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228A -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228A
KR20200008228A KR1020180082092A KR20180082092A KR20200008228A KR 20200008228 A KR20200008228 A KR 20200008228A KR 1020180082092 A KR1020180082092 A KR 1020180082092A KR 20180082092 A KR20180082092 A KR 20180082092A KR 20200008228 A KR20200008228 A KR 2020000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fire
fa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356B1 (ko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김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우 filed Critical 김정우
Priority to KR102018008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급기팬(12)과 배기팬(14)을 구비하여 건물의 각각의 실내룸(5)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환기장비(10); 상기 건물의 상기 실내룸(5)에 설치된 룸센서(40); 상기 룸센서(40)의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가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셋팅부(20);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룸센서(40)는 상기 각각의 실내룸(5)에 설치된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기센서(42)와 상기 온도센서(44)의 센싱되는 연기와 화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드 셋팅부(20)가 선택되어,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with air supply and air suction adjustment}
본 발명은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장실과 같은 안전지대에 신속히 대피하고 가장 위험한 연기와 같은 유독 가스가 대피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 새로운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대규모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초래하는 재난 사고로서, 이로 인한 인명 피해와 물적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 발생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다.
그러나 화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므로 이를 모두 예방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발생 초기에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화재 진압 시스템은 소방수 분사 시스템, 소화약제 분사 시스템, 소화가스 분사 시스템 등이 있는데, 상기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소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물을 사용하므로 인체에는 무해한 장점은 있으나, 화재 진압 대상에 따라 사용이 곤란하고 화재 진압 과정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소방수로 인해 구조물 자체가 손상되며 구조물 내부에 있는 시설물 및 집기가 훼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소화약제 분사 시스템은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소화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인화 대상물에 적용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소화약제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화재 진압 과정에서 독성 물질이 발생하여 인명 피해 및 대기 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공간에서는 소화력이 떨어져 사용이 곤란하며 화재 진압 후 잔존하는 소화약제에 의해 구조물 자체가 손상되거나 구조물 내부에 있는 시설물 및 집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소화가스 분사 시스템은 불활성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소화력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하며 화재 진압 후 처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고압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로 인해 화재 진압 과정에서 구조물 자체가 손상되거나 구조물 내부에 있는 시설물 및 집기가 훼손되므로 댐퍼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해당 업계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하면서 소화력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해하며 밀실 및 개방된 공간 모두에서 적용 가능하고 화재 진압 과정에서 시설물 및 집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화재 발생시 감지기능에 의한 경보만 있어서 유독 가스에 의한 질식사를 방지하는데에는 효과적인 못하다. 화재에 의한 스프링쿨러 시스템에 의한 화재진압 기능 있으나 연기에 대한 방재 기능은 없으므로, 화재시 유독 가스에 의해 사람이 질식사하는 불상사를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커다란 문제가 있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사람이 사망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화재와 함께 발생하는 유독한 연기를 사람이 들이마셔서 정신을 잃기 때문인데, 기존에는 화재 발생 초기에 실내룸에 있는 사람이 연기와 같은 유독 가스를 마셔서 질식사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 발생 초기에 긴급 대피하고, 대피한 장소에 있는 대피자에게 가장 위험한 연기와 유독가스 등이 들어와서 대피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화재 발생시 건물의 각 실내마다 유독가스나 화염이 생겨있는지의 여부를 센싱하여 각 실내룸 상황에 맞추어 급기와 배기를 조절하여 화재시 비상 대피에 있어서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절실히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78177호(2013.06.18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294743호(2001.04.19 등록) 국내공개특허 특2000-0017907호(2000.04.0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실내룸에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장실과 같은 안전지대에 신속히 대피하고 가장 위험한 연기와 같은 유독 가스가 대피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 초기에 가장 위험한 연기와 같은 유독 가스를 신속하게 실내룸 외부로 배출하여 화재 발생시 실내룸에 있는 사람이 유독 가스를 마셔서 질식사할 수 있는 심각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기팬과 배기팬을 구비하여 건물의 각각의 실내룸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환기장비; 상기 건물의 상기 실내룸에 설치된 룸센서; 상기 룸센서의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환기장비의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가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셋팅부; 상기 환기장비의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룸센서는 상기 각각의 