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347A -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 Google Patents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347A
KR20230091347A KR1020210180382A KR20210180382A KR20230091347A KR 20230091347 A KR20230091347 A KR 20230091347A KR 1020210180382 A KR1020210180382 A KR 1020210180382A KR 20210180382 A KR20210180382 A KR 20210180382A KR 20230091347 A KR20230091347 A KR 2023009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ranch pipe
angle valve
fire hydrant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라종열
Original Assignee
육송(주)
이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이금순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21018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347A/ko
Publication of KR2023009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증된 분기배관의 티(tee)에 소방 성능 인증된 앵글밸브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검사한 후, 검사 완료된 소화배관 조립체의 앵글밸브만 소방 규격 인증된 소화전함체에 삽입한 후 외부의 분기배관을 고정한 일체의 소화전함 세트 그대로 현장에 즉시 시공할 수 있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fire hydrant set having external branch pipe and method of setting thereof}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증된 분기배관의 티(tee)에 소방 성능 인증된 앵글밸브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검사한 후, 검사 완료된 소화배관 조립체의 앵글밸브만 소방 규격 인증된 소화전함체에 삽입한 후 외부의 분기배관을 고정한 일체의 소화전함 세트 그대로 현장에 즉시 시공할 수 있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전함(10)은 통상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물 벽면에 매립되거나 노출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구성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배관(11)과 연결된 앵글밸브(12)가 설치되고, 앵글밸브(12)의 직하방에는 소방호스(14)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통상 소화배관(11)은 엘보 타입의 소화배관으로서, 소화배관(11)은 현장의 메인 소화배관에서 분기된 배관에 용접 고정되고, 소화전함(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소화배관(11)에 앵글밸브(12)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소화전함 세트는 현장에서 소화전함(10), 소화배관(11) 및 앵글밸브(12)를 각각 조립 설치해야 한다.
또한, 소화전함(10)에 소화배관(11)의 설치작업을 할 때 작업 여건이 좋지 않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소화배관(11)은 현장에서 앵글밸브(12)가 체결되기 때문에, 수밀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소화배관(11)은 소방 성능 인정을 받지 않은 배관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약하다.
또한, 현장에서 수밀검사해서 불량이 나올 경우, 용접과 체결된 소화전함 전체를 교체해서 다시 각각을 현장에서 조립해야 한다. 또한, 사용 중에 A/S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서 유지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소화전함 세트가 현장에 1개만 설치되는 게 아니라 수십 수백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이나 AS 시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물론 현장에서 누수 유무의 내압(수밀)검사를 할 경우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더 증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193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정 제품인 티 뽑기한 분기배관이 사용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 성능 인정 제품인 티 뽑기한 분기배관과 앵글밸브가 조립된 소화배관 조립체를 검사한 후, 앵글밸브만 소화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채 일체로 조립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작 공장에서 검사 완료한 그대로 현장에서 시공하여 공사기간과 인건비용을 현저히 낮춘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S 시 소화배관 조립체만 소화전함에서 탈거 가능한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티에 설치되는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소화배관 조립체; 전면이 개방된 소화전함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소화전함; 상기 앵글밸브가 상기 소화전함체의 일측을 통해 내외부로 출납되는 출납공; 및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방 성능 인증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 앵글밸브 및 소화전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기배관의 티에 상기 앵글밸브가 체결된 소화배관 조립체의 내압을 시험하는 단계; 상기 소화전함의 일측에, 상기 앵글밸브가 출납되는 출납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배관이 지지되는 브라켓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의 앵글밸브를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출납공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앵글밸브가 상기 소화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채 외부에 있는 상기 분기배관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단계; 및상기 출납공의 노출 주변인 틈새를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의 