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362B1 -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362B1
KR101766362B1 KR1020170049289A KR20170049289A KR101766362B1 KR 101766362 B1 KR101766362 B1 KR 101766362B1 KR 1020170049289 A KR1020170049289 A KR 1020170049289A KR 20170049289 A KR20170049289 A KR 20170049289A KR 101766362 B1 KR101766362 B1 KR 10176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air
water
fir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4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24F2011/009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및 도어와 접하고 있는 복도구역이나 비상계단이 있는 계단구역 등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를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부에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제연기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연기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연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DEVICE FOR PREVENTION OF FIRE SMOK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및 도어와 접하고 있는 복도구역이나 비상계단이 있는 계단구역 등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를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부에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제연기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연기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연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포함한 대부분의 건물이나 공장 등에는 엘리베이터 및 도어와 접하고 있는 복도구역이나 비상계단이 있는 계단구역 등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연구역에는 화재 발생시, 옥내나 제연구역의 외부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제연구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방방재 장치가 작동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3958호(2008.04.22.)에는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 방재장치는 제연기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정화됨이 없이 흡입되면서 에어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연기가 쉽게 오염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3958호(2008.04.22.)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및 도어와 접하고 있는 복도구역이나 비상계단이 있는 계단구역 등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를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부에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제연기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제연기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연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연구역을 포함한 지역에서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된 화재신호로 작동되어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에서 공기를 토출함으로 에어막을 형성하여 연기가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제연기(20); 및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연기(20)는, 전면에 흡입그릴(70)이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하측에 통풍구(84)가 구비되어 공기가 토출되면서 상기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방재장치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제연기(20)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되며 상기 통풍구(84)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화부(100)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를 상기 흡입그릴(7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20);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수되며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와 함께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수단(130); 및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에서 분사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20)은,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필터(110)가 결합되며, 양측 상,하부에 상기 흡입그릴(7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3)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하고,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연기(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관(131);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노즐(132); 타단부가 상기 제연기(2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연기(2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132)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관(133); 상기 급수관(133)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132)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34); 및 상기 제연기(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33)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한편,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공급관과의 분리, 결합에 따라 상기 제연기(20)가 교체,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35)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134)는,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에 따라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32)을 통해 상기 에어막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포집부(14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연구역을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포집함(141); 및 개방된 상기 포집함(141)의 상부를 차단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42a)이 형성되는 그릴(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발생시 제연구역과 연결된 비상문이 열려있거나 비상문의 틈새로 공기가 새어나가도 제연기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막에 의하여 제연구역으로 연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흡입되면서 에어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연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연기의 늦은 작동 등에 따른 제연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제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정화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에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23958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23958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23958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방재장치로 대체하고,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제연기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23958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이하 "소방방재장치"라 한다)는 외부센서(30)와 내부센서(31)로 이루어진 센서부재와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20)와 다수개의 제연기(20)를 제어하기 위한 관제부(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소방방재장치는 제연기(20)에서 발생된 에어막에 의하여 옥내(60)에서 발생된 화재에 의하여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막은 상기 제연기(2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가 막의 역할을 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에어막에 의하여 연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연기(20)에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기술사상 내에서 송풍모터(25)와 송풍팬(26) 외에도 다양한 공기 토출 구조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연구역은 복도구역(64)이나 계단구역(65) 등이 제연구역으로 설정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대피하기 위한 공간이면서, 연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간이면 본원발명에 의한 제연구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건물의 내측 옥내(60)에는 화재가 발생되어 유독연기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옥내(60)에는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외부센서(30)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된 화재신호로 작동되어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에서 공기를 토출함으로 에어막을 형성하여 연기가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제연기(20)는, 상기 제연구역과 통하는 입구마다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옥내(60) 및 화제가 발생됨을 측정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된 외부센서(30)와 연기가 유입됨을 방지하는 제연구역의 경계에 설치된 제연기(20) 내부에 설치된 내부센서(31)로 이루어지며, 화재 발생 여부를 센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센서부는 열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를 택일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화재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의 외부센서(30) 및 내부센서(31)와 연결된 컨트롤부재(22)는 상기 제연기(20) 및 이와 연결된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1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기(20)에는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25)와, 상기 송풍모터(25)에 의하여 회전됨으로 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팬(26)을 포함한 송풍부재(24)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모터(25)는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DC모터를 사용하게 되나, 필요에 따라 AC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터(25)는 브라켓(78) 내에 설치된 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송풍모터(25)는 일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된 송풍모터(25)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모터(25)가 양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됨으로 인해, 이에 연결된 송풍팬(26)도 상기 송풍모터(25)의 양측에서 회전됨으로 송풍 출력이 향상된다.
