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10B1 -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10B1
KR102488810B1 KR1020220041014A KR20220041014A KR102488810B1 KR 102488810 B1 KR102488810 B1 KR 102488810B1 KR 1020220041014 A KR1020220041014 A KR 1020220041014A KR 20220041014 A KR20220041014 A KR 20220041014A KR 102488810 B1 KR102488810 B1 KR 10248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utlet
switch
box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22004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확산방지수단과 콘센트화재예방수단 및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의 피복을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가전제품 등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부분과 자주 온오프되는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가 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알려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며, 콘센트와 스위치를 추출하고 콘센트와 콘센트박스와 스위치박스와 전선과 단자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발생 징후가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Fire prevention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야 기술 중에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의 피복을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가전제품 등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부분과 자주 온오프되는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가 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알려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며, 콘센트와 스위치를 추출하고 콘센트와 콘센트박스와 스위치박스와 전선과 단자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발생 징후가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화재의 우려가 있는 건물이나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초기에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감지장치로 화재에 의한 중대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중앙처리장치와 연동되는 각종 센서장치들이 장착되어 화재의 발생을 초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개인주택이나 연립 및 다세대주택과 같은 곳에서는 화재경보시스템이 취약하여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신속하게 경보할 수 없었으므로 중대재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을 뿐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 등은 주택 내로 공급되는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정전(停電)되는 경우에는 감지기의 정상작동이 어려워 상당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7473호(2013.05.20.)는 알람수단을 구비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와; 온도계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알람수단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게 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계는 액체온도계를 사용하며, 스위칭수단은 액체온도계의 설정온도에 설치되어 액체에 의해 밀려 접촉되는 부상형 접점으로 구성되어 먼지와 습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기"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2624호(2014.06.20.)는 연기 또는 열을 측정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들로 점검신호를 전송하고, 점검신호에 따른 응답으로 수신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비정상 감지기를 선별하고, 비정상 감지기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수신기는 상기 화재감지기들을 블록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비정상 감지기에 대해 같은 블록에 소속된 정상 감지기와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화재감지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원격에서 점검할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화재수신기"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1267473호는 온도계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화재경보를 하여 먼지나 습기에 의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고, 등록특허 제10-1412624호는 화재감지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원격에서 점검할 수 있고, 원격관리자는 고장난 화재감지기를 보다 쉽게 교체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화재경보시스템이 취약한 주택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경보하거나 충전배터리가 태양전지로 충전되어 항상 화재감지기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을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048호(2017.5.10.)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및 경광등으로 구성된 경보출력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경보출력부에 화재를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 및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로 구성된 전원부로 구성되어 개인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화재경보시스템이 취약한 주택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고, 충전배터리가 태양전지로 충전되어 전원의 이상 유무에 관계없이 화재감지기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주택용 화재감지기"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736048호는 외부로부터 경보출력부를 보호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6117호(2021.12.02.)는 경보출력부를 보호하면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시 경보출력부에 대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 감지를 통한 신속한 경보를 통해 중대재해로부터 거주자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경보출력부를 보호하면서 소방점검시, 경보출력부에 대한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장치"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2336117호는 일반적인 화재 발생시 정전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화재 감지와 경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전제품 등의 전기장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 이를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거나 진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전기배선은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어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과 전등배선과, 벽체에 매설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장치와, 벽체에 매설되어 전등배선에 연결됨과 아울러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한다.
전열배선과 전등배선은 벽체에 매설되는 배선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와 천장에 매설된다.
