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21B1 -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21B1
KR100906621B1 KR1020070111795A KR20070111795A KR100906621B1 KR 100906621 B1 KR100906621 B1 KR 100906621B1 KR 1020070111795 A KR1020070111795 A KR 1020070111795A KR 20070111795 A KR20070111795 A KR 20070111795A KR 100906621 B1 KR100906621 B1 KR 10090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emergency
upper door
signal
unlo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800A (ko
Inventor
이용이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위드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위드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위드홈
Priority to KR102007011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피난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안전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를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비상피난기구로 피난로가 확보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매립케이스(10) 내부에 피난기구(20)가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매립케이스(10) 상부로는 상부도어(12)가 설치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 하부로는 하부도어(13)가 설치되며, 상기 매립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피난기구(20)의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12)는 상기 언락전기정(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언락전기정(30)의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삽입 및 분리가 되는 안전체결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언락전기정(30)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피난기구, 피난기구, 안전장치, 전기정

Description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EMERGENCY ESCAPE LADDER WITH UNLOCK ELECTRIC LOCK AS SAFTY DEVICE}
본 발명은 비상피난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안전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를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비상피난기구로 피난로가 확보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피난기구는 화재, 재난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안전하게 대비하여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주로 건물에 설치되어, 지상으로 탈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다리, 로프, 에어튜브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피난기구 중 피난사다리는 대한민국 특허 제738377호(비상용 피난 사다리)를 도시한 도 11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건물에 고정되는 지지대(500)에, 프레임(510)과 사다리(520)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500)에 대하여 다수의 단으로 되는 프레임(510)이 아래로 연장되어 펼쳐지고, 이에 프레임(510)과 결합되어 펼쳐지는 사다리(520)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피난사다리는 건물의 외벽면을 타고 지상으로 내려오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어서, 자칫 발을 헛디디게 되면 내려오는 중에 떨어져서 상해를 입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지지대(500)가 복잡한 구조로 거대하기 때문에 안정되게 건물에 고정되지 않거나 고정부위가 파손되면 무거운 하중의 피난사다리가 부서져 대피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 피난사다리는 고층건물에 설치될 경우에는 지상까지 내려가기 위해서 길게 펼쳐져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비상시에 펼치는 시간이 오래 지체되어 긴급하게 대피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안전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를 베란다 등에 설치하여 비상피난기구로 피난로가 확보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위층과 아래층이 다른 세대일 경우, 무분멸하게 피난기구가 이용될 수 있어 사생활보호가 안 될 수 있음에, 비상피난기구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감시하여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비상시에 개방되어 피난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 평상시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피난기구를 통한 도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비상피난기구의 작동이 통제실의 제어방법에 의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재발생 또는 회선 절단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작동되도록 하여 비상시에 대비가 용이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는 매립케이스(10) 내부에 피난기구(20)가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 상부로는 상부도어(12)가 설치되어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매립케이스(10) 하부로는 하부도어(13)가 설치되어 아래층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피난기구(20) 상부의 메인프레임(21)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도어(12)는 상기 언락전기정(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언락전기정(30)의 언락플렌져(33) 일측이 삽입 및 분리가 되는 안전체결홈(121)이 형성되는 비상피난기구에 있어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와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이 구비되어,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는 상기 언락플렌져(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언락플렌져(33)는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에 의하여 왕복이동되어 상기 상부도어의 안전체결홈(121)과 체결 및 해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는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언락플렌져(33) 일측에 돌출된 걸림돌기(34)와 매립케이스(10) 사이에 언락스프링(35)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서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언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렌저(33)의 일측이 상기 상부도어(12)의 안전체결홈(12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도어(12)가 개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비상차단하는 비상스위치(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에 제어용 전원을 공급하는 언락전기정제어부(301); 열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로 되는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방범감지센서, 출입문감지센서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로 전송하는 센서신호처리부(302); 상기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신호처리부(303)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은 매립케이스(10) 상부의 상부도어(12)가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피난기구(A)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락전기정(30)은 권선코일로 되는 언락솔레노이드(32)와 언락플렌져(33)로 이루어지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구비되어, 하기의 단계에 의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전원공급부(304)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되는가를 판별하는 공급전원판별단계(S01);
