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234B1 -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234B1
KR101919234B1 KR1020170062838A KR20170062838A KR101919234B1 KR 101919234 B1 KR101919234 B1 KR 101919234B1 KR 1020170062838 A KR1020170062838 A KR 1020170062838A KR 20170062838 A KR20170062838 A KR 20170062838A KR 101919234 B1 KR101919234 B1 KR 101919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extinguishing agent
switchgear
disposed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이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철 filed Critical 이경철
Priority to KR102017006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되 좌우로 접하도록 나열된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공통 소화약제와, 상기 공통 소화약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개의 공통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피팅 연결구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인 관리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통 소화약제의 교체, 수배전반의 추가 설치 등이 용이함은 물론, 전체적으로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일반 가정까지 전달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발전소-1차변전소-2차변전소-자가용변전실-수전반-변압기-배전반-동별분전반-계량기함-세대분전반-스위치-전등의 순으로 전달된다.
상기 수전반(受電盤)은 말 그대로 전기를 받는 패널로서, 수전반은 변압기 이전의 패널이고, 그리고 배전반(配電盤)은 전기를 나누어 주는 패널로서, 배전반은 변압기 이후의 패널이다.
이러한 수전반 및 배전반(이하, ‘수배전반’이라 함)은 과전류나 과부하 또는 단락 등에 의하여 전기 과열로 화재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수배전반 내에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 등이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소화약제, 예를 들어, 하론(HALON)이나 이산화탄소(CO2) 등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수배전반은 내부의 소정 공간에 상술한 수전반 및 배전반의 내부 구성요소가 설치되고, 다수의 수배전반이 좌우로 인접되게 나열되며, 수배전반 상면에는 소화약제와 분사노즐 및 이를 연결하는 공급배관이 설치된다.
그러나, 각 수배전반 마다 소화약제가 구비되므로 관리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각각의 소화약제로부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공급배관이 각각 설치되어 그 설계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에 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7742호가 개시된 바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7742호 (2008년 02월 28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수배전반에 공통 소화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통배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통 소화약제의 교체 및 수배전반의 추가 설치 등이 용이함은 물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되 좌우로 접하도록 나열된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공통 소화약제와, 상기 공통 소화약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개의 공통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피팅 연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속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 밸브는,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의 상기 공통배관에 대한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 제어밸브와,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배관으로부터 인접하는 수배전반의 공통배관으로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소화약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수배전반 상면의 상기 공통배관에는 상기 유출 제어밸브가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수배전반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소정 공간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각각에 배치되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 및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연기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배선을 보호하는 배선 덕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분사부에 상기 공통 소화약제를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분사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은,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의 후방부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각각의 중앙부에 구비되되,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공통배관 각각으로부터 직교되게 분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을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은, 상기 분사배관이 분지되는 상기 공통배관의 분지점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의 좌측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 덕트는, 상기 분사배관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좌우로 길게 직육면체의 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공통 소화약제를 구비하므로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다수의 수배전반 마다 피팅 연결구를 통해 손쉽게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공통배관을 구비하므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분사부, 열 감지기 및 연기 감지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분사부, 열 감지기 및 연기 감지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되 좌우로 접하도록 나열된 다수의 수배전반(10)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공통 소화약제(20)와, 공통 소화약제(20)가 공급되도록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개의 공통배관(30)과, 복수개의 공통배관(30) 사이를 연결하는 피팅 연결구(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수배전반(10)은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수전반 및 배전반의 해당 구성 요소가 설치되는 상술한 소정 공간이 구비된다.
공통 소화약제(20)는, 다수의 수배전반(10) 중 좌측 또는 우측 끝 부위에 구비된 수배전반의 상면에 구비되어, 다수의 수배전반(10) 전부에 소화약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의 종래 기술이 수배전반 마다 소화약제가 구비된 것과는 달리 단수개의 공통 소화약제(20)가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된 수배전반에 소화약제가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의 공통 소화약제(20)는 일반 가정용 ‘소화기’일 수 있으며, 공통 소화약제(20)의 출구단에는 소화약제 용량을 표시하는 지시 압력계(21)가 구비될 수 있다.
