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693B1 -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693B1
KR102134693B1 KR1020190119645A KR20190119645A KR102134693B1 KR 102134693 B1 KR102134693 B1 KR 102134693B1 KR 1020190119645 A KR1020190119645 A KR 1020190119645A KR 20190119645 A KR20190119645 A KR 20190119645A KR 102134693 B1 KR102134693 B1 KR 10213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ghting
water
pum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삼우전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전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삼우전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9011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시에 사용되는 수관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는 소방펌프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이 소화부재와 관 연결된 개폐 가능한 소방밸브 및 상기 소방밸브 타단과 관 연결되되 상기 소방밸브의 개방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소화부재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배관이 구비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함에 있어서, 상기 옥내소화전함 내부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수가 배출된 이후의 상기 소화부재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건축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기단자함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는 소방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옥내소화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설치함 및 상기 설치함 내부에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소방펌프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Fire-fighting systems equipped with fire pumps with leak-off alarm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화재가 발생시에 사용되는 수관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는 소방펌프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내 유체의 흐름을 막기도 하고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기도 하는 기계요소로서, 이러한 밸브는 사용하는 목적이나 유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운전조작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의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막거나 조절하는 기능에 따라 개폐용 밸브와 유량조절용 밸브 등으로 구분되고, 이 유량조절용 밸브 중의 하나인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는 사용목적보다 유체의 압력이 높을 때 감압하고, 감압 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밸브를 뜻하는 것으로, 건축설비 및 산업설비의 배관이나 소방설비의 배관에 주로 사용된다.
그 중 소방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감압밸브는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또는 옥내소화전 배관 직전에 설치되는데, 이는 소방법상의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즉, 소방시스템에서 실내 스프링클러 설비 및 옥내소화전 시스템은 화재의 효과적인 진화를 위하여 각 말단의 소방수 압력이 각각 12kgf/㎠, 7kgf/㎠을 유지하도록 하는 소방법 상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통상 상기 규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펌프 등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또는 옥내소화전의 배관 직전에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소방수의 압력을 감압시킨 상태에서 공급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압밸브는 주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감압된 후 유출되는 구조의 다이아프램형 메인밸브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메인밸브의 유입구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압력조절스프링으로 다이아프램을 움직여 디스크를 개방하면서 유출구 쪽으로 감압된 물이 흘러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감압밸브(B)는 일 예로,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핸들을 돌려 개폐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핸들에 의해 개방된 감압밸브는 소정길이를 갖는 수관(water tube:W/T)을 통해 공급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감압밸브는 화재의 진압에 필요한 소방수의 공급에만 그 목적이 한정되어 있어 화재를 진압한 이후의 수관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소방수를 작업자가 해당 감압밸브와 연결된 수관을 풀어서 상기 수관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제거해야만 상기 수관을 옥내소화전함 내부에 다시 거치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를 진압한 이후의 수관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소방수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해당 수관을 용이하게 옥내소화전함 내부에 다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옥내소화전함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물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설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는 일단이 소화부재와 관 연결된 개폐 가능한 소방밸브 및 상기 소방밸브 타단과 관 연결되되 상기 소방밸브의 개방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소화부재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배관이 구비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함에 있어서, 상기 옥내소화전함 내부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수가 배출된 이후의 상기 소화부재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건축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기단자함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는 소방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옥내소화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설치함 및 상기 설치함 내부에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소방펌프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되게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된 수관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체크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소방펌프의 강제 흡입에 의해 해당 잔여소방수를 흡입하여 소방수로 재사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소방펌프의 누수 여부를 누수감지부재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의 소방펌프와 누수감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누수감지부재의 전극단자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에 대한 소방펌프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4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이하 간략하게 '소방설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옥내소화전함(F/H)은 일단이 소화부재(20)와 관 연결된 개폐 가능한 소방밸브(10) 및 상기 소방밸브(10) 타단과 관 연결되되 상기 소방밸브(10)의 개방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소화부재(2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메인배관(30)이 구비되며, 건축물의 건물 내벽이나 외벽에 설치되되 그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함체 형상을 갖는 통상의 옥내소화전함(F/H)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인 배출수단(100)의 요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옥내소화전함(F/H)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음향신호로 출력되는 경보음이나 조명신호로 출력되는 사이렌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건축물의 전기단자함 등에서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제어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장치(1)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부재(20)를 통해 소방수를 배출한 이후에 상기 소화부재(20)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00)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100)은 크게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체크밸브(110), 상기 소화부재(20) 내의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할 수 있게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는 소방펌프(120) 및 상기 소방펌프(120)의 설치와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크밸브(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소방밸브(10)와 관 연결되되 타단은 소화부재(20)와 관 연결될 수 있게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체크밸브(110)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항시 개방상태를 갖도록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고, 후술하는 소방펌프(120)가 동작시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소방밸브(10)와 관 연결된 메인배관(30)의 소방수가 상기 소방펌프(120)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체크밸브(110)는 소방밸브(10) 및 소화부재(20)와 탈착 가능하게 관 연결되어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소방밸브(10) 또는 상기 소화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체크밸브(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방밸브(10)와 메인배관(30) 사이에 관 연결되어 상술한 소화부재(20) 내부의 잔여소방수는 물론, 상기 소방밸브(10)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도 소방펌프(120)의 흡입력에 의해 옥내소화전함(F/H)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7 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의 소화부재(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체크밸브(110)와 관 연결되되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방수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며, 해당 소방수에 의해 팽창 및 수축하는 수관(21) 및 상기 수관(21)의 타단과 관 연결되어 상기 수관(21)을 통해 소정의 토출압력으로 소방수가 이동시에 원거리에 있는 화재진원지에 해당 소방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그 토출압력을 높일 수 있는 노즐(23)을 포함하는 통상의 소화부재(20)를 의미한다.