2)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부터 긴급대피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
3)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출입문감지센서 등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
4)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도어(12)가 잠기도록 하는 액튜에이터잠금작동단계(S04);
5)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
6) 상기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 상기 상부도어(12)의 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상부도어개폐신호전송단계(S0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언락전기정의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잠금작동단계(S04)는 상기 공급전원판별단계(S01)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에 의하여 긴급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며, 상기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에 의하여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도어(12)가 잠기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도어개폐신호전송단계(S06)는 외부로부터 언락전기정(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화재가 발생되거나 유독 가스의 누출이 감지되는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거나, 또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 또는 개별세대(B)의 메인세대기기(3)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위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비상탈출이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도어의 개방신호가 주관리서버로 전송되게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안전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이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를 베란다 등에 설치하면 비상피난기구로 피난로를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위층과 아래층이 다른 세대일 경우, 무분멸하게 피난기구가 이용될 수 있어 사생활보호가 안 될 수 있으나, 비상피난기구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상시에 개방되어 피난기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 평상시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피난기구를 통한 도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비상피난기구의 작동이 통제실의 제어방법에 의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재발생 또는 회선 절단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시에 대비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작동된 상태의 측면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작동된 상태의 정면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일부가 절결된 상태의 평면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절단된 상태의 측방향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전기정에 대한 평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에 대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경계부(4)에 설치되는 매립케이스(10) 내부에 피난기구(20)가 설치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 상부로는 상부도어(12)가 설치되어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매립케이스(10) 하부로는 하부도어(13)가 설치되어 아래층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매립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피난기구(20) 상부의 메인프레임(21)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UNLOCK ELECTRIC LOCK)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는 층간경계부(4)로 나뉘어지는 위층과 아래층 사이의 층간경계부(4)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상시에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사다리 또는 비상밧줄 등으로 되는 피난기구(20)를 이용하여 비상탈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상탈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를 베란다, 창문 근처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란다, 창문 등은 출입문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탈출이 용이하지 못하지만,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어 유독가스, 화마 등으로부터 상당시간 자유로워 탈출하기가 용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로 탈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상피난기구로 하여 피난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베란다, 창문뿐만 아니라 탈출이 용이한 장소라면 비상피난기구(A)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즉 화재가 발생되면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기부 등의 부근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위층과 아래층에 대하여, 1가구가 다층의 단독주택이면서 동일 세대인 경우에는 위층과 아랫층이 모두 같은 식구들이기 때문에 단지 비상시에만 열리도록 하되, 평상시에 개방되어도 별 문제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위층과 아래층이 다른 식구들로 되는 아파트, 일반 빌라 등 복층 건물에서는 비상시만 열리도록 하고, 평상시에 개방되면 비상열림신호를 발신하여 다른 가구로 침입이 예방되도록 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층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도난의 위험도 있어 이를 방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의 기본 작동을 살펴보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어 언락전기정(30)에 의한 안전장치가 잠금해제된 후, 개방손잡이를 이용하여 잠김홈(14)에 체결된 걸고리(미도시됨)가 풀리도록 하여, 상부도어(12)를 개방하게 된다. 