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215B1 -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215B1
KR102476215B1 KR1020220060350A KR20220060350A KR102476215B1 KR 102476215 B1 KR102476215 B1 KR 102476215B1 KR 1020220060350 A KR1020220060350 A KR 1020220060350A KR 20220060350 A KR20220060350 A KR 20220060350A KR 102476215 B1 KR102476215 B1 KR 102476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ion
disposed
sens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도운
안승회
Original Assignee
(주)이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6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구역에 화재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함은 물론 화재가 발생한 관리구역에 현장 경보 및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화재 발생 위치, 비상대피도, 화재 영상을 송출하여 신속한 초동대처 및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한 함체 형태의 외부박스를 포함한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화재 감지수단;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수단에서 화재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으면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알람수단으로 경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All-in-one fire detection device with fire detection and automatic alarm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구역에 화재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함은 물론 화재가 발생한 관리구역에 현장 경보 및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화재 발생 위치, 비상대피도, 화재 영상을 송출하여 신속한 초동대처 및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는 재산피해와 함께 인명이 손상하는 인명피해를 동반하게 되는데, 이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번개 또는 나뭇가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화재가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전기장치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 또는 작업 중인 공간에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용자가 미처 대피하지 못하여 결국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이지만, 화재가 발생한 이후의 대처, 이 중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초기에 대처 방법인 초동대처에 따라 이후 최종적인 피해의 크기가 큰 폭으로 차이가 발생한다.
정석적인 초동대처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거나 사용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는 경우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이다.
따라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초동대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감지한 화재 발생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외선 또는 좌외선 센서 등을 이용한 불꽃센서,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등과 같이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화재감지시스템은 상술한 화재 감지센서를 일정 간격 또는 특정한 구역을 감시 및 감지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화재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통신수단을 통해 중앙관제시스템에 보고하여 경보를 발생하거나 주요기관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화재 감지센서는 실내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해당 건축물을 건축하는 과정 또는 리모델링과 같이 실내 구조를 변경하는 공정 중 현장에서 직접 설치되는데, 이러한 화재 감지센서의 경우 사용 기간에 따른 센서의 오작동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오경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장이 높은 공장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화재 감지센서의 경우 화재가 발생한 이후 소정 높이이상으로 불꽃 또는 연기가 상승해야만 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초동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센서가 외부의 요인을 감지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부착된 화재 감지센서가 제안되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39090호(2008.06.11., 등록)에서는, ‘영상기반 화재감시시스템’을 제안하였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감시지역의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다가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화재징후라 판단되면 해당 위치를 확대한 후 이차 영상을 분석하여 보다 정밀하게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995호(2017.04.25., 등록)에서는,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카메라 및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불꽃을 신속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센서 감도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들은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화재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이용한 센서의 보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카메라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최초 설치는 물론 유지 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특정 위치 및 이를 기준으로 반경 일부만을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대상구역이 넓은 경우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 및 상기 종래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4178호(2021.11.03.,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이동식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산업 건설현장의 화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기반 이동식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 안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인출부재; 상기 인출부재의 단부에 배치되어 화재 관련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하우징을 지면에서 설정높이에 위치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지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산업 건설현장에 감시가 필요한 구역을 향하도록 상기 센서모듈을 배치하되, 상기 센서모듈의 높이를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하고,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한 감지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반대로 관제 시스템에서 전달된 수행 명령을 수신 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여 감시가 필요한 구역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지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되 각각이 상호 소정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지면이 편평한 위치에서의 설치만 용이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인출부재의 경우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본체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본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인출부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해야 했다. 상기 제1인출부재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경우 전체 화재 감지기의 무게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증가함은 물론 이동시 1인 이상의 작업자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의 안에 배치된 후 상방으로 인출되는 제2인출부재의 경우 하우징의 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외부 이물질 및 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인출부재의 상단에 배치되는 센서모듈은 물론 통신부와 같이 전기 장치에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39090호(2008.06.1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1995호(2017.04.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4178호(2021.11.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의 실내, 특히 건설 중이거나 리모델링 작업 등과 같이 임시로 설치하여 작업 중 또는 휴식기 중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외부로 조명 또는 소리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현장경보를 방출하고, 이와 동시에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화재 발생 위치, 외부 또는 쉘터로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비상대피도, 화재 영상 등을 송출하여 신속한 초동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형태로 구성된 베이스바디를 구성하고, 내부에 PCB기판, 배터리 등과 같은 전기적 장치가 배치된 함체 형태의 컨트롤박스를 상기 베이스바디의 내부에 컨트롤박스를 배치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공기순환통로 및 공기순환용 팬을 구비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전기적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되 다단으로 구성되어 인출 및 수납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되, 인출 및 수납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인출 상태에서 직립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장의 높이가 높은 장소에서 화재 감시용으로 사용되더라도 높은 높이에 감지수단을 배치하여도 일측으로 기울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소의 설치대수로 넓은 범위를 감지하여 최초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한 함체 형태의 외부박스를 포함한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화재 감지수단;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수단에서 화재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으면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대에 배치된 알람수단으로 경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박스는,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이 내장된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와 상기 외부박스 사이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와, 상기 커버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공기순환용 팬과, 지면 또는 바닥면을 향한 저면에 배치되되,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이동용 캐스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는, 방진 및 방습을 위하여 IP(Ingress Protection) 등급이 66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방열을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바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바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장바와,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을 연결하여 전원의 인가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결합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바의 외면과 상기 고정바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間隙)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바가 외부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방지, 외부로 인출된 상기 연장바의 직립도를 보강하기 위한 