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304B1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304B1
KR102063304B1 KR1020190060510A KR20190060510A KR102063304B1 KR 102063304 B1 KR102063304 B1 KR 102063304B1 KR 1020190060510 A KR1020190060510 A KR 1020190060510A KR 20190060510 A KR20190060510 A KR 20190060510A KR 102063304 B1 KR102063304 B1 KR 10206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ontroller
fire
cover
alarm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6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시건성을 높여 어린이들이 쉽게 장난치지 못하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커버가 자동으로 탈락 개폐되면서 경보음 방출 데시벨을 높여 거주민들이 듣지 못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계단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수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Fire safety equipment installed in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소방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시건성을 높여 어린이들이 쉽게 장난치지 못하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커버가 자동으로 탈락 개폐되면서 경보음 방출 데시벨(출력)을 높여 거주민들이 듣지 못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계단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수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경보장치는 옥내에 설치된 화재감지장치의 화재감지 신호 및 긴급상황을 알리도록 가압되는 스위치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또는 긴급상황을 빛 또는 소리로 외부에 알리면서 방재센터로 신호를 보내 외부에서 화재사실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이는 경보부재와 경종부재로 이루어져 경보설비함에 설치된다.
즉, 소방 경보장치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누르면 수신기에 수동신호로 작동되고, 감지기에서 자동적으로 감지한 신호가 수신기 경종으로 자동 전달되어 경종에서 경보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소방 경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설비함(10)의 내,외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경보설비함(10)의 전면에 발신기와 버튼 및 경고등이 구비된 경보부재(11)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경보부재(11)에 의해 작동되는 경종부재(B)는 경보부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강한 소리를 발생하도록 경보설비함(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경보설비함(10)의 커버는 관리상을 이유로 시건되어 있지 않고 시건할 경우 공동주택과 같이 무수히 많은 경보설비함(10) 각각의 열쇠를 모두 관리할 수도 없고 잘못 하다간 분실하여 경보설비함(10)을 열 수 없는 상태에 빠지기도 해서 보통은 시건을 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고 있다.
때문에, 어린이들, 불건전 청소년들이 계단참에서 장난을 많이 치면서 경보를 울리게 하거나 혹은 경보부재(11)를 뜯어 가거나 회로를 담뱃불로 지져 파괴하는 등 많은 손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경보설비함(10) 내부에 설치된 경종부재(B)에서 경보음이 발생될 때 경종의 위치와 커버에 형성된 음향구의 위치가 다르고, 경종부재(B)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의 일부는 이 경보설비함(10)의 커버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경종부재(B)에서 발생되는 경보음과 상쇄되고, 다른 일부는 음향구를 통해 경보설비함(10) 외부로 전달되는 경보음이 감소되어 경종부재(B)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화재안전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경보만 울릴 뿐이지 계단참을 통해 번지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소화전을 열고 사람이 일일이 소화호스를 펼쳐 분사해야 하는데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대피하기 바쁜 일반인이 소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58553호(2011.08.25.), "소방용 경보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86165호(2016.12.07.),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경보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45655호(2017.06.02.),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시설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소방용 경보장치의 시건성을 높여 어린이들이 쉽게 장난치지 못하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커버가 자동으로 탈락 개폐되면서 경보음 방출 데시벨을 높여 거주민들이 듣지 못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계단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수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보함체(100);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신호를 받아 경보부재(11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120);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화전에서 분기된 분기배관(321)과 연결되며 컨트롤러(120)에 연결 제어되는 개폐밸브를 갖춘 소화수분사기(320);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인라인상으로 더 설치된 제1솔밸브(210) 및 제2솔밸브(220); 및 상기 경보함체(100)의 개방된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20)에는 상기 경보부재(110)를 제어하는 경종제어기(CTR)가 연결 제어되고; 상기 제1,2솔밸브(210,220)를 동시 제어하는 솔밸브제어기(200)가 연결되며; 상기 소화수분사기(320)를 제어하는 분사제어기(300)가 연결되고;
