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19B1 - 피난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피난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3319B1 KR102483319B1 KR1020210164302A KR20210164302A KR102483319B1 KR 102483319 B1 KR102483319 B1 KR 102483319B1 KR 1020210164302 A KR1020210164302 A KR 1020210164302A KR 20210164302 A KR20210164302 A KR 20210164302A KR 102483319 B1 KR102483319 B1 KR 102483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scaffolding
- evacuation
- unit
- do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4—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of the lazy-tongs typ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대피상황이 발생된 상황에서 도어를 오픈하면 피난을 위한 사다리가 펼쳐지면서 주위에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는 상기 바닥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과 결합되고 상하부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들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와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사다리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사다리부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완강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는 상기 바닥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과 결합되고 상하부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들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와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사다리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사다리부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완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난을 위해 사용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 화재 또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비상계단을 통해 대피해야 하는데 이러한 비상계단은 화재 시 화염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대피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로프에 의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는 완강기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렵고 위험하며, 고층 아파트에서는 소방용 고가사다리나 구조헬기가 사용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란다나 발코니를 뚫어서 피난 사다리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피난 사다리 장치를 피난목적이 아닌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 범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32호는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582호는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피난 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대피상황이 발생된 상황에서 도어를 오픈하면 피난을 위한 사다리가 펼쳐지면서 주위에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는 상기 바닥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과 결합되고 상하부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들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와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사다리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사다리부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완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다리부는 각각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관형태의 지주대들 및 상기 지주대들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들 각각은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경의 크기 순서대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들 각각은 하부 일측에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지주대의 안쪽에 인서트된 지주대에 형성된 제2 돌출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상부에 배치되는 지주대에 형성된 제1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바닥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도어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테두리의 상부에 상기 상부도어와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 사다리 장치는 외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에 형성되고 작동시키면 주변에 경고신호가 송신되며 상기 도어들을 오픈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비상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난 사다리 장치는 대피할 상황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사다리가 하층바닥을 향해 펼쳐져 대피를 위한 내부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난 사다리 장치는 사용자가 대피 후 도어를 닫게되면 내부공간이 밀봉되어 연기나 화염이 하층바닥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대피과정에서 주위에 대피상황을 경고하기 때문에 피난 사다리 장치가 악용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실시예인 피난 사다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 및 4는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인 피난 사다리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완강기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인 피난 사다리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2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 및 4는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1의 피난 사다리 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인 피난 사다리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완강기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모식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인 피난 사다리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사다리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하우징부(200), 사다리부(400), 완강기(600) 및 록킹부(700)를 포함한다.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상층바닥(1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외측면이 상층바닥(12)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하우징부(200)에 형성된 도어들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하부면이 상층바닥(12)의 상하부면과 평면을 형성한다.
하우징부(200)는 케이스(210), 하부도어(220), 상부도어(230), 손잡이(240, 250)들, 브라켓(260, 270)들 및 비상버튼(28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200)는 육면체 형태의 내부공간(205)을 커버하는 사각케이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205)에 사다리부(400) 및 완강기(600)가 배치되며, 하부도어(220) 및 상부도어(230)를 통해 내부공간(205)이 개방 또는 밀폐된다.
케이스(210)는 전방, 후방, 일측 및 타측을 둘러싸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층바닥(12)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층바닥(12)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상층바닥(12)과 결합된다.
돌출부(221)는 케이스(210)의 테두리 상부면의 중앙을 연결하는 사각형 형태의 상부면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부(221)의 상부면에는 사각링 형태의 실링부재(222)가 부착된다.
한편, 돌출부(221) 대신에 실링부재(222)만 케이스(210)의 테두리 상부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링부재(222)는 테두리부재(231)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부도어(230) 및 케이스(210)를 밀봉시킨다.
하부도어(22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측 모서리가 케이스(210)의 후방 하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내부공간(205)의 하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킨다.
하부도어(220)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록킹부(7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가 제어되고, 사용자는 록킹부(700)를 수동으로 제어하여 하부도어(2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도어(220)의 상부에는 하부손잡이(255)가 형성되고, 와이어(610)는 하부손잡이(255)와 하부도어(220)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공간을 관통하고 발판(413)으로 연장되어 발판(413)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도어(220)가 록킹부(700)의 구동으로 하부를 향해 펼쳐지면, 하부손잡이(255)가 하강되고, 와이어(610) 및 사다리부(400)가 함께 하강되어 자동으로 사다리부(400)가 하부를 향해 펼쳐질 수 있다.