상기 송풍팬(26)에 의하여 발생된 바람은 풍향판(76)에 의하여 방향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송풍부재(24)의 회전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어 에어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연기(20)의 전면에는 흡입그릴(70)이 구비되어 외측의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흡입그릴(70)의 하측에는 통풍구(84)가 구비되어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됨을 막는 공기가 토출되어 에어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측케이스(72)와 측면케이스(74)에 의하여 외부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제연기(20)의 일측에는 전장실(80)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부재(22)를 포함한 전장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80)의 일측에는 상기 전장부품의 수리 및 교환을 위하여 개폐가 용이한 서비스도어(82)가 구비된다.
상기 서비스도어(82)는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서비스도어(82)를 열고 전장실(80) 내에 있는 각종 전장부품을 수리하거나 교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연기(20)에는 화재 경보를 알리는 경보부재(34)가 구비되며, 상기 경보부재(34)는 컨트롤부재(22) 내측에 입력된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이 나가는 음향부재(33)와, 화재 발생을 빛으로 알리는 발광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향부재(33)와 발광부재(32)로 이루어진 경보부재(34)는 상기 전장실(8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연기(20)에는 화재 발생시 발광되는 비상조명부재(36)가 구비되어 대피자들이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연기(20)는 AC전원과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연기(20) 내측에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제1전원변환기(27)가 구비되어 상기 제연기(20)에 DC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연기(20)에는 외부전원 차단시 보조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비상전원을 저장하는 보조 충전부재(29)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충전부재(29)는 상기 제1전원변환기(27)와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연기(20)는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연기(20) 외측에는 스위치부재(90)가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부재(90)는 자동 및 수동 스위치와 이에 따른 발광소자가 설치되며, 이 외에도 전원 온오프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연기(20)는 다양한 제어방법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별의 제연기(20)는 무선 또는 유선의 리모트콘트롤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조작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 전장실(80)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은 경보부재(34), 내부센서(31), 비상조명부재(36), 컨트롤부재(22) 등 여러 부품들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치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재(22)가 내장된 제연기(20)는 상기 제연구역으로 연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각 층의 도어(62) 및 통로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연기(20)를 개별로 제어하기 위한 관제부(40)에는 상기 컨트롤부재(22)와 연결된 중앙제어부재(42)가 구비된다.
상기 중앙제어부재(42)는 각 제연기(20)의 부품들과 연결된 컨트롤부재(22)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부재(22)는 상기 제연기(20)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관제부(40)는 건물의 관리실 또는 관제실 등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있는 곳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연기(20)의 설치상태와 동작상태 및 화재상태 등을 모니터하여 수동으로 제연기(20)의 작동명령을 내릴 수도 있으며, 상기 컨트롤부재(22) 또는 중앙제어부재(42)가 자동적으로 작동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연기(20)는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 및 통로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62) 및 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려는 연기를 에어막을 사용하여 차단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치 위치 및 구조 등이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연기(20)는 벽체에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벽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62)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62) 근처에 설치된 도어센서(38)가 상기 컨트롤부재(2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연기(20)의 전장실(80)에 설치된 비상조명부재(36)는 단순히 조명 역할을 하거나, 필요에 따라 비상등의 조명 역할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충전부재(29)는 수명이 한정된 부품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 충전부재(29)의 수명이 다한 경우, 상기 서비스도어(82)를 열고 교환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센서(31)와 경보부재(34)는 상기 전장실(80) 외측 표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연기(20)는 난연제 또는 불연재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풍팬(26)은 알루미늄이나 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갖는 제연기(20)는 복도구역(64)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상기 복도구역(64)으로 연기를 공급할 수 있는 도어(62) 상측과 엘레베이터(67) 상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구역(65)을 제연구역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계단구역(65)으로 연기를 공급할 수 있는 비상문(66) 상측에 제연기(2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복도구역(64)과 계단구역(65)을 모두 제연구역으로 설정한 경우, 모든 도어(62)와 통로의 위에 제연기(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제연구역의 설정과 건물의 특성 등에 따라 도어(62)나 통로 등 상기 제연구역으로 연기를 공급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제연기(20)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계단구역(65)은 비상계단(68)이 구비된 구역으로 보통 복도구역(64)과는 비상문(66)에 의하여 구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연기(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제연기(20)는 관제부(40)에 연결됨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중앙제어부재(42)에 의하여 상기 제연기(20)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정화되며 상기 제연기(20)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즉, 상기 정화부(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그릴(70)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되며 상기 통풍구(84)로 배출되면서 상기 에어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정화부(100)는 상기 흡입그릴(70)의 전방에 위치되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를 상기 흡입그릴(7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20) 및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수되며 낙하되도록 하는 물분사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11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망체(111) 및 상기 망체(111)를 감싸는 부직포(112)를 포함한다.
