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496A -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496A
KR20170122496A KR1020160051532A KR20160051532A KR20170122496A KR 20170122496 A KR20170122496 A KR 20170122496A KR 1020160051532 A KR1020160051532 A KR 1020160051532A KR 20160051532 A KR20160051532 A KR 20160051532A KR 20170122496 A KR20170122496 A KR 20170122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hot
temperature
ho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4071B1 (ko
Inventor
오형재
Original Assignee
오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형재 filed Critical 오형재
Priority to KR102016005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16L53/001
    • F16L53/0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시설의 동파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열선의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선을 설치하는 경우 열선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력제어장치는 열선의 목표 온도값에 따라서 일정하게 정온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온도가 저하되면 저항 값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서 열선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증가하게 되어 전력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한파발생시 급격한 기온 저하로 인하여 과전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제어장치의 전력소자 이상 발생으로 제어 불가능 상태가 되면서 배관이 동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시간 내에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전류 값을 제어한 후 정전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목표 전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열선의 길이에 대한 정확한 소비 전력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그리고 본 발명은 열선 이상 시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판단수단을 구성하여 초기 전원 투입 시 열선 쇼트 상태 및 전력소자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HEATING CABLE OF FIRE PROTECTION PIPING}
본 발명은 소방 시설의 동파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열선의 전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방밸브, 배관 등의 소방시설에 설치된 정온 열선의 길이에 대한 소비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축물 에는 화재의 발생에 대비할 수 있도록 옥내 소화전과 같은 소방 설비가 설치되도록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종래 소화전의 구조를 살펴보면 수원(水源)에서 공급되는 물이 가압 송수 펌프를 거쳐 옥내 소화전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소화전에는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소화용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된 소방호스를 비롯한 비상벨, 표시등 및 기동 램프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화전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건물의 옥상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소방배관을 통해 소방용수를 공급받아 화재진화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방설비는 겨울철 한파에 의해 특히 소방배관 내의 소방용수가 결빙되어 동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하기 위하여 종래 소화전은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소방배관의 외주면에 보온재를 감아놓거나 옥내 소화전에 제각기 연결되는 소방배관 내부의 물을 사전에 빼두어 동파를 방지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근래에는 소방밸브, 소방배관 등에 열선을 설치하여 동파를 방지하였다.
이와 같은 열선을 설치하는 경우 열선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력제어장치는 열선의 목표 온도값에 따라서 일정하게 정온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온도가 저하되면 저항 값이 변화되고 이에 따라서 열선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증가하게 되어 전력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한파발생시 급격한 기온 저하로 인하여 과전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력제어장치의 전력소자 이상 발생으로 제어 불가능 상태가 되면서 배관이 동파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 전력제어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정한 시간(예; 10분) 동안 일정하게 위상각을 증가시키는 일명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방식으로 제어 프로세스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프트 스타트 제어방식은 승온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서 발열시간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배관 온도가 설정값에서 벗어나서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기온에 따른 변화량 계산이 어려워서 열선 저항 변화가 발생할 경우, 즉, 상온에서는 일정한 위상각을 설정하지만, 한파발생 시 상기에서와 같이 과전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전력소자, 휴즈, 메인차단기 등의 이상 발생으로 인하여 열선이 동작하지 않게 되면서 배관이 동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열선은 배관 및 전력제어장치에 설치작업에 오류(;short)가 발생될 경우 치명적인 손상(전력소자의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열선은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배관에 결선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써 열선 시공 후 전압인가 시 빈번하게 사고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소한의 시간 내에 목표 온도에 이르도록 전류 값을 제어한 후 정전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목표 전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열선의 길이에 대한 정확한 소비 전력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선 이상 시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판단수단을 구성하여 초기 전원 투입 시 열선 쇼트 상태 및 전력소자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작 상태에서 과전류, 과온, 입력신호 이상을 진단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소방 설비 시설에 구비되는 소방배관에 설치된 열선과,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력제어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과, 열선이 연결되며 열선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와,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전력제어장치로 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모니터하여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제공 및 중앙제어시스템으로 부터 제공된 열선정보 또는 제어정보에 따라서 전력제어장치를 제어 관리하는 메인제어수단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수단, 전력제어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각 