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86B1 -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 Google Patents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886B1
KR102480886B1 KR1020210180383A KR20210180383A KR102480886B1 KR 102480886 B1 KR102480886 B1 KR 102480886B1 KR 1020210180383 A KR1020210180383 A KR 1020210180383A KR 20210180383 A KR20210180383 A KR 20210180383A KR 102480886 B1 KR102480886 B1 KR 10248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ranch pipe
fire extinguishing
fire hyd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라종열
Original Assignee
육송(주)
이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이금순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21018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증된 분기배관의 티(tee)에 소방 성능 인증된 앵글밸브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검사한 후, 검사 완료된 소화배관 조립체 그대로 소방 규격 인증된 소화전함체의 내부로 삽입 고정한 일체의 소화전함 세트 그대로 현장에 즉시 시공할 수 있는,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fire hydrant set having internal branch pipe}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증된 분기배관의 티(tee)에 소방 성능 인증된 앵글밸브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검사한 후, 검사 완료된 소화배관 조립체 그대로 소방 규격 인증된 소화전함체의 내부로 삽입 고정한 일체의 소화전함 세트 그대로 현장에 즉시 시공할 수 있는,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전함(10)은 통상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물 벽면에 매립되거나 노출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구성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배관(11)과 연결된 앵글밸브(12)가 설치되고, 앵글밸브(12)의 직하방에는 소방호스(14)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통상 소화배관(11)은 엘보 타입의 소화배관으로서, 소화배관(11)은 현장의 메인 소화배관에서 분기된 배관에 용접 고정되고, 소화전함(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소화배관(11)에 앵글밸브(12)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소화전함 세트는 현장에서 소화전함(10), 소화배관(11) 및 앵글밸브(12)를 각각 조립 설치해야 한다.
또한, 소화전함(10)에 소화배관(11)의 설치작업을 할 때 작업 여건이 좋지 않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소화배관(11)은 현장에서 앵글밸브(12)가 체결되기 때문에, 수밀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소화배관(11)은 소방 성능 인정을 받지 않은 배관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약하다.
또한, 현장에서 수밀검사해서 불량이 나올 경우, 용접과 체결된 소화전함 전체를 교체해서 다시 각각을 현장에서 조립해야 한다. 또한, 사용 중에 A/S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서 유지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소화전함 세트가 현장에 1개만 설치되는 게 아니라 수십 수백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나 AS 시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물론 현장에서 누수 유무의 내압(수밀)검사를 할 경우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더 증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193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정 제품인 티 뽑기한 분기배관이 사용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정 제품인 티 뽑기한 분기배관과 앵글밸브가 조립된 소화배관 조립체를 검사한 후, 소화전함의 내부에 일체로 조립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작 공장에서 검사 완료한 그대로 현장에서 시공하여 공사기간과 인건비용을 현저히 낮춘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S 시 소화배관 조립체만 소화전함에서 탈거 가능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티에 설치되는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소화배관 조립체; 전면이 개방된 소화전함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소화전함; 상기 선반에 형성되며,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의 내외부로 출납시키는 출납홈; 상기 소화전함체의 상판에 형성되며, 상기 분기배관의 상측이 내외부로 출납될 출납공; 및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방 성능 인증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 앵글밸브 및 소화전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기배관의 티에 상기 앵글밸브가 체결된 소화배관 조립체의 내압을 시험하는 단계; 상기 소화전함에, 상기 분기배관이 출납되는 출납홈과 출납공이 상기 소화전함체의 선반과 상판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배관이 지지되는 브라켓이 상기 소화전함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의 분기배관이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출납홈으로 삽입되는 단계; 상기 출납홈에 삽입된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위로 올려 상기 분기배관의 상측이 상기 출납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계;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 전체가 상기 소화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채 상기 분기배관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출납홈의 노출 주변인 틈새를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의 세팅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 성능 인증을 받은 티 뽑기한 분기배관과 앵글밸브를 조립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시험을 한 후, 소화배관 조립체 전체를 소화전함 내부에 삽입 설치함으로써, 성능 인정 