가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결합 플랜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결합 플랜지에 결합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어수단과 연통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화재 관련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촬영용 카메라와, 열전대센서, 불꽃 감지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동작 감지센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감지한 정보를 통해 신속한 초동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 및 인접한 위치에서 작업 중 또는 휴식 중인 사용자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주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발생 위치, 외부 또는 비상용 쉘터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비상대피도, 화재 발생 현장의 영상 등을 송출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이물질 및 습기로 인한 전기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 장치가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IP66 이상의 등급을 가지면서 상기 전기 장치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 이물질 및 습기의 유입에 의한 전기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 중 발생한 열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동작 신뢰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바디에 이동용 캐스터를 구비하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방에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구성된 지지대의 직립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 중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천장이 높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감지수단의 높이를 최대로 높여 감지 범위를 극대화하면서도 직립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바디에 컨트롤박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의 순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대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결합 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감지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수단의 소프트웨어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방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방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개구부(114)를 포함한 함체 형태의 외부박스(11)를 포함한 베이스바디(10)와, 상기 베이스바디(10)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화재 감지수단(30) 및 상기 화재 감지수단(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에서 화재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으면 이를 통신모듈(50)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대(20)에 배치된 알람수단(60)으로 경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0)는, 상기 외부박스(11)와 상기 외부박스(11)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는 컨트롤박스(12)를 포함한 이중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바디(10)는 전기장치가 배치된 컨트롤박스(12)를 외부 공기와 직접 맞닿는 것을 최소화하여 화재 발생시 상기 컨트롤박스(12)를 보호하고,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상기 컨트롤박스(1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박스(11)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개구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3)와, 지면을 향하는 저면에 다수 개의 이동용 캐스터(16)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박스(11)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용 캐스터(16)를 통해 이동 가능하여 화재 감시가 필요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 과정 중 외부 물체와의 충격 발생시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화재 발생시 고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 비용, 무게 등을 고려하여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야간에 사용자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야광도료가 도포되거나 야광스티커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박스(11)는 도면 중 사각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형태 및 비율은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박스(1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용 캐스터(16)는 외부박스(11)의 저면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이동용 캐스터(16)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박스(11)에 상기 이동용 캐스터(16)와 연결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수단(도면 중 미도시됨)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은 상기 컨트롤박스(12)에 구비된 제어수단(40)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이동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 경로상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박스(11)에는 후술하는 컨트롤박스(12)로 외부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단자,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박스(11)의 상기 개구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는, 상기 수용공간(111)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키고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대(20)가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는 컨트롤박스(12)와 후술하는 화재 감지수단(30)과 전기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케이블(23)이 결합하는 결합용 커넥터(132)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용 팬(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용 커넥터(132)는 상기 케이블(23)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23)을 연결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면 CAT5케이블로 구성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13)에는 후술하는 통신모듈(50)을 구성하는 통신용 단자(52)가 배치되되, 상기 통신용 단자(52)는 후술하는 통신모듈(50)과 상기 컨트롤박스(12)를 연결하되 상기 통신모듈(50)을 구성하는 통신용 안테나(51)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른 위치에서 다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순환용 팬(15)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수용공간(111)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수용공간(111)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11) 또는 상기 커버(13)에는 상기 수용공간(111)에서 공기를 순환하기 위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출입공(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공기순환용 팬(15)은 후술하는 제어수단(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면서 상기 컨트롤박스(12)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자동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하는 공기순환통로(14)를 따라 공기를 순환시켜 컨트롤박스(12)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13)에는 상기 결합용 커넥터(13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대(20)와 결합시 지지대(20)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수직판재(1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판재(133)는 상기 지지대(20)의 결합 편의성을 위해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직판재(133)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20)를 구성하는 고정바(21)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고정바(21)의 직립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2)는 상기 외부박스(11)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되, 상기 외부박스(11)와의 사이에 공기순환통로(14)를 형성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2)에서 발생한 열을 순환시킴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상기 컨트롤박스(12)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컨트롤박스(12)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이 감지한 감지정보를 전달 받아 이를 상기 통신모듈(50)을 통해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수단(40)과 상기 제어수단(40)을 포함한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12)는 내장된 상기 제어수단(40)을 먼지, 습기, 고열로부터 보호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박스(12)는 방진 및 방습을 위하여 IP(Ingress Protection) 등급이 66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방열을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IP등급은 IEC(Internaltion Electronical Commission)에서 정의하고 발행하는 방수, 방진에 대한 등급으로서 방진 보호정도를 나타내는 첫 번째 숫자와 방수 보호정도를 나타내는 두 번째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IP등급 이외에도 미국전기공업회(NEMA)에서 정의하고 발행하는 NEMA(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등급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데, NEMA등급을 기준으로 할 때는 NEMA TYPE 6 또는 NEMA TYPE 6P 등급의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한편 상기 외부박스(11)의 내벽과 상기 컨트롤박스(12)의 외벽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박스(12)의 동작 중 발생하는 열기(熱氣)를 외부로 배출하는 등의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순환통로(14)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순환통로(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박스(11)의 내벽과 상기 컨트롤박스(12)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이며, 상기 공기순환통로(14)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속도는 상기 커버(13)에 배치된 공기순환용 팬(15)을 통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대응한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베이스바디(10)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10)를 구성하는 커버(13)에 결합되는 고정바(2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바(21)의 내측으로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장바(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바(22)가 내부에 수납되며 필요에 따라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바(21)와 연장바(22)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결합볼트 및 너트, 그리고 결합용 플랜지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1)의 내부에는 수납 및 인출되는 연장바(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間隙)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바(22)가 외부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스크래기 발생을 방지하고, 외부로 인출된 연장바(22)의 외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연장바(22)의 직립도를 보강할 수 있는 가드(211)가 구비된다.