실내룸에 설치된 연기 센서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기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센싱되는 연기와 화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드 셋팅부가 선택되어, 상기 환기장비의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셋팅부는,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이 풀가동되는 제1모드 셋팅부; 상기 배기팬이 하프 가동되는 제2모드 셋팅부; 상기 급기팬이 하프 가동되는 제3모트 셋팅부; 상기 급기팬이 풀가동되는 제4모드 셋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셋팅부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사람이 선택한 실내룸에 들어가서 스위치를 누를 때에 상기 급기팬을 풀가동시키서 사람이 들어있는 상기 해당 실내룸에 풀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모드 셋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실에는 추가 워터 배리어막을 형성하는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실에는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의 뒤쪽에 배치되도록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 상기 소화 감지센서가 실내룸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드 워터 배리어 형성관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장치와 상기 배리어 에어 블로잉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에는 각각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가 연결되고, 상기 애드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상기 에어 서플라이 제어부에는 건물의 실내룸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은 건물 화재 발생시 실내룸에서 온도 센서와 연기 센서가 모두 화염과 연기를 감지하면 배기팬을 최고 속도로 풀가동시키셔 풀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화재 발생 이후의 대피 골든 타임(대략 3분에서 5분)에 건물의 실내룸 전체에 유독가스인 연기가 퍼지지 않고 화재 발생 초기에 완전히 건물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화재시 골든 타임에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의 하나이며,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에 의해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을 건물에 채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의 주요부인 환기장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의 환기장비와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모드 셋팅부와 컨트롤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은 급기팬(12)과 배기팬(14)을 구비한 환기장비(10)와, 건물의 실내룸(5)에 설치된 룸센서(40)와,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과 배기팬(14)의 가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셋팅부(20) 및 급기팬(12)과 배기팬(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0)를 구비한다.
상기 환기장비(10)는 배기팬(14)와 급기팬(12)을 구비한다. 환기장비(10)(20)는 건물의 실내룸(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룸(5)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에 환기장비(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은 배기관(15)에 의해 건물의 각 실내룸(5)과 연통된다.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은 급기관(13)에 의해 건물의 각 실내룸(5)과 연통된다.
상기 환기장비(10)에는 급기팬(12)에 연결된 급기 분배기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 분배기에는 건물의 각 실내룸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개의 급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 분배기의 각각의 급기 포트에는 복수개의 급기관(13)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급기관(13)은 건물의 각 실내룸(5)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급기 분배기의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급기 포트를 개폐하기 위한 급기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댐퍼는 급기 분배기에 장착된 모터의 모터축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급기 분배기의 각각의 급기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환기장비(10)에는 배기팬(12)에 연결된 배기 분배기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 분배기에는 건물의 각 실내룸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개의 배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 분배기의 각각의 배기 포트에는 복수개의 배기관(13)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기관(13)은 건물의 각 실내룸(5)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기 분배기의 내부에는 상기 각각의 배기 포트를 개폐하기 위한 배기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댐퍼는 배기 분배기에 장착된 모터의 모터축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배기 분배기의 각각의 배기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팬(12)과 건물의 각 실내룸(5)에 연통된 급기관(13)을 통해서 건물의 각 실내룸(5)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와 상기 배기팬(14)에 의해 건물의 실내룸(5)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배기가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5)도 실내룸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기댐퍼와 배기댐퍼의 회동에 의해 급기관(13)을 통해서 건물의 각 실내룸(5)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와 상기 배기팬(14)에 의해 건물의 실내룸(5)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배기가 일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룸센서(40)는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를 포함한다. 연기센서(42)는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인 연기를 각 실내에서 감지하고 온도센서(44)는 화재 발생시 화염을 각 실내에서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의 각 실내마다 연기센서(42)과 온도센서(44)가 설치된다. 상기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는 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기센서(42)가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싱 신호와 온도센서(44)가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싱 신호가 컨트롤부(30)에 전송된다.