식별정보 단위로 열선정보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각 전력제어장치의 열선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중앙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제어장치는 열선이 연결되는 열선단자부와,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단과, 전원연결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열선단자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열선진단 수행, 열선정보 및 열선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조작수단과, 사용자의 열선정보 설정수행 및 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제공된 온도정보, 열선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그 제어정보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 및 메인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전력제어수단과, 메인제어수단과의 통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수단과, 현재 열선의 동작상태 및 열선정보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열선정보를 각 전력제어장치에 설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저항 값을 달리하는 열선의 길이에 따라서 목표한 온도에 따른 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빠른 시간 내에 목표한 온도에 이르도록 최소한의 시간 내에 전류를 증가시키고 목표 온도가 되면 해당 온도에서 정전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부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열선길이에 따른 정확한 소비전력 예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공 완료 후 시공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방배관의 열선 제어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소방배관의 열선 제어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력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 설비 시설에 구비되는 소방배관에 설치된 열선(100)과,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력제어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200)과, 열선(100)이 연결되며 열선(100)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300)와,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장치(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전력제어장치(300)로 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모니터하여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제공 및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부터 제공된 열선정보 또는 제어정보에 따라서 전력제어장치(300)를 제어 관리하는 메인제어수단(5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수단(500), 전력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각 식별정보 단위로 열선정보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열선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제어장치(300)는 열선이 연결되는 열선단자부(310)와,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단(320)과, 전원연결단(3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열선단자부(310)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330)과,
열선진단 수행, 열선정보 및 열선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조작수단(340)과, 사용자의 열선정보 설정수행 및 온도감지수단(200)으로 부터 제공된 온도정보, 열선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그 제어정보를 표시알람수단(370)을 통해 표시 및 메인제어수단(500)으로 제공하는 전력제어수단(350)과, 메인제어수단(500)과의 통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수단(360)과, 현재 열선의 동작상태 및 열선정보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알람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은, (a). 열선의 길이에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설정온도에 이를 수 전류 값을 제어하고 이후 정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예측 가능하게 열선의 전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b). 열선 이상 시공 이상여부를 판단하며, 또한 동작 상태에서도 과전류, 과온, 입력신호 이상 등을 검출하고,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제어장치(300)는 각 소방 설비 시설 근방에 설치되는 수단으로 소방시설 배관에 설치된 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전력제어장치(300)는 일단에 전원단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단(320)이 구성되고, 그 타단으로 열선(100)이 연결되는 열선단자부(310)가 구성된다.
상기 열선단자부(310)는 하나 이상 여러 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 배관에 설치된 열선(100) 여러 개를 하나의 전력제어장치(300)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열선(100) 하나 이상 구성될 경우에 이에 맞춰서 전원공급수단(33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330)은 전력제어수단(350)의 제어에 따라서 스위칭하여 전원연결단(3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열선단자부(310)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제어수단(350)은 내부에 저장된 열선정보에 따라서 열선단자부(310)에 연결된 열선(100)의 전력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부터 제공받은 열선정보 또는 사용자조작수단(340)을 통해 입력된 열선정보를 설정, 등록 관리하는 열선정보관리수단(351)과, 열선정보관리수단(351)을 통해 설정된 열선정보로 부터 각 열선단자부(310)에 연결된 열선(100)의 전력량을 산출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350)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원공급제어수단(352), 최초 전원 투입 시 열선(100)의 시공 상태 및 열선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열선진단수단(353)과. 열선진단수단(353)의 검사결과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 및 경보수단을 통해 이상 여부를 알리는 표시알람제어수단(3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352)은 열선의 길이에 따른 전력, 정격전류 값 정보 값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며, 최소 설정시간(예:10초) 내에 급격하게 목표 설정 온도에 이르도록 전류 값을 제어하는 단계, 목표 온도가 되면 상기한 전류 값을 유지하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의 정전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표 1은 열선의 길이에 따른 소비전력, 정격전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사용자조작수단(340)은 전력공급스위치, 열선정보 입력 및 수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알람수단(370)은 현재 열선(100)의 동작상태 및 열선정보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현재 열선(100)의 부하설정량, 부하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전력제어장치(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소방 설비에 전력제어장치(300)가 구성되며, 각 전력제어장치(300)는 그룹단위로 메인제어장치(500)가 관리하도록 구성하고, 하나 이상의 중앙제어시스템(400)에서 상기 메인제어장치(500)로 구성된다.
