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599B1 -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599B1
KR101624599B1 KR1020150185644A KR20150185644A KR101624599B1 KR 101624599 B1 KR101624599 B1 KR 101624599B1 KR 1020150185644 A KR1020150185644 A KR 1020150185644A KR 20150185644 A KR20150185644 A KR 20150185644A KR 101624599 B1 KR101624599 B1 KR 10162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dder
housing
upper door
lo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호
Original Assignee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03Indicating devices, e.g. user warnings or inclin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개시 상기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가 포함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도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도어 및 평상시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이 포함되는 도어부; 상기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제1락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고,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 및 상부도어와 하부도어의 개방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사용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APARTMENT HOUSE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USING LADDERS}
본 발명은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전개시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이용 상태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구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최근에는 사람들이 주거하는 아파트 및 공동주택을 비롯한 모든 건물들이 대형화 및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및 각종 건물에 예기치 않은 화재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작동 불능은 물론이고, 비상계단이나 복도 통로는 굴뚝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어 유독가스와 불길이 순식간에 건물 전체를 소실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전장치 및 대피장치가 충분하게 갖추어져야 하나, 사실상 아파트 및 고층 건물의 수의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각 지역소재 소방관서 대부분이 안전매트를 갖추고는 있지만 이마저도 구조대가 출동한 이후에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설치를 마친 이후에도 상기 안전매트의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해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일분일초에 생사가 엇갈리는 화재 현장에서의 안전장치 및 대피장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공동주택의 경우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면 베란다 및 발코니로 대피하게 되는 바, 상기 베란다 및 발코니를 통로로 이용한 비상탈출수단을 필요로 한다.
베란다 및 발코니를 이용한 비상탈출수단과 관련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545524 호에는 피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피난 장치가 설치된 대피 공간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피난 장치를 설명하자면, 평상시에는 대피공간을 주거용으로 활용하고, 비상시 은닉되어 있던 피난 부재가 펼쳐지면서 피난 사다리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피난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공동 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며 개폐문(11a)을 통해 진입 가능한 대피공간(11), 위층 발코니의 대피공간(11)에 설치되는 상부 뚜껑(12), 아래층 발코니의 대피공간(11)에 설치되는 하부 뚜껑(13), 상기 상부 뚜껑(12)과 하부 뚜껑(13)의 사이에 접힌 상태로 보관되며 하부 뚜껑(13)의 개방과 동시에 펼쳐지는 피난부재(14) 및 상기 상부 뚜껑(12)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15)로 이루어져, 상기 동작 센서(15)가 상기 상부 뚜껑(12)의 동작을 감지하면 아래층의 개폐문이 자동으로 잠금되어, 위층의 피난자가 아래층 세대의 승낙 없이는 아래층 대피공간을 통해 아래층 세대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평상시 대피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배치된 가구 및 물건 등을 신속하게 옮기고 대피할 여력이 부족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 뚜껑(12)의 동작이 감지되어 아래층 대피공간(11)의 개폐문(11a)이 자동으로 잠금되는 것은, 상부 층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아래층 세대도 대피를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실상 무용지물이고, 오히려 아래층 세대의 일부가 대피공간(11)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 뚜껑(12)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아래층 세대의 다른 일부가 거동이 불편한 상태라면 대피공간(11)의 인원들이 아래층 세대의 다른 일부를 구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베란다 및 발코니를 이용한 비상탈출수단과 관련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20-0450475 호에는 하향식 피난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를 설명하자면, 상부 덮개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부 덮개와 함께 함체 내부에 수용된 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하여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베란다 바닥에 매립되며 상호 연동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덮개의 개방 시 하측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철사다리, 상기 접철사다리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연결바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기어 및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방음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하부 덮개와 접철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방음수단에 의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 덮개를 개방하면 하부 덮개 및 접철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한 것으로서, 아무런 잠금장치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를 통한 주거 침입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상기 상부 덮개의 개방과 함께 하부 덮개 및 접철사다리가 펼쳐지도록 한 것일 뿐,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나, 대피 인원의 확인 등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545524 호(2015.08.1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50475 호(2010.09.30.) 등록특허공보 제 10-1173585 호(2012.08.07.) 등록특허공보 제 10-1128480 호(2012.03.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이용 상태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력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소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전개시 상기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가 포함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도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도어 및 평상시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이 포함되는 도어부; 상기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제1락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락모듈에는,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랙기어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단턱에 걸려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단턱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는 상기 랙기어와 면접촉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랙기어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축공기가 충진되며, 당김에 의해 파열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에어백; 