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458B1 -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458B1
KR102143458B1 KR1020200025999A KR20200025999A KR102143458B1 KR 102143458 B1 KR102143458 B1 KR 102143458B1 KR 1020200025999 A KR1020200025999 A KR 1020200025999A KR 20200025999 A KR20200025999 A KR 20200025999A KR 102143458 B1 KR102143458 B1 KR 10214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hole
coupl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종
Original Assignee
이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종 filed Critical 이삼종
Priority to KR102020002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노출되도록 해당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해당 공동주택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입 전선 및 해당 공동주택 내 전기 제품이나 시설의 전선 간을 연결하되, 플러그 이외의 도전체 삽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플러그 연결 시 자동 동작하는 자체 조명을 통해 야간 사용 시 또는 빛이 부족한 구석 등에 설치 시에도 플러그 연결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전기 과열 현상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 기능을 통해 전기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은 콘센트박스, 콘센트 본체, 콘센트 커버, 보호 커버부, 홀 개폐부, 홀 개폐 조작부, 조명모듈, 제어부, 온도 센싱부 및 이상 표시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Wire connection system for interior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노출되도록 해당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해당 공동주택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입 전선 및 해당 공동주택 내 전기 제품이나 시설의 전선 간을 연결하되, 플러그 이외의 도전체 삽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플러그 연결 시 자동 동작하는 자체 조명을 통해 야간 사용 시 또는 빛이 부족한 구석 등에 설치 시에도 플러그 연결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전기 과열 현상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 기능을 통해 전기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각 사용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 및 배관용 파이프(이하 “전선관”이라 함)가 필요하며, 이러한 전선들 및 전선관들은 해당 공동주택의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배선 공사 시 콘센트박스, 스위치박스, 아웃렛박스 등이 CD관 등의 전선관을 통해 연결되고, 전선관 내로 전선을 밀어 넣어 콘센트박스, 스위치박스, 아웃렛박스 등의 내부에 전선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선을 절단한 다음, 미장 작업 및 벽지, 타일 등에 의한 최종 마감 작업이 이루어져, 전선관 및 전선 등 실내 전기배선의 요소들이 벽체 내부에 매입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콘센트박스, 스위치박스 및 아웃렛박스에 콘센트, 스위치 또는 기타 전기 배선 자재들이 한쪽을 노출하는 상태로 해당 박스에 내장형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배선 구성 중 콘센트박스 및 그 콘센트에 대해 더 설명하면, 콘센트는 플러그의 전기적인 동시에 기계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연결홈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벽체 내부에 매입 설치된다.
따라서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에 대한 도전체의 삽입 및 이로 인한 감전 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며, 특히 유아의 경우 사고 및 판단 능력이 부족하여 보호자의 관심이 소홀한 틈을 타 플러그 연결홈에 도전체를 삽입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었다.
또한, 야간에 조명이 부족한 상황 내지 콘센트의 설치 위치가 빛이 잘 들지 않는 구석에 위치할 경우, 해당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에 플러그를 꽂아 연결하는 과정에서 감전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이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 연결홈에 지속적으로 묻게 되고, 이는 전기제품의 사용을 위해 해당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의 플러그 연결홈에 연결 시 스파크 발생 및 그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25793호(2019.09.26.공고), “공동주택 전기의 실내전선 배관 연결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2018327호(2019.11.05.공고), “공동주택 배전선의 전선 연결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985508호(2019.06.03.공고), “공동주택의 배전선 연결기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노출되도록 해당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해당 공동주택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입 전선 및 해당 공동주택 내 전기 제품이나 시설의 전선 간을 연결하되, 플러그 이외의 도전체 삽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플러그 연결 시 자동 동작하는 자체 조명을 통해 야간 사용 시 또는 빛이 부족한 구석 등에 설치 시에도 플러그 연결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전기 과열 현상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 기능을 통해 전기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은, 공동주택(10)의 실내(11)를 향해 노출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체(12)에 매입 설치되는 콘센트박스(100)와; 상기 콘센트 박스(100)에 내장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벽체(12)의 상기 실내(11) 쪽 벽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0)가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0)에는 복수의 반원형 제1 커버 결합홀(211)이 상기 플랜지부(210)의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200)와; 상기 콘센트 본체(200)를 상기 실내(11)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홀(310)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방홀(310)을 중심으로 사방 테두리부(320)가 상기 플랜지부(210)의 전방을 덮는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버 결합홀(2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반원형 제2 커버 결합홀(321)이 상기 테두리부(320)들의 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320) 및 플랜지부(210)를 매개로 상기 콘센트 본체(200)에 결합 시 상기 제1 커버 결합홀(211)에 대한 상기 제2 커버 결합홀(321)의 연결을 통해 원형의 커버 결합공(250)이 형성되게 하는 콘센트 커버(300)와; 상기 콘센트 커버(300)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2.5배 