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053A -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053A
KR20200096053A KR1020190094872A KR20190094872A KR20200096053A KR 20200096053 A KR20200096053 A KR 20200096053A KR 1020190094872 A KR1020190094872 A KR 1020190094872A KR 20190094872 A KR20190094872 A KR 20190094872A KR 20200096053 A KR20200096053 A KR 2020009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uilding
escape
evacue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환
Original Assignee
박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환 filed Critical 박갑환
Priority to KR102019009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6053A/ko
Publication of KR2020009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시 신속하게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대피자를 탈출시킬 수 있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가이드수단 및 탈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건물의 외벽의 상부에서 상기 건물의 동일한 층의 이웃한 호실을 따라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탈출수단은 로프와, 상기 건물 내부의 대피자가 상기 건물의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상기 로프를 잡아서 지면으로 하강되기 위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건물의 이웃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출수단이 건물의 각 층의 호실의 창문이나 베란다로 포프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의 대피자는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건물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그래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대피자가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용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e system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시 신속하게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대피자를 탈출시킬 수 있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아파트나, 호텔 및 사무용 건물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고층 건물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일시에 대피해야 한다. 이때 고층 건물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수단은 엘리베이트나 비상 계단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트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이 중지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비상 계단의 경우 고층에서 비상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하기 힘들고 비상 계단을 통하여 연기가 올라오므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건물 내부의 대부분의 대피자들이 외부와 접근성이 양호한 베란다 쪽으로 피난하여 외부의 도움을 청하여 기다리곤 한다. 이때 사다리차가 접근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대피자를 피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다급한 경우 대피자들이 창문으로 뛰어 내려 추락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673428호(등록일자 2007년 01월 17일) 공개특허 제10-2009-0089943호(공개일자 2009년 08월 25일) 등록특허 제10-0983680호(등록일자 2010년 09월 15일) 공개특허 제10-2011-0005130호(공개일자 2011년 01월 17일)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고층 건물의 내부에 있는 대피자들을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가이드수단 및 탈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건물의 외벽의 상부에서 상기 건물의 동일한 층의 이웃한 호실을 따라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탈출수단은 로프와, 상기 건물 내부의 대피자가 상기 건물의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상기 로프를 잡아서 지면으로 하강되기 위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건물의 이웃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일단은 상기 로프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프와의 사이에 상기 대피자의 손이나 발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상기 로프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손잡이 띠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걸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로프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로프를 끼울 수 있는 몸체와, 일측이 상기 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대피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프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를 상기 로프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쇠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는 상기 로프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할 수 있는 로프수용부와, 상기 고정쇠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의 타단이 상기 로프수용부에 수용된 로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고정쇠의 일측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고정쇠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수용부로 상기 로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수용부와 상기 고정쇠수용부 사이에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의 로프수용부는 상기 로프가 상기 고정쇠의 타단에서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감쌀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의 고정쇠수용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수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의 전후로 상기 고정쇠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고정쇠가 슬라이딩되면 상기 로프수용부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쇠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로프수용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은 대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피수단은 상기 건물의 베란다의 일측에 상기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방이 형성될 수 있게 상기 베란다에서 출입할 수 있는 대피문과, 상기 방에서 상기 베란다 밖으로 빠져나가 상기 로프를 잡을 수 있게 개방되는 탈출문과, 상기 탈출문이 개방되면 상기 탈출문의 하부에서 상기 베란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발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건물의 외벽에 일정한 층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탈출수단은 상기 가이드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고유번호가 구비한 무선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탈출수단을 원격에서 무선신호로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출수단이 건물의 각 층의 호실의 창문이나 베란다로 포프를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의 대피자는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건물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그래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대피자가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탈출수단이 건물의 일정한 층마다. 복수 개 장착될 수 있으므로, 여러 층에서 동시에 대피자들을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이 원격으로 탈출수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이 발생시 지상에서 탈출수단을 제어하여 대피자들을 탈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로프 및 손잡이띠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는 걸이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대피수단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고층 건물(1) 내부의 대피자가 창문(3)이나 베란다를 통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가이드수단(10)과, 탈출수단(20) 및 걸이수단(30)을 포함한다.
가이드수단(10)은 건물(1)의 상부에서 이웃한 호실을 따라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11)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11)가 각각의 호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건물(1)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하나의 가이드(11)가 이웃한 모든 호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설치되거나, 또는 가이드(11)가 여러 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가이드(11)가 건물(1)의 모든 호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10)이 건물(1)의 옥상에 설치된다.