일측이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일측이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경우에만 구동되어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탈거시키는 솔밸브로 이루어지는 알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상부도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 상기 걸림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걸림바에 걸림되는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제2락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힌지축의 연직하방에는 무게중심이 유지되고, 상기 힌지축의 연직상방에는 상기 걸림바가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락모듈에는, 상기 걸림바와 상부도어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걸림바를 상기 걸림고리가 풀림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고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45℃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을 해제시키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2락모듈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부는 서로 상하로 연속하는 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하부도어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단말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난 사다리는 접철형 또는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의하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 및 상부도어와 하부도어의 개방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사용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제어부의 파손시에도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소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난 장치가 설치된 대피 공간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1락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알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2락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중앙서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피난 사다리가 접철형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피난 사다리가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전개시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이용 상태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은, 본체부(110), 도어부(120), 제어부(130) 및 사용자 단말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에 설치되며 전개시 상기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112)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피난 사다리(112)는 접철형 및 내삽안테나형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9a 내지 도 10b의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피난 사다리(112)에는, 열변색(Thermochromism)의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가열 상태가 시각적으로 나타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열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하우징(111)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가 구비되고, 상기 피난 사다리(112)에는 상기 컴프레샤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하부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복수 개의 유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컴프레샤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유도홀을 통해 분사되어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매연 및 유독가스가 상기 피난 사다리(11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에어 커튼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20)에는, 상기 하우징(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도어(121), 상기 하우징(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도어(122) 및 평상시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124)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는 상기 하우징(11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개폐되도록 구성되거나,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도어(121)가 개방되면 상기 하부도어(122)도 개방되고, 상기 하부도어(122)가 개방되면 상기 상부도어(121)도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도어부(120)의 제1락모듈(124)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130)에는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31)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131)에서 전송되는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는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전개 여부가 포함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에서 전달되는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는 문자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문자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1락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락모듈(124)에는, 상기 도어부(120)의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24a) 및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랙기어(124b)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랙기어(124b)는,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단턱(111a)에 걸려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고,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단턱(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124b)가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고,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124b)가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을 해제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1락모듈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에는, 상기 랙기어(124b)와 면접촉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124b)에는, 상기 가이드홈(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랙기어(124b)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홈(124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은, 정전 등에 의해 상기 제어부(13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별도의 공구(300)를 상기 가이드홈(123)에 삽입한 후 상기 구동홈(124c)에 끼워, 상기 랙기어(124b)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재 등의 재난 발생에 의해 전력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를 개방하여 피난 사다리(11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 4에서는 상기 별도의 공구(300)를 십자 드라이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별도의 공구(300)로는, 상기 가이드홈(123)으로 삽입하여 구동홈(124c)에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힘을 버틸 수 있는 도구라면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알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e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제1락모듈(124)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를 개방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림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0)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며, 당김에 의해 파열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에어백(151), 