상기 솔밸브제어기(200)에는 9V 전지단자(202)가 더 연결되는데 상기 9V 전지단자(202)는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하우징(HOS)과, 상기 단자하우징(HOS)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된 탄성단자(TR)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단자(TR)와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개방단자(134)가 구비되고;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연결된 잠금스위치단자(140)가 별도로 마련되며; 상기 잠금스위치단자(140)도 탄성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커버(130)의 일측에 설치된 원터치식 잠금스위치(138)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130)가 상기 경보함체(100)에 접촉되는 면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1,2솔밸브(210,220)의 로커(LOC)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커(LOC)에 의해 잠금되는 커버걸림구(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걸림구(132)가 형성된 쪽 면 하단에는 경보함체(100)의 하단 외측으로 끼워지는 하단걸림편(136)이 수직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용 경보장치의 시건성을 높여 어린이들이 쉽게 장난치지 못하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커버가 자동으로 탈락 개폐되면서 경보음 방출 데시벨을 높여 거주민들이 듣지 못해 대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특히 계단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수분사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보설비함에 설치되는 소방용 경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소방용 경보장치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방용 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방용 경보장치의 제어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소방용 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소화수분사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경보함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함체(100)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박스 형상으로서 기존 경보기함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에는 기존처럼 경보부재(110) 및 화재신호를 받아 상기 경보부재(11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는 소화수분사기(320)가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분사기(320)에는 경보함체(100)의 하방에 구비된 소화전(미도시)에서 분기되어 올라온 분기배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소화수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분기배관에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연결 제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 상측에는 제1솔밸브(210) 및 제2솔밸브(220)가 간격을 두고 인라인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2솔밸브(210,220)는 밸브본체(BOD)와 전기의 통전상태에 따라 출몰되는 로커(LOC)를 갖춘 솔레노이드밸브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용전원을 어댑팅하고, DC 컨버팅하여 제어 및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컨트롤러(120)에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경보부재(110)를 제어하는 경종제어기(CTR)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2솔밸브(210,220)를 동시 제어하는 솔밸브제어기(200)가 연결되며, 또한 상기 소화수분사기(320)를 제어하는 분사제어기(300)가 연결된다.
즉, 이들 경종제어기(CTR), 솔밸브제어기(200) 및 분사제어기(300)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구비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솔밸브제어기(200)에는 9V 전지단자(202)가 더 연결되는데, 상기 9V 전지단자(202)는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하우징(HOS)과, 상기 단자하우징(HOS)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된 탄성단자(TR)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 3의 예시와 같이, 상기 9V 전지단자(202)는 유지 관리를 위해 혹은 화재가 아닌 상황에서 비상적으로 경보함체(100)의 커버(130)를 열어야 할 때 9V 전지를 접촉하여 통전시킴으로써 제1,2솔밸브(210,220)를 컨트롤러(120)의 제어신호없이도 직접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때문에, 커버(13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단자(TR)와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개방단자(1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연결된 잠금스위치단자(140)가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잠금스위치단자(140)도 탄성단자(TR)처럼 탄성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커버(130)의 일측에 설치된 원터치식 잠금스위치(138)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스위치단자(140)는 항상 온신호만 제공하는 것으로 솔밸브제어기(200)를 통해 제1,2솔밸브(210,220)를 잠그는 동작만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자이며, 상기 잠금스위치(138)는 누르기만 하는 스위치로서 한번 눌렀다 떼면 통전신호를 한번만 보내는 것으로 누를 때 마다 통전신호를 보내 상기 제1,2솔밸브(210,220)를 항상 잠그는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커버(130)가 상기 경보함체(100)에 접촉되는 면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1,2솔밸브(210,220)의 로커(LOC) 상방으로 삽입되는 커버걸림구(132)가 대략 'ㄱ'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걸림구(132)가 형성된 쪽 면 하단에는 하단걸림편(136)이 수직하게 돌출된다.
이때, 상기 하단걸림편(136)이 필요한 이유는 상기 커버걸림구(132)를 경보함체(100)에 끼워 넣었을 때 동시에 하단걸림편(136)이 경보함체(100)의 하단 외측으로 끼워지게 하여 커버(130)의 상하단이 각각 걸림되게 함으로써 회전시켜 분리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커버걸림구(132)는 일정 깊이 삽입된 채 경보함체(100)의 내부 천정면에 면접된 상태로 걸려 있고, 동시에 제1,2솔밸브(210,220)가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들어 올려지지 않지만, 그 상태에서 하단걸림편(136)이 경보함체(100)의 하단 외측면에 면접된 채 끼워져 걸리게 되면 완전한 걸림 고정이 일어나므로 회전방식으로 들어 올려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경보함체(100)는 일정높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하며, 벽면에 완전히 매립되지 않게 구성해야 한다.