제품의 조립으로 신뢰성이 우수하고, 소화전함에 소화배관의 설치작업을 할 때 작업여건이 좋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사용 중 앵글밸브의 추가 필요 시, 시공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의 캡을 제거하고 추가 티 뽑기한 분기배관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앵글밸브의 추가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내압시험을 통해 합격한 소화배관 조립체 그대로 설치된 소화전함 세트를 현장에서 즉시 시공하기 때문에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소화배관 조립체는 U볼트와 너트로 브라켓에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 소화배관의 파손 또는 앵글밸브의 손상 등으로 A/S가 발생하여도 소화배관 조립체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도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교체할 소화배관 조립체의 개수가 많을 경우 유지 관리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시공자가 소화배관 조립체를 소화전함에서 분리한 후 보온작업을 하고 다시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배관이 출납홈으로 출납됨으로써, 소화배관 조립체를 뒤판에 최대한 가까이 붙일 수 있어 소화전함체의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8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 호스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변형예(단일 앵글밸브형 소화전함 세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소화전함(10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전함(100)은, 소화전함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사각의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상하판(111)(112)과 좌우판(113)(114) 및 뒤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112)에, 다리(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리(116)는, 바닥 등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선반(117)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17)은, 소화전함체(110)의 내부를 상부 공간(118)과 하부 공간(119)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공간(118)은,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및 경종과 같은 화재경보를 수행하는 전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상부 공간(118)은, 상상 공간과 상하 공간으로 더 구획할 수 있다. 하부 공간(119)은, 앵글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과 같은 실제 화재 진압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납될 수 있다.
소화전함(100)은, 도어(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a)는, 상하부 도어(118a)(119a)로 나뉠 수 있다. 상부 도어(118a)는, 상부 공간(118)을 개폐할 수 있다. 하부 도어(119a)는, 하부 공간(119)을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KFI 인증을 받은 제품일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강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강관(211)의 상측에, 그루브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 홈(212)은, 현장의 다른 소화배관과 플랜지 조인트 될 홈일 수 있다. 강관(211)은 도장 등을 행할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티(213)를 포함할 수 있다. 티(213)는, 강관(211)에 낸 구멍을 인발한 분기관 형태일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캡(215)을 포함할 수 있다. 캡(215)은 강관(211)의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캡(215)은, 강관(211)의 하단에 용접될 수 있다.
만약 앵글밸브(230) 하나만 체결된 분기배관(210)에(도 3 참조) 앵글밸브를 더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캡(215)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추가 분기배관을 용접한 후, 캡으로 막고 추가 분기배관의 티에 추가 앵글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앵글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소방 성능 인증을 받은 제품일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유입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31)는, 티(21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유입구(231)는, 니플(220)에 체결될 수 있다. 니플(220)은, 티(213)에 용접될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유출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233)에, 소방호스 등이 체결될 수 있다. 유입구(231)와 유출구(233)는, 엘보 타입일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사용자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개폐노브(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노브(235)는, 유출구(233)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소화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출납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납홈(300)은, 강관(211)을 소화전함(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으로 삽입할 홈일 수 있다. 즉 출납홈(300)은,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의 강관(211)이 삽입되어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삽입홈일 수 있다.
출납홈(300)은, 선반(117)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출납홈(300)은, 분기배관(210)이 도입되는 입구인 도입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입홈(310)은, 강관(211)의 외주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출납홈(300)은, 분기배관(210)이 안착되는 안착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320)은, 강관(211)의 외주면 반을 감쌀 수 있다.