이후 탈출레버(미도시됨)를 작동시키면, 하부도어(13)가 개방되고, 또한 매립케이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메인프레임(21)이 회동되어 피난기구(20)가 아래층으로 펼쳐져서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도면의 예시에서는 피난기구(20)가 비상사다리로 도시됨을 예시하였으나, 로프, 에어튜브 등 비상탈출용 장비이면 어느 것이든 구성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12)에는 상기 언락전기정(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언락전기정(30)의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삽입 및 분리가 되도록 하는 안전체결홈(1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매립케이스(10)에 대하여 상부도어(12)의 회동 결합부의 타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잠김홈(14) 또는 잠김홈(14) 부근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언락전기정(30)은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와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는 권선코일로 되는 언락솔레노이드(32)와 상기 언락안전체결부재(36)와 일체로 형성되는 언락플렌져(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언락플렌져(33)는 상기 언락솔레노이드(32)에 의하여 왕복이동되며, 언락플렌져(33) 끝단에 구비되는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상부도어(12)의 안전체결홈(121)에 삽입결합되어나 분리되도록 하여 잠금상태 또는 잠금해제상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도5의 예시에서는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볼타입으로 형성됨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볼 타입으로 형성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막대형상 및 걸고리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는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볼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고 상부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대로 닫기만 하여도 볼 타입의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회전되면서 부드럽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도어(12)가 매립케이스(10)와 닫히지는 과정 중에, 상부도어(12)의 일측이 볼형상의 언락안전체결부재(36)에 슬라이딩되어 자동으로 상부도어(12)와 매립케이스(10)가 안전결착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나아가 언락안전체결부재(36)의 상부측에서 외향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언락안전체결부재(36)에 상부도어(12)가 슬라이딩되어 상부도어(12)와 매립케이스(10)가 결착되는 안전체결상태가 되도록 구비되고, 반면 안전체결상태로 된 상태에서는 상부도어(12)가 언락안전체결부재(36)에 걸려 열리지 않도록 하여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또한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에 제어용 전원을 공급하는 언락전기정제어부(301);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및 출입문감지센서, 창문감지센서, 방범센서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로 전송하는 센서신호처리부(302);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신호처리부(303)가 구비되는 것으로,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 의하여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연기감지기, 온도감지기 등으로 되는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거나 또는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언락전기정제어부(301)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이에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신호를 전송하여 안전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비상피난기구(A)를 이용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비상탈출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근에 화재 또는 재난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에서 감지하게 되면, 주관리서버(2)는 비상피난기구(A)의 언락전기정(30)에 비상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를 작동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는 각 가정별 인터폰으로 이용되는 메인 세대기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세대 내의 홈 기기들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용선 및 인터넷 통신 등으로 외부의 통제실의 관리서버, 경비업체의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업체의 서버 등과의 통신을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건물의 관리실의 관리서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건물로 되는 단지 내의 통합관리실의 관리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경비업체, 경찰서, 소방소 등의 비상사태를 대비하는 관리통제실의 관리서버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세대 내 홈 기기들로는 각 장소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텔레비젼, 오디오기기, 세탁기, 냉장고 또는 보일러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의 제품이 포함되는 가전기기; 인터폰, 비디오폰, 전화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 통신단말기; 출입문을 관리하기 위한 도어락 또는 카메라 등의 출입문관리장치; 화재감지센서, 가스누출감지센서, 창문 또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감지센서, 방범센서 등의 센서; 피난사다리 등 비상시에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피난용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상기 언락플렌져(33) 일측에 돌출된 걸림돌기(34)와 상기 매립케이스(10) 사이에 언락스프링(3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가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언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렌저(33)가 상기 상부도어(12)의 안전체결홈(12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비상차단하는 비상스위치(5)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비상스위치(5)는 주로 비상피난기구(A)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화재 등 비상사태를 감지한 사용자가 비상스위치(5)를 누르면 비상피난기구(A)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언락플렌져(33)가 언락스프링(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안전체결상태에서 안전개방상태인 풀림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상사태가 발생됨에 상부도어(12)를 개방하여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상스위치(5)를 눌러 비상탈출을 위하여 