또한, 소방펌프(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구비되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소화부재(20) 즉, 수관(21)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옥내소화전함(F/H)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소방펌프(120) 외면에는 체크밸브(110)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되어 수관(21)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2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121)과 관 연결되어 강제 흡입된 잔여소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3)이 옥내소화전함(F/H)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배출관(123)의 출구 측은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배관(30)이나 소방밸브(10)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입관(121)을 통해 흡입된 잔여소방수를 다시 소방수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이를 통해 화재를 진압한 이후에 수관(21)에 남아있는 잔여소방수를 신속하게 배출 또는 재수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렉시블한 상기 수관(21)을 용이하게 구부리거나 접어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다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소방펌프(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설치의 용이성 및 상기 소방펌프(120)의 누수 여부를 관리자 등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수감지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수감지부재(200)는 전극단자(210), 흡수지(220) 및 설치함(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단자(210)는 후술하는 흡수지(220) 양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상기 흡수지(220) 하나 당, 한 쌍이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함(23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다.
각각의 전극단자(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흡수지(220)가 습기를 흡수하여 도체의 성질로 변화하면 상기 흡수지(220) 양단에 구비된 전극단자(210)는 전류가 통하여 그 전기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 등을 통해 소방펌프(120)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흡수지(220)는 습기의 흡수가 가능한 종이재질 등으로 형성되되 평상시(습기가 스며들지 않은 상태)에는 상술한 전극단자(210)에 전류가 통하지 않다가 소방펌프(120) 등의 누수로 인하여 습기가 흡수되면 도체의 성질로 변화하여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단자(210)에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활성화를 이룬다.
설치함(23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소방펌프(120)가 고정 설치되며, 외면에는 상기 소방펌프(120)에서 연장되는 흡입관(121)이나 배출관(123) 등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설치함(230)의 바닥면에는 상술한 전극단자(210) 및 흡수지(220)가 고정 설치되어 소방펌프(120)의 누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홈(233)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233) 내부에 누수로 인한 습기가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수용홈(233)이 형성된 설치함(230) 바닥면은 해당 바닥면에 자유 낙하한 습기가 상기 수용홈(230) 내부로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230)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2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소방펌프(12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그 누수로 인한 습기는 설치함(23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여 경사면(231)을 따라 수용홈(233)으로 수집되며, 수집된 습기는 상기 수용홈(233)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흡수지(220)에 의해 흡수되어 제어부(40)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스위칭되어 그 전기신호를 통해 상기 소방펌프(120)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소방펌프(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제어신호를 통해 그 흡입력이 잔여소방수의 흡입이 아닌, 메인배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를 흡입하여 수관(21)에 제공할 수 있는 보조연장관(12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연장관(125)에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127)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배관(30) 내의 소방수가 상기 소방펌프(12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수관(21)의 출구 측으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동으로 개폐되는 소방밸브(10)가 장시간의 보관으로 인하여 외력을 가해도 열리지 못하거나 또는 완전하게 열리지 못해 소방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해 화재의 진압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메인배관(30)의 소방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5 참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소방펌프(120)는 강제 흡입과 강제 배출이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자밸브(127)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방펌프(120)를 통해 메인배관(30) 내의 소방수를 수관(21)에 공급하는 경우, 배출관(123)을 통해 해당 메인배관에서 유입된 소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127)에도 설치되어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밸브구조(1)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외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옥내소화전함(F/H) 내부의 소방밸브(10)와 수관(21)을 풀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면 상기 수관(21) 내부에는 잔여소방수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소방펌프(120)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소방펌프(120)의 강제 흡입에 의해 수관(21) 내부의 잔여소방수는 흡입관(121)을 통해 흡입됨과 동시에 배출관(123)을 통해 옥내소화전함(F/H) 외부로 배출되거나 메인배관(30) 내부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잔여소방수의 흡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용이하게 수관(21)을 접어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원상태로 거치하여 신속하게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되게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된 수관(21) 내부의 잔여소방수를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체크밸브(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소방펌프(120)의 강제 흡입에 의해 해당 잔여소방수를 흡입하여 소방수로 재사용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소방펌프(120)의 누수 여부를 누수감지부재(200)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소방밸브 20: 소화부재