이러한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은 과전류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절연피복을 따라 화재가 번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750호(2011.03.09.)는 벽체(1)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매립관부와; 둘레면에 나사부를 갖추고서, 매립관부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와, 전선인입부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와, 만곡부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를 갖춘 배선관체와: 전선안내관부의 만곡부에 수용되어 전선안내관부의 내측으로 인입된 전선을 매설하는 차폐제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전선안내관부의 내부에 차폐제를 충진하고 차폐제에 의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므로서, 과전류 또는 노후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어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의 피복을 타고 불길이 번지더라도 내부에 충진된 차폐제에 의해 불길이 저지되기 때문에, 실외전선 또는 실내전선이 화재에 의해 완전히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3667호(2022.02.11.)는 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배전반 안전시스템; 상기 배전반 안전 시스템의 설치 유지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안전시스템은, 벽체에 매설되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말단부가 배전함의 수용부로 노출되고, 내측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매립관부와; 둘레면에 나사부를 갖추고서, 매립관부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전선인입부와, 전선인입부의 말단에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는 만곡부와, 만곡부의 말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선인출부로 구성된 전선안내관부를 갖춘 배선관체를 포함하여, 전선이 화재에 의해 전부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시스템화 하여 구축하되, 그러한 구축과정에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물리적 접근을 제한하고 현장상황을 실시간 감지하여 불의 사고를 예방하며, 물리적 내구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배전반 안전시스템이 보다 효과적이고 높은 신뢰도로 감시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의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022750호와 등록특허 제10-2363667호는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전자제품 등의 전기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접촉불량으로 인한 아크발생 빈도가 높은 콘센트와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를 감지하지 못하여 콘센트와 전등스위치에서의 화재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가전제품 등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부분과 자주 온오프되는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발생 징후가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7473호(2013.05.20.) "화재감지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2624호(2014.06.20.)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화재수신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048호(2017.5.10.) "주택용 화재감지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6117호(2021.12.02.) "화재 감지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2750호(2011.03.09.)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3667호(2022.02.11.)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의 피복을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가전제품 등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부분과 자주 온오프되는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가 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알려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며, 콘센트와 스위치를 추출하고 콘센트와 콘센트박스와 스위치박스와 전선과 단자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발생 징후가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며, 매설관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과,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전등과, 매설관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인접하는 매설관의 말단을 연결하며 매설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내부에 충전되는 차폐제를 포함하는 화재확산방지수단과; 벽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와, 콘센트박스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콘센트장치와; 벽체에 매설되는 스위치박스와, 스위치박스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장치와; 콘센트박스 내에 설치되어 콘센트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콘센트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와, 콘센트박스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소화부와, 콘센트박스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추출부와,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콘센트소화명령과 콘센트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콘센트소화종료명령과 콘센트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콘센트제어부와, 콘센트제어부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콘센트통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화재예방수단; 및 스위치박스 내에 설치되어 스위치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스위치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와, 스위치박스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소화부와, 스위치박스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추출부와,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스위치소화명령과 스위치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스위치소화종료명령과 스위치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스위치제어부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센트통신부와 스위치통신부에서 송신되는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과 관리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확산방지수단과 콘센트화재예방수단 및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의 피복을 따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단자와 전선이 접속되며 가전제품 등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부분과 자주 온오프되는 전등스위치 부분에서의 화재발생 징후가 있을 때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알려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며, 콘센트와 스위치를 추출하고 콘센트와 콘센트박스와 스위치박스와 전선과 단자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발생 징후가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이 보다 안전하게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을 보인 배선도,
도 2는 화재확산방지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화재확산방지수단의 사시도,
도 4는 콘센트가 콘센트박스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5는 콘센트가 콘센트박스에서 추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6은 콘센트박스와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위치가 스위치박스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8은 스위치가 스위치박스에서 추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9는 스위치박스와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콘센트화재예방수단의 기능블록도,
도 11은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전기배선을 보인 배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어 벽체(W)와 천장(C)에 매설되는 전열배선(10)과 전등배선(20) 및 스위치배선(30)과, 천장(C)에 설치되어 전등배선(20)과 스위치배선(30)에 연결되는 전등(L)을 포함한다.
전열배선(10)과 전등배선(20) 및 스위치배선(30)은 절연관(40)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W)와 천장(C)에 매설된다.
도 2는 화재확산방지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화재확산방지수단의 사시도, 도 4는 화재확산방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절연관(40)은 복수개로 분할하여 설치되고, 인접하는 절연관(40) 사이에는 화재확산방지수단(100)이 구비된다.