비상피난기구(A)의 상부도어(12)를 개방하거나 또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와 비상피난기구(A)와의 통신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세대내의 메인세대기기 또는 세대외의 관리실의 관리기 등으로 하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에서는 상부도어(12) 개방 및 비상사태 발생에 대한 비상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러한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에서 발신되는 비상신호는 동시에 경비업체, 경찰서 또는 소방서 등과 같은 비상관리 통제실로 전송되어 비상사태에 대한 대처를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의 제어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과 같이, 언락전기정(30)이 언락컨트롤러블럭(300),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 및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은 언락전기정제어부(301), 전원공급부(304), 입출력신호처리부(303) 및 센서신호처리부(302) 등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센서신호처리부(302)로 신호입력되는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등이 구비된다. 또한 입출력신호처리부(303)와 연결되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전원공급부(304)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통제실(1)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면 비상사태로 전환되고, 언락전기정(30)이 안전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공급부(304)가 축전지 등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축전지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통제실(1)과 연결되는 회선의 이상 차단인 절단이 되거나 또는 비상스위치(5)에 의하여 비상 차단 상태가 되는 경우에 안전개방상태로 전환되면서 통제실(1)에서 비상사태에 대한 비상신호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제어구성으로는 도 7과 같이, 개별세대(B) 별로 하여, 개별세대(B) 내에 인터폰, 홈내 기기의 제어 서버 또는 외부와의 네트워크서버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메인세대기기(3)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메인세대기기(3)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와 언락전기정(30)의 입출력신호처리부(303)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전송 및 신호처리를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6의 일실시예 및 도 7의 다른 실시예 등에 있어서, 주관리서버(2)와 언락전기정(30) 사이에는 비상스위치(5)가 구비되어, 주관리서버(2)와 언락전기정(30)과의 신호전송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도 7에서는 비상스위치(5)가 전원공급부(304)와 연결됨을 보이고 있으나, 주관리서버(2)와 입출력신호처리부(303)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상스위치(5)에 의하여 언락전기정(30)의 전원공급을 단속하거나 또는 주관리서버(2)와 언락전기정(30)과의 신호전송을 단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5와 같이 상부도어(12)의 개폐에 따라 상부도어(12)의 안전체결홈(121)에 볼 타입의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삽입되어 상부도어(12)와 매립케이스(10)가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5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에 전기가 인가되어 언락플렌져(33)가 언락안전체결부재(36) 측 방향으로 전진된 상태이며, 언락플렌져(33)의 걸림돌기(34)에 의하여 언락스프링(35)이 압착된 상태인 것이다.
또한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도 눌려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기전(3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서는 상부도어(12)가 잠겨진 상태로 감지되는 것이다
이에 비상신호에 의하여 언락솔레노이드(32)에 전기가 인가되지 않거나 안전개방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언락스프링(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언락플렌져(33) 및 언락안전체결부재(36)가 후퇴하게 되고, 이에 언락플렌져(33)에 의하여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가 눌려져서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 전송하게 된다. 또는 비상신호에 의하여 언락솔레노이드(32)에 안전개방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어 언락플렌져(33)가 작동하고, 이에 언락스프링(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언락플렌져(33)에 의하여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가 눌려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프렌져(33)에 의하여 작동되는 단일의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를 도시함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도어(12)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하나 또는 복수의 곳에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는 푸쉬스위치, 자성감지스위치, 광감지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에서는 언락전기정(30)의 언락컨트롤러블럭(300)으로부터의 비상신호 또는 상부도어(12) 개방신호를 전송받아 비상상태를 대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재에 의한 단선, 비상스위치(5) 작동에 의한 차단 등 언락전기정(30)과의 신호전송이 차단됨을 감지하여 비상상태를 대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언락전기정(30) 및 피난기구(20) 등과 같은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A)의 작동에 대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매립케이스(10) 상부의 상부도어(12)가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기 비상피난기구(A)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락전기정(30)은 권선코일로 되는 언락솔레노이드(32)와 언락플렌져(33)로 이루어지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구비되어, 하기의 단계에 의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1) 이에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서는 전원공급부(304)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되는가를 판별하는 공급전원판별단계(S01)를 수행한다.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은, 도 6과 같이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개별세대(B)에 설치된 메인세대기기(3)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통제실(1) 또는 메인세대기기(3)와 무관하게 외부전원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 및 언락스프링(35) 작동을 위하여 전원공급회로중에 비상스위치(5)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2) 다음으로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부터 긴급대피신호가 수신되었는가 를 판별하는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를 수행하게 된다.