소방 설비의 개수 및 시설 규모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에서 각 전력제어장치(300)를 관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전력제어장치(300)는 최초 시공 시 열선이 올바르게 시공 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는 열선진단수단(353)을 포함한다.
최초 전원이 공급되면 전력제어수단(350)에서는 열선(100) 및 전원공급수단(33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표시알람제어수단(354)을 통해 알리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서 열선진단을 선택하여 열선(100)의 시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최초 전원 공급 시 또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열선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원공급수단(330)으로 신호전류를 보내 열선이 올바르게 시공이 되었는 지, 전원공급수단(330)의 전력소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열선(100) 및 전력소자의 이상이 없는 경우 사용자조작수단(340)을 통해 열선정보를 설정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 설정할 수 있는 열선정보는 열선(100)의 길이정보를 포함하며, 열선(100)의 동작 온도를 설정하도록 열선동작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력제어장치(300)의 전력제어수단(350)에서는 메인제어수단(500)과의 통신을 통해 시공완료 상태를 메인제어수단(500)을 알리게 되며 메인제어수단(500)에서는 각 네트워크 연결된 전력제어장치(300)의 상태정보를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에서는 메인제어수단(500),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각 식별정보 단위로 열선정보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관리자는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열선정보를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전력제어장치(300)의 전력제어수단(350)에서는 온도감지수단(200)으로 부터 배관의 주위온도를 확인하고 설정된 온도에 이르면 열선정보관리수단(351)에 의해 설정된 배관의 열선정보를 확인하여 열선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서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여 열선을 가열시킨다.
이때 전원공급제어수단(352)에서는 정전류 프로세스에 따라서 정해진 시간 내에 열선의 전력을 증가시키고 그 이후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도 4는 전원공급제어수단(352)에서의 전원공급수단(330)의 정전류 제어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시간 설정 값(10초) 내에 목표설정 온도에 이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 목표 설정 온도에 이르면 상기 단계에서의 전류를 유지하는 정전류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즉 설정된 시간 10초까지 전류량을 증가시키고 10초 이후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전류를 수행하는 이유는 외부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열선(100)의 길이에 따라서 소비전력의 계산(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초 이내에 목표 전달 값에 도달하면서 정상 발열되고, 이후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선이 동작되면 전력제어수단(350)의 열선진단수단(353)에서는 열선의 동작상태 즉, 과전류, 과온, 입력신호이상 및 퓨즈, 전력소자 이상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메인제어수단으로 제공한다.
메인제어수단(500)에서는 각 전력제어장치(300)로 부터 수집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전송하여 최종 관리되도록 한다.
중앙제어시스템(400)은 각 메인제어수단(500)으로 부터 수집되는 전력제어장치(300)의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여부에 따라서 표시 및 알람을 발생시켜 관리자가 관리 가능하도록 한다.
중앙제어시스템(400)은 설치된 전력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 각 식별정보 별로 각 전력제어장치(300)가 담당하는 배관의 열선정보가 관리된다.
상기 열선정보는 각 배관의 위치정보, 배관에 설치된 열선의 길이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설치시공 및 관리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서 중앙제어시스템에서 각 전력제어장치의 열선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은 전력제어장치(300)를 통해 열선정보를 설정 또는 중앙제어시스템(400)에서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열선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력제어장치(300)를 메인제어수단(500)으로 그룹 관리 구성하지 않고,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에서 각 전력제어장치(300)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소방 설비 시설에 구비되는 소방배관에 설치된 열선(100)과,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력제어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200)과, 열선(100)이 연결되며 열선(100)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300)와,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장치(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 전력제어장치(300)로 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모니터하여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제공 및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부터 제공된 열선정보 또는 제어정보에 따라서 전력제어장치(300)를 제어 관리하는 메인제어수단(5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수단(500), 전력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각 식별정보 단위로 열선정보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열선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제어장치(300)는 열선이 연결되는 열선단자부(310)와,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단(320)과, 전원연결단(3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열선단자부(310)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330)과, 열선진단 수행, 열선정보 및 열선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조작수단(340)과, 사용자의 열선정보 설정수행 및 온도감지수단(200)으로 부터 제공된 온도정보, 열선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그 제어정보를 표시알람수단(370)을 통해 표시 및 메인제어수단(500)으로 제공하는 전력제어수단(350)과, 메인제어수단(500)과의 통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수단(360)과, 현재 열선의 동작상태 및 열선정보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알람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2. 