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33B1 -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33B1
KR102428233B1 KR1020190164332A KR20190164332A KR102428233B1 KR 102428233 B1 KR102428233 B1 KR 102428233B1 KR 1020190164332 A KR1020190164332 A KR 1020190164332A KR 20190164332 A KR20190164332 A KR 20190164332A KR 102428233 B1 KR102428233 B1 KR 10242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outdoor temperature
tunnel
reference temperatur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751A (ko
Inventor
조행훈
Original Assignee
조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행훈 filed Critical 조행훈
Priority to KR102019016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에 설치된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함에 있어서 외기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장비 운행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에 설치되어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 방지 장치에 있어서, 터널에 설치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급수부; 급수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 급수관 중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 위치하는 급수관 일 측면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외기 온도에 대응하는 외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절전 제어부; 및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간별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히팅수단에 인가되는 히팅 전력을 비례적으로 출력하는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ANTI- FREEZING APPARATUS OF FIRE WATER IN TUNNEL AND ANTI- FREEZ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급수관의 동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동파 및 결빙 방지 장치는 단순하게 검출되는 현재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스위칭 소자 내지 회로가 상기 정온 전선으로 전원을 도통시키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마그네트 방식 또는 초기 전류만 제어하는 전력 제어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파 및 결빙 방지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검출되는 현재 온도가 높아져도 설정 온도까지 계속하여 동작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의 연 기온을 고려할 때 섭씨 5 도 이하인 일 수는 연간 100 일 정도에 불과하다. 실제 기상청 정보를 토대로 하면, 2014년 1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섭씨 5 도 이하인 날짜는 총 102일에 불과하였다. 섭씨 5 도 이하인 102일도 그 기온은 제각각 일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동파 방지를 위한 히팅 시스템은 그 기온에 상관없이 히팅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력을 100 % 출력하고 있다. 전력은 미터당 20 W로 5000 m 가 적용된 열선 기준으로 약 100 KW이며, 이 경우 총 102일 동안 대략적인 전기료는 100 KW * 24 시간 * 102 일 * 100원(공용부 전기요금) = 24,480,000 원 정도가 나온다.
종래 동파 방지를 위한 히팅 시스템은 동파 방지라는 목적에 맞지 않게 과도하게 전력을 소비해왔고 기상에 무관하게 출력을 100 % 할당하는 이러한 히팅 시스템은 에너지 낭비의 주범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이러한 히팅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구조물 중에 터널은 대표적으로 전력 에너지 낭비가 심한 곳이다. 종래 터널은 구조물 특성상 화재 등을 대비한 급수 시설이 언제나 가동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에너지 낭비를 감수하고 히팅 시스템을 운용한 측면도 있었지만, 터널 구조물의 급수 설비가 동파되지 않으면서도 에너지 절약이 가능할 수 있다면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은 충분히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터널에 설치된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함에 있어서 외기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외기 온도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온도센서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절전과 동시에 동파 방지를 완벽히 수행할 수 있는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대한민국 겨울철 상시 온도 변화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단계별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에 설치되어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 방지 장치에 있어서, 터널에 설치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급수부; 급수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 급수관 중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 위치하는 급수관 일 측면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외기 온도에 대응하는 외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절전 제어부; 및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간별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히팅수단에 인가되는 히팅 전력을 비례적으로 출력하는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는 외기 온도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테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절전 제어부가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 측의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0); 및 전력 제어기가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에 히팅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는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은,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 이전에, 센서 테스트부가 외기 온도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고,
절전 제어부는 외기 온도센서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 및 전력 인가단계(S110)를 수행하고, 그리고 절전 제어부는 외기 온도센서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기 설정된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전력 제어기는 기 설정된 출력신호에 기반하여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S110)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에서, 절전 제어부는,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출력 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에서 제2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2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2 기준온도에서 제3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4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3 기준온도에서 제4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6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4 기준온도에서 제5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8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5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출력 10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에 설치된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함에 있어서 외기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장비 운행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외기 온도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온도센서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절전과 동시에 동파 방지를 완벽히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겨울철 상시 온도 변화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단계별 전력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표기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터널(T)에 설치되어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 방지 장치로서, 터널에 설치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급수부(1); 급수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2); 급수관 중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 위치하는 급수관 일 측면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3); 외기 온도에 대응하는 외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절전 제어부(4); 및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간별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히팅수단(2)에 인가되는 히팅 전력을 비례적으로 출력하는 전력 제어기(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센서 테스트부(6)를 더 포함하여 외기 온도센서(3)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급수부(1)는 저수조(7)로부터 소화수가 공급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서 분기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급수관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급수관 및 소화전(11)은 화재 등의 긴급상황을 대비하여 소화수가 충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충되는 소화수는 저수조(7)에서 모터 등을 이용하여 급수관을 통해 소화전(11)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급수부(1)는 터널(T)이라는 동파 취약지에 설치될 경우 히팅수단(2)이 그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동계절에 발생 가능한 급수부(1)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히팅수단(2)은 급수관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데 변형예로서 소화전(11)에 별도로 히팅수단(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히팅수단(2)은 정온전선(heating cable) 또는 정전력히터열선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배관의 경우 국부 가열이 가능한 메탈히터(metal heater)로 구비될 수도 있다.