공통 소화약제(20)는, 인접하는 수배전반 상면에 구비된 공통배관(30)과 연결배관(23)을 통해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통배관(30)은,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수배전반(10)에 대응되는 개수로 다수의 수배전반(10) 각각의 상면 중 후방측에 인접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공통 소화약제(2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해당 수배전반 상면 중 전방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복수개의 공통배관(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팅 연결구(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수배전반(1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거나 다수의 수배전반(10)에 추가적으로 수배전반을 더 설치하여야 할 경우 다수의 수배전반(10)의 사이 중 해당하는 부위에 추가되는 수배전반을 삽입 배치하고, 해당 공통배관(30)을 피팅 연결구(90)를 이용하여 더 추가 연결 또는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수배전반의 제거 및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피팅 연결구(90)는, 도 5의 부분 확대도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공통배관(30)에 끼움되고 단부측 외주면에 수나사산(91')이 형성된 제1연결구(91)와, 타측 공통배관(30)에 끼움되고 단부측 내주면에 제1연결구(91)의 수나사산(91')에 치합되는 암나사산(93')이 형성된 제2연결구(9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구(91)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패너 등과 같은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제2연결구(9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연결구(91)에 제2연결구(93)를 체결시켜 인접하는 공통배관(30)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공통배관(30) 각각에 배치되어 공통 소화약제(20)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속 밸브(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속 밸브(40)는,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의 각 수배전반 상면 우측)에 배치되어 공통 소화약제(20)의 공통배관(30)에 대한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 제어밸브(41)와,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5의 각 수배전반 상면 좌측)에 배치되어 공통배관(30)으로부터 인접하는 수배전반의 공통배관(30)으로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 제어밸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의 도면상 공통 소화약제(20)가 구비된 수배전반을 제1수배전반(11)으로 칭하고, 그에 인접한 수배전반을 제2수배전반(12)으로 칭하며, 공통 소화약제(20)로부터 가장 멀리 구비된 수배전반을 제3수배전반(13)으로 칭할 경우, 만약 제1수배전반(11)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1수배전반(11) 상면에 위치된 유입 제어밸브(41)는 개방되고, 유출 제어밸브(42)는 폐쇄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공통 소화약제(20)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 제1수배전반(11) 상면에 위치된 유입 제어밸브(41)를 폐쇄 제어하면, 공통 소화약제(20)는 복수개의 공통배관(30)으로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관리자는 손쉽게 공통 소화약제(2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수배전반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야 할 경우에도, 인접하는 수배전반의 상면에 위치된 유입 제어밸브(41) 및 유출 제어밸브(42)를 폐쇄 제어할 경우 공통 소화약제(20)의 누출 없이 용이하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공통 소화약제(20)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제3수배전반(13) 상면의 공통배관(30)에는 유출 제어밸브(42)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제3수배전반(13) 상면의 공통배관(30) 선단은 더 이상의 공통 소화약제(20)의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종단처리하면 족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공통배관(30) 각각에 연결되되, 수배전반의 상면을 관통하여 수배전반의 소정 공간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공통 소화약제(20)를 분사하는 분사부(50)와, 수배전반의 내부 각각에 배치되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51) 및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50)는, 공통 소화약제(20)를 공급받아 소정 공간의 화재 부위로 공통 소화약제(20)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사부(50)는,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연기 감지기(51) 및 열 감지기(53)는, 분사부(50)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공통배관(30)으로부터 분지되어 분사부(50)에 공통 소화약제(20)를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분사배관(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배관(30)은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의 후방부에 인접되게 구비되는 바, 분사배관(60)은 공통배관(30) 각각으로부터 직교되게 분지될 수 있다.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분사부(50), 연기 감지기(51) 및 열 감지기(5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배선을 보호하는 배선 덕트(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선 덕트(70)는, 도 3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분사배관(60)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좌우로 길게 직육면체의 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선 덕트(7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전기 배선을 보호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공통배관(30) 각각을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8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80)은,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81)와, 결합부(81)의 상부로 연장되고 공통배관(30)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링 지지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80)은, 분사배관(60)이 분지되는 공통배관(30)의 분지점 좌우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고, 다수의 수배전반(10) 좌측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통배관(30)의 분지점 좌우 각각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80)은, 분사배관(60)의 구비로 인하여 공통배관(30)의 단절된 부위를 근접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수배전반 좌측단부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80)은 피팅 연결구(90)에 의하여 연결되는 부위를 근접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하나의 공통 소화약제(20)만으로도 소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인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관리자가 필요시 공통 소화약제(20)의 교체 및 수배전반의 제거, 추가 설치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수배전반 20: 공통 소화약제
21: 지시 압력계 23: 연결배관
30: 공통배관 40: 단속 밸브
41: 유입 제어밸브 42: 유출 제어밸브
50: 분사부 51: 연기 감지기
52: 열 감지기 60: 분사배관
70: 배선 덕트 80: 지지 브라켓
81: 결합부 83: 링 지지부
90: 피팅 연결구 91: 제1연결구
93: 제2연결구

Claims (10)

  1.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되 좌우로 접하도록 나열된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공통 소화약제와;