화재확산방지수단(100)은 인접하는 절연관(40) 사이에 연결되며 절연관(40)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결관(110)과, 연결관(1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차폐제(120)를 포함한다.
절연관(40)과 연결관(110)은 말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절연관(40)과 연결관(1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공동주택을 건설할 때 벽체 거푸집과 천정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W)와 천장(C)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차폐제(120)는 통상적인 소화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확산방지수단(100)은 전열배선(10)과 전등배선(20) 및 스위치배선(3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소화하여 절연피복을 따라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콘센트가 콘센트박스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5는 콘센트가 콘센트박스에서 추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6은 콘센트박스와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콘센트장치(200)는 벽체(W)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210)와, 콘센트박스(210)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220)를 포함한다.
콘센트박스(210)는 공동주택을 건설할 때 벽체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한 상태에서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콘센트박스(2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전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콘센트(220)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콘센트본체(221)와, 콘센트본체(2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자제품 등의 전기장치의 전원코드에 연결된 플러그(도시생략)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222)과, 플러그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플러그단자삽입공(223) 및 전열배선(10)에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224)를 포함한다.
콘센트(220)를 콘센트박스(210)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콘센트지지수단(230)이 구비된다.
콘센트지지수단(230)은 콘센트박스(210)의 양측판에 구비되는 상하 한 쌍의 콘센트지지레일(231)과, 콘센트(22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한 쌍의 콘센트지지레일(231) 사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콘센트지지바(232)를 포함한다.
콘센트지지레일(23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콘센트박스(210)의 양측판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콘센트지지바(232)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콘센트지지레일(231)의 전단에는 걸림턱(233)이 구비되고, 콘센트지지바(232)의 후단에는 걸림턱(233)에 걸리는 걸림돌기(234)가 구비되어 콘센트(220)가 콘센트박스(21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게 구성된다.
좌우측 콘센트지지바(232)는 콘센트지지레일(231)에 삽입하고, 좌우측 콘센트지지바(232) 사이에 콘센트(2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콘센트지지바(232)에 나사(도시생략)를 관통시켜 콘센트(220)의 양측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콘센트(22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스위치가 스위치박스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8은 스위치가 스위치박스에서 추출된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9는 스위치박스와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치장치(300)는 벽체(W)에 매설되는 스위치박스(310)와, 스위치박스(310)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320)를 포함한다.
스위치박스(310)는 공동주택을 건설할 때 벽체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한 상태에서 벽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320)는 전등배선(20)과 스위치배선(30)에 연결되는 단자(321)와, 스위치노브(322)를 포함한다.
스위치(320)를 스위치박스(310)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스위치지지수단(330)이 구비된다.
스위치지지수단(330)은 스위치박스(310)의 양측판에 구비되는 상하 한 쌍의 스위치지지레일(331)과, 스위치(32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하 한 쌍의 스위치지지레일(33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스위치지지바(332)를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지지레일(331)의 전단에는 걸림턱(333)이 구비되고, 스위치지지바(332)의 후단에는 걸림턱(333)에 걸리는 걸림돌기(334)가 형성되어 스위치(320)가 스위치박스(31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게 구성된다.
좌우측 스위치지지바(332)는 스위치지지레일(331)에 삽입하고, 좌우측 스위치지지바(332) 사이에 스위치(3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지지바(332)에 나사(도시생략)를 관통시켜 스위치(320)의 양측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32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콘센트화재예방수단을 보인 기능블록도이고, 도 11은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을 보인 기능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은 콘센트화재예방수단(400)과 스위치화재예방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콘센트화재예방수단(400)은 콘센트박스(210) 내에 설치되어 콘센트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콘센트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와, 콘센트박스(2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소화부(420)와, 콘센트박스(2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추출부(430)와,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콘센트소화명령과 콘센트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콘센트소화종료명령과 콘센트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콘센트제어부(440)와, 콘센트제어부(440)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콘센트통신부(450)와, 콘센트통신부(450)에서 송신되는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을 포함한다.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는 연기센서(411)와 불꽃센서(412ㅁ)로 구성될 수 있다.