상부도어(23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측 모서리가 케이스(210)의 후방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테두리에 위치하는 사각형 형태의 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테두리부재(231)가 형성된다.
상부도어(230)의 회동에 의해 내부공간(205)의 상부가 개방 또는 밀봉되고, 상부도어(230)가 케이스(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재(231)의 내측면은 돌출부(221)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실링부재(222)는 상부도어(230)의 저면과 밀착된다.
한편, 상부도어(230)의 저면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팬들이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탈출을 위해 상부도어(230)를 상부를 향해 끌어당기면, 상기 팬들이 작동되면서, 주변의 연기들을 상층바닥(12)의 전방에 해당되는 외부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40)는 상부도어(230)의 전방 및 상부에 부착되어 상부도어(23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사용되고, 손잡이(250)는 상부도어(230)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부도어(230)를 케이스(210)와 결합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브라켓(260)은 케이스(210)의 후방 및 일측에 해당되는 내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브라켓(270)은 브라켓(260)의 타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브라켓(260)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된다.
비상버튼(280)은 손잡이(240)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부도어(230)의 상부에 설치되고, 비상버튼(280)이 눌려지면서 구동되면, 록킹부(700)가 작동되고 상부도어(230)는 오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사다리부(400)는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을 포함한다.
사다리부(400)는 내부공간(205)에서 일단이 하우징부(200)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된다.
사다리부(400)는 수축된 상태에서 타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부도어(220)가 하부를 향해 회동 이동되면 일단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타단이 하부를 향해 회동 이동된다.
사다리부(40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회동 이동되면,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들이 하부를 향해 사다리 형태로 펼쳐지고, 발판유닛(460)이 하층바닥(10)의 상부면에 밀착되거나 하층바닥(1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에 이격된 위치로 배치된다.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 각각은 지주대(411, 412)들 및 발판(413)을 포함한다.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은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지주대(411, 412)들로 구성되고, 지주대(411, 412)들은 외경의 크기 순서대로 연결된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주대(411)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205)의 일측에 배치되고, 완강기(600)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을 통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케이스(210)와 결합된다.
스토퍼(411a)는 지주대(411, 412)들 각각에 연결되는 발판(413)과 인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일측 및 타측 각각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판유닛(420)을 구성하는 지주대(411, 412)들이 발판유닛(41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411)의 내부에 삽입되는 발판유닛(420)에 형성된 지주대(421)의 외측면에는 스토퍼(411a)와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지주대(421)로부터 돌출되는 내부돌출부(4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대(411)의 상부에서 지주대(4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주대(421)는 소정 이상의 거리만큼 하강되는 경우, 내부돌출부(422)가 스토퍼(411a)와 밀착되어 하부 이동이 제한되므로, 지주대(411, 421)들의 분리가 억제된다.
보강리브(411b)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어 발판(413)과 결합되는 지주대(411, 412, 421, 423)들의 측면 전방측에 형성되고, 발판(413)이 지주대(411, 412, 421, 423)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부재(416)의 전면 일부분과 밀착된다.
보강리브(411c)는 보강리브(411b)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지주대(411, 421)들의 측면 후방측에 형성되고, 발판(413)은 지주대(411, 412, 421, 423)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부재(415)의 배면 일부분과 밀착된다.
따라서, 발판(413)들은 지주대(411, 412, 421, 423)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리브(411b, 411c)들에 의해 중앙부재(414)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되거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리브(411b, 411c)들은 사다리부(40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펼쳐지고, 지주대(411, 412, 421, 423)들의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지주대(411, 412, 421, 423)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보강리브(411b, 411c)들과 후방부재(415) 및 전방부재(416)들은 보강리브(411b, 411c)들 사이에 해당되는 지주대(411, 412, 421, 423)들의 측면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내부돌출부(422)의 압력에 의해 스토퍼(411a) 및 지주대(411, 412, 421, 423)들의 일부분이 중앙부재(414)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킨다.
지주대(412)의 내부에도 발판(413)과 인접한 위치에 내부돌출부(422)가 형성되고, 지주대(4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주대(423)에는 내부돌출부(422)와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내부돌출부(4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주대(423)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부돌출부(422)가 형성된다.
발판유닛(430, 440, 450, 460, 470)들 각각은 발판유닛(410, 420)들의 텔레스코픽 형태의 결합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서로 결합되고, 발판유닛(430, 440, 450, 460, 470)들 각각에 포함되는 지주대(411, 412)들의 내부에는 스토퍼(411a)와 내부돌출부(422)가 형성된다.