상기 컨트롤부(30)는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 및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을 구성하는 배기팬(14)과 급기팬(12)을 구성하는 급기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부(30)는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가 각각 감지하는 연기 감지 신호와 화염 감지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과 급기팬(1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배기팬(14)은 풀가동 모드와 하프 가동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급기팬(12)도 풀가동 모드의 하프 가동 모드로 설정되어, 상기 컨트롤부(30)에 의해 배기팬(14)과 급기팬(12)이 각각 풀가동 모드와 하프 가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의 센싱되는 연기와 화염의 상태에 따라 모드 셋팅부(20)가 선택되어,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과 배기팬(14)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연기의 상태라 함은 화재 발생시에 건물의 각 실내룸(5)에서 연기가 발생하는지 아니면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화염의 상태라 함은 화재 발생시에 건물의 각 실내룸(5)에서 화염이 발생하는지 아니면 화염이 발생하지 않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모드 셋팅부(20)는 제1모드 셋팅부(22), 제2모드 셋팅부(23), 제3모드 셋팅부(24) 및 제4모드 셋팅부(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 분배기와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급기댐퍼와 배기댐퍼를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 풀 급기 모드와 하프 급기 모드, 풀 배기 모드와 하프 배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 분배기의 배기 포트를 배기댐퍼가 막아주도록 회동된 각도를 0°라 하고, 상기 급기 분배기의 급기 포트를 급기댐퍼가 막아주도록 회동된 각도를 0°라 하면,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배기댐퍼와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급기댐퍼가 배기 포트와 급기 포트를 완전 개방하도록 회동된 각도는 80~90° 범위가 된다. 상기 풀 급기 모드와 풀 배기 모드에서 급기댐퍼와 배기댐퍼가 회동된 각도가 80~90° 범위가 된다. 상기 풀 급기 모드와 풀 배기 모드에서 급기댐퍼와 배기댐퍼는 각각 풀 개방 상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분배기의 배기 포트를 배기댐퍼가 막아주도록 회동된 각도를 0°라 하고, 상기 급기 분배기의 급기 포트를 급기댐퍼가 막아주도록 회동된 각도를 0°라 하면,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배기댐퍼와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급기댐퍼가 배기 포트와 급기 포트를 하프 개방하도록 회동된 각도는 40~50° 범위가 된다. 상기 하프 급기 모드와 하프 배기 모드에서 급기댐퍼와 배기댐퍼가 회동된 각도가 40~50° 범위가 된다. 상기 하프 급기 모드와 하프 배기 모드에서 급기댐퍼와 배기댐퍼는 각각 하프 개방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 화재 발생시 실내룸(5)에서 온도센서(44)와 연기센서(42)가 모두 화염과 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4)에 의해 풀배기와 풀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모드 셋팅부(22)에서 배기팬(14)과 급기팬(12)에 의한 풀 배기 모드와 풀 급기 모드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배기댐퍼와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급기댐퍼를 완전 개방한 풀 개방 상태에서 풀 배기 모드와 풀 급기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건물 화재시 실내룸(5)에서 연기는 발생되지 않고 불이 붙어서 온도센서(44)가 화염을 감지하고 연기센서(42)에서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상기 배기팬(14)에 의해 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모드 셋팅부(23)에서 상기 배기팬(14)에 의한 풀 배기 모드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배기댐퍼를 완전 개방한 풀 배기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건물 화재시 실내룸(5)에서 연기센서(42)에 의해 연기 발생을 감지하는 한편 온도센서(44)에 의해서는 화염 감지가 안되는 경우에는 배기팬(14)을 하프 배기 모드로 가동시킨다.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배기댐퍼를 하프 개방한 하프 배기 모드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과 화염이 발생한 실내룸(5)이 있는 경우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에 의해 하프 배기 모드로 가동시키고 다른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0)에 의해 풀배기 모드로 가동시켜서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의 압력이 다른 실내룸(5)의 압력보다 더 높은 양압으로 함으로써 다른 실내룸(5)에서 연기만 발생한 실내룸(5)으로 화염의 열기나 화염이 쫓아서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연기만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하프 배기 모드에서 배기팬(14)이 배기를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 분배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기댐퍼 중에서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과 연통된 배기포트를 개폐하는 배기댐퍼는 하프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배기 분배기의 배기댐퍼 중에서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5)과 연통된 배기포트를 개폐하는 배기댐퍼는 풀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면,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을 하프 배기 모드로 가동시키고 다른 실내룸(5)에서는 풀배기 모드로 배기팬(14)을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30)에 연결된 제3모드 셋팅부(24)에서 배기팬(14)을 하프 배기 모드로 작동시키게 된다.