콘센트소화부(420)는 콘센트박스(210)의 양측에 설치된 콘센트소화가스탱크(421)와, 콘센트소화가스탱크(421)의 소화가스(G)를 분사하는 분사밸브(422)와, 분사밸브(422)에 설치된 분사노즐(423)을 포함한다.
콘센트소화가스탱크(421)는 콘센트박스(210)의 상판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분사노즐(423)은 소화가스가 콘센트(220)의 단자와 전열배선(10)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게 설치된다.
콘센트소화가스탱크(421)에는 충전용 니플(도시생략)을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소화가스를 재충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에 의해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고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콘센트제어부(440)가 콘센트소화명령을 출력하고, 분사밸브(422)가 개방되며, 콘센트소화가스탱크(42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분사노즐(423)을 통해 단자와 전열배선(10)에 분사되어 불꽃을 제거하여 화재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콘센트추출부(430)는 콘센트박스(210)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431)와, 솔레노이드(43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콘센트(2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작동봉(432)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431)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432)이 전진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432)이 후퇴하는 형식이 사용된다.
콘센트박스(210)의 하판에는 솔레노이드(431)를 장착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장착편(433)이 연장 형성된다.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콘센트제어부(440)가 콘센트추출명령을 출력하고, 솔레노이드(43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봉(432)이 솔레노이드(431)에서 돌출되어 전방으로 전진하며, 작동봉(432)의 전단에 결합된 콘센트(220)가 콘센트박스(210)로부터 추출위치로 추출된다.
콘센트(220)가 추출되면 콘센트박스(210)와 콘센트(22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콘센트장치(200)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연기가 제거되고, 열을 식힐 수 있게 된다.
콘센트제어부(440)와 콘센트통신부(450)는 모듈화하여 콘센트박스(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콘센트제어부(440)와 콘센트통신부(450)가 스위치박스(310)의 상판 하면에 설치되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콘센트통신부(450)와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은 무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은 콘센트통신부(450)로부터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콘센트통신부(450)와의 통신은 통상적인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콘센트제어부(440)가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콘센트통신부(450)가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며,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에 화재징후알림화면이 표시된다.
세대원과 관리자는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에 표시된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통해 전기계통에 화재징후가 있음을 확인하고, 전기계통의 보수계획과 보수작업을 진행하여 전기계통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410)에서 화재징후가 감지되지 않으면, 콘센트제어부(440)가 콘센트소화종료명령과 콘센트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콘센트소화종료명령에 따라 분사밸브(422)가 폐쇄되고 소화가스의 분사가 종료되며, 콘센트복원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431)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봉(432)이 후퇴하며, 작동봉(432)의 전단에 결합된 콘센트(220)가 콘센트박스(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복원된다.
스위치화재예방수단(500)은 스위치박스(310) 내에 설치되어 스위치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스위치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와, 스위치박스(310)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소화부(520)와, 스위치박스(310)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추출부(530)와,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스위치소화명령과 스위치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스위치소화종료명령과 스위치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540)와, 스위치제어부(540)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통신부(550)와, 스위치통신부(550)에서 송신되는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을 포함한다.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는 연기센서(511)와 불꽃센서(512)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소화부(520)는 스위치박스(310)의 양측에 설치된 스위치소화가스탱크(521)와, 스위치소화가스탱크(521)의 소화가스(G)를 분사하는 분사밸브(522)와, 분사밸브(522)에 설치된 분사노즐(523)을 포함한다.
스위치소화가스탱크(521)는 스위치박스(310)의 상판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분사노즐(523)은 소화가스가 스위치(320)의 단자와 전열배선(10)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게 설치된다.
스위치소화가스탱크(5211)에는 충전용 니플(도시생략)을 설치하여 정기적으로 소화가스를 재충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에 의해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고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제어부(540)가 스위치소화명령을 출력하고, 분사밸브(522)가 개방되며, 스위치소화가스탱크(521)에 저장된 소화가스가 분사노즐(523)을 통해 단자와 전등배선(20) 및 스위치배선(30)에 분사되어 불꽃을 제거하여 화재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스위치추출부(530)는 스위치박스(310)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531)와, 솔레노이드(53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스위치(320)의 후면에 결합되는 작동봉(532)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531)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532)이 전진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532)이 후퇴하는 형식이 사용된다.
