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698B1 -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698B1
KR102242698B1 KR1020210017427A KR20210017427A KR102242698B1 KR 102242698 B1 KR102242698 B1 KR 102242698B1 KR 1020210017427 A KR1020210017427 A KR 1020210017427A KR 20210017427 A KR20210017427 A KR 20210017427A KR 102242698 B1 KR102242698 B1 KR 10224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ire
apartment house
cas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원
Original Assignee
(주)한승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승이엔씨 filed Critical (주)한승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1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세대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가 먼지, 이물질 등이 잘 끼지 않는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멀티콘센트에서 과전류,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불꽃이 발생하더라도 주변 먼지, 이물질로 인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자동 소화 기능을 통해 초기 진화가 진행되어 멀티콘센트를 발화점으로 하는 화재 발생 비율이 현저히 낮아짐과 함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관련 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실시간 전송되면서 그를 근거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추가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 화재감지센서, 소화 장치, 카메라모듈, 제어부 및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electricity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내 세대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가 먼지, 이물질 등이 잘 끼지 않는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멀티콘센트에서 과전류,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불꽃이 발생하더라도 주변 먼지, 이물질로 인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자동 소화 기능을 통해 초기 진화가 진행되어 멀티콘센트를 발화점으로 하는 화재 발생 비율이 현저히 낮아짐과 함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관련 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실시간 전송되면서 그를 근거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추가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벽체 매입형 콘센트가 설치되며, 이러한 벽체 매입형 콘센트의 설치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공동주택의 전기배선 공사 시 콘센트박스가 CD관 또는 기타 전기배선용 관(이하 “전기배관”이라 함)을 통해 연결되고, 전기배관 내로 전선을 밀어 넣어 콘센트박스의 내부에 전선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 다음, 미장 작업 및 벽지, 타일 등에 의한 최종 마감 작업을 하여 콘센트박스가 한쪽을 노출하는 상태로 벽체에 매입 설치되고, 이러한 콘센트박스에 콘센트를 한쪽이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공동주택에서는 상술한 벽체 매입형 콘센트 외에 멀티콘센트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전원코드를 통해 유입된 상용 교류전원을 다수의 전자기기들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멀티콘센트는 통상 커넥터를 내장한 플러그 삽입구가 바디에 병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바디에는 상기 커넥터들에 대한 전류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전원스위치를 벽체 매입형 콘센트의 주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코드를 소정 길이로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한편,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화재 사고 중 상당 수는 전기사고에 의한 것이고, 이러한 전기사고 중 상당 수는 콘센트로 인한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에서 멀티콘센트를 사용 시 전기 기기를 과도하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데 따른 과전류 및 고열로 인해 스파크 및 불꽃이 발생되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고, 이때 멀티콘센트에 쌓인 먼지 및 이물질은 합선 위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멀티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들 중 미사용 중인 플러그 삽입구에는 보호 덮개를 끼우기도 하지만, 수시로 사용하는 멀티콘센트에 대해 그 사용 시마다 보호 덮개를 분리했다가 다시 끼우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따라서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상술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사용 방식 그대로 멀티콘센트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주거 형태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콘센트로 인한 전기 합선 사고 및 그를 원인으로 하는 화재사고가 보다 근본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43697호(2008.07.04.공고),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용 콘센트 하우징” 한국 등록특허 제10-0750957호(2007.08.27.공고),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한국 등록특허 제10-0657022호(2006.12.13.공고),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 내 세대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가 먼지, 이물질 등이 잘 끼지 않는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멀티콘센트에서 과전류,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불꽃이 발생하더라도 주변 먼지, 이물질로 인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자동 소화 기능을 통해 초기 진화가 진행되어 멀티콘센트를 발화점으로 하는 화재 발생 비율이 현저히 낮아짐과 함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관련 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실시간 전송되면서 그를 근거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추가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고, 멀티콘센트가 플러그 삽입구들을 옆쪽으로 향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들 및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꽂힌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외부로부터 