세팅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 성능 인증을 받은 티 뽑기한 분기배관과 앵글밸브를 조립한 소화배관 조립체를 내압 시험을 한 후, 소화배관 조립체 중 분기배관만 외부에 배치되게 소화전함에 설치함으로써, 성능 인정 제품의 조립으로 신뢰성이 우수하고, 소화전함에 소화배관의 설치작업을 할 때 작업여건이 좋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부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사용 중 앵글밸브의 추가 필요 시, 시공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의 캡을 제거하고 추가 티 뽑기한 분기배관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앵글밸브의 추가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내압시험을 통해 합격한 소화배관 조립체 그대로 설치된 소화전함 세트를 현장에서 즉시 시공하기 때문에 공사시간과 인건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소화배관 조립체는 U볼트와 너트로 브라켓에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 소화배관의 파손 또는 앵글밸브의 손상 등으로 A/S가 발생하여도 소화배관 조립체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도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교체할 소화배관 조립체의 개수가 많을 경우 유지 관리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시공자가 소화배관 조립체를 소화전함에서 분리한 후 보온작업을 하고 다시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앵글밸브가 출납공으로 출납됨으로써, 앵글밸브를 뒤판에 최대한 가까이 붙일 수 있어 소화전함체의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8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 호스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변형예(단일 앵글밸브형 소화전함 세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소화전함(10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전함(100)은, 소화전함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사각의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상하판(111)(112)과 좌우판(113)(114) 및 뒤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112)에, 다리(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리(116)는, 바닥 등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소화전함체(110)는, 선반(117)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17)은, 소화전함체(110)의 내부를 상부 공간(118)과 하부 공간(119)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공간(118)은,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및 경종과 같은 화재경보를 수행하는 전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하부 공간(119)은, 앵글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과 같은 실제 화재 진압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납될 수 있다.
소화전함(100)은, 도어(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a)는, 상하부 도어(118a)(119a)로 나뉠 수 있다. 상부 도어(118a)는, 상부 공간(118)을 개폐할 수 있다. 하부 도어(119a)는, 하부 공간(119)을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KFI 인증을 받은 제품일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강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강관(211)의 상측에, 그루브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 홈(212)은, 현장의 다른 소화배관과 플랜지 조인트 될 홈일 수 있다. 강관(211)은 도장 등을 행할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티(213)를 포함할 수 있다. 티(213)는, 강관(211)에 낸 구멍을 인발한 분기관 형태일 수 있다.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210)은, 캡(215)을 포함할 수 있다. 캡(215)은 강관(211)의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캡(215)은, 강관(211)의 하단에 용접될 수 있다.
만약 앵글밸브(230) 하나만 체결된 분기배관(210)에(도 3 참조) 앵글밸브를 더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캡(215)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추가 분기배관을 용접한 후, 캡으로 막고 추가 분기배관의 티에 추가 앵글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앵글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소방 성능 인증을 받은 제품일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유입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231)는, 티(21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유입구(231)는, 니플(220)에 체결될 수 있다. 니플(220)은, 티(213)에 용접될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유출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233)에, 소방호스 등이 체결될 수 있다. 유입구(231)와 유출구(233)는, 엘보 타입일 수 있다. 앵글밸브(230)는, 사용자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개폐노브(2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노브(235)는, 유출구(233)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출납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납공(300)은, 앵글밸브(230)를 소화전함(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할 구멍일 수 있다. 즉 출납공(300)은,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에 체결된 앵글밸브(230)만 소화전함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삽입공일 수 있다.