스위치박스(310)의 하판에는 솔레노이드(531)를 장착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장착편(533)이 연장 형성된다.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제어부(540)가 스위치추출명령을 출력하고, 솔레노이드(53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봉(532)이 솔레노이드(531)에서 돌출되어 전방으로 전진하며, 작동봉(532)의 전단에 결합된 스위치(320)가 스위치박스(310)로부터 추출위치로 추출된다.
스위치(320)가 추출되면 스위치박스(310)와 스위치(320)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스위치장치(300)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연기가 제거되고, 열을 식힐 수 있게 된다.
스위치제어부(540)와 스위치통신부(550)는 모듈화하여 스위치박스(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스위치제어부(540)와 스위치통신부(550)가 스위치박스(310)의 상판 하면에 설치되었으나,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스위치통신부(550)와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은 무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은 스위치통신부(550)로부터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스위치통신부(550)와의 통신은 통상적인 스마트폰의 기능을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은 콘센트화재예방수단(400)과 스위치화재예방수단(500)에 공용으로 사용된다.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제어부(540)가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스위치통신부(550)가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며,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에 화재징후알림화면이 표시된다.
세대원과 관리자는 세대원단말(460)과 관리자단말(470)에 표시된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통해 전기계통에 화재징후가 있음을 확인하고, 전기계통의 보수계획과 보수작업을 진행하여 전기계통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510)에서 화재징후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위치제어부(540)가 스위치소화종료명령과 스위치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스위치소화종료명령에 따라 분사밸브(522)가 폐쇄되고 소화가스의 분사가 종료되며, 스위치복원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531)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봉(532)이 후퇴하며, 작동봉(532)의 전단에 결합된 스위치(320)가 스위치박스(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복원된다.
또한 콘센트화재예방수단(400)과 스위치화재예방수단(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611, 621)를 포함하는 전원장치(610, 62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611, 621)는 콘센트(220)와 스위치(320)에 연결되는 전열배선(10)으로부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하는 충전회로(도시생략)에 의해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나, 정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태양전지(612, 622)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은 화재확산방지수단(100)에 의해 화재가 전열배선(10)과 전등배선(20)과 스위치배선(30)의 절연피복을 따라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콘센트장치(200)와 스위치장치(300)의 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소화제를 분사하여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콘센트(220)와 스위치(320)를 추출하여 콘센트장치(200)와 스위치장치(300)의 내부를 환기시켜 연기를 제거하고 열을 식혀줌으로써 공동주택의 전기 계통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전열배선 20 : 전등배선
30 : 스위치배선 40 : 절연관
100 : 화재확산방지수단 110 : 연결관
120 : 차폐제 200 : 콘센트장치
210 : 콘센트박스 220 : 콘센트
230 : 콘센트지지수단 300 : 스위치장치
310 : 스위치박스 320 : 스위치
330 : 스위치지지수단 400 : 콘센트화재예방수단
410 :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 420 : 콘센트소화부
430 : 콘센트추출부 440 : 콘센트제어부
450 : 콘센트통신부 460 : 세대원단말
470 : 관리자단말 500 : 스위치화재예방수단
510 :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 520 : 스위치소화부
530 : 스위치추출부 540 : 스위치제어부
550 : 스위치통신부

Claims (1)

  1.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며, 매설관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과,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전등과, 매설관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인접하는 매설관의 말단을 연결하며 매설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내부에 충전되는 차폐제를 포함하는 화재확산방지수단과; 벽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와, 콘센트박스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콘센트장치와; 벽체에 매설되는 스위치박스와, 스위치박스에 삽입위치와 추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는 공지의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박스 내에 설치되어 콘센트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콘센트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와, 콘센트박스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소화부와,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콘센트소화명령과 콘센트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콘센트소화종료명령과 콘센트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콘센트제어부와, 콘센트제어부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콘센트통신부를 포함하는 콘센트화재예방수단; 및