가리는 은폐커버를 포함하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와,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에 상기 멀티콘센트가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은폐커버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멀티콘센트 상에 발생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은폐커버의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설치한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멀티콘센트에 대해 소화 기능을 하는 소화 장치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들 및 상기 플러그들을 촬영할 수 있는 설치 각도로 상기 은폐커버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통한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알림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소화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한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시간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 출력 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세대 내 세대 인터폰의 중계를 통해 상기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 내 세대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가 먼지, 이물질 등이 잘 끼지 않는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멀티콘센트에서 과전류,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불꽃이 발생하더라도 주변 먼지, 이물질로 인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공동주택 내 세대의 멀티콘센트에서 발생된 스파크 또는 불꽃 발생 현상이 화재로 이어지더라도, 해당 멀티콘센트를 은폐형으로 지지하고 있는 케이스 구조물 기반의 자동 소화 기능을 통해 초기 진화가 진행됨에 따라, 공동주택 내 멀티콘센트를 발화점으로 하는 화재 발생 비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 내 세대의 멀티콘센트를 발화점으로 하는 화재 발생 시 그 사실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관련 정보가 해당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실시간 전송되면서 그를 근거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추가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를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의 본체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A"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연계 구성을 도 2의 "A" 방향에 따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그에 장착된 멀티콘센트를 도 2의 "B" 방향에 따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연계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를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의 본체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연계 구성을 도 2의 "A" 방향에 따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그에 장착된 멀티콘센트를 도 2의 "B" 방향에 따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에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 및 연계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 화재감지센서(200), 소화 장치(300), 카메라모듈(400), 제어부(500) 및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과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는 공동주택(A)의 세대(H) 내에 설치되며, 이러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는 멀티콘센트(10)를 플러그 삽입구(11)들이 옆쪽으로 향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는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 및 플러그 삽입구(11)에 꽂힌 전자기기의 플러그(20)를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 설명하면,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A)의 각 세대(H)에 설치되어 해당 세대(H)에서 사용되는 멀티콘센트(10)를 대상으로 플러그 삽입구(11) 및 플러그 삽입구(11)에 꽂힌 전자기기의 플러그(20)를 외부로부터 가려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는 본체(110), 은폐 커버(120) 및 논슬립(non-slip) 바닥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체(110)는 그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 일면에 멀티콘센트(10)의 수납식 장착을 위한 콘센트 체결공간(1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콘센트 체결공간(111)은 본체(110)의 폭 방향 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본체(110)의 길이 방향 양단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콘센트 체결공간(111)에 멀티콘센트(10)가 그 플러그 삽입구(11)들을 옆쪽으로 향한 상태로 장착되며, 이때 본체(110)에 콘센트 체결부(112)가 형성되어 이러한 콘센트 체결부(112)를 통해 멀티콘센트(10)가 콘센트 체결공간(111) 내에 고정된 상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콘센트 체결부(112)는 본체(1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2a), 한 쌍의 체결블록(112b) 및 체결블록(112b)별 제공되는 조임볼트(112c)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2a)은 콘센트 체결공간(111)과 통하는 상태로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 쌍의 체결블록(112b)은 각각 가이드홈(112a)을 따라 슬라이딩 및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각 체결블록(112b)은 가이드홈(112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112b-1)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후술되는 조임볼트(112c)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홀(112b-2)이 가이드돌기(112b-)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조임볼트(112c)는 체결블록(112b)의 나선홀(112b-2)에 나사 결합되며, 가이드홈(112a) 방향으로 조여져 체결블록(112b)을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콘센트 체결부(112)에 의해서, 멀티콘센트(10)는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한 쌍의 체결블록(112b)을 통해 각각 지지되면서 콘센트 체결공간(111) 내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진다.
