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753B1 -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753B1 KR102212753B1 KR1020200068838A KR20200068838A KR102212753B1 KR 102212753 B1 KR102212753 B1 KR 102212753B1 KR 1020200068838 A KR1020200068838 A KR 1020200068838A KR 20200068838 A KR20200068838 A KR 20200068838A KR 102212753 B1 KR102212753 B1 KR 1022127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unit
- fire
- alarm device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대한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실내로의 안정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경보장치를 보호하여 긴급상황시 경보장치에 대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대한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실내로의 안정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경보장치를 보호하여 긴급상황시 경보장치에 대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축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나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 쉽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084호(2016.08.01.)에는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경보장치를 보호하지 못하면서 긴급상황시 경보장치에 대한 원활한 작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 대한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실내로의 안정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경보장치를 보호하여 긴급상황시 경보장치에 대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 및 건축물내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117)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실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 외부로부터 상기 감지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150);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달되며, 타단부에 상기 경보장치(117)가 연결되는 전원도선(151); 및 양단부가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는 한편,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118)가 연결되는 보조전원도선(152)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18)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경보장치(117)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연결되는 비상전원도선(161);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연결스위치(162); 및 상기 전원도선(151)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 감지센서(1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스위치(1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단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200)는, 실내의 벽체(W)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경보장치(117)가 수용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20); 및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신호 감지시,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수단(2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수단(230)은,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경보장치(117)가 안착되는 승강판(231); 상기 승강판(2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2); 및 상기 승강판(231)을 잠금한 상태로부터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 감지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수단(23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32)는,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해제에 따라 상기 승강판(23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실내로의 전원공급을 통해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경보장치를 보호함으로써 긴급상황시 경보장치에 대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가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공급부 및 비상전원공급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보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가 건축물의 실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공급부 및 비상전원공급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보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소방설비부(130) 및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가 발생되거나 화재 또는 질식의 위험이 있는 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12)와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112)로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 또는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정온식 감지기 및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으로 광전자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광전식 감지기 또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하여 자외선/적외선 불꽃감지기 등이 있으며, 건축물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화재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스누출감지기(114)는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LNG나 LPG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치명적인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재실자 감지기(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실자 감지기(116)는 건축물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또는 공간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람의 재실유무를 판단하는 적외선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120)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에 공히 구비되며,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방식으로 무선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비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무선통신방식이다.
상기 지그비 방식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량이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의 무선통신방식이 상기 지그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1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1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117)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등 위험요인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상관없이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함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보장치(117)는 스피커 및 경광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관련 없이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함과 즉시 제실자에게 경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부(120)에서 복잡한 제어단계를 거치는 시간이 생략되어 제실자에게 즉시 경보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경보하여 재실자가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나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하며, 재실자의 대피를 도와주는 구성요소로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축물 내에 수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가스 또는 분말을 분출하는 소화가스분출기,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방화셔터, 재실자에게 화재상황을 경보하는 사이렌, 비상벨, 청각 장애자를 위한 시각경보기, 대피통로를 안내하는 비상램프, 대피를 돕는 피난사다리 및 실내의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팬 및 가스누설을 감지했을 때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가스누설차단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소방설비부(130)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누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대로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설비부 중에 감지된 상황에 적합한 소방설비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건축물에 화재상황(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발생)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소방서 및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하는 자동화재속보기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할 때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정보들도 같이 송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여부 및 재실자 여부등의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송신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건축물의 화재상황발생 및 정보를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미리 등록된 관계인의 전화, 핸드폰 또는 PDA등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가 외출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발생즉시 통보받을 수 있고, 거주자가 아닌 거주자의 가족 또는 관계인에게도 즉시 통보가 가능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감지부(110)와 제어부(120)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20)와 소방설비부(130)도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은 다른 감지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지부(110)는 건축물 내의 곳곳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도 있는데,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어느 한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할 경우, 화재상황이 감지되었다는 화재감지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발신한다.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다른 곳에 구비된 감지부(110)이 무선통신모듈에서 수신하여 경보장치(117)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축물 내에 화재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를 거치지 않고도, 건축물 내부에 구비된 감지기끼리 서로 직접 화재감지신호를 송수신하므로, 화재경보를 보다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가 건축물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면, 실내의 거실 또는 각 방에 감지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12) 또는 재실자의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기(116)일 수 있다.