결국, 커버(130)를 경보함체(100)의 전면에 덧대게 되면, 커버걸림구(132)가 경보함체(100)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하단걸림편(136)은 경보함체(100)의 하단 외측으로 끼워져 완전히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스위치(138)를 누르면 잠금스위치단자(140)가 통전되면서 컨트롤러(120)가 솔밸브제어기(200)를 제어하여 제1,2솔밸브(210,220)가 잠금방향으로 동작되게 한다.
그러면, 커버(130)는 완전히 잠긴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 이후에는 화재발생에 의해 감지신호를 받았을 때만 컨트롤러(120)가 동작하여 커버(130)를 개방하게 되며, 그 이외에는 9V 전지단자(202)를 통해서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으로 인해 컨트롤러(120)가 제1,2솔밸브(210,220)를 개방시키면 커버(130)는 고정력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 이르게 되고, 동시에 울리는 경보부재(110)의 진동과, 후술되는 소화수분사기(320)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수압에 의해 경보함체(100)로부터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된다.
때문에, 경보부재(110)의 경종 소리는 누구나 들을 수 있도록 충분한 데시벨을 제공하며, 소화수분사기(320)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는 엘리베이터 전방을 통해 계단참으로 분사되어 이 부분을 소화시킴으로써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화수분사기(32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경보함체(100)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컨트롤러(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제어기(300)가 분기배관(321)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소화전으로부터 분기공급되는 소화수에 의해 전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수분사기(320)는 경보함체(100) 내부에 고정된 소화기본체(322)와, 상기 소화기본체(322)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토출되게 형성되며 소화전에서 분기되고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밸브를 갖춘 분기배관(321)과 접속되는 소화수토출유로(323)와, 상기 소화기본체(322)의 상면에 축(R) 고정되고 베어링(3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선회체(324)와, 상기 선회체(324)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토출유로(323)의 토출단 전방에서 토출수와 간섭되게 배치되어 토출수를 방사상으로 흩뿌리는 비산로드(326)와, 상기 선회체(324)의 선회속도를 조절하도록 부하조절기능을 갖는 장력조절볼트(327)를 포함한다.
이때, 부하조절기능이란 장력조절볼트(327)를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선회체(324)가 소화기본체(322)와의 마찰력을 높이거나 줄여 잘 돌게 하거나 혹은 잘 돌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면, 토출수는 비산로드(326)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토출구 전방을 막았다 막지 않았다 하므로 토출수가 퍼졌다 안퍼졌다 하면서 소화효율을 높이게 된다.
100: 경보함체
200: 솔밸브제어기
300: 분사제어기

Claims (1)

  1. 경보함체(100);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신호를 받아 경보부재(11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120);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소화전에서 분기된 분기배관(321)과 연결되며 컨트롤러(120)에 연결 제어되는 개폐밸브를 갖춘 소화수분사기(320); 상기 경보함체(100)의 내부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인라인상으로 더 설치된 제1솔밸브(210) 및 제2솔밸브(220); 및 상기 경보함체(100)의 개방된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20)에는 상기 경보부재(110)를 제어하는 경종제어기(CTR)가 연결 제어되고; 상기 제1,2솔밸브(210,220)를 동시 제어하는 솔밸브제어기(200)가 연결되며; 상기 소화수분사기(320)를 제어하는 분사제어기(300)가 연결되고;
    상기 솔밸브제어기(200)에는 9V 전지단자(202)가 더 연결되는데 상기 9V 전지단자(202)는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단자하우징(HOS)과, 상기 단자하우징(HOS)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된 탄성단자(TR)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단자(TR)와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개방단자(134)가 구비되고;
    상기 경보함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120)에 연결된 잠금스위치단자(140)가 별도로 마련되며; 상기 잠금스위치단자(140)도 탄성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커버(130)의 일측에 설치된 원터치식 잠금스위치(138)와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130)가 상기 경보함체(100)에 접촉되는 면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1,2솔밸브(210,220)의 로커(LOC)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커(LOC)에 의해 잠금되는 커버걸림구(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걸림구(132)가 형성된 쪽 면 하단에는 경보함체(100)의 하단 외측으로 끼워지는 하단걸림편(136)이 수직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0190060510A 2019-05-23 2019-05-23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06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10A KR102063304B1 (ko) 2019-05-23 2019-05-23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510A KR102063304B1 (ko) 2019-05-23 2019-05-23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304B1 true KR102063304B1 (ko) 2020-01-07

Family

ID=6915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510A KR102063304B1 (ko) 2019-05-23 2019-05-23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304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94B1 (ko)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160459B1 (ko) * 2020-02-10 2020-09-28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102212753B1 (ko) * 2020-06-08 2021-02-05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2217555B1 (ko) *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217553B1 (ko)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297352B1 (ko) * 2021-03-17 2021-09-02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감시 시스템