이상의 수평 방향 길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를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커버 본체(410) 및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기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에 대한 탈착형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면(411) 및 하면(412) 그리고 좌우 측면(413,414) 중 어느 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 유닛(42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유닛(420)은 상기 커버 결합공(25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421a)를 형성한 결합바(421) 및 상기 결합돌기(421a)의 상기 커버 결합공(250)에 대한 결합 및 분리 조작을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하면(411,412) 및 좌우 측면(413,414) 중 해당 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관형의 조작 스틱(422)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바(421)에는 상기 조작 스틱(422)의 내부와 통하기 위한 관통홀(421b)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410)의 전면(415)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200)의 플러그 연결홈(212)을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415a)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400)와;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과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을 개폐하며, 각각은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그 작동로드(510a)가 수평 방향을 따라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의 상기 작동로드(510a) 선단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5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홀 개폐부(500)와; 상기 커버 본체(410)의 외측에 상기 홀 개폐부(500)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각각은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작동을 위한 비밀번호가 사용자를 통해 설정되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610) 그리고 해당 홀 개폐부(500)의 폐쇄 작동을 위한 누름스위치(6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홀 개폐 조작부(600)와; 상기 홀 개폐부(500)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 개폐부(50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 시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과 마주하는 상기 플러그 연결홈(212) 및 상기 콘센트 본체(200)의 전면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명모듈(700)과;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용자를 통해 사전 설정된 유효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610)를 통해 입력 시 해당되는 상기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조명모듈(700)을 사전에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온(ON) 상태로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누름스위치(620)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 시 해당되는 상기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어부(800)와; 상기 홀 개폐부(500)들 모두가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커버 본체(410) 내의 이상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온도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어 그 측정값이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초과 시 경고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홀 개폐 조작부(600)별 상기 누름스위치(620)의 사용자 조작 신호가 모두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 시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부에 대한 온도 측정 동작을 개시하는 온도 센싱부(910); 및 상기 조작 스틱(422)별 해당 조작 스틱(42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해당 조작 스틱(422)의 내부를 통해 상기 온도 센싱부(910)와 접속되어 상기 온도 센싱부(910)의 상기 경고 신호에 따라 온(ON) 동작하는 복수의 이상 표시 램프(9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에 노출되도록 해당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입 설치되어 해당 공동주택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입 전선 및 해당 공동주택 내 전기 제품이나 시설의 전선 간을 연결하는 콘센트형의 전선 연결 시스템이 플러그 이외의 도전체 삽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플러그 연결 시 자동 동작하는 자체 조명을 통해 야간 사용 시 또는 빛이 부족한 구석 등에 설치 시에도 플러그 연결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며, 전기 과열 현상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 기능을 통해 전기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을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을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을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을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은 콘센트박스(100), 콘센트 본체(200), 콘센트 커버(300), 보호 커버부(400), 홀 개폐부(500), 홀 개폐 조작부(600), 조명모듈(700), 제어부(800), 온도 센싱부(910) 및 이상 표시 램프(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센트박스(100)는 공동주택(10)의 실내(11)를 향해 노출되도록 공동주택(10)의 벽체(12)에 매입 설치된다. 그리고 콘센트박스(100)에는 공동주택(10)의 실내(11) 전기배선을 위해 벽체(12)에 매입 설치되는 전선관(미도시)이 연결되고, 이러한 전선관을 따라 인입 설치되는 전기케이블(미도시)의 선단이 콘센트박스(100) 내로 인입된다.
콘센트 본체(200)는 콘센트 박스(100)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콘센트 본체(200)에는 공동주택(10)의 실내(11) 쪽 벽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0)가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200)의 플랜지부(210)에는 복수의 반원형 제1 커버 결합홀(211)이 플랜지부(210)의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은 공동주택(10)의 실내(11) 쪽 벽면을 기준으로 상기 벽면으로부터 실내(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따라서 후방은 실내(11) 쪽 벽면으로부터 벽체(12)에 매입되는 방향을 의미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 내지 후방은 이에 따른 것임을 밝혀 둔다.