또한, 건물(1)에 따라 한 층에 각각의 호실이 가로 및 세로로 건물(1)의 외벽을 따라 모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가이드수단(10)도 모든 호실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건물(1)의 외벽을 따라 형성된다.
탈출수단(20)은 건물(1) 내부에 있는 대피자가 창문(3)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탈출수단(20)은 로프(21)와, 손잡이띠(23) 및 윈치(25)를 구비한다.
로프(21)는 대피자가 창문(3)이나 베란다에서 붙잡아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대피자가 로프(21)만 붙잡을 경우 대피자의 힘이 떨어지면 로프(21)를 놓칠 수 있다.
손잡이띠(23)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손잡이띠(23)는 대피자가 로프(21)를 붙잡을 때 손이나 발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띠(23)는 하단(23a)이 로프(21)에 고정결합되고 상단(23b)이 로프(21)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래서 로프(21)가 윈치(25)에 감겨져 있을 때에는 손잡이띠(23)가 도 2의 (a)와 같이 펴져 있다. 그리고 로프(21)가 대피자 앞으로 내려오면 대피자가 손잡이띠(23)의 상단(23b)을 밑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2의 (b)와 같이 손이나 발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래서 대피자가 발이나 손을 손잡이띠(23)에 삽입한다. 손잡이띠(23)의 하단(23a)이 로프(21)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대피자를 지탱하여 줄 수 있다. 손잡이띠(23)는 로프(21)를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로프(21)에 결합된다. 그래서 대피자는 손과 발을 모두 손잡이띠(23)에 삽입할 수 있다.
윈치(25)는 가이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건물(1) 내부에 있는 대피자가 건물(1)의 창문(3)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로프(21)를 잡아서 지면으로 내려가거나 또는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로프(21)를 감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윈치(25)가 가이드(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건물(1)의 각각의 창문(3) 또는 베란다 앞으로 로프(21)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래서 건물 내부에 있는 대피자는 로프(21)가 하강되면 창문(3)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로프(21)를 잡을 수 있다. 대피자가 로프(21)를 잡으면 윈치(25)가 로프(21)를 하강시켜서 대피자를 지면으로 내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탈출수단(20)은 가이드수단(10)에 한 개 장착되었지만 모든 대피자를 신속하게 대피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가이드수단(10)에 복수 개의 탈출수단(20)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탈출수단(20)이 로프(21)를 하강시켜서 건물(1) 내부의 대피자를 신속하게 건물(1)의 외부로 대피시킬 수 있다.
걸이수단(30)은 대피자가 로프(21)를 용이하게 붙잡아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대피자는 손잡이띠(23)에 손이나 발을 삽입하여 로프(21)를 붙잡을 수 있지만, 손잡이띠(23) 대신 걸이수단(30)을 이용하면 더욱 안전하게 로프(21)를 붙잡고 대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이수단(30)은 몸체(31)와, 고정쇠(35) 및 탄성부재(37)를 구비한다. 몸체(31)는 로프(21)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로프(21)를 끼울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몸체(31)는 로프수용부(32)와, 고정쇠수용부(34) 및 절개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로프수용부(32)는 로프(2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로프(21)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로프수용부(32)는 로프(21)가 고정쇠(3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로프(21)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그 폭이 로프(21)의 두께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고정쇠수용부(34)는 고정쇠(35)가 로프(21)를 몸체(3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쇠(35)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서 고정쇠수용부(34)는 고정쇠(35)의 손잡이부(35a)가 몸체(31)에서 노출되도록 관통공(34a)이 형성되고, 고정쇠(35)의 가압부(35b)가 로프(31)를 가압하여 몸체(3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쇠(35)가 핀(36)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쇠(35)를 수용한다. 