발판유닛(430)에 형성되는 지주대(411, 412)들은 발판유닛(420)에 형성된 지주대(421, 423)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지주대(421, 423)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주대(421, 423)들 각각과 텔레스코픽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발판유닛(440)에 형성되는 지주대(411, 412)들은 발판유닛(43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발판유닛(43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판유닛(43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과 텔레스코픽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발판유닛(450)에 형성되는 지주대(411, 412)들은 발판유닛(44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발판유닛(44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판유닛(44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과 텔레스코픽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발판유닛(460)에 형성되는 지주대(411, 412)들은 발판유닛(45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발판유닛(45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발판유닛(450)에 형성된 지주대(411, 412)들 각각과 텔레스코픽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발판(413)의 일단은 지주대(411)의 타측면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주대(412)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발판(413)과 지주대(411, 412)들이 금속 소재인 경우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413)의 일단은 지주대(421)의 타측면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주대(423)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발판(413)과 지주대(421, 423)들이 금속 소재인 경우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 각각에 형성되는 발판(413)들 각각의 길이는 발판유닛(410)부터 발판유닛(460)까지 순차적으로 길게 제작되고,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이 수축된 상태에서 발판(413)들은 서로 밀착된다.
발판(413)들 각각은 중앙부재(414), 후방부재(415), 전방부재(416) 및 돌기(417, 418)들을 포함한다.
중앙부재(414)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고, 하부를 향해 반원기둥 형태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평면 형태의 상부면에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돌기(417, 418)들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다.
후방부재(415)의 일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재(414)의 후방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된다.
전방부재(416)의 일단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재(414)의 전방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된다.
전방부재(416) 및 후방부재(415)의 타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발판(413)의 내부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되어 발판(413)의 중량이 감소되면서, 중앙부재(414)에 의해 발판(413)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돌기(417, 418)들은 사용자가 발판(413)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발판(413) 자체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완강기(600)는 발판유닛(410)의 지주대(411, 412)들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케이스(210)의 후방측 내측면에 결합되고, 완강기(600)에서 권출되는 와이어(610)는 발판유닛(460)에 형성되는 발판(413)과 결합된다.
와이어(610)는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이 하부를 향해 펼쳐지면서 발판(413)과 함께 하강되고, 완강기(600)는 와이어(610) 및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이 급격하게 하층바닥(1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또한, 와이어(610)는 록킹부(700)에 설치된 버튼의 조작을 통해 완강기(600) 내부에 위치한 모터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원통형의 롤러에 와이어(610)가 권취되면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상부로 이동되는 와이어(610)에 의해 펼쳐져있는 발판유닛(410, 420, 430, 440, 450, 460, 470)들의 발판(413)들을 밀착시키면서 상부를 향해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록킹부(700)는 록킹부재(710), 제1 버튼(711), 제2 버튼(712), 데드볼트(713, 714)들, 레버(715), 하부결합부재(720) 및 상부결합부재(730)를 포함한다.
록킹부(700)는 내부공간(205)의 전방에 해당되는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결합부재(720) 및 상부결합부재(730)들 각각은 하부도어(220) 및 상부도어(230) 각각에 결합되며, 하부도어(220) 및 상부도어(230)들이 내부공간(205)을 밀봉시킨 상태에서 록킹부재(7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록킹부재(7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통신부, 배터리 및 도어락 모터가 배치되며, 전면이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면결합된다.
제1 버튼(711)이 작동되면 상기 도어락 모터가 구동되고, 데드볼트(713)는 록킹부재(710)의 내부로 이동되며, 하부결합부재(720)와 결합된 하부도어(220)는 하부로 회동 이동되어 내부공간(205)의 하부를 개방시킨다.
제2 버튼(712)은 제1 버튼(711)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록킹부재(7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버튼(712)이 구동되면, 완강기(600)의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와이어(610)를 끌어당기고 발판(413)들이 상부로 이동된다.
데드볼트(713)의 일단은 록킹부재(710)의 일측면 하부에서 록킹부재(7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어락 모터와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록킹부재(710)의 일측에 돌출된다.
데드볼트(713)의 타단은 도어락 모터의 구동에 의해 하부결합부재(720)에 형성된 체결홈(721)에 삽입되거나 록킹부재(7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록킹부재(710)의 타측에 형성되는 레버(715)와 연결된다.
데드볼트(714)의 일단은 데드볼트(713)의 상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록킹부재(7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록킹부재(7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도어락 모터와 기어 연결된다.