콘센트 커버(300)는 콘센트 본체(200)를 공동주택(10)의 실내(11)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홀(310)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개방홀(310)을 중심으로 사방 테두리부(320)가 콘센트 본체(200)의 플랜지부(210) 전방을 덮는 상태로 플랜지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콘센트 커버(300)에는 콘센트 본체(200)의 제1 커버 결합홀(2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반원형 제2 커버 결합홀(321)이 테두리부(320)들의 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콘센트 커버(300)는 테두리부(320) 및 콘센트 본체(200)의 플랜지부(210)를 매개로 콘센트 본체(200)에 결합 시 콘센트 본체(200)의 제1 커버 결합홀(211)에 대한 제2 커버 결합홀(321)의 연결을 통해 원형의 커버 결합공(250)이 형성되게 한다.
보호 커버부(400)는 커버 본체(410) 및 결합 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본체(410)는 콘센트 커버(300)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2.5배 이상의 수평 방향 길이를 갖는 동시에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를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본체(410)의 전면(415)에는 콘센트 본체(200)의 플러그 연결홈(212)을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415a)이 형성된다.
결합 유닛(420)은 커버 본체(410)의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에 대한 탈착형 결합을 위해 커버 본체(410)의 상면(411) 및 하면(412) 그리고 좌우 측면(413,414) 중 어느 한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 유닛(420)은 커버 결합공(25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421a)를 형성한 결합바(421) 및 결합돌기(421a)의 커버 결합공(250)에 대한 결합 및 분리 조작을 위해 커버 본체(410)의 상·하면(411,412) 및 좌우 측면(413,414) 중 해당 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관형의 조작 스틱(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결합 유닛(420)의 결합바(421)에는 조작 스틱(422)의 내부와 통하기 위한 관통홀(421b)이 형성된다.
홀 개폐부(500)는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플러그 삽입홀(415a)과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을 개폐한다. 이러한 홀 개폐부(500) 각각은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그 작동로드(510a)가 수평 방향을 따라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 및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의 작동로드(510a) 선단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홀 개폐 조작부(600)는 커버 본체(410)의 외측에 홀 개폐부(500)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홀 개폐 조작부(600) 각각은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작동을 위한 비밀번호가 사용자를 통해 설정되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610) 및 해당 홀 개폐부(500)의 폐쇄 작동을 위한 누름스위치(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모듈(700)은 홀 개폐부(500)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 개폐부(500)가 커버 본체(410)의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 시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과 마주하는 플러그 연결홈(212) 및 콘센트 본체(200)의 전면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800)는 사용자를 통해 사전 설정된 유효 비밀번호가 키패드(610)를 통해 입력 시 해당되는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킴과 함께 조명모듈(700)을 사전에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온(ON) 상태로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누름스위치(620)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 시 해당되는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킨다.
온도 센싱부(910)는 홀 개폐부(500)들 모두가 해당되는 플러그 삽입홀(415a)을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 본체(4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커버 본체(410) 내의 이상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온도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어 그 측정값이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초과 시 경고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이어서 설명되는 이상 표시 램프(920)에 전송한다. 또한, 온도 센싱부(910)는 홀 개폐 조작부(600)별 누름스위치(620)의 사용자 조작 신호가 모두 제어부(800)에 전송 시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버 본체(410)의 내부에 대한 온도 측정 동작을 개시한다.
이상 표시 램프(920)는 조작 스틱(422)별 해당 조작 스틱(42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이러한 이상 표시 램프(920)는 해당 조작 스틱(422)의 내부를 통해 온도 센싱부(910)와 접속되어 온도 센싱부(910)의 상기 경고 신호에 따라 온(ON) 동작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10)의 실내(11) 벽면에 노출되도록 해당 공동주택(10)의 벽체(12)에 매입 설치되어 해당 공동주택(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인입 전선 및 해당 공동주택(10) 내 전기 제품이나 시설의 전선 간을 연결하는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이 그 플러그 연결홈(212)을 사용 시에만 외부에 노출하는 방식을 취하는 동시에 이러한 플러그 연결홈(212)의 외부 노출이 사용자를 통해 사전 설정된 유효 비밀번호의 입력 시에만 가능토록 함에 따라, 해당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에서 플러그 이외의 도전체 삽입으로 인한 감전 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이 플러그 연결홈(212)을 외부에 노출하도록 개방 동작 시 플러그 연결홈(212)에 조명을 제공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해당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이 야간에 외부 조명이 부족한 상황에서 사용되거나, 해당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의 설치 위치가 빛이 잘 들지 않는 구석에 위치되더라도, 해당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의 플러그 연결홈(212)에 대한 플러그 삽입이 해당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조명을 통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이 복수의 이상 표시 램프(920)를 통해 전선 연결 부분의 이상에 따른 온도 상승 시 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함에 따라, 전기 과열로 인한 여러 전기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콘센트형 전선 연결 시스템이 플러그 연결홈(212)에 묻는 먼지를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플러그 연결홈(212)에 먼지가 누적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발생 및 그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 11 : 실내
