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44Y1 -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44Y1
KR200453544Y1 KR2020110000325U KR20110000325U KR200453544Y1 KR 200453544 Y1 KR200453544 Y1 KR 200453544Y1 KR 2020110000325 U KR2020110000325 U KR 2020110000325U KR 20110000325 U KR20110000325 U KR 20110000325U KR 200453544 Y1 KR200453544 Y1 KR 200453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ver
coil
lock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제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2020110000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양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평시 피난구를 임의로 개방 및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감지기와 연동되어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개방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 및 보안, 그리고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TOPDOWN TYPE EMERGENCY EXIT INTERWORKING WITH FIRE DETECTING DEVICE}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하양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평시 피난구를 임의로 개방 및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감지기와 연동되어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개방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 및 보안, 그리고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는 비상계단이 있다. 그러나, 상기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많은 사람이 일시에 비상계단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2차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베란다 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비상탈출 장치로 하향식 피난구가 있다.
상기 하향식 피난구는 베란다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함체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커버(12), 즉, 상부커버(12a) 및 하부커버(12b)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20)로 구성되며, 화재 등 비상시에 위층 베란다에 노출된 상부커버(12a)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커버(12b)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사다리(20)가 펼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는 화재 발생시 상부커버(12a)를 개방한 후 사다리(20)를 이용하여 아래층 베란다로 순차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나 빌라, 기타 빌딩 등의 건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며, 최근에는 관련 법규정 개정을 통하여, 아파트 등 고층건물 건축시 하향식 피난구의 구비가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하향식 피난구의 경우, 화재 발생 등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도 상부커버(12a) 또는 하부커버(12b)의 임의 개방이 가능하여, 타인이 언제든지 윗집 또는 아랫집으로 쉽게 이동하여 무단 침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죄 및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평시 피난구의 임의 개방 및 작동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개방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보호 및 범죄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란다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상기 커버를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와 커버를 상호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건물 내에 기 설치된 화재수신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내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와 커버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커버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수단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홈오토메이션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록킹수단의 잠금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세대 내에 구비된 홈오토메이션 단말기로 하향식 피난구의 커버가 개방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은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나선형 코일과,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나선형 코일이 감겨져 지지되는 실린더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금속재 봉상체로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내부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잠금봉과, 상기 코일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EM락과;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잠금봉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원 공급에 따라 잠금봉이 수평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의 후단부를 감지하여 홈오토메이션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평시 피난구의 임의 개방 및 작동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피난구를 개방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보호 및 범죄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통상적인 하향식 피난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채용된 록킹수단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록킹수단으로서 사용되는 EM락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와 화재감지기간 연동 관계가 도시된 블록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채용된 록킹수단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는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의 구성과 동일하게 본체(10), 상부커버(12a), 하부커버(12b) 및 절첩식 사다리(20)를 구비하되, 후술하는 화재감지기(200)와 연동되는 록킹수단(10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록킹수단(100)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종래 하향식 피난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록킹수단(100)의 구성 및 화재감지기(200)와의 연동 작동 방법에 대하여 살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100)은 건물 내에 기 설치된 화재감지기(200)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건물 내 화재수신반(3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됨으로써 상부커버(12a) 또는 하부커버(12b)의 개폐를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EM락(110)과 걸림쇠(120)를 포함한다.
상기 EM락(110)은 'Electromagnetic Lock'을 줄여 부르는 용어로 '전기정'이라고도 불리우며, 통상 전원 인가에 따라 내장된 잠금봉(112)이 이동되어 걸림쇠(120)에 걸리거나 그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방식으로, 아파트 출입문 기타 각종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록킹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EM락(110)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하향식 피난구에 적용하고, 이를 화재감지기(200)와 연동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에만 하향식 피난구의 커버(12)가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EM락(1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식 피난구의 본체(10) 내벽에 장착되고 내장된 잠금봉(112)이 커버(12)에 장착된 걸림쇠(120)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방식으로 커버(12)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EM락(110)이 하향식 피난구의 본체(10) 내벽에 장착되고 걸림쇠(120)가 커버(12)에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EM락(110)이 커버(12)에 장착되고 걸림쇠(120)가 본체(10) 내벽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 에는 이러한 EM락(110)의 내외부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채용된 EM락(110)은 브라켓(111), 잠금봉(112), 실린더(114), 코일(115), 프레임(117), 스프링(118) 및 센서(119)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1)은 하향식 피난구의 본체(10) 또는 커버(12)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되며, 내측에는 후술하는 잠금봉(112), 실린더(114), 코일(115), 프레임(117) 등이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111)은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면이 폐쇄된 육면체 형상의 함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그 모양 및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할 것이다.