이때 고정쇠수용부(34)는 로프수용부(32)로 로프(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쇠(35)가 화살표 5와 같이 전후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폭방향으로 로프수용부(3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절개부(31a)는 로프(21)를 로프수용부(32)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몸체(3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고정쇠(35)는 일단은 손잡이부(35b)로 구성되고, 타단은 가압부(35b)로 구성되어 대피자가 손잡이부(35b)를 잡아서 회전시키면 가압부(35b)가 로프(21)를 몸체(31)에 고정시키도록 핀(36)으로 몸체(31)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그래서 손잡이부(35b)는 몸체(31)의 관통공(34a)을 통하여 대피자가 잡을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손잡이부(35b)에는 대피자의 몸을 걸 수 있는 밧줄(38)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면 대피자는 밧줄(38)에 몸을 걸어서 로프(21)에 메달릴 수 있다. 또는 손잡이부(35b)에 유모차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35b)는 로프(21)를 가압할 수 있게 고정쇠수용부(34)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가압부(35b)는 중앙부위(35b_1)가 로프수용부(32)의 삽입된 로프(21)에 안 닿지만 중앙부위(35b_1)의 양 측면부(35b_2)가 고정쇠(35)를 회전시키면 로프(21)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핀(36)에서 양 측면부(35b_2)의 거리가 핀(36)에서 중앙부위(35b_1)의 거리 보다 훨씬 길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쇠(35)는 핀(36)에 대하여 화살표 5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탄성부재(37)는 고정쇠(35)가 화살표 5a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화살표 5b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고정쇠(35)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의 걸이수단(30)은 건물(1)의 베란다 등에 보관될 수 있다. 그래서 비상 상황 발생시 로프(21)가 창문(3)이나 베란다 앞으로 내려오면 사용자가 걸이수단(30)의 몸체(31)에 로프(21)를 삽입한다. 즉 몸체(31)의 절개부(31a)로 로프(21)를 삽입한다. 고정쇠(35)가 로프수용부(32)를 막고 있으므로 로프(21)가 삽입되면 고정쇠(35)를 화살표 5a의 방향으로 밀게 되고 그러면 로프(21)가 로프수용부(32)로 삽입될 수 있다. 로프(21)가 로프수용부(32)로 삽입되면 고정쇠(35)는 탄성부재(37)에 의하여 화살표 5b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귀하게 된다. 그래서 대피자가 손잡이부(35a)를 잡아서 회전하면 도 6의 (b)와 같이 고정쇠(35)가 회전하여 로프(21)를 몸체(31)에 고정시킨다.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시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탈출수단(20)이 로프(21)를 각 층의 창문(3) 앞에 오도록 하강시킨다.
각 층에 있는 대피자는 로프(21)가 창문(3) 앞으로 오면 손잡이띠(23)를 도 2의 (b)와 같이 이동시켜 공간을 만든 후 손이나 발을 끼운다. 또는 건물(1) 내부에 걸이수단(30)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 걸이수단(30)에 로프(21)를 끼우고 고정쇠(35)를 회전시켜 걸이수단(30)을 로프(2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쇠(35)의 손잡이부(35a)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손잡이부(35a)에 연결된 밧줄(38)에 몸을 건다. 대피자가 로프(21)에 올라타면 윈치(25)를 동작시켜 로프(21)를 하강시켜 대피자를 지상에 하강시키거나 또는 로프(21)를 상승시켜 옥상으로 대피시킨다. 대피자가 대피되면 윈치(25)를 옆의 창문(3)으로 이동시켜 옆 창문에 있는 대피자를 대피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건물(1) 내부의 대피자를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대피수단(40)이다. 대피수단(40)은 건물(1)의 베란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대피문(41)과, 탈출문(43)과 발판(45)을 구비한다.
대피문(41)은 건물(1)의 베란다(4)의 일측에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방(42)이 형성될 수 있게 베란다(4)에서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된다. 대피문(41)에 의하여 베란다(4)에는 별도의 방(42)이 형성되며, 대피자는 대피문(41)을 통하여 방(42)에 출입할 수 있다.
탈출문(43)은 로프(21)가 베란다(4) 앞으로 내려올 경우 로프(21)를 잡을 수 있도록 방(42)에서 베란다(4)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로프(21)가 내려오면 대피자는 탈출문(43)을 열어서 로프(21)를 잡을 수 있다.