12 : 벽체 100 : 콘센트박스
200 : 콘센트 본체 210 : 플랜지부
211 : 제1 커버 결합홀 212 : 플러그 연결홈
250 : 커버 결합공 300 : 콘센트 커버
310 : 개방홀 320 : 테두리부
321 : 제2 커버 결합홀 400 : 보호 커버부
410 : 커버 본체 411 : 상면
412 : 하면 413,414 : 측면
415 : 전면 415a : 플러그 삽입홀
420 : 결합 유닛 421 : 결합바
421a : 결합돌기 421b : 관통홀
422 : 조작 스틱 500 : 홀 개폐부
510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510a : 작동로드
520 : 커버플레이트 600 : 홀 개폐 조작부
610 : 키패드 620 : 누름스위치
700 : 조명모듈 800 : 제어부
910 : 온도 센싱부 920 : 이상 표시 램프

Claims (1)

  1. 공동주택(10)의 실내(11)를 향해 노출되도록 상기 공동주택(10)의 벽체(12)에 매입 설치되는 콘센트박스(100);
    상기 콘센트 박스(100)에 내장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벽체(12)의 상기 실내(11) 쪽 벽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0)가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10)에는 복수의 반원형 제1 커버 결합홀(211)이 상기 플랜지부(210)의 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200);
    상기 콘센트 본체(200)를 상기 실내(11)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홀(310)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방홀(310)을 중심으로 사방 테두리부(320)가 상기 플랜지부(210)의 전방을 덮는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버 결합홀(211)들과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반원형 제2 커버 결합홀(321)이 상기 테두리부(320)들의 후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320) 및 플랜지부(210)를 매개로 상기 콘센트 본체(200)에 결합 시 상기 제1 커버 결합홀(211)에 대한 상기 제2 커버 결합홀(321)의 연결을 통해 원형의 커버 결합공(250)이 형성되게 하는 콘센트 커버(300);
    상기 콘센트 커버(300)의 수평 방향 길이보다 2.5배 이상의 수평 방향 길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를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커버 본체(410) 및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기 콘센트 본체(200) 및 콘센트 커버(300)에 대한 탈착형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면(411) 및 하면(412) 그리고 좌우 측면(413,414) 중 어느 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 유닛(420)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유닛(420)은 상기 커버 결합공(25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421a)를 형성한 결합바(421) 및 상기 결합돌기(421a)의 상기 커버 결합공(250)에 대한 결합 및 분리 조작을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상·하면(411,412) 및 좌우 측면(413,414) 중 해당 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관형의 조작 스틱(422)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바(421)에는 상기 조작 스틱(422)의 내부와 통하기 위한 관통홀(421b)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410)의 전면(415)에는 상기 콘센트 본체(200)의 플러그 연결홈(212)을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415a)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400);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과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을 개폐하며, 각각은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그 작동로드(510a)가 수평 방향을 따라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510)의 상기 작동로드(510a) 선단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5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홀 개폐부(500);
    상기 커버 본체(410)의 외측에 상기 홀 개폐부(500)와 대응되는 수로 설치되어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각각은 해당 홀 개폐부(500)의 개방 작동을 위한 비밀번호가 사용자를 통해 설정되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610) 그리고 해당 홀 개폐부(500)의 폐쇄 작동을 위한 누름스위치(620)를 포함하는 복수의 홀 개폐 조작부(600);
    상기 홀 개폐부(500)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홀 개폐부(50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 시 해당 플러그 삽입홀(415a)과 마주하는 상기 플러그 연결홈(212) 및 상기 콘센트 본체(200)의 전면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명모듈(700);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용자를 통해 사전 설정된 유효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610)를 통해 입력 시 해당되는 상기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조명모듈(700)을 사전에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온(ON) 상태로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누름스위치(620)에 대한 조작 신호가 입력 시 해당되는 상기 홀 개폐부(500)를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에 대한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어부(800);
    상기 홀 개폐부(500)들 모두가 해당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홀(415a)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커버 본체(410) 내의 이상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온도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어 그 측정값이 상기 기준 온도 범위를 초과 시 경고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며, 상기 홀 개폐 조작부(600)별 상기 누름스위치(620)의 사용자 조작 신호가 모두 상기 제어부(800)에 전송 시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410)의 내부에 대한 온도 측정 동작을 개시하는 온도 센싱부(910); 및
    상기 조작 스틱(422)별 해당 조작 스틱(42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해당 조작 스틱(422)의 내부를 통해 상기 온도 센싱부(910)와 접속되어 상기 온도 센싱부(910)의 상기 경고 신호에 따라 온(ON) 동작하는 복수의 이상 표시 램프(92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0200025999A 2020-03-02 2020-03-02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14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99A KR102143458B1 (ko) 2020-03-02 2020-03-02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99A KR102143458B1 (ko) 2020-03-02 2020-03-02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458B1 true KR102143458B1 (ko) 2020-08-12