21: 수관 23: 노즐
30: 메인배관 40: 제어부
100: 배출수단 110: 체크밸브
120: 소방펌프 121: 흡입관
123: 배출관 125: 보조연장관
127: 전자밸브 200: 누수감지부재
210: 전극단자 220: 흡수지
230: 설치함 231: 경사면
233: 수용홈 F/H: 옥내소화전함

Claims (1)

  1. 일단이 소화부재(20)와 관 연결된 개폐 가능한 소방밸브(10) 및 상기 소방밸브(10) 타단과 관 연결되되 상기 소방밸브(10)의 개방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가 상기 소화부재(2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배관(30)이 구비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함(F/H)에 있어서,
    상기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수가 배출된 이후의 상기 소화부재(20)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건축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기단자함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는 소방펌프(120)를 포함하되,
    상기 소방펌프(120)는 상기 옥내소화전함(F/H) 내부에 설치되는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설치함(230) 및 상기 설치함(230) 내부에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상기 소방펌프(120)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펌프(120)는 일단이 체크밸브(110)와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소방펌프(12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소화부재(20) 내에 존재하는 잔여소방수를 강제 흡입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흡입관(121), 상기 흡입관(121)을 통해 흡입된 잔여소방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그 출구 측이 상기 메인배관(30)이나 상기 소방밸브(10)와 관 연결되어 흡입된 잔여소방수를 소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출관(123), 상기 소방펌프(12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메인배관(30)에 수용된 소방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관 연결되어 흡입된 해당 소방수를 소화부재(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조연장관(125) 및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연장관(125)을 개폐하는 전자밸브(12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방밸브(10)가 미동작시에 상기 전자밸브(127)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소방펌프(120)가 상기 보조연장관(125)을 통해 상기 메인배관(30)에 수용된 소방수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동작시켜 상기 소화부재(20)에 흡입된 해당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KR1020190119645A 2019-09-27 2019-09-27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KR10213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45A KR102134693B1 (ko) 2019-09-27 2019-09-27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45A KR102134693B1 (ko) 2019-09-27 2019-09-27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693B1 true KR10213469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45A KR102134693B1 (ko) 2019-09-27 2019-09-27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18B1 (ko) 2021-10-08 2022-01-21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펌프 제어 신호 생성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80886B1 (ko) * 2021-12-16 2022-12-23 육송(주)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23B1 (ko) * 2016-08-12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20180128270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에코미스티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KR101996228B1 (ko) * 2018-10-23 2019-07-04 강호준 소화전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23B1 (ko) * 2016-08-12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20180128270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에코미스티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KR101996228B1 (ko) * 2018-10-23 2019-07-04 강호준 소화전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518B1 (ko) 2021-10-08 2022-01-21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펌프 제어 신호 생성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80886B1 (ko) * 2021-12-16 2022-12-23 육송(주)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693B1 (ko)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CA2762561C (en)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US20070289751A1 (en) Pre-primed Preaction Sprinkler System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CN101485926B (zh) 一种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US11013942B2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JP2013192583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6580463B2 (ja) 泡消火設備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US269227A (en) Automatic fire-extinguisher
KR102134692B1 (ko) 공동주택 소방밸브 설비구조
KR102452095B1 (ko) 건축물 소방수 급배수장치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CN209828053U (zh) 极早期自动灭火装置和极早期自动灭火一体机
CN112843577A (zh) 一种灭火控制器及装置
JP2004201746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04290430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2000140148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30016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102273400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KR20230153803A (ko) 옥내소화전 방출확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