발판(45)는 대피자가 로프(21)를 잡을 때 디딜 수 있도록 탈출문(43)이 개방되면 탈출문(43)의 하부에서 베란다(4)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대피수단(40)은 비상 상황이 발생시 대피자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로프(2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상탈출장치는 일정한 층 높이 간격으로 건물(1)의 외벽에 복수 개 설치된다. 고층 건물의 경우 대량의 대피자를 신속히 대피 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층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비상탈출장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탈출수단은 고유번호가 구비된 무선송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래서 지상에서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탈출수단(20)의 각각의 윈치(25)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탈출수단(20)의 각각의 윈치(25)를 가이드(11)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로프(21)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래서 원격에서 비상탈출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화재 등의 발생시 건물 내부의 대피자를 신속히 대피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지만, 건물의 유리창 청소와 같이 건물의 외관을 수선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 건물 3 : 창문
4 : 베란다 10 : 가이드수단
11 : 가이드 20 : 탈출수단
21 : 로프 23 : 손잡이띠
25 : 윈치 30 : 걸이수단
31 : 몸체 31a : 절개부
32 : 로프수용부 34 : 고정쇠수용
34a : 관통공 35 : 고정쇠
35a : 손잡이부 35b : 가압부
35b_1 : 중앙부 35b_2 : 측면부
36 : 핀 37 : 탄성부재
40 : 대피수단 41 : 대피문
42 : 방 43 : 탈출문
45 : 발판

Claims (6)

  1. 건물의 외벽의 상부에서 상기 건물의 동일한 층의 이웃한 호실을 따라 수평으로 장착된 가이드를 구비한 가이드수단과,
    로프와, 상기 건물 내부의 대피자가 상기 건물의 창문 또는 베란다를 통하여 상기 로프를 잡아서 지면으로 하강되기 위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건물의 이웃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치를 구비하는 탈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탈출수단은 일단은 상기 로프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프와의 사이에 상기 대피자의 손이나 발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상기 로프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된 손잡이 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로프를 끼울 수 있는 몸체와,
    일측이 상기 몸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대피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로프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를 상기 로프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쇠를 구비하는 걸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는 상기 로프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수용할 수 있는 로프수용부와, 상기 고정쇠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쇠의 타단이 상기 로프수용부에 수용된 로프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고정쇠의 일측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고정쇠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수용부로 상기 로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수용부와 상기 고정쇠수용부 사이에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의 로프수용부는 상기 로프가 상기 고정쇠의 타단에서 전후로 이탈되지 않도록 감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걸이수단의 몸체의 고정쇠수용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수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로프의 전후로 상기 고정쇠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고정쇠가 슬라이딩되면 상기 로프수용부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쇠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로프수용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베란다의 일측에 상기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방이 형성될 수 있게 상기 베란다에서 출입할 수 있는 대피문과, 상기 방에서 상기 베란다 밖으로 빠져나가 상기 로프를 잡을 수 있게 개방되는 탈출문과, 상기 탈출문이 개방되면 상기 탈출문의 하부에서 상기 베란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발판을 구비하는 대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건물의 외벽에 일정한 층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탈출수단은 상기 가이드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되며, 고유번호가 구비한 무선송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탈출수단을 원격에서 무선신호로 동작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0190094872A 2019-08-05 2019-08-05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200096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72A KR20200096053A (ko) 2019-08-05 2019-08-05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72A KR20200096053A (ko) 2019-08-05 2019-08-05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698 Division 2019-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53A true KR20200096053A (ko) 2020-08-11

Family

ID=7204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872A KR20200096053A (ko) 2019-08-05 2019-08-05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6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3509A (zh) * 2021-01-13 2021-05-28 四川洲集应急服务有限公司 一种火灾应急培训用组装式速降逃生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28B1 (ko) 2005-12-23 2007-01-30 김국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90089943A (ko) 2008-02-20 2009-08-25 곽송학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0983680B1 (ko) 2008-02-13 2010-09-27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20110005130A (ko)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28B1 (ko) 2005-12-23 2007-01-30 김국문 건물로부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100983680B1 (ko) 2008-02-13 2010-09-27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20090089943A (ko) 2008-02-20 2009-08-25 곽송학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20110005130A (ko)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3509A (zh) * 2021-01-13 2021-05-28 四川洲集应急服务有限公司 一种火灾应急培训用组装式速降逃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975737B1 (ko)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US3692145A (en) Emergency fire escape means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US20080314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Evacuating an Individual During an Emergency From a Tall Structure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US5562184A (en) Apparatus for high-rise escape slow descending tube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200096053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US20040262083A1 (en) Safety device for escaping from building
US5871066A (en) Rescue device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1011239B1 (ko)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KR100784482B1 (ko)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1070794B1 (ko) 당김 와이어가 있는 구난 사다리
KR102671017B1 (ko) 비상탈출 사다리용 완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 사다리 장치
JP3112052U (ja) 緊急避難用ネット
KR101269645B1 (ko)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