일측이 상기 랙기어(124b)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152), 일측이 상기 에어백(151)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153) 및 상기 제1연결바(152) 및 제2연결바(153)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경우에만 구동되어 상기 제1연결바(152)와 제2연결바(153)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탈거시키는 솔밸브(15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152) 및 제2연결바(153)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탈거시키는 솔밸브(154)에는, 상기 제1연결바(152)와 연결되는 제1슬라이드부재(154a), 상기 제2연결바(153)와 연결되는 제2슬라이드부재(154b),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54a)와 제2슬라이드부재(154b)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탈거시키는 연결부재(154c) 및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54a)와 제2슬라이드부재(154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154d)이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5a를 설명하자면, 상기 랙기어(124b), 제1연결바(152) 및 제2연결바(153) 및 솔밸브(154)가 최초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 5b를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솔밸브(154)의 연결부재(154c)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54a)와 제2슬라이드부재(154b)를 서로 탈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 5c를 설명하자면,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랙기어(124b), 제1연결바(152) 및 제1슬라이드부재(154a)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 5d를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솔밸브(154)의 연결부재(154c)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54a)와 제2슬라이드부재(154b)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도 5a 내지 도 5d의 과정은, 상기 제1락모듈(124)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가 다시 잠금되는 과정은 상기 도5a 내지 도 5d에 따른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e를 설명하자면,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랙기어(124b)가 별도의 공구(300)에 의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솔밸브(154)가 하강되어 상기 에어백(151)이 파열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랙기어(124b)가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하강되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54a), 제2슬라이드부재(154b) 및 연결부재(154c)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제2연결바(153)가 상기 에어백(151)에서 탈거되고, 상기 에어백(151)은 상기 제2연결바(153)가 탈거됨에 따라 파열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2락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어부(120)에는 상기 제1락모듈(124)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을 2차적으로 잠금하는 제2락모듈(12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락모듈(125)에는, 상기 상부도어(1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바(125a),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 일측 상기 걸림바(125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힌지축(125b) 및 상기 힌지축(125b)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걸림바(125a)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5c)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걸림고리(125c)는,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하방(b)에서 무게중심이 유지되고,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상방(a)에는 상기 걸림바(125a)가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125c)는 무게중심이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하방에 있어 평상시 첨부된 도 6a의 상태 즉, 세로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상부도어(121)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걸림바(125a)가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상방(a)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130)가 오작동하는 등의 상황에서 아동이 상기 상부도어(121)를 개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도어(121)를 완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125c)를 미는 것만으로 상기 걸림고리(125c)를 상기 걸림바(125a)로부터 탈거시켜 상기 상부도어(121)의 완전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락모듈(125)에는, 상기 걸림바(125a)와 상부도어(121)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걸림바(125a)를 상기 걸림고리(125c)가 풀림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25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락모듈(125) 또한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중앙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에는 상기 제어부(130) 및 사용자 단말부(14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유무선 통신되는 중앙서버(1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센서(132),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센서(133) 및 공동주택의 각 층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제3센서(134)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센서(132) 및 제2센서(133)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와 상기 제3센서(134)에서 감지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132)는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제1센서(132a) 및 하부도어의 개방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1)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제1센서(1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133)는 상기 하부도어(122)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에는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전개, 접철 또는 내삽 여부가 포함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모듈(131)은 상기 제1센서(132) 및 제2센서(133)에서 감지하여 변환된 전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는, 상기 통신모듈(131)에서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기 신호를 문자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아닌 상황에서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가 개방되거나 피난 사다리(112)가 전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문자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여부 및 피난 사다리(112)의 전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는 서로 상하로 연속하는 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의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하부도어(122)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단말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제1단말 또는 제2단말을 통해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사용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는 예를 들어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160)는, 상기 제어부(130)의 통신모듈(131)에서 전송되는 전기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통신모듈(161), 상기 중앙통신모듈(161)을 통해 수신된 전기 신호를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 및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로 변환하는 중앙처리모듈(162), 상기 중앙처리모듈(162)에서 