소방 설비 시설에 구비되는 소방배관에 설치된 열선(100)과,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력제어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200)과, 열선(100)이 연결되며 열선(100)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장치(3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각 식별정보 단위로 열선정보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각 전력제어장치(300)의 열선정보를 설정 및 관리하는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제어장치(300)는 열선이 연결되는 열선단자부(310)와,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단(320)과, 전원연결단(3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열선단자부(310)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330)과, 열선진단 수행, 열선정보 및 열선을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조작수단(340)과, 사용자의 열선정보 설정수행 및 온도감지수단(200)으로 부터 제공된 온도정보, 열선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330)을 제어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그 제어정보를 표시알람수단(370)을 통해 표시 및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제공하는 전력제어수단(350)과, 중앙제어시스템(400)과의 통신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수단(360)과, 현재 열선의 동작상태 및 열선정보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알람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단자부(310)는 하나 이상 여러 개 구성될 수 있으며, 열선단자부(310)에 개수에 대응하여 전원공급수단(33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수단(350)은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으로 부터 제공받은 열선정보 또는 사용자조작수단(340)을 통해 입력된 열선정보를 설정, 등록 관리하는 열선정보관리수단(351)과, 열선정보관리수단(351)을 통해 설정된 열선정보로 부터 각 열선단자부(310)에 연결된 열선(100)의 전력량을 산출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330)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원공급제어수단(352), 최초 전원 투입 시 열선(100)의 시공 상태 및 열선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열선진단수단(353)과. 열선진단수단(353)의 검사결과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 및 경보수단을 통해 이상 여부를 알리는 표시알람제어수단(3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수단(352)은 최소 시간 설정값 내에 목표설정 온도에 이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 목표 설정 온도에 이르면 상기 단계에서의 전류를 유지하는 정전류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수단(330)의 정전류프로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정보는 열선(100)의 길이정보를 포함하며, 열선(100)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도록 열선동작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시스템(400)의 상기 열선정보는 각 배관의 위치정보, 배관에 설치된 열선의 길이정보 및 설치시공, 관리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20160051532A 2016-04-27 2016-04-27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83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32A KR101834071B1 (ko) 2016-04-27 2016-04-27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32A KR101834071B1 (ko) 2016-04-27 2016-04-27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96A true KR20170122496A (ko) 2017-11-06
KR101834071B1 KR101834071B1 (ko) 2018-03-02

Family

ID=6038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32A KR101834071B1 (ko) 2016-04-27 2016-04-27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09A (ko) * 2021-08-25 2023-03-06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624B1 (ko) * 2022-01-28 2024-05-27 주식회사 에스코프 히트 트레이싱 시스템
KR102614308B1 (ko) * 2023-03-29 2023-12-18 주식회사 스마일내진 동파 방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비 및 소화배관의 화재 발생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226A (ja) * 1998-07-16 2000-02-02 Hiroshi Sakurai 速温発熱装置とその制御法
KR200459969Y1 (ko) * 2009-10-09 2012-04-25 윤선화 열선 접속박스
KR101465144B1 (ko) * 2014-05-30 2014-11-28 이재준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309A (ko) * 2021-08-25 2023-03-06 지엔에스엠 주식회사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071B1 (ko)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0377A1 (en) Fluid control assemblies for sprinkler systems
US20170131117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US200602727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luid consumption
JP6577780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20160010896A (ko)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96639C (en) Equipment for the remote control of fire extinguishers and/or hydrants
KR101456428B1 (ko)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101607666B1 (ko)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KR101834071B1 (ko)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291717B1 (ko)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20140050408A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77418B1 (ko) IoT 배관 동파 방지 열선제어기
KR101286956B1 (ko) 수계설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20080101979A (ko) 온도감시 경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KR10248881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531692B1 (ko)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KR20080007929A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US104063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vercurrent protection in a fire pump control system
CN106227273A (zh) 一种机房环境的远程监控系统
KR20160108902A (ko) 3상 교류 전기기기의 유/무선 제어시스템
KR20240122056A (ko) 소방 시설 중 배관 시설의 구조 및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
EP2889632B1 (en) Apparatus to disconnect and restore a secondary electric power network
KR102428233B1 (ko)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