건물 화재 발생시 실내룸(5)에서 화염이 발생되지 않아서 온도센서(44)에 의한 열기는 감지 안되고 연기도 발생되지 않아서 연기도 감지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기팬(12)에 의한 하프 급기 모드로 작동시킨다.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급기댐퍼를 하프 개방한 하프 급기 모드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30)에 제4모드 셋팅부(25)가 연결되고, 상기 제4모드 셋팅부(25)에서 상기 급기팬(12)을 하부 급기 모드로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재시 사람이 들어가 있는 실내룸(5)에서 실내룸 스위치를 누르면, 이러한 스위치의 스위칭온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가 눌려진 실내룸(5)에는 급기팬(12)의 풀가동에 의해 급기량을 풀 모드로 공급한다. 상기 모드 셋팅부(20)는 제5모드 셋팅부(26)롤 더 포함하고, 제5모드 셋팅부(26)는 컨트롤부(30)에 연결되는데,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사람이 선택한 실내룸(5)에 들어가서 실내룸 스위치(5SW)를 누를 때에 상기 제5모드 셋팅부(26)가 급기팬(12)에 의해 사람이 들어가 있는 해당 실내룸(5)에 풀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급기댐퍼 중에서 실내룸 스위치(5SW)가 눌려진 실내룸(5)과 연통된 급기포트를 개폐하는 급기댐퍼는 풀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급기 분배기의 급기댐퍼 중에서 실내룸 스위치(5SW)가 눌려지지 않는 실내룸(5)과 연통된 급기포트는 급기댐퍼에 의해 막아주면, 사람이 들어가서 실내룸 스위치(5SW)를 누른 실내룸(5)에 풀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사람이 화장실으로 대피한 상태를 감지하는 화장실 센서(5TS)와, 화장실 센서(5TS)의 감지 신호에 따라 급기팬(12)을 풀가동시키서 상기 화장실에 풀급기를 수행하는 급기 모드 전환부(5S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기 모드 전환부(5SC)에 의해 화장실에서 급기팬(12)에 의한 풀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 분배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급기댐퍼 중에서 화장실과 연통된 급기포트를 개폐하는 급기댐퍼를 풀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면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풀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화장실을 최종 안전한 대피실로 설정하여, 사람이 화장실으로 사람이 옮겨왔을 때에 화장실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사람이 들어와 있디고 센싱된 경우에는 화장실(5)에서는 급기팬(12)에 의한 풀 급기 모드로 급기를 하고, 다른 실내룸(5)에서는 급기팬(12)에 의한 하프 급기 모드에서 하프 급기를 하게 되는데, 다른 사람이 다른 실내룸(5)에서 실내룸 스위치(5SW)를 누른 경우에는 그 실내룸 스위치(5SW)가 눌려진 실내룸(5)에서 상기와 같은 급기팬(12)에 의한 풀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시에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장소를 구조자에게 알려주는 대피자 신호 표시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신호 표시부(50)는 건물의 실외(예를 들어, 건물의 출입 도어 옆의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52)와,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실내룸(5)에서 사람이 대피하여 있음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2)에 사람의 존재를 표시하도록 하는 대피 감지 센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신호 표시부(50)의 디스플레이부(54)에 사람이 건물의 몇층 어느 실내룸(5)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를 표시하여 구조자에게 건물의 화재시에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장소를 구조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건물의 각 실내마다 유독가스나 화염이 생겨있는지의 여부를 센싱하여 각 실내룸(5) 상황에 맞추어 급기와 배기를 조절하게 되므로, 화재시 비상 대피에 있어서 안전성을 완전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건물 화재 발생시 실내룸(5)에서 온도센서(44)와 연기센서(42)가 모두 화염과 연기를 감지하면 배기팬(14)을 최고 속도로 풀가동시키셔 풀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화재 발생 이후의 대피 골든 타임(대략 3분에서 5분)에 건물의 실내룸(5) 전체에 유독가스인 연기가 퍼지지 않고 화재 발생 초기에 완전히 건물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화재시 골든 타임에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피 골든 타임에 건물 내부의 유독가스를 배기팬(14)의 풀가동에 의해 완전히 건물 밖으로 배출하므로, 화재 발생 이후 사람이 대피할 골든 타임에 유독가스에 사람이 질식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안전 사고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다. 