변환된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 및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와 중앙통신모듈(161)을 통해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를 저장하여 히스토리로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부(14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중앙저장모듈(163) 및 상기 중앙저장모듈(163)에 저장되는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 및 화재 감지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서버(160)는, 상기 제어부(130)의 통신모듈(131)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는 상기 중앙통신모듈(161)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중앙처리모듈(162)에서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 및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 상태 정보,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 화재 감지 신호 및 사용자 단말부(140)의 사용자 정보를 중앙저장모듈(163)에 저장 및 관리하는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4)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중앙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황에 따라 소방서로 연결하여 신속한 화재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앙저장모듈(163)에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부(140)의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등록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센서(134)에는 각각 고유 일련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는 상기 고유 일련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중앙서버(160)는, 상기 중앙통신모듈(161)을 통해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신호가 발생된 제3센서(134)의 고유 일련번호에 따라 화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 위치 정보와 상기 중앙저장모듈(16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관련된 위치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부(140)로 상기 화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화재 위치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되는 관련 위치는 화재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100m 거리 이내의 위치이거나, 같은 아파트 단지내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중앙서버(160)로 전송되는 화재 위치 정보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대피 경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160)의 중앙처리모듈(162)은 상기 화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중앙서버(160)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중앙통신모듈(161)을 통해 전송되는 화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제4센서(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4센서(135)에 의해 감지되는 지문이 미리 저장된 지문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락모듈(124)에 의한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을 해제시켜,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문 감지를 통해 상기 피난 사다리(11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피난 사다리(112)를 통해 이동하는 인원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5센서(1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센서(136)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1)의 내측에 구비되어 화재 등의 비상 사태에 상기 피난 사다리(112)를 통해 이동하는 인원의 수를 감지함으로써, 건물 내의 인원이 이동하는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5센서(136)에 의해 감지되는 인원수는 상기 중앙서버(160)로 전송되어 카운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열을 감지하는 제6센서(1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센서(136)는 상기 하우징(1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6센서(136)에 의해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 온도가 45℃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124)을 해제시키고, 상기 회전부재(125d)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을 2차 잠금하는 제2락모듈(125)를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가 개방되어 하우징(111) 내부의 피난 사다리(11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피난 사다리가 접철형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0a 및 도 10b에 따르면, 상기 피난 사다리(112)가 접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피난 사다리(112)는 브라켓(112a) 및 상기 브라켓(112a)에 고정되어 접철되는 링크(11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난 사다리(112)는, 상기 브라켓(112a)을 기준으로 링크(112b)가 접혔다 펴졌다 하는 원리로 동작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링크(112b)가 브라켓(112a)에 고정되고 하우징(111)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링크(112b)가 브라켓(112a)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펴져서 사다리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의 피난 사다리가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따르면, 상기 피난 사다리(112)가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피난 사다리(112)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에 가로대 이동을 위한 가이드홀(112d)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관(112c)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관(112c)을 연결하는 가로대(112e)로 구성되는 복수의 단위 사다리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사다리는 아래 배치될수록 바로 위에 배치되는 단위 사다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피난 사다리(112)가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위에 배치되는 단위 사다리의 가이드홀(112d)과 슬라이드관(112c)에 의해 바로 아래 배치되는 가로대(112e)와 슬라이드관(112c)이 가이드되어 수납 및 인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관(112c)을 손으로 파지하고 가로대(112e)를 밟는 형태로 상기 피난 사다리(112)를 이용하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제1락모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고, 피난 사다리의 상태 정보 및 상부도어와 하부도어의 개방 상태 정보가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피난 사다리의 사용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부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10 : 본체부 111 : 하우징
112 : 피난 사다리
112a : 브라켓 112b : 링크
112c : 슬라이드관 112d : 가이드홀
112e : 가로대
120 : 도어부 121 : 상부도어
122 : 하부도어 123 : 가이드홈
124 : 제1락모듈
124a : 피니언기어 124b : 랙기어
124c : 구동홈
125 : 제2락모듈
125a : 걸림바 125b : 힌지축
125c : 걸림고리
130 : 제어부 131 : 통신모듈
132 : 제1센서 133 : 제2센서
134 : 제3센서 135 : 제4센서
136 : 제5센서 137 : 제6센서
140 : 사용자 단말부
150 : 알림부 151 : 에어백
152 : 제1연결바 153 : 제2연결바
154 : 솔밸브
154a : 제1슬라이드부재 154b : 제2슬라이드부재
154c : 연결부재 154d : 가이드브라켓
160 : 중앙서버 161 : 중앙통신모듈
162 : 중앙처리모듈 163 : 중앙저장모듈
164 :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0)

  1. 공동주택의 각 층과 층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에 설치되며 전개시 상기 공동주택의 상하로 연속하는 층을 연결하는 피난 사다리(112)가 포함되는 본체부(110);
    상기 하우징(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도어(121), 상기 하우징(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도어(122) 및 평상시 상기 상부도어(121)와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124)이 포함되는 도어부(120);