데드볼트(714)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록킹부재(710)의 일측을 향해 돌출되고, 도어락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부결합부재(730)에 형성된 체결홈(731)에 삽입되거나 록킹부재(7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레버(715)의 일단은 록킹부재(710)의 내부에서 데드볼트(713)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록킹부재(71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록킹부재(710)의 타측에 돌출되고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부도어(230)를 열고 긴급한 상황에서 하부도어(220)를 오픈하기 위해 레버(715)를 당기면, 하부도어(220)가 하부로 회동 이동되고, 내부공간(205)은 하부를 향해 개방된다.
비상버튼(280)은 록킹부재(7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비상버튼(280)이 작동되면, 데드볼트(714)의 타단이 록킹부재(7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부도어(230) 및 록킹부재(71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또한, 비상버튼(280)을 작동시키면 록킹부재(710) 내부의 통신부가 외부 단말기(50) 또는 인접한 소방서의 통제실에 비상상황을 인지시키는 알람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화재 또는 비상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외부 단말기(50) 소지자와 소방차가 출동하게 된다.
또한, 비상버튼(280)을 누르면 하층바닥(10)에 해당되는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경고신호가 송신되어 하층바닥(10)으로 대피하는 사용자가 하층바닥(10)으로 피신하기 전에 사전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상황이 발생되고 사용자가 비상버튼(280)을 누르면, 주변에 경고신호가 송신되며, 사용자는 상부도어(230) 및 하부도어(220)를 순서대로 개방시킨 후 사다리부(400)를 타고 하층바닥(10)으로 피신할 수 있다.
한편, 하부도어(220) 및 상부도어(230) 각각은 링크들로 구성된 도어 클로저를 통해 케이스(210)와 결합되고, 하부도어(220)를 통해 케이스(210)의 하부를 밀봉시키면 하부도어(220)는 상기 도어 클로저를 통해 케이스(210)의 하부를 장시간 밀폐시킨다.
상기 도어 클로저는 현관문이나 방화문에 사용되는 도어 클로저 사용이 가능하고, 상부도어(230)를 상부를 향해 펼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편리하게 상부도어(230)를 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로저가 부착된 하부도어(220)는 케이스(210)의 하부를 밀봉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클로저의 탄성에 의해 사다리부(400)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도어(220)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으로 하부도어(220)를 하부로 밀어내면 상기 도어 클로저의 탄성력이 작용되어 오픈이 편리해진다.
또한, 피난 사다리 장치(100)는 록킹부(700)가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고, 록킹부(700)가 없는 경우, 상부도어(230) 및 하부도어(220)를 열고 사다리부(400)를 하부를 향해 펼쳐서 피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난 사다리 장치(120)는 사다리부(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들과 완강기(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피난 사다리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사다리 장치(120)는 사다리부(500) 및 완강기(800)를 포함한다.
사다리부(500)는 발판유닛(510, 520, 530, 540, 550, 560, 570)들을 포함하고, 발판유닛(520, 530, 540, 550, 560)들 각각은 제1 및 제2 돌출부(580, 590)들을 포함하며, 발판유닛(510)은 제1 돌출부(580)를 포함하며, 발판유닛(570)은 제2 돌출부(59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80)는 보강리브(411b, 411c)들 사이에 해당되는 지주대(512)의 하부 측면 일부분이 보강리브(411b, 411c)들이 돌출되는 두께보다 짧도록 지주대(512)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2 돌출부(590)는 보강리브(411b, 411c)들 사이에 해당되는 지주대(512)의 상부 측면 일부분이 보강리브(411b, 411c)들이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 보강리브(411b, 411c)들의 돌출 두께보다 짧도록 돌출된다.
발판유닛(57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6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6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발판유닛(56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5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5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발판유닛(55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4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4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발판유닛(54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3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3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발판유닛(53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2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2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발판유닛(520)의 지주대(512)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590)는 발판유닛(510)의 지주대(512)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발판유닛(510)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58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580, 590)들은 지주대(512)의 일부분을 지주대(51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압박하여 편리하게 가공이 가능하고, 제작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 돌출부(580, 590)들을 가공하여 사다리부(500)가 늘어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강기(800)는 브라켓(810), 커버(820), 권취로드(830), 클램프 기어(840), 핸들(845), 스토퍼(850) 및 스프링(860)을 포함한다.
브라켓(810)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플래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210)의 후방측 내측면에 면결합되고, 커버(820)는 양측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어 브라켓(810)과 결합된다.