출납홈(300)은, 연통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홈(330)은, 도입홈(310)과 안착홈(32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출납홈(300)은, 선반(117)의 좌측에서 뒤판(115)의 좌측 모서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는, 분기배관(210)이 최대한 뒤쪽 모서리에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출납홈(300)의 경사는, 앵글밸브(230)를 최대한 뒤판(115)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앵글밸브(230)가 분기배관(210)에 이미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체결을 위한 앵글밸브의 회전 허용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호스릴의 회전반경에 따른 앵글밸브의 간섭을 최대한 없애, 소화전함체(110)의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소화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출납공(3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납공(350)은, 소화배관 조립체(200)의 강관(211)의 상측이 수직방향으로 출납되는 홀일 수 있다. 출납공(350)은, 상판(11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소화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00)는, 브라켓(4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10)은, 좌판(113)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10)은,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410)은, 체결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U볼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U볼트(430)는, 분기배관(210)의 강관(211)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U볼트(430)의 양단은, 체결공(411)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너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450)는, 체결공(411)에 삽입된 U볼트(430)의 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배관(210)은 브라켓(410)과 U볼트(430) 사이에 너트(450)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너트(450)는,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된 채 체결될 수 있다. 이것은, 브라켓(4100을 최대한 좌판(113) 가까이에 근접시키기 위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너트(450)는, 좌판(113)에 형성된 홀(113a)을 통해 삽입되어 U볼트(4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홀(113a)에 고무마개(4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U볼트(430)와 너트(450)의 체결 방식은,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소화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마감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출납홈(300)과 강관(211) 사이의 틈새를 마감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제 1 마감커버(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마감커버(510)는, 출납홈(300)의 상면을 막을 수 있다. 제 1 마감커버(510)는, 선반(117)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마감커버(510)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제 2 마감커버(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마감커버(520)는, 출납홈(300)의 전면을 막을 수 있다. 제 2 마감커버(520)는, 소화전함체(1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마감커버(520)는, 띠 형상일 수 있다. 제 2 마감커버(520)는 선반(117)의 전면 전체를 막은 채 양단이 소화전함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 2 마감커버(520)의 상하에, 걸림테(521)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걸림테(521)는, 닫히는 도어(110a)가 걸리는 스토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방 성능 인증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 앵글밸브(230) 및 소화전함체(110)를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분기배관(210)의 티(211)에, 앵글밸브(230)를 설치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준비할 수 있다. 보다 정확히는, 티(211)에 니플(200)을 용접하고, 니플(220)에 앵글밸브(230)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전함체(110)의 선반(117)에 형성되는 출납홈(300)과, 좌판(113)의 내면에 설치되는 브라켓(410)과, 상판(111)에 형성되는 출납공(350)이 구비되는 소화전함체(110)를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별도의 내압 시험을 통해 누수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준비된 합격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에 가지고 와서, 도 4와 같이 합격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0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즉 소화배관 조립체(200)의 강관(211)을 출납홈(300)에 삽입할 수 있다.
출납홈(300)에 강관(211)이 삽입되면, 도 5와 같이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위로 올려 출납공(350)을 통해 강관(211)의 상측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강관(211)의 상측이 출납공(350)에 삽입 위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강관(211)의 둘레를 감싼 U볼트(430)에 너트(450)가 체결되면, U볼트(430)와 브라켓(410) 사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앵글밸브(230)는, 하부 공간(119)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소화배관 조립체(200)가 소화전함체(110)에 고정 지지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마감커버(500)로 출납홈(300)의 틈새를 감싸 막을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제 1 마감커버(510)가 선반(117)에 체결되어 출납홈(300)의 상하 틈새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제 2 마감커버(520)가 소화전함체(110)에 체결되어 출납홈(300)의 전면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소화전함 세트(1)를 현장에 가지고 가서 바로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에 하자가 있는 경우, 역순으로 분해서 소화전함(100)에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탈거하고, 새로운 소화배관 조립체를 소화전함(100)에 조립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복수 앵글밸브를 갖는 내부 소화배관 조립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소화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소화전함 세트(1')는, 도 1 및 도 2의 소화전함 세트(1)와 그 구조 및 기능이 같지만, 앵글밸브가 복수개로 구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것은 소화전함 세트(1)에서 추가 앵글밸브를 설치하는 대신, 소화전함 세트(1')와 같이 처음부터 앵글밸브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제 1, 2 티(213a)(213b) 뽑기한 소화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배관(210')은 강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강관(211')은, 제 1, 2 티(213a)(213b)가 분기 형성될 수 있다.
제 1 티(213a)는, 제 2 티(213b)에 대해 직경이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티(213a)는, 제 2 티(213b)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제 1, 2 티(213a)(213b)는, 제 1, 2 니플(220a)(220b)이 용접될 수 있다.
