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우측외벽이 쓰루홀을 지닌 지지틀을 포함하고,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는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통관을 경유하여 쓰루홀로 끼워진 후 지지틀의 내부에서 고정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 및 견고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지지로프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를 포함하고, 우측캡 및 지지스토퍼 사이에서 지지로프를 수용하면서 원통체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을 포함하여, 원통체가 우측외벽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에 의해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원통체를 파지하면서 보다 쉽게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이 끼워지는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을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 사이에 제 1 좌측 고정수단 및 제 1 우측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원통체와,
상기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 사이에 제 2 좌측 고정수단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상기 제 1 원통체의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원통체와,
상기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균등하게 고정된 고정봉과,
상기 제 1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1 우측 고정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로프와,
상기 제 2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2 우측 고정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이 끼워지는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 사이에 좌측 고정수단 및 우측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우측 고정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에 고정되는 지지로프를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고정수단은 상기 좌측외벽에 고정되는 통공을 지닌 좌측 브래킷과,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체의 좌측에 합체된 좌측캡과, 상기 나사구멍에 치합되면서 머리가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고정수단은 상기 우측외벽에 뚫려진 쓰루홀과, 상기 원통체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쓰루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관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의 우측에 합체된 우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프는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통관 및 쓰루홀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에 고정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고정봉에 의해 균등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제 1 좌측 고정수단, 제 2 좌측 고정수단, 제 1 우측 고정수단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에 의해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때 제 1 지지로프 및 제 2 지지로프에 의해 우측외벽에 매달려 화재시 탈출자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 사이의 고정봉을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탈출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가 좌측외벽 및 우측외벽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고정봉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지지로프의 길이가 제 1 지지로프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치됨으로써 탈출자가 중저층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수평상태의 고정봉을 손으로 파지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내려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뚫려진 쓰루홀에 우측캡의 통관으로 간단히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가 통관 및 쓰루홀을 경유하여 우측외벽에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 또한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를 포함하여 우측 원통체의 내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측외벽이 쓰루홀을 지닌 지지틀을 포함하고,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는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통관을 경유하여 쓰루홀로 끼워진 후 지지틀의 내부에서 고정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 및 견고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측캡 및 지지스토퍼 사이에서 제 1 지지로프 또는 제 2 지지로프를 수용하면서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 속으로 각각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을 포함하여,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가 우측외벽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에 의해 제 1 원통체 또는 제 2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 사이의 고정봉으로의 이동을 보다 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캡에 뚫려진 관통공과, 좌측 원통체의 내부에서부터 관통공을 경유하여 좌측외벽에 고정되는 보조로프를 포함하여, 비상시 제 1 원통체 및 제 2 원통체가 좌측 원통체 및 우측 원통체로 분리될 때 보조로프에 의해 좌측 원통체가 좌측외벽에 그대로 매달릴 수 있게 되어 지상의 행인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체의 좌측에 합체되며 나사구멍이 형성된 좌측캡, 나사구멍에 치합되면서 머리가 통공에 끼워지는 볼트를 포함하고,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뚫려진 쓰루홀에 우측캡의 통관으로 간단히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지로프가 통관 및 쓰루홀을 경유하여 우측외벽에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을 간소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로프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를 포함하고, 우측캡 및 지지스토퍼 사이에서 지지로프를 수용하면서 원통체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을 포함하여, 원통체가 우측외벽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에 의해 원통체가 우측외벽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원통체를 파지하면서 보다 쉽게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 출원에 따른 고층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6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사시도.
도 7a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좌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7b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우측 브래킷을 중심으로 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제 1 좌측 고정수단 또는 제 2 좌측 고정수단 쪽을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제 2 우측 고정수단 쪽을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을 포함하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제 1 좌측 고정수단(L1) 및 제 1 우측 고정수단(R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원통체(C1)와,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제 2 좌측 고정수단(L2)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R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제 1 원통체(C1)의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원통체(C2)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균등하게 고정된 고정봉(F)과, 제 1 원통체(C1)의 내부에서부터 제 1 우측 고정수단(R1)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로프(J1)와,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제 2 우측 고정수단(R2)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로프(J2)를 포함한다[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 1 항 및 제 2 항에서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는 원통체(C)로 굳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각체의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고정봉(F)에 의해 균등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제 1 좌측 고정수단(L1), 제 2 좌측 고정수단(L2), 제 1 우측 고정수단(R1)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R2)에 의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때 제 1 지지로프(J1) 및 제 2 지지로프(J2)에 의해 우측외벽(W2)에 매달려 화재시 탈출자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 사이의 고정봉(F)을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탈출을 가능케 한다.
