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04B1 -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404B1
KR102273404B1 KR1020200162366A KR20200162366A KR102273404B1 KR 102273404 B1 KR102273404 B1 KR 102273404B1 KR 1020200162366 A KR1020200162366 A KR 1020200162366A KR 20200162366 A KR20200162366 A KR 20200162366A KR 102273404 B1 KR102273404 B1 KR 10227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ipe
fixed
control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삼
Original Assignee
(주)한빛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빛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6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2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11Adjustable or mov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고 고장시 쉽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Firefighting equipment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고 고장시 쉽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화는 소화기에 의한 진화, 소화전을 이용한 진화,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 그리고 스프링클러 장치에 의한 진화로 구분될 수 있다.
소화기에 의한 진화와 소화전에 의한 진화는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입주자가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하는 것으로 초기 진화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입주자의 연령별 또는 소방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소방차와 소방대원에 의한 진화는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신고가 접수된 후 소방차와 소방대원이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초기 진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각 소방대에서는 화재발생초기의 진화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소위 화재골든타임이라고 하는 5~10분 이내의 진화를 목표로 정화고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교통상황이나 골목길 불법주차 등으로 인하여 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용 저수조(1)와, 저수조(1)에 연결되며 파이프 덕트 내에 설치되는 입상관을 포함하는 1차 배관(2)과, 1차 배관(2)에 개폐밸브(3)를 통해 연결되어 천장 내에 설치되는 2차 배관(4)과, 2차 배관(4)에 설치되어 천장에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5)를 포함하며, 1차 배관(2)에는 저수조(1) 내의 물을 펌핑하는 가압펌프(6)와 압력탱크(7)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는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제1 배관(2)에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고, 개폐밸브(3)가 개방되어 제2 배관(4)에도 소화수가 공급되어 채워지지만, 스프링클러 헤드(5)에 구비된 퓨즈(미도시)가 통상적으로 100℃ 이상이 되었을 때 녹으면서 탈락한 후에야 비로소 살수가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가스레인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후드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성분이 부착되어 불이 붙을 경우 배기덕트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될 염려가 있는 부분인 바,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는 배기후드에 대해서는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스프링클러 헤드의 경우 소화수가 배관에 가득차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누수의 위험성도 높았다.
최근에는 소화수 공급을 차단해 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만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8935호(2016.09.13.),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고 고장시 쉽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싱크대(10), 가스대(20), 배기후드(30) 및 주방급수전(1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스프링클러 부재(200)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하고,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부재본체(220)는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되고,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되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일정한 열을 받으면 파열되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부재본체(220)와 파열구(270) 사이에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미트스위치(3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부(302) 일부에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감지센서(3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단부(304)의 하부면에는 누수감지기(400)가 더 설치되되, 누수감지기(400)는 누수 감지시 신호를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유선송신기(410)를 탑재한 센서블럭(420)을 포함하고, 센서블럭(420)은 블럭환(430)과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탄력가이드(440)를 더 포함하며, 센서블럭(420)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탄력가이드(440)에는 탄지스프링(450)이 끼워지며, 탄지스프링(450)의 선단은 탐지구(460)의 헤드부에 접지되고, 탐지구(46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가이드(470)를 관통하여 뾰족한 선단이 노출되게 끼워지며, 상기 탐지구(460)의 선단에는 수감지센서(480)가 설치되고;