은폐 커버(120)는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에 고정 장착된 멀티콘센트(10)를 외부로부터 가리는 상태로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때 은폐 커버(120)는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에 플러그(20)가 꽂힌 전자기기별 전원 코드(21)들의 배선용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은폐 커버(120)는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을 형성하고 있는 일면에 면 접촉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면부(121) 및 이러한 결합면부(121)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코드 박스부(122)를 포함하며, 이때 코드 박스부(122)는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과 마주하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는 각각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에 플러그(20)가 꽂힌 전자기기별 전원 코드(21)들이 바깥쪽으로 인출되면서 배선되기 위한 코드 인출홀(122a)이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은폐 커버(120)가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코드 인출홀(122a)은 일측이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과 통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코드 박스부(122)에는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에 플러그(20)를 꽂은 충전기의 USB포트(미도시)가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수평 방향의 장홀(122b)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장홀(122b)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의 코드 박스부(122)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 구조는 공지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장홀(122b) 및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의 구성을 통해서, 충전기의 사용 시에만 그 USB포트를 장홀(122b)을 통해 코드 박스부(122) 바깥쪽으로 인출시키고, 충전기의 미사용 시에는 그 USB포트를 장홀(122b)을 통해 코드 박스부(122) 안쪽으로 인입시키는 동시에 장홀(122b)을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를 통해 외부로부터 차단시킴으로써, 충전기의 미사용 시에 외부에 노출된 USB포트로 인한 유아, 어린이 등의 감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은폐 커버(120)의 결합면부(121)가 본체(110)에 결합돌기(121a) 및 결합홈(113) 간의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논슬립(non-slip) 바닥플레이트(130)는 본체(1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는 물론이고 본체(110)를 포함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논슬립 바닥플레이트(130)는 공동주택의 세대에 설치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가 외력 작용 시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그 설치 위치가 보다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논슬립 바닥플레이트(130)는 본체(1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하면에 부착되는 논슬립 패드(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하부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탈착 가능한 결합의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볼트를 사용한 체결 방식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10)의 하부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탈착 가능한 결합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00)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멀티콘센트(10)가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은폐커버(120)의 플러그 삽입구(11)와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어 멀티콘센트(10) 상에 발생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화재감지센서(200)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210) 및 불에서 나오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기감지센서(210)는 기존의 감광식(感光式), 광산란식, 이온화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소화 장치(300)는 은폐커버(120)의 화재감지센서(200)를 설치한 일면에 설치되며, 멀티콘센트(10)에 대해 소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화 장치(300)는 소화가스가 충전되는 가스통(310), 전자식 개폐밸브(320), 펌프(330), 분사관(340) 및 분사노즐(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스통(310)은 은폐커버(120)의 화재감지센서(200)를 설치한 일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가스통(310)은 소화가스를 충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충진가스로서 이산화탄소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가스통(310)은 충진된 충진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11)가 형성된다.
전자식 개폐밸브(320)는 가스통(310)의 배출구(311)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통(310)의 배출구(311)를 개폐한다. 부연 설명하면, 전자식 개폐밸브(320)는 화재감지센서(200)의 신호에 따른 후술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방 상태로 작동하여 가스통(310) 내 소화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펌프(330)는 가스통(310) 내의 소화가스를 가스통(310)의 배출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가스통(310)에 설치된다.
분사관(340)은 펌프(330)와 연결되어 펌프(33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통(310)의 소화가스를 이어서 설명되는 분사노즐(350)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분사노즐(350)은 분사관(340)을 통해 전달되는 소화가스를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장착된 멀티콘센트(10)의 콘센트 삽입구(11)들 및 플러그(20)들 방향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소화 장치(30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장착된 멀티콘센트(10)에 화재가 발생 시 소화통(310)의 소화가스를 멀티콘센트(10)를 향해 분사하며, 이에 따라 멀티콘센트(10)에 산소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면서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소화 장치(3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소화 장치(3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카메라모듈(400)은 멀티플러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 및 이러한 플러그 삽입구(11)에 꽂힌 플러그(20)들을 촬영할 수 있는 설치 각도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의 은폐커버(1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모듈(400)은 후술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플러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 및 이러한 플러그 삽입구(11)에 꽂힌 플러그(20)들을 촬영하여 그 영상데이터를 제어부(500)에 전송한다.