KR102298795B1 (ko) * 2021-03-25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20210127576A (ko) * 2020-04-14 2021-10-22 배근우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102359417B1 (ko) * 2021-03-26 2022-02-09 주식회사 동남엠이씨 공동주택의 소방 배수 관리시스템
KR102382265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448185B1 (ko) * 2021-12-20 2022-09-29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소방 경보 장치
KR102462628B1 (ko) * 2022-02-21 2022-11-04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소화수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소방 경보장치
KR102466949B1 (ko) 2021-12-20 2022-11-15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소방시스템
CN115862244A (zh) * 2022-11-17 2023-03-28 江苏河马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火灾声光报警装置
CN115862244B (zh) * 2022-11-17 2024-05-28 江苏河马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火灾声光报警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395A (ja) * 1995-12-26 1997-07-08 Miwa Lock Co Ltd 消火器のロック自動解錠装置
KR101058553B1 (ko) 2009-12-16 2011-08-25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KR101584776B1 (ko) * 2015-04-29 2016-01-12 정혜진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기함
KR101686165B1 (ko) 2016-07-25 2016-12-14 (주)태양유니스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경보장치
KR101745655B1 (ko) 2017-04-11 2017-06-09 주식회사 서광이에스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시설 안전장치
KR101966598B1 (ko) * 2018-09-28 2019-04-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7395A (ja) * 1995-12-26 1997-07-08 Miwa Lock Co Ltd 消火器のロック自動解錠装置
KR101058553B1 (ko) 2009-12-16 2011-08-25 김한준 소방용 경보장치
KR101584776B1 (ko) * 2015-04-29 2016-01-12 정혜진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기함
KR101686165B1 (ko) 2016-07-25 2016-12-14 (주)태양유니스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경보장치
KR101745655B1 (ko) 2017-04-11 2017-06-09 주식회사 서광이에스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시설 안전장치
KR101966598B1 (ko) * 2018-09-28 2019-04-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459B1 (ko) * 2020-02-10 2020-09-28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102155294B1 (ko) 2020-03-05 2020-09-11 (주)다산기술단 공동주택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362326B1 (ko) 2020-04-14 2022-02-10 배근우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20210127576A (ko) * 2020-04-14 2021-10-22 배근우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102217555B1 (ko) *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217553B1 (ko)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212753B1 (ko) * 2020-06-08 2021-02-05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2297352B1 (ko) * 2021-03-17 2021-09-02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감시 시스템
KR102298795B1 (ko) * 2021-03-25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102359417B1 (ko) * 2021-03-26 2022-02-09 주식회사 동남엠이씨 공동주택의 소방 배수 관리시스템
KR102382265B1 (ko) *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448185B1 (ko) * 2021-12-20 2022-09-29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소방 경보 장치
KR102466949B1 (ko) 2021-12-20 2022-11-15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소방시스템
KR102462628B1 (ko) * 2022-02-21 2022-11-04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소화수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소방 경보장치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CN115862244A (zh) * 2022-11-17 2023-03-28 江苏河马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火灾声光报警装置
CN115862244B (zh) * 2022-11-17 2024-05-28 江苏河马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火灾声光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30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21755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167971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200826B1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조명 관리 시스템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5034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KR102160459B1 (ko)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CN109893814A (zh) 一种可维持秩序的室内消防栓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EP0360584A2 (en) Elevator cab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362326B1 (ko)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102113127B1 (ko) 소화전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JPH05253316A (ja) 消火設備
KR20200008228A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6181490B2 (ja) 消火設備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349364B1 (ko) 건축물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4283364B2 (ja) 消火用セレクション弁
JP2004290430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