상기 잠금봉(112)은 수평 이동에 따라 걸림쇠(120)에 형성된 걸림공(120a)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금속재 봉상체로 구성되며,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1) 내측에 배치되되, 전방 단부가 브라켓(111)의 전방측 일측벽을 관통하여 브라켓(111) 내외로 출입가능하게 장착된다(여기서, '전방'은 걸림쇠(120)가 위치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실린더(114)는 내측에 잠금봉(112)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 둘레에 감겨지는 나선형 코일(115)을 지지하는 관형부재이다. 상기 실린더(114)는 그 둘레에 감겨진 코일(115)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이 잠금봉(112)에 전달될 수 있도록, 자기장을 차폐하는 소재로 구성되어서는 안되나, 자기장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실린더(114)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 프레임(117) 내측에 유동없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115)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린더(114)의 외측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도선으로서, 일단은 후술하는 화재수신반(300)의 전원출력부 플러스(+)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이너스 (-)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화재수신반(300)으로부터 DC24V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115)은 화재수신반(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실린더(114) 내측에 위치된 도체인 잠금봉(112)을 특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실린더(114) 외측 둘레에 감겨진 코일(115) 외측은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연테이프 또는 기타 절연시트 등의 절연체(116)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7)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상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117)으로 상기 브라켓(111)의 일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린더(114)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로 유동없이 지지하며, 일측에는 잠금봉(112)이 실린더(114) 내측 중공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EM락(110)은 코일(115)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일측으로 수평 이동된 잠금봉(112)을 타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프링(118)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18)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봉(11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프레임(117)의 외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봉(11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12a)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자기력에 의해 잠금봉(112)이 일측으로 수평 이동된 후 자기력이 소멸되면 스프링(118)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111)의 내측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봉(112) 외주면에 삽입된 스프링(118) 및 지지돌기(112a)가 외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잠금봉커버(1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브라켓(111)의 내부 후방측에는 상기 잠금봉(112)의 후방 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19)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11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봉(112)이 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향식 피난구의 커버(12)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봉(112)의 단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근접센서, 마이크로스위치, 차동코일형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쇠(120)는 EM락(110)의 잠금봉(112)이 걸려 지지되는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ㄷ'자 내지 'ㄴ' 자 등으로 절곡되어 커버(12)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표면에는 걸림공(120a)이 형성되어 잠금봉(112)의 전방 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쇠는 록킹수단의 잠금시 EM락(110)의 잠금봉(112)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 및 구성에 제한이 없는 바, 위와 같은 걸림 방식이 아닌 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금속재인 잠금봉(112)을 자력에 의해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채용된 록킹수단(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 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의 화재수신반(300)과의 연동 및 커버(12) 개폐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와 화재감지기(200)간 연동 관계가 블록도로 도시되고, 도 6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채용된 록킹수단(100)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는 화재감지기(200)와 연동 작동 된다. 일반적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감지기(200)는 건물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연기나 열을 감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한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화재감지기(200)는 화재수신반(30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화재수신반(300)은 화재감지기(2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비상벨(310) 및 경광등(320)에 DC 24V의 전원을 공급하여 화재 경보를 발령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록킹수단(100)으로서 EM락(110)을 구비하는 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M락(110)의 코일(115)은 화재수신반(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DC 24V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시에는 EM락(110)의 잠금봉(112)이 걸림쇠(120)의 걸림공(120a)에 걸려 본체(10)와 커버(12)가 상호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커버(12)의 임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200)에서 화재수신반(300)으로 신호를 전달하고, 화재수신반(300)은 위에서 언급한 비상벨(310) 및 경광등(320)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하향식 피난구에 구비된 EM락(110)의 코일(115)에 DC 24V의 전원을 공급한다. EM락(110)의 코일(115)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15)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여 자기력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기력에 의해 잠금봉(112)이 수평 이동되어 걸림쇠(120)로부터 분리 이탈됨으로써 본체(10)와 커버(12)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그 다음,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종료되면, 화재수신반(300)으로부터 EM락(110) 코일(115)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잠금봉(112)은 스프링(11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수평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커버(12)가 다시 잠금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본래 통상적인 EM락(110)의 경우, 전원 공급시 잠금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원 공급 중단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데, 본원고안에 적용할 경우, 평시에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크고, 과부하로 코일(115)이 타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원고안에서는 전원 미공급시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전원 공급시에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개선하였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채용된 록킹수단(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록킹수단(100)은 화재수신반(300)과 연동하여 개폐 가능한 것이라면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의 