권취로드(830)의 일단은 브라켓(810)의 중앙에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커버(820)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클램프 기어(840)는 삼각형의 외측부재가 외측면을 따라 5개가 형성되는 오각별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권취로드(830)의 타단에 결합되며, 권취로드(830)가 정회전되면 권취로드(830)의 회동방향을 따라 회동된다.
핸들(845)의 일단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820)의 전방을 관통한 후 권취로드(830)와 결합되고, 핸들(845)의 타단은 일단의 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스토퍼(850)의 일단은 삼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클램프 기어(840)의 외측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820)와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며, 중앙부는 커버(820)의 타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클램프 기어(84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스프링(860)의 일단은 커버(820)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 및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코일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스토퍼(850)의 중앙부와 결합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가 스토퍼(850)의 타단을 하강시키면, 스토퍼(850)의 일단이 클램프 기어(840)의 외측부재들 사이에서 이탈하고, 클램프 기어(840) 및 권취로드(830)는 사다리부(500)부의 중량과 펼쳐지는 작동에 의해 권출되는 와이어(610)에 의해 회전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핸들(845)의 타단을 잡고 권취로드(830)를 역회전 시키면, 와이어(610)가 권취로드(830)에 권취되고, 스토퍼(850)의 일단이 상기 외측부재들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라면 권취로드(830)가 정회전되는 것을 차단시켜 사다리부(500)가 펼쳐지며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난 사다리 장치(140)는 베어링(900)들 및 완충부(950)들을 제외하면 도 6 내지 8들의 피난 사다리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장치(140)는 베어링(900)들 및 완충부(950)들을 포함한다.
베어링(900)들 각각은 리테이너(910) 및 볼(920)들을 포함한다.
베어링(900)은 발판유닛(550, 560, 570)들 각각에 형성된 보강리브(411b, 411c)들 사이에 해당되는 지주대(512)의 측면에 면결합되고, 발판유닛(550, 560, 570)들이 하부를 향해 펼쳐지는 과정에서 발판유닛(550, 560, 570)들이 수월하게 하부로 펼쳐지도록 발판유닛(550, 560, 570)들의 이동성을 개선시킨다.
리테이너(9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대(512)에 면결합되고, 볼(920)들 각각은 리테이너(9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리테이너(9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유닛(560)이 발판유닛(55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920)들 각각은 발판유닛(55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스토퍼(850)의 구동으로 와이어(610)가 권출되면, 발판유닛(560)은 베어링(900)에 의해 발판유닛(550)의 하부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된다.
베어링(900)들에 의해 발판유닛(550, 560, 570)들은 다른 발판유닛(510, 520, 530, 540)들보다 상대적으로 원활히 하부를 향해 펼쳐지고, 그로인해 사다리부(500)의 하부 끝단에 위치한 발판유닛(550, 560, 570)들이 펼쳐지지 않는 상황이 방지된다.
완충부(950)는 마감부재(951) 및 중량부재(952)를 포함한다.
완충부(950)의 일단은 양측면이 반원 형태의 곡면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발판유닛(570)들 각각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마감부재(951)는 측면 모서리들이 테이퍼지게 가공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변형력이 높은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중량부재(952)는 마감부재(951)보다는 부피가 작고, 측면 모서리들이 테이퍼지게 가공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이 플렉서블한 고분자로 코팅된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마감부재(951)보다 중량이 높다.