상기 망체(111)는 상기 부직포(1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부직포(112)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120)은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필터(110)가 결합되는 복수의 중공(122)이 형성되며, 양측 상,하부에 상기 흡입그릴(7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3)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양측이 상기 흡입그릴(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12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필터(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중공(122)을 이루는 둘레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끼움홈(1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110)는 상기 망체(111)의 둘레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부직포(112)를 상기 망체(111)에 결속하는 한편, 상기 끼움홈(122a)으로 결합되는 결합링(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흡입그릴(7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고리(123)의 내측으로는 금속재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110)는 오염 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1)으로부터 분리, 교체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1)과 함께 분리,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연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관(131),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노즐(132), 일단부는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132)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관(133), 상기 급수관(133)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32)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34) 및 상기 제연기(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33)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한편,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35)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관(133)은 타단부가 상기 제연기(2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35)와 연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연기(20)를 관통하여 상기 분사관(131)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35)는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133)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은 상수도관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연기(20)는 상기 연결부재(135)가 물공급관과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거나 설치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연기(20)는 고장 등에 따른 교체시, 상기 연결부재(135)를 조절하여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간편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도어(62)나, 상기 비상문(66)으로의 출입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134)는 상기 컨트롤부재(2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에 따라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132)은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에어막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함수되며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발생시 연기가 상기 에어막에 접촉되면서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빠르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함수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기(20)로 흡입되면서 상기 필터(110)에 구비되는 상기 부직포(112)에 의해 쉽게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부(100)는 상기 제연기(20)를 통한 공기의 재순환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연구역을 정화하는 한편, 상기 제연기(2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부(100)는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기(20)의 늦은 동작에 따른 연기의 유입 등에 의해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화부(100)는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에서 분사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140)는 상기 물분사수단(13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제연구역을 이루는 바닥면이 미끄러운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14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수되어 낙하되면서 포집될 수 있도록 하여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포집부(14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연구역을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포집함(141), 개방된 상기 포집함(141)의 상부를 차단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42a)이 형성되는 그릴(142)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함(141)은 상기 제연기(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연구역의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함(141)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에어막의 하부가 유입되며 소멸될 수 있도록 하여 에어막이 제연구역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연구역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릴(142)은 개방된 상기 포집함(141)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제연구역의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릴(142)은 상부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물분사수단(130)에 의해 바닥면이 미끄럽게 되면서 제연구역을 통한 신속한 대피 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20 : 제연기 22 : 컨트롤부재
25 : 송풍모터 30 : 외부센서
40 : 관제부 50 : 전원부재
60 : 옥내 62 : 도어
64 : 복도구역 65 : 계단구역
70 : 흡입그릴 84 : 통풍구
90 : 스위치부재 100 : 정화부
110 : 필터 111 : 망체
112 : 부직포 113 : 결합링
120 : 연결수단 121 : 지지프레임
122 : 중공 122a : 끼움홈
123 : 걸림고리 130 : 물분사수단
131 : 분사관 132 : 분사노즐
133 : 급수관 134 : 개폐밸브
135 : 연결부재 140 : 포집부
141 : 포집함 142 : 그릴

Claims (1)

  1. 제연구역을 포함한 지역에서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에서 입력된 화재신호로 작동되어 상기 제연구역의 경계에서 공기를 토출함으로 에어막을 형성하여 연기가 상기 제연구역으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제연기(20); 및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재(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연기(20)는,
    전면에 흡입그릴(70)이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하측에 통풍구(84)가 구비되어 공기가 토출되면서 상기 에어막을 형성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방재장치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제연기(20)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되며 상기 통풍구(84)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연구역을 정화하는 한편, 상기 제연기(20)의 오염을 방지하며, 화재 발생시 상기 제연기(20)의 늦은 동작에 따른 연기의 유입에 의해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화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화부(100)는,