어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화재 등 비상시에만 하향식 피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시 타인에 의한 임의 개폐나 무단 침입에 의한 사생활 침해 및 범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위에서 언급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락(110)의 브라켓(111) 내부에는 잠금봉(112)의 후단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19)가 구비되는 바, 상기 센서(119)는 전원 공급에 따라 잠금봉(112)이 후방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의 후단부를 감지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세대 내에 구비된 홈오토메이션(400)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하향식 피난구의 커버(12)가 개방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등 비상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피난구의 커버(12)가 개방되는 것을 거주자로 하여금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의 개방 및 무단침입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피난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2 : 커버
12a : 상부커버 12b : 하부커버
20 : 사다리 100 : 록킹수단
110 : EM락 111 : 브라켓
112 : 잠금봉 112a : 지지돌기
113 : 잠금봉커버 114 : 실린더
115 : 코일 116 : 절연체
117 : 프레임 118 : 스프링
119 : 센서 120 : 걸림쇠
200 : 화재감지기 300 : 화재수신반
310 : 비상벨 320 : 경광등
400 : 홈오토메이션

Claims (4)

  1. 베란다에 관통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첩식 사다리를 포함하는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상기 커버를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와 커버를 상호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건물 내에 기 설치된 화재수신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내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와 커버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커버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흐르게 하는 나선형 코일과,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나선형 코일이 감겨져 지지되는 실린더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금속재 봉상체로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내부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잠금봉과, 상기 코일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잠금봉을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EM락과;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잠금봉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세대내 구비된 홈오토메이션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잠금봉의 후단부를 감지하여,전원공급에 따라 잠금봉이 수평 이동하여 록킹수단의 잠금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홈오토메이션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하향식 피난구의 커버가 개방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3. 삭제
  4. 삭제
KR2020110000325U 2011-01-12 2011-01-12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KR200453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25U KR200453544Y1 (ko) 2011-01-12 2011-01-12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25U KR200453544Y1 (ko) 2011-01-12 2011-01-12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544Y1 true KR200453544Y1 (ko) 2011-05-11

Family

ID=4447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325U KR200453544Y1 (ko) 2011-01-12 2011-01-12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44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88B1 (ko)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153786B1 (ko)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304053B1 (ko) * 2011-05-12 2013-09-04 김대훈 피난용 사다리
KR101311016B1 (ko) 2011-12-02 2013-09-24 (주)서한에프앤씨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KR101624599B1 (ko) * 2015-12-24 2016-05-27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633691B1 (ko) * 2014-12-18 2016-06-27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재난 상황의 대비가 가능한 피난용 사다리의 덮개 개폐구조
KR101681032B1 (ko) *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1913093B1 (ko) * 2018-01-15 2018-10-31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CN109350871A (zh) * 2018-10-18 2019-02-19 娄素荷 一种多功能家用火灾快速逃生装置
KR102195095B1 (ko) * 2020-09-11 2020-12-24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15B1 (ko) 2007-11-02 2009-11-05 주식회사위드홈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15B1 (ko) 2007-11-02 2009-11-05 주식회사위드홈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53B1 (ko) * 2011-05-12 2013-09-04 김대훈 피난용 사다리
KR101311016B1 (ko) 2011-12-02 2013-09-24 (주)서한에프앤씨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KR101153788B1 (ko)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153786B1 (ko) 2012-02-23 2012-06-13 류순모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633691B1 (ko) * 2014-12-18 2016-06-27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재난 상황의 대비가 가능한 피난용 사다리의 덮개 개폐구조
KR101624599B1 (ko) * 2015-12-24 2016-05-27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681032B1 (ko) * 2015-12-24 2016-12-13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1913093B1 (ko) * 2018-01-15 2018-10-31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CN109350871A (zh) * 2018-10-18 2019-02-19 娄素荷 一种多功能家用火灾快速逃生装置
KR102195095B1 (ko) * 2020-09-11 2020-12-24 주식회사 우담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544Y1 (ko)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US6771181B1 (en) Crawl to the light emergency exit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024420B1 (ko) 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KR101624599B1 (ko)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20110019857A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20050026940A (ko)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KR101749465B1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JP2005248452A (ja) 施錠システム
KR101900495B1 (ko) 방범기능을 구비한 건축물 창호구조
CN105804543A (zh) 楼宇推拉窗限位防盗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906621B1 (ko)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KR101311016B1 (ko)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JPH119559A (ja) 生活異常検知システム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CN213627356U (zh) 感应式入户门和智能家居系统
KR102510621B1 (ko) 포켓 도어용 매립형 스톱퍼
KR102592500B1 (ko)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JP6503615B2 (ja) 対象留置・拘束・保安システム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JPH119560A (ja) 生活異常検知システム
KR20160003647U (ko)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KR20180074546A (ko)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