이때, 제 2 지지로프(J2)의 길이는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고정봉(F)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지지로프(J1)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치된다.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고정봉(F)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지지로프(J2)의 길이가 제 1 지지로프(J1)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치됨으로써 탈출자가 중저층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때 수평상태의 고정봉(F)을 손으로 파지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는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각각 분리되도록 하되 고정봉(F)은 우측 원통체(RC)에만 배열되고, 좌측 원통체(LC)의 끝단에 우측 원통체(RC)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구(C3)가 각각 연통되도록 하며, 우측 원통체(RC)는 원통구(C3)에 각각 끼워져 조립된다.
고정봉(F)이 우측 원통체(RC)에만 배열되도록 하고 좌측 원통체(LC)에는 고정봉(F)이 없는 상태로 하여 좌측 원통체(LC)와 우측 원통체(RC)가 서로 분리될 시 탈출자가 우측 원통체(RC)에 배열된 고정봉(F)을 파지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좌측 고정수단(L1) 또는 제 2 좌측 고정수단(L2)은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과,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좌측에 합체되며 나사구멍(21)이 형성된 좌측캡(20)과,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봉(F)이 우측 원통체(RC)에만 배열되도록 하고 좌측 원통체(LC)에는 고정봉(F)이 없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좌측 고정수단(L1) 또는 제 2 좌측 고정수단(L2)이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좌측에 합체되며 나사구멍(21)이 형성된 좌측캡(20),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함으로써, 우측 원통체(RC)는 고정봉(F)으로 인하여 제자리 회전될 수 없지만 좌측 원통체(LC)는 우측 원통체(RC)와 원통구(C3)에 의해 조립되어 있고 고정봉(F)이 없는 상태이므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여 볼트(30)의 머리(31)가 통공(1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경우 볼트(30)의 길이가 좌측외벽(W1)을 향하거나 좌측외벽(W1)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게 되어, 비상시 좌측 원통체(LC)를 역회전시켜 볼트(30)가 좌측외벽(W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후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를 밀 경우 볼트(30)의 머리(31)가 통공(11)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좌측 원통체(LC)의 원통구(C3)로부터 우측 원통체(RC)가 동시에 분리됨과 동시에 제 1 지지로프(J1) 및 제 2 지지로프(J2)에 의해 우측 원통체(RC)가 우측외벽(W2)에 매달리 수 있게 되어 탈출자의 비상 탈출을 가능케 한다.
이때, 통공(11)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져, 좌측 원통체(LC)의 역회전에 따라 볼트(30)의 머리(31)가 좌측외벽(W1)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탈출자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를 밀 경우 볼트(30)의 머리(31)가 통공(11)으로부터 보다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좌측 브래킷(10)은 통공(11)의 양측에 안전구멍(12)을 포함하고, 이 안전구멍(12)에 끼워지는 안전핀(13)을 포함하여, 비 사용시 안전핀(13)에 의해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중저층 건물의 난간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우측 고정수단(R1) 또는 제 2 우측 고정수단(R2)은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과,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면서 쓰루홀(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관(51)을 구비하여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우측에 합체된 우측캡(50)을 포함하고,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는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가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에 우측캡(50)의 통관(51)으로 간단히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가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 또한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61)를 포함하여 우측 원통체(RC)의 내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도 14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우측외벽(W2)은 상기 쓰루홀(41)을 지닌 지지틀(40)을 포함하고,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는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통관(51)을 경유하여 쓰루홀(41)로 끼워진 후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 및 견고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우측캡(50) 및 지지스토퍼(61) 사이에서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를 수용하면서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 속으로 각각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가 우측외벽(W2)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70)에 의해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가 우측외벽(W2)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 사이의 고정봉(F)으로의 이동을 보다 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70)의 탄성에 의해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측캡(20)에 뚫려진 관통공(22)과, 좌측 브래킷(10)에 뚫려진 통과구멍(14)과,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관통공(22)을 경유하여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보조로프(80)를 포함하여, 비상시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될 때 보조로프(80)에 의해 좌측 원통체(LC)가 좌측외벽(W1)에 그대로 매달릴 수 있게 되어 지상의 행인에 가해질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조로프(80)의 끝단에 고정된 보조스토퍼(81)를 포함하여 좌측 원통체(LC)의 견고한 지지를 보장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설치 동작
먼저,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의 우측 원통체(RC) 사이에 고정봉(F)을 균등하게 교차 고정시키고,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의 좌측 원통체(LC)에 원통구(C3)를 합체시키고, 우측 원통체(RC)를 좌측 원통체(LC)의 원통구(C3)에 끼워 조립시킨다.