제어부(500)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에 내장되며, 화재감지센서를 통한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알림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소화장치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한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시간이 사전 설정되며,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 출력 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카메라모듈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의 영상데이터를 콘센트 은폐 케이스를 설치한 세대의 세대 인터폰을 통해 해당 세대가 포함된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전송시킨다. 즉,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의 영상데이터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를 설치한 세대 내 세대 인터폰의 중계를 통해 해당 세대가 포함된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전송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화재알림신호를 생성 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를 설치한 해당 세대(H)의 동과 호수에 대한 정보를 식별정보로써 포함시켜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공동주택(A) 내 세대(H)의 사용자가 동과 호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50)에 입력 및 설정해 놓기 위한 입력부(700)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및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00)은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400)의 영상데이터를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를 설치한 해당 세대(H)의 세대 인터폰(30)에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제어부(500)에서 출력된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400)의 영상데이터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설치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로 전송되고,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은 제어부(5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400)의 영상데이터를 해당 세대(H)의 세대 인터폰(30)에 설치된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00)로 전송하며, 세대 인터폰(30)은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7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카메라모듈(400)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세대(H)가 포함된 공동주택(A)의 경비실(S)에 설치된 통합 인터폰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공동주택(A) 내 세대(H)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10)가 그 플러그 삽입구(11)를 옆쪽으로 향한 상태로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지지됨에 따라,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 및 그 주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고, 따라서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 및 그 주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여 고착화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공동주택(A) 내 세대(H)에서 사용 중인 멀티콘센트(10)에서 과전류 및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및 불꽃의 발생 시 해당 멀티콘센트(10)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공동주택(A) 내 세대(H)에서 사용 중인 멀티콘센트(10)에서 과전류 및 고열 등으로 인해 스파크 및 불꽃이 발생되면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멀티콘센트(10)를 외부로부터 가리면서 설치되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 및 그 소화 장치(300)의 자동 소화 기능을 통해 신속하게 초기 진화되고, 이에 따라 멀티콘센트(10)를 발화점으로 하는 공동주택(A) 내 화재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공동주택(A) 내 세대(H)의 멀티콘센트(10)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실 및 그 초기 진화 후의 해당 멀티콘센트(10)에 대한 영상데이터가 해당 공동주택(A)의 경비실(S)에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전달됨에 따라, 해당 경비실(S)의 근무자가 멀티콘센트(10) 발화에 대한 사실 접수 및 해당 멀티콘센트(1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확인하면서 보다 세부적이고 정확하며 효율적인 추가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의 은폐 커버(120)에 형성되는 충전기 USB포트 인출/인입용 장홀(122b) 및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를 통해 충전기의 미사용시 충전기의 USB포트가 은폐 커버(120)의 안쪽 영역에 안치될 수 있는 것이므로, 기존의 외부에 노출된 충전기의 USB포트를 유아나 어린이가 입으로 물거나 손으로 만지는 데 따른 감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멀티콘센트 11 : 플러그 삽입구
20 : 플러그 21 : 전원 코드
30 : 세대 인터폰 100 : 콘센트 은폐 케이스
110 : 본체 111 : 콘센트 체결공간
112 : 콘센트 체결부 112a : 가이드홈
112b : 체결블록 112b-1 : 가이드돌기
112b-2 : 나선홀 112c : 조임볼트
113 : 결합홈 120 : 은폐 커버
121 : 결합면부 121a : 결합돌기
122 : 코드 박스부 122a : 코드 인출홀
122b : 장홀 122c : 슬라이딩형 개폐도어
130 : 논슬립 바닥플레이트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2 : 논슬립 패드 200 : 화재감지센서
210 : 연기감지센서 220 : 불꽃감지센서
300 : 소화 장치 310 : 가스통
311 : 배출구 320 : 전자식 개폐밸브
330 : 펌프 340 : 분사관
350 : 분사노즐 400 : 카메라모듈
500 : 제어부 600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70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800 : 입력부

Claims (1)

  1.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멀티콘센트(10)가 플러그 삽입구(11)들을 옆쪽으로 향한 상태로 수납식의 장착이 이루어지기 위한 콘센트 체결공간(111)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멀티콘센트(10)를 상기 콘센트 체결공간(111) 내에 고정된 상태로 체결하는 콘센트 체결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콘센트 체결부(112)는 상기 콘센트 체결공간(111)과 통하는 상태로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12a) 및 상기 가이드홈(112a)을 따라 슬라이딩 및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블록(112b)을 포함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콘센트 체결공간(111)을 형성하고 있는 일면에 면 접촉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면부(121) 및 상기 결합면부(121)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코드 박스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박스부(122)는 상기 콘센트 체결공간(111)과 마주하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는 각각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들에 플러그(20)가 꽂힌 전자기기별 전원 코드(21)들이 바깥쪽으로 인출되면서 배선되기 위한 코드 인출홀(122a)이 형성되고, 상기 코드 박스부(122)에는 멀티콘센트(10)의 플러그 삽입구(11)에 플러그(20)를 꽂은 충전기의 USB포트가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수평 방향의 장홀(122b)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장홀(122b)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형 개폐도어(122c)가 설치되는 은폐 커버(12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하면에 부착되는 논슬립 패드(132)를 포함하는 논슬립 바닥플레이트(130);