그리고, 주방이나 보일러실 등 가스의 누출이 염려되는 곳에는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거실이나 현관 등 조작이 편리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와 감지부(110)는 서로 무선통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에 비하여 설치가 자유로우며,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을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는 소방설비부(130)가 설치된다. 본 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소방설비부(130)로서 스프링클러(132)가 적용된 예를 제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화셔터 및 제연팬 등 다른 소방설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132)는 각 거실 및 방에 소방수를 분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수도에 직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해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하는 화재통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가 설치된 장소에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감지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달되며 타단부에 상기 경보장치(117)가 연결되는 전원도선(151) 및 상기 전원도선(151)에 상기 배터리(118)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전원도선(152)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감지부(110)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나, 정전시 등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로의 전원공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은 양단부가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118)가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배터리(118)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전원도선(151)을 통해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을 통과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감지부(110)가 상기 화재감지기(112), 상기 가스감지기(1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화재감지기(112)나, 상기 가스감지기(114)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상기 전원도선(151)은 타단부가 복수로 분기되면서 상기 경보장치(117)와 함께 상기 화재감지기(112)나, 상기 가스감지기(1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 상기 감지부(110)의 원활한 작동을 통한 건축물의 감지상태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화재나, 정전 등으로 인한 비상상태 즉,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감지상태가 공백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평상시는 물론,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시에도 상기 배터리(118)를 통한 원활한 전원공급을 통해 상기 경보장치(117)가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 등 위험요인의 발생을 감지하여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전원도선(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연결되는 비상전원도선(161),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연결스위치(162) 및 상기 전원도선(151)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 감지센서(16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스위치(1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 즉, 단선상태를 유지한다.
이때의,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외부의 다른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에서 상기 소방설비부(13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는 비상전원선(164), 상기 비상전원선(164)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비상경보장치(165) 및 상기 비상전원선(164)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비상스위치(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스위치(166)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 즉, 단선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비상경보장치(165)는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하는 스피커나 경광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동주택의 입주자나, 화재시 재실자 등에게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알린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비상경보장치(165)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정전이나, 화재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에 따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200)는 건축물의 실내 벽체(W)로의 상기 경보장치(117)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를 보호하여 원활한 작동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200)는 벽체(W)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경보장치(117)가 수용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20) 및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신호 감지시,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210)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통 형태를 이룬다.
상기 케이싱(210)은 전면에 복수의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출수단(230)의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장치(117)에서 출력되는 경보음이 외부로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수단(220)은 벽체(W)에 고정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고정프레임(221), 상기 케이싱(210)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221)으로 인입되는 고정바(222), 상기 고정프레임(2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바(222)로 결합되는 고정링(223) 및 상기 고정바(22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을 상기 고정프레임(221)에 결속하는 고정부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21)은 후단부가 벽체(W)에 고정되면서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상기 고정바(2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바(222)는 역'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가 상기 케이싱(210)의 후면 상측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프레임(221)의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링(223)은 원형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2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바(222)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바(222)는 하부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돌기(22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돌기(222a)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224)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링(223)이 상기 고정프레임(221)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210)은 상기 고정프레임(221)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수단(230)은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경보장치(117)가 안착되는 승강판(231), 상기 승강판(2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2) 및 상기 승강판(231)을 잠금한 상태로부터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 감지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고정수단(233)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도선(151)은 타단부가 상기 케이싱(210)의 하부 및 상기 승강판(231)을 통과하면서 상기 경보장치(1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도선(151)은 상기 경보장치(117)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판(231)과 상기 케이싱(210)의 바닥면 간이 늘어지면서 여유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10)은 내부 전,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231)은 전,후면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홈(212)으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231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33)은 플런저(233a)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210)의 후면 하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플런저(233a)가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판(231)을 잠금한다.