그리고, 좌측외벽(W1)에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을 고정시키고[미 도시된 나사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의 좌측캡(20)에 형성된 나사구멍(21)에 끼워진 볼트(30)의 머리(31)가 통공(11)에 합치되도록 하고, 더불어 우측외벽(W2)의 지지틀(40)에 형성된 쓰루홀(41)에 통관(51)을 끼워,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상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지지로프(J1)는 제 1 원통체(C1)의 내부에서 지지스토퍼(61)에 지지되면서 압출 스프링(70) 속으로 끼워지면서 통공(11) 및 쓰루홀(41)을 통해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제 2 지지로프(J2)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 지지스토퍼(61)에 지지되면서 압출 스프링(70) 속으로 끼워지면서 통공(11) 및 쓰루홀(41)을 통해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좌측캡(20)의 관통공(22)을 경유하여 좌측외벽(W1)에 미 도시된 스크류로 보조로프(80)를 고정시키고, 안전구멍(12)에 안전핀(13)을 끼움으로써 그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 동작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창문(D)을 열고 좌측 원통체(LC)를 역회전시키면, 볼트(30)가 역회전되어 좌측외벽(W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통공(1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안전핀(13)을 뽑고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를 밀어내면 볼트(30)의 머리(31)는 통공(11)으로부터 빠져나옴과 더불어 통관(51) 역시 쓰루홀(41)로부터 빠져나와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측 원통체(LC)는 보조로프(80)에 의해 좌측외벽(W1)에 매달려 있게 되고, 우측 원통체(RC)는 제 1 지지로프(J1) 및 제 2 지지로프(J2)에 의해 우측외벽(W2)에 매달려 있게 되며, 제 1 지지로프(J1)가 제 2 지지로프(J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고정봉(F)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출자가 고정봉(F)을 손으로 잡고 발로 딛으면서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더 낮은 위치로 내려온 후 지상의 공기 주머니나 쇼파 또는 지면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좌측 고정수단(L) 및 우측 고정수단(R)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체(C)와,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우측 고정수단(R)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지지로프(J)를 포함한다.
좌측 고정수단(L)은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과, 나사구멍(21)이 형성되어 원통체(C)의 좌측에 합체된 좌측캡(20)과,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하고, 우측 고정수단(R)은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과, 원통체(C)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면서 쓰루홀(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관(51)을 구비하여 원통체(C)의 우측에 합체된 우측캡(50)을 포함하고, 지지로프(J)는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원통체(C)의 좌측에 합체되며 나사구멍(21)이 형성된 좌측캡(20),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하고, 원통체(C)가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에 우측캡(50)의 통관(51)으로 간단히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지지로프(J)가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우측외벽(W2)에 고정됨으로써 설치작업을 간소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적용된 우측외벽(W2)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쓰루홀(41)을 지닌 지지틀(40)을 포함하고, 지지로프(J)는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통관(51)을 경유하여 쓰루홀(41)로 끼워진 후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및 견고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원통체(C)는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되고, 좌측 원통체(LC)의 끝단에 우측 원통체(RC)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구(C3)가 연통되며, 우측 원통체(RC)는 원통구(C3)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원통체(C)가 원통구(C3)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됨으로써 비상시 원통체(C)를 밀어낼 경우 좌측 원통체(LC)와 우측 원통체(RC)가 서로 분리되면서 지지로프(J)에 의해 우측 원통체(RC)가 우측외벽(W2)에 신속하게 매달릴 수 있게 되어 탈출자의 더욱 빠른 탈출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좌측캡(20)에 뚫려진 관통공(22)과,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관통공(22)을 경유하여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보조로프(80)를 포함하여, 우측 원통체(RC)와 마찬가지로 좌측 원통체(LC) 역시 탈출자가 탈출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면에서는 좌측 원통체(LC)의 길이가 짧게 처리되어 있으나 우측 원통체(RC)와 동일한 길이로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 도시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조로프(80)의 끝단에 고정된 보조스토퍼(81)를 포함하여 좌측 원통체(LC)가 보다 견고하게 좌측 외벽에 매달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공(11)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질 수 있고, 나아가 좌측 브래킷(10)은 통공(11)의 양측에 안전구멍(12)을 포함하고, 이 안전구멍(12)에 끼워지는 안전핀(13)을 포함하여, 비 사용시 중저층 건물의 난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지지로프(J)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61)를 포함할 수 있고, 우측캡(50) 및 지지스토퍼(61) 사이에서 지지로프(J)를 수용하면서 원통체(C)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원통체(C)가 우측외벽(W2)을 기점으로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질 때 압출 스프링(70)에 의해 원통체(C)가 우측외벽(W2)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탈출자가 원통체(C)를 파지하면서 보다 쉽게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탈출자의 이동시 압출 스프링(70)의 탄성에 의해 원통체(C)와 함께 부드럽게 낙하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하강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설치 동작