화재 발생시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의 풀가동에 의해 유독가스인 연기롤 골든 타임에 완전히 외부로 배출하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은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의 가동을 중지하고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든 타임에 유독가스가 건물 실내룸(5) 전체에 전혀 퍼지지 않고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에만 유독가스가 머무르도록 유독가스를 배기팬(14)의 풀가동 흡입 압력에 의해 잡아두고, 유독가스가 발생한 실내룸(5)에만 유독가스를 잡아놓은 상태에서 곧바로 해당 유독가스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 신속하게 유독가스를 배출하게 되므로, 화재 발생 이후에 사람이 필요한 대피 장소로 대피하는 골든 타임에 사람이 유독가스에 질식되어 생길 수 있는 심각한 안전사로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건물 화재시 실내룸(5)에서 연기는 발생되지 않고 불이 붙어서 온도센서(44)가 화염을 감지하고 연기센서(42)에서는 연기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배기팬(14)에 의한 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화재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 배기팬(14)에 의해 화재 발생 실내룸(5)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해서 배출하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화재가 나있는 실내룸(5)에서만 화재가 머물러서 다른 실내룸(5)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에 있어서 완벽한 진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과 화염이 발생한 실내룸(5)이 있는 경우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에 의한 하프 배기 모드로 가동시키고 다른 실내룸(5)에서는 배기팬(14)에 의한 풀배기 모드로 가동시켜서 연기가 발생한 실내룸(5)의 압력이 다른 실내룸(5)의 압력보다 더 높은 양압으로 함으로써 다른 실내룸(5)에서 연기만 발생한 실내룸(5)으로 화염의 열기나 화염이 쫓아서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연기만 발생한 실내룸(5)에서는 하프 배기 모드에서 배기팬(14)이 배기를 하여 유독가스가 다른 실내룸(5)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화염이 발생한 실내룸(5)(즉, 불이 붙어 있는 실내룸(5))에서 다른 실내룸(5)으로 화재가 쫓아들어가서 번지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화재 발생시 실내룸(5)에서 화염이 발생되지 않아서 온도센서(44)에 의한 열기는 감지 안되고 연기도 발생되지 않아서 연기도 감지 안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기팬(12)에 의한 하프 급기 모드로 작동시킨다. 건물의 많은 실내룸(5) 중에서 연기도 발생되지 않고 불도 붙어 있지 않은 실내룸(5)에는 급기팬(12)에 의한 하프 급기 모드에서 작동시켜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이처럼 불이 붙어 있지도 않고 연기도 감지 안되는 실내룸(5)은 비교적 안전한 대피 공간이 될 수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사람이 이처럼 비교적 안전한 실내룸(5)에 대피하여 있는 경우에는 신선한 공기를 최대의 량으로 공급하지 않고 최대 공기량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량의 공기를 공급하여 안전성을 높여주게 된다. 화재도 발생 안하고 연기도 발생 안한 실내룸(5)에는 최대 공급량보다 더 작은 량의 공기를 공급하여도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있어서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재시 사람이 들어가 있는 실내룸(5)에서 실내룸 스위치(5SW)를 누르면, 이러한 실내룸 스위치(5SW)의 스위칭온 신호에 대응하여 실내룸 스위치(SW)가 눌려진 실내룸(5)에는 급기팬(12)에 의한 급기량을 풀 모드로 공급한다. 사람이 들어가서 실내룸 스위치(5SW)를 누른 실내룸(5)에는 다른 실내룸(5)보다 압력이 더 높은 양압을 유지하도록 급기팬(12)에 의해 풀 급기 모드로 급기를 하여 준다. 그러면, 사람이 들어가 있는 실내룸(5)으로는 연기가 침투하여 들어올 일도 없고 화재도 양압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서 사람이 들어가 있는 실내룸(5)으로 화재가 번지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화장실을 가장 안전한 대피용 실내룸(5)으로 정해놓고, 사람이 화장실(5)로 대피한 상태를 화장실 센서(5TS)가 감지하면, 상기 화장실 센서(5TS)의 감지 신호에 따라 급기팬(12)에 의한 풀 급기 모드로 가동시킨다.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풀 급기 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급기 모드 전환부(5SC)에 의해 화장실(5)에서 급기팬(12)에 의한 풀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장실에 대피하여 있는 사람에게는 다른 실내룸(5)에서 생긴 유독가스와 화재가 침투하여 들어올 일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발생 초기에 사람이 가장 안전하게 대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룸(5)에서 소화가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소화 감지센서(60), 상기 소화 감지센서(60)가 실내룸(5)에서 화재가 진압된 소화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하는 워터 서플라이 