3) 또한 화재감지센서(16), 가스감지센서(17) 또는 출입문감지센서 등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를 수행하여, 비상사태에 대한 발생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4) 상기 공급전원판별단계(S01)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에 의하여 긴급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며, 상기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에 의하여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언락솔레노이드(32)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도어(12)가 잠기도록 하는 액튜에이터잠금작동단계(S04)를 수행하여,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위층과 아래층 사이의 통행을 방지한 것이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언락전기정(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화재가 발생되거나 유독 가스의 누출이 감지되는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거나, 또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 또는 개별세대(B)의 메인세대기기(3)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작동되도록 하여, 위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5) 그러나 공급전원판별단계(S01),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 및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 등에 의하여도 비상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를 수행한다.
6) 그리하여 상기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 상기 상부도어(12)의 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상부도어개폐신호전송단계(S06)를 수행하여, 비정상 상태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즉 외부로부터 언락전기정(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화재가 발생되거나 유독 가스의 누출이 감지되는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거나, 또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 또는 개별세대(B)의 메인세대기기(3)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작동되도록 하여, 위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탈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이와 함께 상부도어의 개방신호가 주관리서버로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별세대(B)의 메인세대기기(3), 관리실, 통제실, 소방서, 경찰서 또는 경비업체 등에 비정상 상태를 알리도록 하여 비상피난기구(A)의 정상작동을 점검하거나 또는 개별세대(B)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사태에 대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작동된 상태의 측면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작동된 상태의 정면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일부가 절결된 상태의 평면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절단된 상태의 측방향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전기정에 대한 평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의 제어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피난기구가 실시된 상태의 예시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사다리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비상피난기구
1 : 통제실 2 : 주관리서버
10 : 매립케이스 12 : 상부도어
13 : 하부도어 14 : 잠김홈
16 : 화재감지센서 17 : 가스감지센서
20 : 피난기구 30 : 전기정
31 : 전기정액튜에이터 32 : 솔레노이드
33 : 플렌져 35 : 언락스프링
301 : 전기정제어부 305 :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

Claims (4)

  1. 매립케이스(10) 내부에 피난기구(20)가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 상부로는 상부도어(12)가 설치되어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매립케이스(10) 하부로는 하부도어(13)가 설치되어 아래층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매립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피난기구(20) 상부의 메인프레임(21)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도어(12)는 상기 언락전기정(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언락전기정(30)의 언락플렌져(33) 일측이 삽입 및 분리가 되는 안전체결홈(121)이 형성되는 비상피난기구에 있어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와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이 구비되어,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는 상기 언락플렌져(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언락플렌져(33)는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에 의하여 왕복이동되어 상기 상부도어의 안전체결홈(121)과 체결 및 해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언락컨트롤러블럭(300)의 언락전기정제어부(301)는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언락플렌져(33) 일측에 돌출된 걸림돌기(34)와 매립케이스(10) 사이에 언락스프링(35)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에서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언락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렌저(33)의 일측이 상기 상부도어(12)의 안전체결홈(12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도어(12)가 개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언락전기정(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를 비상차단하는 비상스위치(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제어신호 전송,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 화재감지센서(16) 또는 가스감지센서(17)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언락전기정제어부(301)로 전송하는 센서신호처리부(302)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3. 삭제
  4. 매립케이스(10) 상부의 상부도어(12)가 위층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비상피난기구(A)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피난기구(A)에는 안전장치용 언락전기정(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락전기정(30)은 언락플렌져(33)가 왕복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도어(12) 일측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1) 전원공급부(304)에 공급되는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되는가를 판별하는 공급전원판별단계(S01);