실내에 구비된 화재감지기(600)에는 컨트롤러(61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610)는 실내 AP(Access Point)(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현관문(630)에 설치된 도어락(640)에는 무선통신모듈(642)이 내장되어 상기 AP(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컨트롤러(610)의 신호를 받은 AP(620)로부터 특정신호를 수신했을 때 도어락(64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 후 기능을 상실하도록 설계되어 화재시 현관문(630)이 항상 오픈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 가스대 상부의 주방후드를 회피한 위치의 천정면에 스프링클러 부재를 설치하여 효과적인 초기 소화가 가능하고 고장시 쉽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부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고장 감지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누수감지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시 출입문 개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전면벽(W1)과 측벽(W2)으로 구획된 공간에 개수대(11)가 구비된 싱크대(10)와, 가스레인지(21)가 안착되는 가스대(20)가 구비되고, 가스대(20)의 상부에는 배기후드(30)가 구비되며, 전면벽(W1)에 설치된 주방급수전(100)을 구비한 주방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스프링클러 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 도 4 참조)에 고정되어 화재발생 초기에 싱크대(10)와 가스대(20) 주변을 방사상으로 분사함으로서 초기 소화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재본체(220)는 바(Bar) 타입으로서 일종의 트로피 손잡이 같이 형성된 것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즉, 부재본체(220)는 내부가 비어 잇는 원통형상의 부재가 아니라, 모든 방향이 개방된 상태로서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디스크(250)에는 내부에 배수홀(252)이 형성되어 있어 소화수가 떨어져 낙수될 때 간섭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낙하되는 소화수의 일부는 회전디스크(250)의 상면에 부딪히고, 일부는 배수홀(252)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유속차이를 일으켜 회전디스크(2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때문에, 화재시 소화수가 떨어질 때 소화수는 회전디스크(250)의 회전반경을 따라 방사상으로 분산되면서 토출되어 초기 진압 반경을 넓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디스크(2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고, 상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상기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특히 상기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도면부호 생략)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씰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개(272)을 끼워 오링으로 씰링한 상태로 파열구(270)를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볼트(240)를 조여 파열구(270)를 강한 힘으로 밀어 올리면 마개(272)는 긴밀하게 씰링하면서 체결단(210)의 하단을 밀폐하게 되므로 혹여 체결단(210)에 소화수가 차 있더라도 파열구(270)가 파열되지 않는 한 쉽게 누수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파열구(270)는 일종의 금속형 휴즈로서, 화재로 인해 일정한 온도에 오르게 되면 녹으면서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때문에, 평상시에는 아주 강한 힘으로 버티기 때문에 마개(272)에 의한 씰링력이 매우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된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된 열에 의해 파열구(270)가 녹의면서 파열되면, 마개(272)도 동일 재질이므로 동시에 녹아 와이어(W)의 결속력이 해제되게 된다.
그러면, 와이어(W)는 풀려나고, 출몰돌기체(320)의 압축스프링(326)이 압축되면서 출몰돌기(324)을 인입시켜 개폐밸브(310)의 스토핑 기능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310)는 소화수의 수압 때문에 축(312)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수가 체결단(210) 측으로 공급되어 신속히 분사 토출되게 된다.
한편, 도 5의 예시와 같이, 부재본체(220)와 파열구(270) 사이에 리미트스위치(350)를 더 설치하고, 리미트스위치(350)는 컨트롤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함으로써 평상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파열구(270)가 파열되어 이탈되게 되면 신호를 인가하여 불량임을 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여부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시와 같이, 배관부(302)의 일부에는 물감지센서(360)를 더 설치하고, 물감지센서(360)는 리드선을 통해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시킴으로써 평상시 배관부(302) 내부에 물이 없는 경우, 불량으로 인지하여 검출신호를 보냄으로써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사전에 자동으로 점검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소화수가 공급되지 않아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와, 파열구(270) 이탈로 인해 발생되는 누수의 문제까지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개폐밸브(310)의 밀폐력 저하로 누수가 발생하여 배관단부(304)로 소화수가 흐를 경우, 마개(272)의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수 여부를 사전에 알 수 있도록 배관단부(304)의 하부면에는 누수감지기(40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누수감지기(400)는 누수 감지시 신호를 컨트롤러(미도시)로 송신하는 유선송신기(410)를 탑재한 센서블럭(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블럭(420)은 블럭환(430)과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탄력가이드(440)를 더 포함하며, 센서블럭(420)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는데, 배터리는 후술될 수감지센서(480)가 물을 감지했을 때만 통전되고 그때만 유선송신기(410)가 동작하며, 송신시 필요한 전류는 아주 미소전류면 되므로 배터리는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가이드(440)에는 탄지스프링(450)이 끼워지고, 상기 탄지스프링(450)의 선단은 탐지구(460)의 헤드부에 접지된다.