    를 포함하는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에 상기 멀티콘센트가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은폐커버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마주하는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멀티콘센트 상에 발생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상기 은폐커버(120)의 상기 화재감지센서(200)를 설치한 일면에 설치되며, 소화가스를 충진하고 있는 동시에 충진된 소화가스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구(311)가 형성된 가스통(310)과;
    상기 가스통(310)의 배출구(311)에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구(311)를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밸브(320)와;
    상기 가스통(310) 내의 소화가스를 상기 배출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가스통(310)에 설치되는 펌프(330)와;
    상기 펌프(330)와 연결되어 펌프(3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가스통(310)의 소화가스를 분사노즐(350)로 유도하는 기능의 분사관(340); 및
    상기 분사관(340)을 통해 전달되는 소화가스를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에 장착된 상기 멀티콘센트(10)의 콘센트 삽입구(11)들 및 플러그(20)들 방향으로 분사하는 기능의 상기 분사노즐(350)을 포함하는 소화 장치(300):
    상기 플러그 삽입구들 및 상기 플러그들을 촬영할 수 있는 설치 각도로 상기 은폐커버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통한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화재알림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소화장치를 작동시키되, 상기 화재알림신호를 생성 시 상기 콘센트 은폐 케이스(100)를 설치한 해당 세대(H)의 동과 호수에 대한 정보를 식별정보로써 포함시켜 생성하고, 상기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한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 시간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소화 장치에 작동 신호 출력 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화재알림신호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세대 내 세대 인터폰의 중계를 통해 공동주택의 경비실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공동주택(A) 내 세대(H)의 사용자가 동과 호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50)에 입력 및 설정해 놓기 위한 입력부(7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20210017427A 2021-02-08 2021-02-08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224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27A KR102242698B1 (ko) 2021-02-08 2021-02-08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27A KR102242698B1 (ko) 2021-02-08 2021-02-08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698B1 true KR102242698B1 (ko) 2021-04-22

Family

ID=7573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427A KR102242698B1 (ko) 2021-02-08 2021-02-08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03B1 (ko) * 2021-05-17 2021-09-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KR102414919B1 (ko)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102453814B1 (ko) *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2B1 (ko)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KR100750957B1 (ko) 2007-06-15 2007-08-27 (주)화용이엔씨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0843697B1 (ko) 2008-04-05 2008-07-04 조영석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용 콘센트 하우징
KR20140003734A (ko) * 2012-06-26 2014-01-10 (주)케이엠에스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KR20160126683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에단 소화 기능을 가지는 안전 콘센트 장치
KR101824100B1 (ko) * 2017-07-25 2018-01-3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975021B1 (ko) * 2018-12-27 2019-08-23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22B1 (ko) 2006-05-23 2006-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KR100750957B1 (ko) 2007-06-15 2007-08-27 (주)화용이엔씨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0843697B1 (ko) 2008-04-05 2008-07-04 조영석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용 콘센트 하우징
KR20140003734A (ko) * 2012-06-26 2014-01-10 (주)케이엠에스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KR20160126683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에단 소화 기능을 가지는 안전 콘센트 장치
KR101824100B1 (ko) * 2017-07-25 2018-01-3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975021B1 (ko) * 2018-12-27 2019-08-23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03B1 (ko) * 2021-05-17 2021-09-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KR102414919B1 (ko)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102453814B1 (ko) *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698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US95773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shock proof electrical outlets
KR101737113B1 (ko) 소화 기능을 가지는 안전 콘센트 장치
KR101734514B1 (ko) 화재 조기진압용 전원콘센트 장착 소화덮개
KR102156833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CN104883830A (zh) 电器盒结构及电器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CN102809222B (zh) 智能燃气安全系统
CN205448194U (zh) 走线结构及包含该走线结构的空调
CN211942997U (zh) 一种独立消防设置的智能充电柜
WO2017146629A1 (en) Power socket with built-in fire extinguisher
WO2018002577A1 (en) Heat alarm integrated into a mains power plug
KR102237897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1677147B1 (ko) 공동주택용 실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102160459B1 (ko)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US11476650B2 (en) Electrical user
KR20080097277A (ko) 지하공동구내 활선부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20080002744U (ko) 콘센트 장치
KR20230123542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1057454B1 (ko) 소방기능이 보강된 지중전선 인입배전함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KR102467504B1 (ko) 소화전의 중계기 내장형 발신기
KR101956558B1 (ko) 스마트폰을 재활용한 비상구 유도장치
CN214625479U (zh) 一种实训中心管理机房防火结构
CN218961621U (zh) 一种高层建筑物的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