출납공(300)은, 소화전함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출납공(300)은, 좌판(113)에 형성될 수 있다. 출납공(300)은, 현장 여건 따라 뒤판(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출납공(300)은, 앵글밸브(230)를 최대한 뒤판(115)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앵글밸브(230)가 분기배관(210)에 이미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체결을 위한 앵글밸브의 회전 허용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호스릴의 회전반경에 대한 앵글밸브의 간섭을 최대한 없애, 소화전함체(110)의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00)는, 브라켓(4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10)은, 좌판(113)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10)은,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브라켓(410)은, 체결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U볼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U볼트(430)는, 분기배관(210)의 강관(211)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U볼트(430)의 양단은, 체결공(411)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너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미도시)는, 체결공(411)에 삽입된 U불트(430)의 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배관(210)은 브라켓(410)과 U볼트(430) 사이에 너트(미도시)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U볼트(430)와 너트(미도시)의 체결 방식은,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마감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출납공(300)의 틈새(c)를 마감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소화전함체(110)의 좌판(113)에 체결 설치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출납공(300)의 틈새를 막는 실링 역할을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제 1 마감커버(510)와 제 2 마감커버(520)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510)(520)는,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은, 좌판(113)에 체결 설치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510)(520)는, 제 1, 2 반원홈(512)(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반원홈(512)(522)은,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반원홈(512)(522)은, 니플(220)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은, 도 7과 같이 겹쳐 체결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은, 제 1, 2 반원홈(512)(522)의 깊이만큼 겹쳐 체결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 중 어느 하나는, 겹침 절곡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소화전함 세트(1)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소방 성능 인증된 티 뽑기한 분기배관(210), 앵글밸브(230) 및 소화전함체(110)를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분기배관(210)의 티(211)에, 앵글밸브(230)를 설치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준비할 수 있다. 보다 정확히는, 티(211)에 니플(220)을 용접하고, 니플(220)에 앵글밸브(230)를 체결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전함체(110)의 좌판(113)에, 출납공(300)을 형성하고, 브라켓(410)을 고정한 소화전함체(110)를 준비할 수 있다.
준비된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별도의 내압 시험을 통해 누수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준비된 합격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소화전함체(110)에 가지고 와서, 도 4와 같이 합격된 소화배관 조립체(200)의 앵글밸브(230)를 출납공(300)으로 삽입할 수 있다.
앵글밸브(230)가 출납공(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강관(211)의 둘레를 감싼 U볼트(430)에 너트(미도시)가 체결되면, U볼트(430)와 브라켓(410) 사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소화배관 조립체(200)가 소화전함체(110)에 고정 지지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마감커버(500)로 출납공(300)의 틈새(c)를 감싸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소화전함 세트(1)를 현장에 가지고 가서 바로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소화배관 조립체(200)에 하자가 있는 경우, 역순으로 분해서 소화전함(100)에서 소화배관 조립체(200)를 탈거하고, 새로운 소화배관 조립체를 소화전함(100)에 조립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복수 앵글밸브형 소화전함 세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소화전함 세트(1')는, 도 1 및 도 2의 소화전함 세트(1)와 그 구조 및 기능이 같지만, 앵글밸브가 복수개로 구성된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것은 소화전함 세트(1)에서 추가 앵글밸브를 설치하는 대신, 소화전함 세트(1')와 같이 처음부터 앵글밸브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소화배관 조립체(200')는, 제 1, 2 티(213a)(213b) 뽑기한 소화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배관(210')은 강관(211')을 포함할 수 있다.
강관(211')은, 제 1, 2 티(213a)(213b)가 분기 형성될 수 있다.
제 1 티(213a)는, 제 2 티(213b)에 대해 직경이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티(213a)는, 제 2 티(213b)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제 1, 2 티(213a)(213b)는, 제 1, 2 니플(220a)(220b)이 용접될 수 있다.
제 1, 2 니플(220a)(220b)은, 제 1, 2 앵글밸브(230a)(230b)가 체결될 수 있다. 제 1 앵글밸브(230a)는 유출구(233a)가 아래로, 제 2 앵글밸브(230b)는 유출구(233b)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강관(211')의 하단에, 캡(215')이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제 1, 2 출납공(300a)(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출납공(300a)(300b)은, 제 1, 2 앵글밸브(230a)(230b)를 소화전함(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할 구멍일 수 있다. 즉 제 1, 2 출납공(300a)(300b)은, 티 뽑기한 소화배관(210)에 체결된 제 1, 2 앵글밸브(230a)(230b)만 소화전함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삽입공일 수 있다.
제 1, 2 출납공(300a)(300b)은, 소화전함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2 출납공(300a)(300b)은, 좌판(1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출납공(300a)(300b)은, 현장 여건에 따라 뒤판(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출납공(300)은, 앵글밸브(230)를 최대한 뒤판(115)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앵글밸브(230)가 소화배관(210)에 이미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체결을 위한 앵글밸브를 회전시킬 정도의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호스릴의 회전반경에 간섭을 최대한 소화전함체(110)의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1')는, 마감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제 1, 2 출납공(300a)(300b)의 틈새(c)를 마감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소화전함체(110)의 좌판(113)에 체결 설치될 수 있다.