    2)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부터 긴급대피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
    3) 화재감지센서(16) 또는 가스감지센서(17)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
    4)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도어(12)가 잠기도록 하는 액튜에이터잠금작동단계(S04);
    5) 상부도어개폐감지센서(305)로부터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별하는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
    6) 상기 상부도어개폐감지판별단계(S05)에 의하여 상기 상부도어(12)에 대한 개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로 상기 상부도어(12)의 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상부도어개폐신호전송단계(S06)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잠금작동단계(S04)는 상기 공급전원판별단계(S01)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별되고, 상기 긴급신호수신판별단계(S02)에 의하여 긴급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며, 상기 비상신호수신판별단계(S03)에 의하여 비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상부도어(12)가 잠기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도어개폐신호전송단계(S06)는 외부로부터 언락전기정(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화재가 발생되거나 유독 가스의 누출이 감지되는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거나, 또는 통제실(1)의 주관리서버(2) 또는 개별세대(B)의 메인세대기기(3)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언락전기정(30)의 언락전기정액튜에이터(31)가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위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비상탈출이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비되고, 상부도어의 개방신호가 주관리서버로 전송되게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KR1020070111795A 2007-11-02 2007-11-02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KR10090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95A KR100906621B1 (ko) 2007-11-02 2007-11-02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95A KR100906621B1 (ko) 2007-11-02 2007-11-02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800A KR20090045800A (ko) 2009-05-08
KR100906621B1 true KR100906621B1 (ko) 2009-07-10

Family

ID=4085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95A KR100906621B1 (ko) 2007-11-02 2007-11-02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29A (ko) * 2019-12-12 2021-06-22 최병영 층별 세대(世帶) 분리 결합 기능 갖는 단독주택의 계단실 구조
KR102483319B1 (ko) * 2021-11-25 2023-01-03 (주)엔이에스 피난 사다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1B1 (ko) * 2012-11-13 2014-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31A (ko) * 2001-12-12 2003-06-25 이정엽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20040005723A (ko) * 2003-11-24 2004-01-16 남주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50000045A (ko) * 2003-06-23 2005-01-03 상 국 서 매립형 완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31A (ko) * 2001-12-12 2003-06-25 이정엽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KR20050000045A (ko) * 2003-06-23 2005-01-03 상 국 서 매립형 완강기
KR20040005723A (ko) * 2003-11-24 2004-01-16 남주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29A (ko) * 2019-12-12 2021-06-22 최병영 층별 세대(世帶) 분리 결합 기능 갖는 단독주택의 계단실 구조
KR102370734B1 (ko) * 2019-12-12 2022-03-04 최병영 층별 세대(世帶) 분리 결합 기능 갖는 단독주택의 계단실 구조
KR102483319B1 (ko) * 2021-11-25 2023-01-03 (주)엔이에스 피난 사다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800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37B1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200453544Y1 (ko)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KR100894770B1 (ko)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24599B1 (ko)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203456B1 (ko) 방화문 자동닫힘 시스템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US20170167194A1 (en) Barrier opening system for emergency escape and rescue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100906621B1 (ko)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KR20090045801A (ko)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120066222A (ko)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CN108547564A (zh) 一种安全逃生窗
KR101281126B1 (ko) 비상탈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442868A (zh) 一种安全逃生窗
CA2627110A1 (en) Automated locking door system
WO2008013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function through double monitoring
KR101245222B1 (ko) 방화셔터 연동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28783A (ja) 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101588838B1 (ko)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KR20110125008A (ko) 분리형 디지털 도어록과 도어 카메라의 유선 연동 시스템
JP2003331371A (ja) セルフ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セキュリティ監視方法、並びにセルフセキュリティ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