따라서, 완충부(950)들이 발판유닛(570)들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850)에 의해 와이어(610)가 권출되면, 중량부재(952)는 베어링(900)들과 함께 발판유닛(550, 560, 570)들의 하부 이동을 개선시키고, 마감부재(951)는 발판유닛(570)들이 지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 피난 사다리 장치
200: 하우징부
400: 사다리부
600: 완강기
700: 록킹부
200: 하우징부
400: 사다리부
600: 완강기
700: 록킹부
Claims (7)
- 구조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과 결합되고 상하부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들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내부공간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와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사다리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사다리부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완강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다리부는,
각각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관형태의 지주대;
복수 개의 상기 지주대 사이를 연결하는 발판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발판유닛;
상기 지주대 하부에 돌출되어 결합된 스토퍼;
상기 지주대 상부에 돌출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상기 지주대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는 내부돌출부; 및
상기 발판의 외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지주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대들은 각각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경의 크기 순서대로 서로 결합되며,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발판의 전후방 외측과 밀착결합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이나 이탈 및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지주대의 변형을 방지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개되었을 때 제일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측면 모서리들이 테이퍼지게 가공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변형력이 높은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발판유닛이 지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마감부재; 및
하측이 상기 마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발판유닛 하단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마감부재보다는 부피가 작고 측면 모서리들이 테이퍼지게 가공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이 플렉서블한 고분자로 코팅된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되어 상기 마감부재보다 중량이 높아 상기 발판유닛의 하부 이동을 개선시키는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하부 일측에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부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부에 배치된 상기 지주대의 안쪽에 인서트되는 상기 지주대에 형성된 상기 제2 돌출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면,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지주대에 형성된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2 돌출부의 하강 이동이 제한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바닥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도어;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도어;를 포함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테두리의 상부에 상기 상부도어와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들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에 형성되고 작동시키면 하층 거주자에 경고신호가 송신되고 외부 단말기 또는 인접 소방서에 알림신호가 송신되며, 상기 도어들을 오픈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비상버튼;을 더 포함하는 피난 사다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4302A KR102483319B1 (ko) | 2021-11-25 | 2021-11-25 | 피난 사다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4302A KR102483319B1 (ko) | 2021-11-25 | 2021-11-25 | 피난 사다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3319B1 true KR102483319B1 (ko) | 2023-01-03 |
Family
ID=8492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302A KR102483319B1 (ko) | 2021-11-25 | 2021-11-25 | 피난 사다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33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8180B1 (ko) * | 2023-07-27 | 2024-06-24 | 박인규 | 비상탈출용 하향식 피난장치 |
KR102680067B1 (ko) * | 2023-12-13 | 2024-07-01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하향식 피난사다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2482A (ja) * | 2003-07-25 | 2005-02-17 | Naka Ind Ltd | 避難梯子装置 |
KR20090060033A (ko) * | 2007-12-07 | 2009-06-11 | 김문찬 | 고층건물 피난장치 |
KR100906621B1 (ko) * | 2007-11-02 | 2009-07-10 | 주식회사위드홈 |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
KR20130005987A (ko) * | 2011-07-08 | 2013-01-16 | (주)반초기업 |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
KR101624599B1 (ko) * | 2015-12-24 | 2016-05-27 |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
-
2021
- 2021-11-25 KR KR1020210164302A patent/KR1024833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2482A (ja) * | 2003-07-25 | 2005-02-17 | Naka Ind Ltd | 避難梯子装置 |
KR100906621B1 (ko) * | 2007-11-02 | 2009-07-10 | 주식회사위드홈 |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
KR20090060033A (ko) * | 2007-12-07 | 2009-06-11 | 김문찬 | 고층건물 피난장치 |
KR20130005987A (ko) * | 2011-07-08 | 2013-01-16 | (주)반초기업 | 조립형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방법 |
KR101624599B1 (ko) * | 2015-12-24 | 2016-05-27 |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8180B1 (ko) * | 2023-07-27 | 2024-06-24 | 박인규 | 비상탈출용 하향식 피난장치 |
KR102680067B1 (ko) * | 2023-12-13 | 2024-07-01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하향식 피난사다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3319B1 (ko) | 피난 사다리 장치 | |
JP4672017B2 (ja) | 救命装備 | |
JP2020523507A (ja) |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 |
KR200450122Y1 (ko) |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 |
KR100965536B1 (ko) | 고층건물 피난장치 | |
KR200469371Y1 (ko) |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 |
US20170145732A1 (en) | Emergency Escape System for Disabled Person to Escape a Building | |
JP3932258B2 (ja) | 緊急脱出用梯子 | |
KR101153908B1 (ko) | 비상용 피난 사다리 | |
KR101171249B1 (ko)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
JP3052246B2 (ja) | 壁面作業用落下防止装置 | |
JP2004324283A (ja) | 避難用梯子 | |
KR100953410B1 (ko) |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 |
WO2014183590A1 (zh) | 气袋式高楼火灾逃生器 | |
KR101105685B1 (ko) |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 |
KR20040076853A (ko) |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 |
TWM523470U (zh) | 逃生載具 | |
KR100784482B1 (ko) |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 |
EP1979570B1 (en) | Escape ladder | |
KR101269645B1 (ko) |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 |
KR102603237B1 (ko) | 비상탈출 사다리용 완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 사다리 장치 | |
JP2006192231A (ja) | 建物から、安全で簡単に避難出来る、避難装置。 | |
KR200263690Y1 (ko) | 절첩식 구조용 사다리 | |
KR102704619B1 (ko) | 완강 기능을 구비한 발코니 안전난간 | |
US441082A (en) | Markus waldne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