마감커버(500')는, 제 1 마감커버(510')와 제 2 마감커버(520')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마감커버(510')와 제 2 마감커버(520')는 위아래의 제 1, 2 출납공(300a)(300b)의 틈새(c)를 통체로 막을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510')(520')는,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과 제 1, 2 반원홈(512')(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마감커버판(511')(521') 중 어느 하나는, 도 14와 같이 겹칩 절곡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소화전함 110: 소화전함체
110a: 도어 200: 소화배관 조립체
210: 분기배관 211: 강관
213: 티(tee) 215: 캡
230: 앵글밸브 300: 출납공
400: 고정부 410: 브라켓
430: U볼트 500: 마감커버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된 소화전함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소화전함;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티에 설치되는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소화배관 조립체;
    상기 앵글밸브가 상기 소화전함체의 일측을 통해 내외부로 출납되는 출납공; 및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소화전함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분기배관을 감싸는 U볼트와,
    상기 U불트를 상기 브라켓에 지지시키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전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출납공의 노출 주변을 마감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화배관 세트는,
    상기 분기배관의 하단을 막는 캡을 제거하고, 추가 연결한 티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추가 티에 설치되는 추가 앵글밸브와,
    상기 추가 분기배관의 하단을 막는 추가 캡을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4. 제 1,2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과, 상기 제 1,2 티에 설치되는 제 1,2 앵글밸브와, 상기 분기배관의 하단을 막는 캡을 포함하는 소화배관 조립체;
    전면이 개방된 소화전함체와, 상기 소화전함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소화전함;
    상기 제 1, 2 앵글밸브가 상기 소화전함체의 일측을 통해 출납되는 제 1,2 출납공; 및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를 상기 소화전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5. 소방 성능 인증된 티(tee) 뽑기한 분기배관, 앵글밸브 및 소화전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기배관의 티에 상기 앵글밸브가 체결된 소화배관 조립체의 내압을 시험하는 단계;
    상기 소화전함의 일측에, 상기 앵글밸브가 출납되는 출납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기배관이 지지되는 브라켓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소화배관 조립체의 앵글밸브를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출납공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앵글밸브가 상기 소화전함의 내부에 배치된 채 외부에 있는 상기 분기배관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출납공의 노출 주변인 틈새를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의 세팅 방법.
KR1020210180382A 2021-12-16 2021-12-16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KR20230091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2A KR20230091347A (ko) 2021-12-16 2021-12-16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2A KR20230091347A (ko) 2021-12-16 2021-12-16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347A true KR20230091347A (ko) 2023-06-23

Family

ID=8699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82A KR20230091347A (ko) 2021-12-16 2021-12-16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3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08A (en) Fire-suppress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retrofit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US11596911B2 (en) Chemical inj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hemical tank and a process line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20230091347A (ko) 외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KR101643570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KR102480886B1 (ko) 내부 분기배관을 갖는 소화전함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KR200447360Y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의 배관 연결구
KR100955049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용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KR101919234B1 (ko)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JP2019010255A (ja) 消火設備の施工方法、消火設備、及び、消火設備用配管ユニット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KR100914773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0935550B1 (ko) 확인기능을 가지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 조립체
CN106178323A (zh) 图书馆消防系统安装施工方法
EP2999910B1 (en) Pipe connection
KR20190116784A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JP7433158B2 (ja) 消火用ホース及び該消火用ホースを備えた消火栓装置
KR102477935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물분사 노즐 탑재장치
US11982451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amateur HVAC installation
JP3007045B2 (ja) 連結送水管設備
US11530960B1 (en) Method of testing for leaks in the piping system of a building
JP2005098089A (ja) ヘッダーユニット
CN212067554U (zh) 一种喷水灭火系统末端试水装置
KR20130063063A (ko) 유색기체를 이용한 선박의 배관 누설 검사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