제 1, 2 니플(220a)(220b)은, 제 1, 2 앵글밸브(230a)(230b)가 체결될 수 있다. 제 1 앵글밸브(230a)는 유출구(233a)가 아래로, 제 2 앵글밸브(230b)는 유출구(233b)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강관(211')의 하단에, 캡(215')이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도 10과 같이 외부에서 선반(117)의 출납홈(300)에 수평방향으로 강관(211')이 삽입되면 도 11과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수직방향으로 위로 올려 출납공(350)을 통해 강관(211')의 상측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부(400)는,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13과 같이 제 1 마감커버(510)로 출납홈(3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틈새를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제 2 마감커버(50520)가 출납홈(300)의 전면을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소화전함 110: 소화전함체
110a: 도어 200: 소화배관 조립체
210: 분기배관 211: 강관
213: 티(tee) 215: 캡
230: 앵글밸브 300: 출납홈
350: 출납공 400: 고정부
410: 브라켓 430: U볼트
450: 너트 470: 고무마개
500: 마감커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 1,2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분기배관의 제 1,2 티에 설치되는 제 1,2 앵글밸브와, 상기 분기배관의 하단을 막는 캡을 포함하는 소화배관 조립체;
    전면이 개방된 소화전함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소화전함;
    상기 분기배관이 상기 선반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출납되는 출납홈;
    상기 소화전함체의 상판에 형성되며, 상기 분기배관의 상측이 수직방향으로 출납되는 출납공; 및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5. 삭제
KR1020210180383A 2021-12-16 2021-12-16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KR10248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3A KR102480886B1 (ko) 2021-12-16 2021-12-16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3A KR102480886B1 (ko) 2021-12-16 2021-12-16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886B1 true KR102480886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83A KR102480886B1 (ko) 2021-12-16 2021-12-16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8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KR20180004444A (ko) * 2016-07-04 2018-01-12 박미순 가압 송수량 점검용 유로 개설방법
JP2019010255A (ja) *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横井製作所 消火設備の施工方法、消火設備、及び、消火設備用配管ユニット
KR101952388B1 (ko) * 2017-01-09 2019-02-26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
KR102134693B1 (ko) * 2019-09-27 2020-07-16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CN212308719U (zh) * 2019-12-31 2021-01-08 徐凤良 一种带有伸缩支撑脚的消火栓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KR20180004444A (ko) * 2016-07-04 2018-01-12 박미순 가압 송수량 점검용 유로 개설방법
KR101952388B1 (ko) * 2017-01-09 2019-02-26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
JP2019010255A (ja) *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横井製作所 消火設備の施工方法、消火設備、及び、消火設備用配管ユニット
KR102134693B1 (ko) * 2019-09-27 2020-07-16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CN212308719U (zh) * 2019-12-31 2021-01-08 徐凤良 一种带有伸缩支撑脚的消火栓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08A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CN208169587U (zh) 阀总成的测试筒塞
US10082441B2 (en) Device for checking a pressurized testing tool for a fluid circuit of an aircraft
KR101995652B1 (ko) 선박 구조물, 도관 프레임, 및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이 도관을 통해 덕팅되는, 밀폐 완전성의 테스트 방법
KR102480886B1 (ko)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US11596911B2 (en) Chemical inj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hemical tank and a process line
KR20180117372A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KR101643570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KR102370319B1 (ko) 가스소화설비의 내진 수납장치
US20210244988A1 (en) Mobile standpipe training apparatus
US20040118186A1 (en) Leak detecting device
KR20230091347A (ko)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KR100935550B1 (ko)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JP2699225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配管構造及び工法
JPH10179786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1446098B1 (ko) 밸브 테스트장치용 지그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밸브테스트장치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102423966B1 (ko) 건축물의 배수파이프를 통한 소방용 화재 확산 방지장치
JPH074749A (ja) 電気温水器の配管設備
JP2000237341A (ja) スプリンクラー設備用放水試験装置
JP3158943U (ja) 通水試験装置
JP3007045B2 (ja) 連結送水管設備
JP3982946B2 (ja) ガスメータの取付け治具
US11530960B1 (en) Method of testing for leaks in the piping system of a building
JP3091334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