제어부와, 건물 내부의 유독가스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 잔류 감지센서(62)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룸(5)에서 화재의 진압으로 인하여 소화 감지센서(60)가 소화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고 동시에 연기 잔류 감지센서(62)에 의해 건물의 실내룸(5)에 연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과 배기팬(14)을 평상시의 가동 모드로 전환하여 화장실(5)을 비롯한 건물의 모든 실내룸(5)에 급기와 배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과 인접하도록 필터(17)가 구비되어, 환기장비(10)는 급기실과 배기실로 구분되는데, 상기 급기실에 연통된 급기 유입포트와 급기 유출포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필터(1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기팬(12)측에 구비된 필터(17)는 헤파필터와, 이 헤파필터와 배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된 활성탄필터(탄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2)에 의해 건물의 각 실내룸(5)과 화장실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시에 필터(17)에 의해 이물질을 필터링한 다음에 청정한 공기를 실내룸(5)과 화장실에 공급하게 되므로, 청정한 공기를 건물 거주자에게 공급하는 청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건물에서 급기팬(12)의 가동에 의해 건물의 실내룸(5)으로 급기가 이루어질 때에 상기 헤파필터를 거쳐서 1차로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해로운 물질 입자가 포집되고, 상기 활성탄필터를 통해서 2차로 해로운 물질 입자가 포집되므로, 건물 내부의 청정 기능을 더 확실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 측에도 필터(17)가 구비된다.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실에 연통된 배기 유입포트와 급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가 환기 케이스에 내장된다. 이때, 상기 배기팬(14)측에 구비된 필터(17)도 헤파필터와, 이 헤파필터와 배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된 활성탄필터(탄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 등의 유독가스가 발생할 때에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을 통하여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상기 유독가스의 입자는 헤파필터를 거쳐서 1차로 포집되고, 상기 활성탄필터를 통해서 2차로 유독가스의 입자가 포집되므로, 건물 화재시 유독가스를 환기장비(10) 자체에서 소멸시켜서 건물 외부로는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제연 기능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5. 실내룸 5SW. 실내룸 스위치
5TS. 화장실 센서 5SC. 급기 모드 전환부
10. 환기장비 12. 급기팬
13. 급기관 14. 배기팬
15. 배기관 17. 필터
20. 모드 셋팅부 22. 제1모드 셋팅부
23. 제2모드 셋팅부 24. 제3모드 셋팅부
25. 제4모드 셋팅부 26. 제5모드 셋팅부
30. 컨트롤부 40. 룸센서
42. 연기센서 44. 온도센서
50. 대피자 신호 표시부 52. 디스플레이부
54. 대피자 감지 센서 60. 소화감지센서

Claims (8)

  1. 급기팬(12)과 배기팬(14)이 건물의 각 실내룸(5)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환기장비(10);
    상기 건물의 상기 실내룸(5)에 설치된 룸센서(40);
    상기 룸센서(40)의 센싱 신호에 의해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가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셋팅부(20);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룸센서(40)는 상기 각각의 실내룸(5)에 설치된 연기센서(42)와 온도센서(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기센서(42)와 상기 온도센서(44)의 센싱되는 연기와 화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모드 셋팅부(20)가 선택되어, 상기 환기장비(10)의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셋팅부(20)는,
    상기 급기팬(12)과 상기 배기팬(14)이 풀가동되는 제1모드 셋팅부(22);
    상기 배기팬(14)이 하프 가동되는 제2모드 셋팅부(23);
    상기 급기팬(12)이 하프 가동되는 제3모드 셋팅부(24);
    상기 급기팬(12)이 풀가동되는 제4모드 셋팅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셋팅부(20)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사람이 선택한 실내룸(5)에 들어가서 스위치를 누를 때에 상기 급기팬(12)을 풀가동시키서 사람이 들어있는 상기 해당 실내룸(5)에 풀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모드 셋팅부(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서 사람이 화장실으로 대피한 상태를 감지하는 화장실 센서;