    상기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31)이 포함되며, 상기 제1락모듈(124)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피난 사다리(11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부(1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모듈(124)에는,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24a); 및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랙기어(124b)가 포함되고,
    상기 랙기어(124b)는,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단턱(111a)에 걸려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고, 상기 피니언기어(124a)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단턱(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잠금을 해제하며,
    압축공기가 충진되며, 당김에 의해 파열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에어백(151);
    일측이 상기 랙기어(124b)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152);
    일측이 상기 에어백(151)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153); 및
    상기 제1연결바(152) 및 제2연결바(153)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24a)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는 경우에만 구동되어 상기 제1연결바(152)와 제2연결바(153)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탈거시키는 솔밸브(154);
    로 이루어지는 알림부(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에는,
    상기 랙기어(124b)와 면접촉되는 위치에 가이드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124b)에는,
    상기 가이드홈(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랙기어(124b)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홈(12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120)에는,
    상기 상부도어(12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바(125a);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 일측 상기 걸림바(125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힌지축(125b); 및
    상기 힌지축(125b)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걸림바(125a)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5c);
    로 이루어지는 제2락모듈(12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125c)는,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하방(b)에는 무게중심이 유지되고, 상기 힌지축(125b)의 연직상방(a)에는 상기 걸림바(125a)가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락모듈(125)에는,
    상기 걸림바(125a)와 상부도어(121)를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걸림바(125a)를 상기 걸림고리(125c)가 풀림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25d)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111) 내부의 온도가 45℃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부도어(121) 및 하부도어(122)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1락모듈(124)을 해제시키고, 상기 회전부재(125d)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을 잠금하는 제2락모듈(125)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부(140)는,
    서로 상하로 연속하는 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단말(141) 및 제2단말(142)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도어(121)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142)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하부도어(122)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단말(141)로 사용자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난 사다리(112)는,
    접철형 또는 내삽안테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 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20150185644A 2015-12-24 2015-12-24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62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44A KR101624599B1 (ko) 2015-12-24 2015-12-24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44A KR101624599B1 (ko) 2015-12-24 2015-12-24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599B1 true KR101624599B1 (ko) 2016-05-27

Family

ID=5610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44A KR101624599B1 (ko) 2015-12-24 2015-12-24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5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700B1 (ko)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CN110529035A (zh) * 2019-09-17 2019-12-03 国网四川省电力公司资阳供电公司 一种电力安装登高架
KR102344465B1 (ko) * 2020-12-14 2021-12-27 김형식 화재 비상탈출장치
KR102483319B1 (ko) * 2021-11-25 2023-01-03 (주)엔이에스 피난 사다리 장치
GR1010634B (el) * 2023-04-20 2024-02-14 Παναγιωτης Νικολαου Μαλλιρης Συστημα ταχειας εγκαταλειψης πλωτου μεσου σε σταθερο σημειο λιμενα και λιμενικης εγκατασταση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0972837B1 (ko) * 2009-09-28 2010-07-28 (주) 비엘씨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53544Y1 (ko) * 2011-01-12 2011-05-11 (주)반초기업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0972837B1 (ko) * 2009-09-28 2010-07-28 (주) 비엘씨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53544Y1 (ko) * 2011-01-12 2011-05-11 (주)반초기업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700B1 (ko) 2016-12-02 2017-07-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WO2018101602A1 (ko) * 2016-12-02 2018-06-07 (주)파인디앤씨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CN110529035A (zh) * 2019-09-17 2019-12-03 国网四川省电力公司资阳供电公司 一种电力安装登高架
KR102344465B1 (ko) * 2020-12-14 2021-12-27 김형식 화재 비상탈출장치
KR102483319B1 (ko) * 2021-11-25 2023-01-03 (주)엔이에스 피난 사다리 장치
GR1010634B (el) * 2023-04-20 2024-02-14 Παναγιωτης Νικολαου Μαλλιρης Συστημα ταχειας εγκαταλειψης πλωτου μεσου σε σταθερο σημειο λιμενα και λιμενικης εγκατασταση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599B1 (ko)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US6771181B1 (en) Crawl to the light emergency exit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200453544Y1 (ko)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JP6599617B2 (ja) 防災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防災設備信号伝達方法
KR20120066222A (ko)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0925515B1 (ko)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0972837B1 (ko)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753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0906621B1 (ko) 언락전기정의 안전장치가 갖춰진 비상피난기구 및 비상피난기구의 제어방법
KR101750700B1 (ko)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111292B1 (ko)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20080010578A (ko) 안전 방범창
KR101311016B1 (ko)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KR10229957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무선시스템
KR102404409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