먼저, 좌측외벽(W1)에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을 고정시키고[미 도시된 나사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원통체(C)의 좌측캡(20)에 형성된 나사구멍(21)에 끼워진 볼트(30)의 머리(31)가 통공(11)에 합치되도록 하고, 더불어 우측외벽(W2)의 지지틀(40)에 형성된 쓰루홀(41)에 통관(51)을 끼워, 원통체(C)가 상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로프(J)는 원통체(C)의 내부에서 지지스토퍼(61)에 지지되면서 압출 스프링(70) 속으로 끼워지면서 통공(11) 및 쓰루홀(41)을 통해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좌측캡(20)의 관통공(22)을 경유하여 좌측외벽(W1)에 미 도시된 스크류로 보조로프(80)를 고정시키고, 안전구멍(12)에 안전핀(13)을 끼움으로써 그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 동작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창문(D)을 열고 좌측 원통체(LC)를 역회전시키면, 볼트(30)가 역회전되어 좌측외벽(W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통공(1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안전핀(13)을 뽑고 원통체(C)를 밀어내면 볼트(30)의 머리(31)는 통공(11)으로부터 빠져나옴과 더불어 통관(51) 역시 쓰루홀(41)로부터 빠져나와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측 원통체(LC)는 보조로프(80)에 의해 좌측외벽(W1)에 매달려 있게 되고, 우측 원통체(RC)는 지지로프(J)에 의해 우측외벽(W2)에 매달려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출자가 원통체(C)를 손으로 잡으면서 보다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더 낮은 위치로 내려온 후 지상의 공기 주머니나 쇼파 또는 지면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저층 건물(고층 건물의 응용 가능)의 비상 탈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산업분야에 이용된다.
D : 창문 W1 : 좌측외벽
W2 : 우측외벽 L : 좌측 고정수단
L1 : 제 1 좌측 고정수단 L2 : 제 2 좌측 고정수단
R : 우측 고정수단 R1 : 제 1 우측 고정수단
R2 : 제 2 우측 고정수단 C : 원통체
C1 : 제 1 원통체 C2 : 제 2 원통체
LC : 좌측 원통체 RC : 우측 원통체
C3 : 원통구 F : 고정봉
J : 지지로프 J1 : 제 1 지지로프
J2 : 제 2 지지로프 10 : 좌측 브래킷
11 : 통공 12 : 안전구멍
13 : 안전핀 14 : 통과구멍
20 : 좌측캡 21 : 나사구멍
22 : 관통공 30 : 볼트
31 : 머리 40 : 지지틀
41 : 쓰루홀 50 : 우측캡
51 : 통관 61 : 지지스토퍼
62 : 고정판 70 : 압출 스프링
80 : 보조로프 81 : 보조스토퍼

Claims (21)

  1. 창문(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을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제 1 좌측 고정수단(L1) 및 제 1 우측 고정수단(R1)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원통체(C1)와,
    상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제 2 좌측 고정수단(L2) 및 제 2 우측 고정수단(R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상기 제 1 원통체(C1)의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원통체(C2)와,
    상기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균등하게 고정된 고정봉(F)과,
    상기 제 1 원통체(C1)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1 우측 고정수단(R1)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로프(J1)와,
    상기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2 우측 고정수단(R2)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제 2 지지로프(J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로프(J2)의 길이는 상기 제 1 원통체(C1) 및 제 2 원통체(C2)가 상기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고정봉(F)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 지지로프(J1)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는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각각 분리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봉(F)은 상기 우측 원통체(RC)에만 배열시키고,
    상기 좌측 원통체(LC)의 끝단에 상기 우측 원통체(RC)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구(C3)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우측 원통체(RC)는 상기 원통구(C3)에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좌측 고정수단(L1) 또는 제 2 좌측 고정수단(L2)은
    상기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과,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좌측에 합체되며 나사구멍(21)이 형성된 좌측캡(20)과,
    상기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상기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1)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브래킷(10)은 상기 통공(11)의 양측에 안전구멍(12)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구멍(12)에 끼워지는 안전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고정수단(R1) 또는 제 2 우측 고정수단(R2)은 상기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과,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쓰루홀(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관(51)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우측에 합체된 우측캡(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는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외벽(W2)은 상기 쓰루홀(41)을 지닌 지지틀(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는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통관(51)을 경유하여 상기 쓰루홀(41)로 끼워진 후 상기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캡(50) 및 지지스토퍼(61) 사이에서 상기 제 1 지지로프(J1) 또는 제 2 지지로프(J2)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 1 원통체(C1) 또는 제 2 원통체(C2) 속으로 각각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캡(20)에 뚫려진 관통공(22)과,