외기 온도센서(3)는 급수관 중 터널(T)의 입구 또는 출구에 위치하는 급수관 일 측면에 장착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기 온도센서(3)는 온도에 따라 전기특성이 변화하는 것에 기반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면 이용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백금을 이용한 PT100Ω온도센서를 사용하였다. 외기 온도센서(3)는 실제 급수부(1)가 위치한 상황에서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고 동파 가능 지구 중 제일 취약한 곳인 터널(T) 입구 또는 출구에 설치된다.
이러한 외기 온도센서(3)는 온도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선이 길어지는 경우 실제와 다른 온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신호선은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2 이상의 외기 온도센서(3)를 입구 및 출구에 각 설치하거나 이에 더해 소화전(11)마다 외기 온도센서(3)를 설치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 외기 온도센서(3)의 외기 온도 정보를 절전 제어부(4) 또는 센서 테스트부(6)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외기 온도센서(3)를 취약지구 별로 다수 설치하는 경우 다수의 외기 온도센서(3)로부터 전송된 외기 온도 정보들을 비교하여 최저 온도를 하기 절전 제어부(4)가 이용하는 기준온도로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외기 온도센서(3)들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외기 온도센서(3) 정상작동 여부 판단은 센서 테스트부(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단선 또는 합선에 기한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다수의 외기 온도센서(3)를 설치한 경우 외기 온도 정보들의 상대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값의 크기는 최초 설정 시 설정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전력 제어기(5) 및 절전 제어부(4)를 수납하는 외부 판넬을 통해, 또는/그리고 터널 관리 센터 등에 경보등 또는 경보음이 발하도록 구성된다.
절전 제어부(4)는 외기 온도에 대응하는 외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력 제어기(5)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전 제어부(4)는 터널(T)의 입구 또는 출구 측의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며, 구간별 출력신호는 전력 제어기(5)의 히팅 전력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간별 출력신호는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출력 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에서 제2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2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2 기준온도에서 제3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4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3 기준온도에서 제4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6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4 기준온도에서 제5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8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5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출력 10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0%, 출력 20%, 출력 40%, 출력 60%, 출력 80% 및 출력 100%에 각기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는 전력 제어기가 히팅수단(2)에 인가하는 최대전력 대비 히팅전력의 비율을 의미한다.
총 6단계 동작온도 및 출력 표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스텝 1은 제5 기준온도인 -15 ℃ 이하이며, 스텝 2는 제4 기준온도인 -10 ℃ 이하, 스텝 3는 제3 기준온도인 -7 ℃ 이하, 스텝 4는 제2 기준온도인 -5 ℃ 이하, 스텝 5는 제1 기준온도인 +3 ℃ 이하를 의미하며 스텝 6은 3 ℃ 초과 온도를 의미한다. 각각의 기준온도는 각 스텝에서 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스텝 6과 스텝 5의 기준온도인 +3 ℃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스텝 대비 구간별 출력신호는 손실 열량에 비례하도록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손실 열량은, 유지하고자 하는 유지온도(maintenance temperature)와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최저온도(minimum temperature)의 차이에 비례하고, 보온재 외경과 배관 외경의 로그 비율값의 역수와 보온재 외경의 역수의 합과 반비례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절전 제어부(4)는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 작동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시 기 설정 출력으로 히팅수단(2)을 자동 운전하도록 구성하였다.