    상기 화장실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급기팬(12)을 풀가동시키서 상기 화장실에 풀급기를 수행하는 급기 모드 전환부(5S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화재시에 사람이 대피하여 있는 장소를 구조자에게 알려주는 대피자 신호 표시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비(10)의 급기팬(12) 측에 필터(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비(10)의 배기팬(14) 측에 필터(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0180082092A 2018-07-16 2018-07-16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07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092A KR102073356B1 (ko) 2018-07-16 2018-07-16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092A KR102073356B1 (ko) 2018-07-16 2018-07-16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228A true KR20200008228A (ko) 2020-01-28
KR102073356B1 KR102073356B1 (ko) 2020-02-04

Family

ID=6937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092A KR102073356B1 (ko) 2018-07-16 2018-07-16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839B1 (ko) * 2020-10-05 2022-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방법 및 선박의 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86B1 (ko) 2020-08-18 2021-11-12 주식회사 한국필텍 실내공간 화재 발생에 의한 유독가스 및 화재연기 배연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및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07A (ko) 1999-12-28 2000-04-06 구성배 Lpg 충전소 화재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한긴급차단밸브 자동차단 시스템.
KR100294743B1 (ko) 1999-05-19 2001-07-12 김형수 화재 진압용 물분사장치
KR100991361B1 (ko) * 2010-03-22 2010-11-02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20100128779A (ko) * 2009-05-29 2010-12-08 오세종 방화용 대피실
KR101115314B1 (ko) * 2011-06-30 2012-03-05 주식회사 에어패스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1278177B1 (ko) 2012-05-04 2013-06-27 양형규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725774B1 (ko)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743B1 (ko) 1999-05-19 2001-07-12 김형수 화재 진압용 물분사장치
KR20000017907A (ko) 1999-12-28 2000-04-06 구성배 Lpg 충전소 화재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한긴급차단밸브 자동차단 시스템.
KR20100128779A (ko) * 2009-05-29 2010-12-08 오세종 방화용 대피실
KR100991361B1 (ko) * 2010-03-22 2010-11-02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101115314B1 (ko) * 2011-06-30 2012-03-05 주식회사 에어패스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1278177B1 (ko) 2012-05-04 2013-06-27 양형규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725774B1 (ko)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839B1 (ko) * 2020-10-05 2022-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방법 및 선박의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56B1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CN202715163U (zh) 一种自动消防系统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CN208203031U (zh) 一种具有排烟功能的消防门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436471B1 (ko) 질식사고를 방지하는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설비 및 이산화탄소 안전 소화방법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20100128779A (ko) 방화용 대피실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103480099A (zh) 一种楼道防火系统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N103473876A (zh) 一种可编码楼道防火系统
KR100804381B1 (ko) 제연 환기시스템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102240700B1 (ko)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KR101766362B1 (ko)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1718152B1 (ko) 화재감지에 의한 배기 시스템
CN112797542B (zh) 灭火装置、控制方法及空调器
JP3891407B2 (ja) 防災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