아울러, 상기 탐지구(46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가이드(470)를 관통하여 뾰족한 선단이 노출되게 끼워지며, 선단에는 수감지센서(480)가 설치되어 배관단부(304)로 누수되어 흐르는 물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때문에, 누수 감지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즉시 대처할 수 있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가이드(470)의 일단에는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빈 하우징(HAG)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HAG)에는 상술한 탐지구(460), 탄지스프링(450), 탄력가이드(440)가 내장되고, 블럭환(430)이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탄지스프링(450)은 탐지구(460)을 탄성적으로 밀어 수감지센서(480)가 정확하게 배관단부(460) 내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게 되어 안정적인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이에 따라, 누수 감지가 이루어지면 컨트롤러는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의 경보발령에 따라 시설관리자나 거주자가 이를 조치할 수 있어 대형사고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실내 거주자가 신속히 대피해야 하는데, 급박한 상황에서 현관문을 여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잠겨 있는 오토락이 대세인 현실을 반영하면 화재와 함께 오토락이 손실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탈출이 불가능하여 인명손실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실내에 구비된 화재감지기(600)에는 컨트롤러(61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610)는 실내 AP(Access Point)(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출입문, 즉 현관문(630)에 설치된 도어락(640)에는 무선통신모듈(642)이 내장되어 상기 AP(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락(640)에 탑재되는 제어기(도면번호 생략)는 상기 무선통신모듈(642)을 통해 AP(620)로부터 특정신호를 수신했을 때 도어락(640)을 완전히 개방상태로 전환한 후 오프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AP(620)로부터 특정신호, 이를 테면 화재발생시에만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현관문(630)을 개방한 상태, 다시 말해 언락킹 상태로 전환한 후 도어락(640)은 기능을 상실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도어가 다시 잠기지 않고 항상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대피자가 급히 대피할 때 그냥 현관문(630)을 당기기만 해도 열리도록 하여 우선 대피가 가능하고, 위급하고 다급한 상황에서 우왕좌왕 하더라도 문을 못 여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어 대피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610)는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가장 먼저 제어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화재가 커진 후 소실되더라도 현관문(630)은 이미 화재 초기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대피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울러, 화재감지기(600)는 실내 천정에 설치되며, AP(620)는 실내 거실에 주로 설치된다.
100: 주방급수전
200: 스프링클러 부재

Claims (1)

  1. 싱크대(10), 가스대(20), 배기후드(30) 및 주방급수전(1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후드(30)와 간섭되지 않은 주방 천정면에는 스프링클러 부재(200)를 설치하되, 스프링클러 부재(200)는 소화수배관(300)에 조립되는 체결단(210)을 포함하고, 체결단(210)은 부재본체(220)의 상단에서 돌출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부재본체(220)는 '⊂' 형상의 부재와 '⊃' 형상의 부재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단은 각각 관상체인 체결단(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각각 관상체인 고정단(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단(230)에는 고정볼트(240)가 체결고정되고, 고정볼트(240)의 하단에는 회전디스크(250)가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디스크(250)의 하단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볼홈(254)이 'V' 형상으로 요입형성되고, 볼홈(254)에는 구름볼(256)이 안착되며, 구름볼(256)은 볼지지판(258)에 의해 지지되고, 볼지지판(258)은 체결볼트(260)에 의해 고정볼트(240)의 하단면 중심에 체결되며, 고정볼트(240)의 하단과 체결단(210) 사이에는 일정한 열을 받으면 파열되는 파열구(270)가 개재되고, 파열구(270)의 상단에는 체결단(210)의 하단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밀봉하는 마개(272)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부재본체(220)와 파열구(270) 사이에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미트스위치(3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부(302) 일부에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감지센서(3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소화수배관(300)의 일측인 배관단부(304)의 하부면에는 누수감지기(400)가 더 설치되되, 누수감지기(400)는 누수 감지시 신호를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유선송신기(410)를 탑재한 센서블럭(420)을 포함하고, 센서블럭(420)은 블럭환(430)과 일체로 형성된 봉형상의 탄력가이드(440)를 더 포함하며, 센서블럭(420)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탄력가이드(440)에는 탄지스프링(450)이 끼워지며, 탄지스프링(450)의 선단은 탐지구(460)의 헤드부에 접지되고, 탐지구(46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가이드(470)를 관통하여 뾰족한 선단이 노출되게 끼워지며, 상기 탐지구(460)의 선단에는 수감지센서(480)가 설치되고;