전력 제어기(5)는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간별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히팅수단(2)에 인가되는 히팅 전력을 비례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력 제어기(5)는 전력조정기(TPR, Thyristor Power Regualator)가 이용될 수 있는데, 소프트 스타트기능으로 초기 전류를 안정화할 수 있고 히팅 케이블의 사용 길이를 연장 가능하다. 병렬 방식으로 최대 240 m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ELB Trip, 과전류, 방열판 과열에 대한 경보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경보 발생 시 알람 출력 및 자동 복귀가 가능하다.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
이하 전술한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를 이용한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절전 제어부(4)가 터널(T)의 입구 또는 출구 측의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고(S100), 이후 전력 제어기(5)가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급수관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2)에 히팅 전력을 인가함으로써(S110)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은,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 이전에, 센서 테스트부(6)가 외기 온도센서(3)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기 온도센서 정상작동 판단 단계(S50)와 하기의 기 설정된 출력신호 전송단계(S200) 사이에는 경보광 또는 경보음을 통해 외기 온도센서(3)의 작동불량상태를 알리는 경보단계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후에, 절전 제어부(4)는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 및 전력 인가단계(S110)를 수행하고, 그리고 절전 제어부(4)는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기 설정된 출력신호를 전송하고(S200) 전력 제어기(5)는 기 설정된 출력신호에 기반하여 히팅전력을 인가하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기 설정된 출력신호에 기반하여 히팅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주기로 외기 온도센서(3) 점검이 수행되기까지 센서 테스트부(6)는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작동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작동하면 정상작동 결과 전송받은 외기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정상 작동 여부 판단은 전술한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선 또는 합선에 기한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다수의 외기 온도센서(3)를 설치한 경우 외기 온도 정보들의 상대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값의 크기는 최초 설정 시 설정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3)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전력 제어기(5) 및 절전 제어부(4)를 수납하는 외부 판넬을 통해, 또는/그리고 터널 관리 센터 등에 경보등 또는 경보음이 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외기 온도센서(3)의 정상작동 여부는 인근 기상 관측소를 통해 측정된 외기 온도 정보를 관제센터 또는 관리센터(도시되지 않음)가 별도 외부 통신 수단을 통해 획득하고 이를 외기 온도센서(3)가 측정한 값과 동일 시각대로 비교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에서, 절전 제어부(4)는,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출력 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에서 제2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2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2 기준온도에서 제3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4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3 기준온도에서 제4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6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4 기준온도에서 제5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8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외기 온도 정보가 제5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출력 10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간별 출력신호에 대한 설명은 절전형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터널
1: 급수부
11: 소화전
2: 히팅수단
3: 외기 온도센서
4: 절전 제어부
5: 전력 제어기
6: 센서 테스트부
7: 저수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터널 소화수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센서 테스트부가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 측에 위치하는 외기 온도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절전 제어부가 상기 외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00); 및
    전력 제어기가 상기 전송된 구간별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터널에 설치된 급수관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히팅수단에 히팅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되,
    구간별 출력신호 전송단계(S100)에서, 상기 절전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출력 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1 기준온도에서 제2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2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2 기준온도에서 제3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4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3 기준온도에서 제4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6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4 기준온도에서 제5 기준온도 사이인 경우 출력 8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외기 온도 정보가 제5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출력 100%에 대응하는 구간별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되,
    상기 제1 기준온도, 제2 기준온도, 제3 기준온도, 제4 기준온도, 제5 기준온도는 순서대로 낮아지는 온도이고, 그리고
    상기 구간별 출력신호는, 손실 열량에 비례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손실 열량은 유지온도와 상기 외기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최저온도의 차이에 비례하고, 상기 급수관의 보온재 외경과 상기 급수관의 외경의 로그 비율값의 역수와 상기 보온재 외경의 역수의 합과 반비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4332A 2019-12-11 2019-12-11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KR10242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32A KR102428233B1 (ko) 2019-12-11 2019-12-11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32A KR102428233B1 (ko) 2019-12-11 2019-12-11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51A KR20210073751A (ko) 2021-06-21
KR102428233B1 true KR102428233B1 (ko) 2022-08-01

Family

ID=7659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32A KR102428233B1 (ko) 2019-12-11 2019-12-11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607666B1 (ko) * 2014-02-07 2016-03-30 송창석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KR101803685B1 (ko) * 2017-07-12 2018-01-10 조행훈 직류 메탈히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607666B1 (ko) * 2014-02-07 2016-03-30 송창석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KR101803685B1 (ko) * 2017-07-12 2018-01-10 조행훈 직류 메탈히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51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1117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KR101456428B1 (ko)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40000885A (ko) 배관파이프 동파방지용 발열장치의 원격 감시 및 작동시스템
JP6357818B2 (ja) 非常用発電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1030630B1 (ko)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150042766A (ko) 용수 배관 동결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2428233B1 (ko) 절전형 터널 소화수 동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파 방지 방법
US11434625B2 (en) Frozen pipe alert
KR102074198B1 (ko) 전력변환 무선 제어 기술을 적용한 배관용 동파방지 열선 장치
KR101286956B1 (ko) 수계설비 보호시스템 및 보호방법
KR101857663B1 (ko) IoT 결합형 열선을 이용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79206B1 (ko) 동파 방지 소방 시스템
KR101175142B1 (ko) 소화전 배관의 동파방지용 히터의 제어장치
KR102526401B1 (ko) 수질환경 보호 기능을 갖는 집합 계량기
KR101255061B1 (ko) 홈 아쿠아 그리드를 활용한 수도계량기의 동파예방시스템
KR101024408B1 (ko) 타이머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방지 및 온도유지용 발열장치 제어시스템
KR20170122496A (ko) 소방배관의 정온 열선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404540B1 (ko) 수도 계량기의 동결방지장치 및 방법
JP7261628B2 (ja) 住宅設備の制御システム及び住宅設備の制御方法
EP2889632B1 (en) Apparatus to disconnect and restore a secondary electric power network
KR20200140674A (ko) 탄소섬유발열시트 이용한 수도파이프 동파방장치
KR101535869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KR200363595Y1 (ko) 옥내 소화전 동파 방지 히팅 장치
KR20060091185A (ko)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