    상기 공통 소화약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 좌우로 배치된 복수개의 공통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피팅 연결구와;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속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 밸브는,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의 상기 공통배관에 대한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 제어밸브와;
    상기 각각의 수배전반 상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통배관으로부터 인접하는 수배전반의 공통배관으로의 유출을 제어하는 유출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배전반 사이에 추가적으로 수배전반을 더 설치하여야 할 경우, 상기 유입 제어밸브 및 유출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배관으로의 유출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수배전반 사이 중 해당하는 부위에 추가되는 수배전반을 삽입 배치하고, 해당 공통배관을 상기 피팅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배관에 더 추가 연결하도록 작업 수행 가능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소화약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수배전반 상면의 상기 공통배관에는 상기 유출 제어밸브가 구비되지 아니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수배전반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배전반의 소정 공간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공통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각각에 배치되어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 및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연기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배선을 보호하는 배선 덕트가 더 구비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통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분사부에 상기 공통 소화약제를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분사배관을 더 포함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은,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의 후방부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각각의 중앙부에 구비되되,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공통배관 각각으로부터 직교되게 분지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통배관 각각을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 브라켓은,
    상기 분사배관이 분지되는 상기 공통배관의 분지점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수배전반 상면의 좌측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되는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선 덕트는,
    상기 분사배관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좌우로 길게 직육면체의 함 형태로 구비된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장치.
KR1020170062838A 2017-05-22 2017-05-22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KR10191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38A KR101919234B1 (ko) 2017-05-22 2017-05-22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38A KR101919234B1 (ko) 2017-05-22 2017-05-22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34B1 true KR101919234B1 (ko) 2018-11-16

Family

ID=6456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838A KR101919234B1 (ko) 2017-05-22 2017-05-22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41B1 (ko) 2019-05-17 2019-10-17 윤도경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KR102143237B1 (ko) 2020-02-12 2020-08-10 주식회사 파이어캅 온도반응형 자동확산소화기
KR102321734B1 (ko) 2021-04-20 2021-11-04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Ai를 활용한 배전반 온도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07Y1 (ko) * 1996-06-13 1999-09-01 김헌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101122275B1 (ko) * 2009-12-10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격리밸브 보호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소화시스템
CN104548421A (zh) * 2013-10-17 2015-04-29 江瑞华 自动灭火装置
KR101625388B1 (ko) * 2015-02-03 2016-05-30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07Y1 (ko) * 1996-06-13 1999-09-01 김헌출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101122275B1 (ko) * 2009-12-10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격리밸브 보호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소화시스템
CN104548421A (zh) * 2013-10-17 2015-04-29 江瑞华 自动灭火装置
KR101625388B1 (ko) * 2015-02-03 2016-05-30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41B1 (ko) 2019-05-17 2019-10-17 윤도경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내부환경 감시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
KR102143237B1 (ko) 2020-02-12 2020-08-10 주식회사 파이어캅 온도반응형 자동확산소화기
KR102321734B1 (ko) 2021-04-20 2021-11-04 주식회사 티오솔루션 Ai를 활용한 배전반 온도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34B1 (ko) 수배전반용 자동 소화장치
KR102231161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102514001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KR20160002166U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EP1761121B1 (en) Arrangement for the cooling of liquid-cooled electrical equipment
JP2008212323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4087417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の配線方法
KR101236828B1 (ko) 화재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9769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1559365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의 화재확산방지장치
CN209997058U (zh) 一种适用于换流变压器Box-in装置内部消防管道系统
CN204208233U (zh) 一种扑救密闭抗震电缆沟火灾的消防系统
WO2013114077A2 (en) Face plate assembly
KR19990074899A (ko) 건물의 소방시스템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200384965Y1 (ko) 스프링클러의 배관용 분배접속관
EP1431153B1 (en) Compressed air processing equipment for lorries
CN205335446U (zh) 一种输油气管道截断阀室的接地装置
CN104779536A (zh) 一种农业移动式配电装置
CN107401034B (zh) 干衣机
CN216653188U (zh) 一种ups机柜模块消防装置
KR10219018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KR102628706B1 (ko) 통신구 관리시스템
EP4238616A1 (en) Fire-fighting unit
KR102318723B1 (ko) 건축물의 소방 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