    실내에 구비된 화재감지기(600)에는 컨트롤러(610)가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610)는 실내 AP(Access Point)(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현관문(630)에 설치된 도어락(640)에는 무선통신모듈(642)이 내장되어 상기 AP(620)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컨트롤러(610)의 신호를 받은 AP(620)로부터 특정신호를 수신했을 때 도어락(64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 후 기능을 상실하도록 설계되어 화재시 현관문(630)이 항상 오픈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개(272)는 파열구(27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마개(272)의 둘레에는 오링이 끼워지는데, 상기 오링은 폴리우레탄수지 30중량%, 송진 10중량%, 잔탄검 10중량% 및 나머지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단(210)이 조립되는 소화수배관(300)은 배관부(302)와 배관단부(304)로 분할구성되고, 상호 플랜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면서 체결단(210)은 배관단부(304)에 설치되며, 배관부(302)에는 개폐밸브(310)가 축(3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개폐밸브(310)의 일측면 중심에는 와이어링(314)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링(314)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밸브(310)의 면 쪽에는 배관부(30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4개의 출몰돌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출몰돌기체(320)는 배관부(302)의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끼워지고 일정길이 배관부(302) 내경으로 노출되게 조립되는 출몰돌기(324)와, 상기 출몰돌기(324)를 당겨 압축하는 압축스프링(326)과, 상기 압축스프링(326)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322)에 나사체결되는 커버(328)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돌기(324)의 단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W)의 타단은 출몰돌기(324)를 관 내부로 노출시키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링(314)을 경유하여 체결단(210)에 밀폐되어 있는 마개(2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1020200162366A 2020-11-27 2020-11-27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10227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66A KR102273404B1 (ko) 2020-11-27 2020-11-27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66A KR102273404B1 (ko) 2020-11-27 2020-11-27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404B1 true KR102273404B1 (ko) 2021-07-07

Family

ID=7686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66A KR102273404B1 (ko) 2020-11-27 2020-11-27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4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85B1 (ko) * 2022-03-24 2022-07-14 (주)수양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529677B1 (ko) * 2022-03-24 2023-05-1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제어시스템
KR102530289B1 (ko) * 2022-03-24 2023-05-10 (주)하늘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이상 유무 점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16A (ko) * 2000-05-02 2001-11-16 길종진 스프링클러장치용 전열식 앰플
EP2423556A2 (en) * 2010-08-27 2012-02-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mounting pipe sensors
KR101211675B1 (ko) * 2006-06-30 2012-12-12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5392A (ko) * 2011-07-06 2013-01-16 강원도시가스 주식회사 가스 누출 검출 장치
KR101658935B1 (ko) 2016-05-30 2016-09-22 현대공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158703B1 (ko) * 2019-01-17 2020-09-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16A (ko) * 2000-05-02 2001-11-16 길종진 스프링클러장치용 전열식 앰플
KR101211675B1 (ko) * 2006-06-30 2012-12-12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EP2423556A2 (en) * 2010-08-27 2012-02-2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mounting pipe sensors
KR20130005392A (ko) * 2011-07-06 2013-01-16 강원도시가스 주식회사 가스 누출 검출 장치
KR101658935B1 (ko) 2016-05-30 2016-09-22 현대공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158703B1 (ko) * 2019-01-17 2020-09-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85B1 (ko) * 2022-03-24 2022-07-14 (주)수양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421935B1 (ko) * 2022-03-24 2022-07-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529677B1 (ko) * 2022-03-24 2023-05-1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제어시스템
KR102530289B1 (ko) * 2022-03-24 2023-05-10 (주)하늘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이상 유무 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26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28586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US11013942B2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273400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10226132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JP4290914B2 (ja) 消火装置
KR102273307B1 (ko)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KR102275409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KR10228890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용수 공급시스템
KR10227409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US269227A (en) Automatic fire-extinguisher
KR10228509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KR10230016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102274097B1 (ko) 공동주택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285869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소방 작동 시스템
KR102273405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JP2017023452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および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300165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