    필터(110);
    상기 필터(110)를 상기 제연기(20)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그릴(7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120);
    상기 에어막으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함수되며 낙하되도록 하는 한편,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와 함께 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제연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물분사수단(130); 및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에서 분사되는 물을 포집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110)는,
    망체(111); 및
    상기 망체(111)를 감싸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는 부직포(11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20)은,
    양측이 상기 흡입그릴(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후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필터(110)가 결합되는 중공(12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양측 상,하부에 상기 흡입그릴(70)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23)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21)은,
    상기 필터(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22)을 이루는 둘레에 외측으로 함몰되는 끼움홈(122a)이 형성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흡입그릴(70)의 표면에 밀착되며, 상기 걸림고리(123)의 내측으로 금속재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110)는,
    상기 끼움홈(122a)으로 결합되는 결합링(113)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수단(130)은,
    상기 제연기(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연기(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관(131);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노즐(132);
    타단부가 상기 제연기(2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연기(2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분사관(13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132)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관(133);
    상기 급수관(133)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132)로의 물공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34); 및
    상기 제연기(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33)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한편,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공급관과의 분리, 결합에 따라 상기 제연기(20)가 교체,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부재(135)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132)은,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재(135)는,
    외부의 다른 물공급관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연기(20)는,
    상기 연결부재(135)가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상기 제연구역과 접한 도어(62)의 상측에 설치되거나 설치해제되고,
    상기 개폐밸브(134)는,
    상기 제연기(20)의 작동에 따라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32)을 통해 상기 에어막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포집부(14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연구역을 이루는 바닥면에 매립되는 포집함(141);
    개방된 상기 포집함(141)의 상부를 차단하며,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42a)이 형성되는 그릴(142)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함(141)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에어막의 하부가 유입되며 소멸될 수 있도록 하여 에어막이 상기 제연구역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물질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그릴(142)은,
    상부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20170049289A 2017-04-17 2017-04-17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176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9A KR101766362B1 (ko) 2017-04-17 2017-04-17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9A KR101766362B1 (ko) 2017-04-17 2017-04-17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362B1 true KR101766362B1 (ko) 2017-08-08

Family

ID=5965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89A KR101766362B1 (ko) 2017-04-17 2017-04-17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87A (ko) * 2018-12-19 2020-06-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629A (ja) * 2004-03-31 2005-10-20 Nohmi Bosai Ltd 防災設備
KR100823958B1 (ko) * 2006-09-22 2008-04-22 차흥식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629A (ja) * 2004-03-31 2005-10-20 Nohmi Bosai Ltd 防災設備
KR100823958B1 (ko) * 2006-09-22 2008-04-22 차흥식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87A (ko) * 2018-12-19 2020-06-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KR102146228B1 (ko) * 2018-12-19 2020-08-20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002B2 (ja) ベンチュリ式除煙スプリンクラー並びに煙及び有毒ガス除去装置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168831B1 (ko) 화재 스프링클러 기능을 가진 연기 및 유독가스 제거 장치
CN212619103U (zh) 一种消防工程用的防排烟装置
KR101766362B1 (ko)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111735162B (zh)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200433050Y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KR20190038050A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WO2018182362A1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N210342770U (zh) 一种具有火灾报警功能的建筑
KR102331073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KR100717772B1 (ko) 제연용 급추진 환기팬 장치
KR102353316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정화 흡연 부스
KR101888943B1 (ko) 산소 발생기와 에어컨이 구비된 승강기
KR10235947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US20070035404A1 (en) Stair deluge system - product and method
KR102438654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도로 터널 화재 진압용 차폐기구
JPH03274342A (ja) レンジ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