    상기 좌측 브래킷(10)에 뚫려진 통과구멍(14)과,
    상기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관통공(22) 및 통과구멍(14)을 경유하여 상기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보조로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프(80)의 끝단에 고정된 보조스토퍼(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3. 창문(D)이 끼워지는 좌측외벽(W1) 및 우측외벽(W2) 사이에 좌측 고정수단(L) 및 우측 고정수단(R)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체(C)와, 상기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우측 고정수단(R)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지지로프(J)를 포함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고정수단(L)은 상기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통공(11)을 지닌 좌측 브래킷(10)과, 나사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체(C)의 좌측에 합체된 좌측캡(20)과, 상기 나사구멍(21)에 치합되면서 머리(31)가 상기 통공(11)에 끼워지는 볼트(30)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고정수단(R)은 상기 우측외벽(W2)에 뚫려진 쓰루홀(41)과, 상기 원통체(C)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쓰루홀(4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통관(51)을 구비하여 상기 원통체(C)의 우측에 합체된 우측캡(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프(J)는 상기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통관(51) 및 쓰루홀(41)을 경유하여 상기 우측외벽(W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외벽(W2)은 상기 쓰루홀(41)을 지닌 지지틀(4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프(J)는 상기 원통체(C)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통관(51)을 경유하여 상기 쓰루홀(41)로 끼워진 후 상기 지지틀(40)의 내부에서 고정판(6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C)는 좌측 원통체(LC) 및 우측 원통체(RC)로 분리되고,
    상기 좌측 원통체(LC)의 끝단에 상기 우측 원통체(RC)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구(C3)가 연통되고,
    상기 우측 원통체(RC)는 상기 원통구(C3)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캡(20)에 뚫려진 관통공(22)과,
    상기 좌측 원통체(LC)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관통공(22)을 경유하여 상기 좌측외벽(W1)에 고정되는 보조로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프(80)의 끝단에 고정된 보조스토퍼(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1)은 알파벳 유(U)자형으로 뚫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브래킷(10)은 상기 통공(11)의 양측에 안전구멍(12)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구멍(12)에 끼워지는 안전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프(J)의 끝단에 고정된 지지스토퍼(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캡(50) 및 지지스토퍼(61) 사이에서 상기 지지로프(J)를 수용하면서 상기 원통체(C) 속으로 내장되는 압출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20100100318A 2010-10-14 2010-10-14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120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318A KR101202211B1 (ko) 2010-10-14 2010-10-14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318A KR101202211B1 (ko) 2010-10-14 2010-10-14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15A KR20120038715A (ko) 2012-04-24
KR101202211B1 true KR101202211B1 (ko) 2012-11-16

Family

ID=4613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318A KR101202211B1 (ko) 2010-10-14 2010-10-14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987B1 (ko) * 2020-12-02 2021-04-27 왕승현 비상 대피장치가 내장된 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0953410B1 (ko) 2010-01-28 2010-04-19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912Y1 (ko) 2005-06-24 2005-09-29 김기종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0953410B1 (ko) 2010-01-28 2010-04-19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15A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701789B1 (ko) 초고층건물의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시스템
EP1666100A2 (en) Rescue cage
KR20070004492A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04667441B (zh) 楼房折叠逃生箱
KR101202211B1 (ko)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0953410B1 (ko)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200424293Y1 (ko) 자석 접이 승탑 사다리
KR20130000893U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20050012603A (ko) 난간 대피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20070015237A (ko)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RU22744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экстренного спуска из здания
KR100784482B1 (ko)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KR20180070283A (ko) 건물 옥상용 비상탈출장치
TWM523470U (zh) 逃生載具
CN107899144B (zh) 一种高楼逃生滑梯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US20150060198A1 (en) In house high rise evacuation system
JP3145129U (ja) スプリング・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