Family

ID=7203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999A KR102143458B1 (ko) 2020-03-02 2020-03-02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4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188B1 (ko) *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KR102237897B1 (ko) * 2021-01-28 2021-04-08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385698B1 (ko) * 2021-11-19 2022-04-14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케이블 고장구간 점검 시스템
KR102488288B1 (ko) * 2022-03-16 2023-01-1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88810B1 (ko) * 2022-04-01 2023-01-17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25B1 (ko) * 2007-06-15 2007-09-20 (주)우인기술단 벽체 매설형 전기배전단자함
KR101272075B1 (ko) * 2013-02-26 2013-06-05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엘이디 전원 배전구조물
KR101402993B1 (ko) * 2014-02-28 2014-06-03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665018B1 (ko) *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677147B1 (ko) * 2016-05-31 2016-11-1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101704413B1 (ko) * 2016-11-22 2017-02-22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엘이디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784248B1 (ko) * 2017-01-26 2017-11-06 주식회사 이린 다세대 주택의 벽체 내설용 아웃렛
KR101974487B1 (ko) * 2019-01-24 2019-05-03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KR101985508B1 (ko) 2019-01-24 2019-06-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배전선 연결기구
KR102025793B1 (ko) 2019-07-29 2019-09-26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실내전선 배관 연결장치
KR102018327B1 (ko) 2019-01-07 2019-11-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선의 전선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25B1 (ko) * 2007-06-15 2007-09-20 (주)우인기술단 벽체 매설형 전기배전단자함
KR101272075B1 (ko) * 2013-02-26 2013-06-05 (주)동도엠이씨인스파이어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엘이디 전원 배전구조물
KR101402993B1 (ko) * 2014-02-28 2014-06-03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665018B1 (ko) * 2016-03-17 2016-10-12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KR101677147B1 (ko) * 2016-05-31 2016-11-1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101704413B1 (ko) * 2016-11-22 2017-02-22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엘이디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784248B1 (ko) * 2017-01-26 2017-11-06 주식회사 이린 다세대 주택의 벽체 내설용 아웃렛
KR102018327B1 (ko) 2019-01-07 2019-11-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선의 전선 연결 장치
KR101974487B1 (ko) * 2019-01-24 2019-05-03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KR101985508B1 (ko) 2019-01-24 2019-06-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배전선 연결기구
KR102025793B1 (ko) 2019-07-29 2019-09-26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실내전선 배관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188B1 (ko) * 2020-08-26 2020-12-11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KR102237897B1 (ko) * 2021-01-28 2021-04-08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385698B1 (ko) * 2021-11-19 2022-04-14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케이블 고장구간 점검 시스템
KR102488288B1 (ko) * 2022-03-16 2023-01-1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88810B1 (ko) * 2022-04-01 2023-01-17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45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JP5947370B2 (ja) Ac電源リレー及び電流センサをac配線装置と組み合わせる方法及び装置
US8235748B2 (en) External quick connect modular plug for a wiring device
US5161240A (en) Electric wall switch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BR112017017602B1 (pt) Sistema de cabo de circuitos de supressão de ignição
KR102242698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0859863B1 (ko)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KR101022752B1 (ko)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KR101974487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에 설치하는 전기배선 보호장치
AU2021203362B2 (en) Modular floor box assembly
GB2483632A (en) Electrical fitting with externally accessible test terminals
GB2465831A (en) Electrical installation with external test point
KR100748265B1 (ko) 공동주택에 배선된 전선의 합선방지구조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901846B1 (ko) 소비전력 측정장치가 구비된 복합 콘센트 장치
CN209913298U (zh) 一种用于配电柜的电缆密封装置及配电柜
Rigby Design of electrical services for buildings
KR101625113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2237099B1 (ko) 신도시 지중 배전선로의 고정 시스템
RU161763U1 (ru) Оповещатель пожарный светозвуковой
US6774308B1 (en) Wire termination box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US11309157B2 (en) “SAVUS” a simple, low cost emergency home power connection
KR102190188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벽체 케이블 단락 방지 시스템
JP2004088854A (ja) 電線引込ポール
CA2592652C (en) Dual seal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