    스위치박스 내에 설치되어 스위치화재징후를 감지하여 스위치화재징후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와, 스위치박스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소화부와,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의 화재징후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스위치소화명령과 스위치추출명령 및 화재징후알림명령을 출력하고,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스위치소화종료명령과 스위치복원명령 및 화재징후소멸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스위치제어부의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스위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센트통신부와 스위치통신부에서 송신되는 화재징후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징후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과 관리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콘센트화재예방수단은 콘센트박스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콘센트의 후면에 결합되는 작동봉을 구비한 콘센트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콘센트화재징후감지부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콘센트제어부가 콘센트추출명령을 출력하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봉이 솔레노이드에서 돌출되어 전방으로 전진하며, 작동봉의 전단에 결합된 콘센트가 콘센트박스로부터 추출위치로 추출되고, 콘센트가 추출되면 콘센트박스와 콘센트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콘센트장치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연기가 제거되고, 열을 식힐 수 있게 되며,
    스위치화재예방수단은 스위치박스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스위치의 후면에 결합되는 작동봉을 구비한 스위치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스위치화재징후감지부에 의해 화재징후가 감지되어 화재징후알림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제어부가 스위치추출명령을 출력하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봉이 솔레노이드에서 돌출되어 전방으로 전진하며, 작동봉의 전단에 결합된 스위치가 스위치박스로부터 추출위치로 추출되고, 스위치가 추출되면 스위치박스와 스위치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스위치장치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연기가 제거되고, 열을 식힐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0220041014A 2022-04-01 2022-04-01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48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14A KR102488810B1 (ko) 2022-04-01 2022-04-01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14A KR102488810B1 (ko) 2022-04-01 2022-04-01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810B1 true KR102488810B1 (ko) 2023-01-17

Family

ID=8511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014A KR102488810B1 (ko) 2022-04-01 2022-04-01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1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50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KR101267473B1 (ko) 2011-09-01 2013-05-31 박정철 화재감지기
KR101412624B1 (ko) 2014-04-22 2014-06-30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화재수신기
KR101736048B1 (ko) 2015-06-11 2017-05-16 주식회사 반석이레기술단 주택용 화재감지기
KR101979756B1 (ko) * 2019-03-05 2019-05-17 조성용 소방 점검 시스템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336117B1 (ko) 2021-03-02 2021-12-07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화재 감지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장치
KR102363667B1 (ko) 2021-03-03 2022-02-16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50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용 전선의 배선안내 절연관
KR101267473B1 (ko) 2011-09-01 2013-05-31 박정철 화재감지기
KR101412624B1 (ko) 2014-04-22 2014-06-30 주식회사 하이맥스 화재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화재수신기
KR101736048B1 (ko) 2015-06-11 2017-05-16 주식회사 반석이레기술단 주택용 화재감지기
KR101979756B1 (ko) * 2019-03-05 2019-05-17 조성용 소방 점검 시스템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336117B1 (ko) 2021-03-02 2021-12-07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화재 감지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전기장치
KR102363667B1 (ko) 2021-03-03 2022-02-16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배전반 안전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CN109701182B (zh) 基于三取二模式的新型柔性直流换流变消防灭火系统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5795247B2 (ja) 電気設備火災抑制装置
KR101064867B1 (ko)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US10170218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US805462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ealed for life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US10607751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CN102553107B (zh) 一种电力隧道消防系统的设置方法
CN10989381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火灾自动报警系统
US8084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e protection of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399329Y1 (ko)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KR10248881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0936741B1 (ko) 부스 덕트시스템의 불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US11295874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CN112865026A (zh) 一种自动消防安全的智能配电方法及系统
KR20170122496A (ko)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KR102289496B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스마트 접속반
CN110011267A (zh) 一种低压电气线路故障电弧监测装置
US11728633B2 (en) Ignition suppression circuiting technology
KR102409907B1 (ko) IoT 기반 통합관리 및 대처 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CN213912075U (zh) 一种被动触发式储能装置消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