상기 고정수단(233)은 상기 플런저(233a)가 상기 승강판(231)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승강판(231)이 승강되지 못하도록 잠금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탄성부재(23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판(231)이 잠금된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승강판(231)과 함께 상기 경보장치(117)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경보장치(117)는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긴급상황에 대한 경보음이 주변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200)는 벽체(W)로의 상기 경보장치(117)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평상시, 외부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를 보호하면서 긴급상황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소방설비부 140 : 화재통보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비상전원공급부
200 : 보호부 210 : 케이싱
220 : 고정수단 230 : 잠금수단
130 : 소방설비부 140 : 화재통보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비상전원공급부
200 : 보호부 210 : 케이싱
220 : 고정수단 230 : 잠금수단
Claims (1)
- 실내에 설치되며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117)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감지부(110)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 감지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150); 및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배터리(118)의 전원이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되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로 구성되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를 보호하는 보호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200)는,
실내의 벽체(W)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경보장치(117)가 수용되고, 내부 전,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되며, 전면에 복수의 통공(211)이 형성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20); 및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신호 감지시,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수단(23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220)은,
벽체(W)에 고정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고정프레임(221);
상기 케이싱(210)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221)으로 인입되는 고정바(222); 및
상기 고정바(222)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을 상기 고정프레임(221)에 결속하는 고정부재(224)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수단(230)은,
전,후면에 상기 가이드홈(212)으로 인입되는 가이드돌기(231a)가 형성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경보장치(117)가 안착되는 승강판(231);
상기 승강판(23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2); 및
상기 승강판(231)을 잠금한 상태로부터 상기 감지부(110)에서의 화재 감지시,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고정수단(23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32)는,
상기 승강판(231)에 대한 잠금해제에 따라 상기 승강판(23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경보장치(117)가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8838A KR102212753B1 (ko) | 2020-06-08 | 2020-06-08 |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8838A KR102212753B1 (ko) | 2020-06-08 | 2020-06-08 |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2753B1 true KR102212753B1 (ko) | 2021-02-05 |
Family
ID=7455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8838A KR102212753B1 (ko) | 2020-06-08 | 2020-06-08 |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275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5175B1 (ko) * | 2021-03-02 | 2021-09-27 | 임영묵 | 공동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KR102379362B1 (ko) * | 2021-06-14 | 2022-03-29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
KR102412871B1 (ko) * | 2021-06-16 | 2022-06-27 | 재성전력 (주) | 배전선로 부하 제어시스템 |
CN116709712A (zh) * | 2023-08-02 | 2023-09-05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一种环境预警装置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4084B1 (ko) | 2016-04-20 | 2016-08-01 | (주)진전기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
KR101644855B1 (ko) * | 2016-02-23 | 2016-08-02 |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
KR101796308B1 (ko) * | 2017-07-24 | 2017-12-01 |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
KR101825685B1 (ko) * | 2017-08-01 | 2018-02-05 | (주)선한이엔지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KR101880756B1 (ko) * | 2018-02-23 | 2018-07-20 | (주)서영티이씨 |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
KR101926746B1 (ko) * | 2018-05-24 | 2018-12-07 |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
KR102035764B1 (ko) * | 2019-07-17 | 2019-10-24 |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KR102063304B1 (ko) * | 2019-05-23 | 2020-01-07 |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
-
2020
- 2020-06-08 KR KR1020200068838A patent/KR1022127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4855B1 (ko) * | 2016-02-23 | 2016-08-02 |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
KR101644084B1 (ko) | 2016-04-20 | 2016-08-01 | (주)진전기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
KR101796308B1 (ko) * | 2017-07-24 | 2017-12-01 |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
KR101825685B1 (ko) * | 2017-08-01 | 2018-02-05 | (주)선한이엔지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KR101880756B1 (ko) * | 2018-02-23 | 2018-07-20 | (주)서영티이씨 |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
KR101926746B1 (ko) * | 2018-05-24 | 2018-12-07 |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
KR102063304B1 (ko) * | 2019-05-23 | 2020-01-07 |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
KR102035764B1 (ko) * | 2019-07-17 | 2019-10-24 | (주)휴먼텍코리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5175B1 (ko) * | 2021-03-02 | 2021-09-27 | 임영묵 | 공동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KR102379362B1 (ko) * | 2021-06-14 | 2022-03-29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
KR102412871B1 (ko) * | 2021-06-16 | 2022-06-27 | 재성전력 (주) | 배전선로 부하 제어시스템 |
CN116709712A (zh) * | 2023-08-02 | 2023-09-05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一种环境预警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6709712B (zh) * | 2023-08-02 | 2023-10-03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一种环境预警装置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2753B1 (ko) |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 |
KR101926746B1 (ko) |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 |
KR101049796B1 (ko) |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EP3407315B1 (en) |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 |
KR101943368B1 (ko) |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 |
KR101825685B1 (ko)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
KR101644084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 |
KR101796308B1 (ko) |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 | |
KR102580356B1 (ko) |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 |
KR102035764B1 (ko)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 |
KR101018583B1 (ko) |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 |
KR102063919B1 (ko) |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 |
KR200485463Y1 (ko) |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 |
CN106600880A (zh) | 一种无线传输独立式感烟感温复合型火灾探测报警系统 | |
KR101663786B1 (ko) |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 |
KR20130094097A (ko) |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 |
KR102379362B1 (ko)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 |
KR101880756B1 (ko) |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 |
KR102153935B1 (ko)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 |
KR101750933B1 (ko) | 공동주택의 소방감지와 소방서 자동신고시스템 | |
KR101925876B1 (ko)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 |
KR101900203B1 (ko) |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 |
KR102132125B1 (ko) |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 |
KR102404409B1 (ko) |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감시시스템 | |
KR102269836B1 (ko) |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세대별 제어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