상기 가드(211)는 상기 고정바(2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바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이러한 가드(211)는 상기 연장바(22)의 인출 및 수납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찰 저항력이 높지 않으면서도 상기 연장바(22)의 외면에 밀착되어 연장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자체 탄성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골판지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골판지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21)에는 후술하는 화재 감지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4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케이블(2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용 케이블(23)은 상기 고정바(2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바디(10)와 후술하는 화재 감지수단(3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장바(2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바(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단에 후술하는 화재 감지수단(3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바(22)의 길이는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을 배치하는 높이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연장바(22)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이 외부로 출입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바(22)에는 상기 고정바(21)에 구비된 연결용 케이블(23)이 결합하는 결합소켓(221)과 상기 화재 감지수단(30)과 연통하기 위한 연장 케이블(23)이 구비된다.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관리구역을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결합 플랜지(3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결합 플랜지(31)에 결합되는 결합바(32)와, 상기 결합바(32)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어수단(40)과 연통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화재 관련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플랜지(31)는 상기 지지대(20)와 상기 결합바(32)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세로로 배치된 부위가 상기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연장바(22)의 상단에 결합되고, 가로로 배치된 부위에 상기 결합바(3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플랜지(31)에는 상기 연장바(22)의 상단에 배치되는 통신용 안테나(51)를 노출하기 위한 노출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바(3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결합 플랜지(31)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 타단에는 센서모듈(33)이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바(32)는 상기 센서모듈(33)의 전원인가 및 동작 제어, 그리고 감지한 감지정보의 수신 등을 위한 케이블 및 소켓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바(32)는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사각의 관체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모듈(33)은 상기 결합바(32)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수단(40)을 통해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하면서 관리구역에 대한 감시를 진행함으로써 관리구역에 대한 화재 관련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관리구역이란 상기 센서모듈(33)을 통해 화재 발생을 감시해야하는 구역을 지칭한다.
한편 상기 센서모듈(33)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촬영용 카메라(331)와, 열전대센서, 불꽃 감지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동작 감지센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용 카메라(331)와 열전대센서, 불꽃 감지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동작 감지센서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동작하면서 관리구역에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촬영용 카메라(331)는 관리구역의 영상을 촬영함은 물론 관리구역의 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열 영상이란 촬영되는 일정 영역에서의 열 분포를 나타내는 영상으로서, 일 예로 적외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대센서, 불꽃 감지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동작 감지센서는 상기 결합바(32)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배치되되, 상술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관리구역을 상시 감시하면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촬영용 카메라 및 상기 센서들의 구조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화재 감지수단(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에서 화재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으면 이를 통신모듈(50)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대(20)에 배치된 알람수단(60)으로 경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컨트롤박스(12)에 배치되어 먼지 및 습기로부터 보호되고, 나아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알람수단(60)은 상기 지지대(20)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외부로 경고용 조명을 조사하는 알람램프(61)와, 외부로 소리를 배출하는 스피커(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람수단(60)은 상기 컨트롤박스(1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어수단(40)을 통해 신호를 인가 받아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40)을 통해 화재 발생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달 받으면 외부로 조명 또는 소리를 배출한다.
이러한 제어수단(40)의 물리적인 구성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칩과 저장장치가 실장된 PCB 기판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40)의 물리적인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0)에는 정전 발생시 전원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가 더 배치되는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전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원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이를 관리자 서버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수단(40)의 동작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관리구역을 감시하고, 감시 중 관리구역의 영상, 온도, 연기 등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동작이 진행된다.
먼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지대(20)에 배치된 알람수단(60)을 통해 화재 발생을 알려주고,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40)은 구성된 통신모듈(50)을 통해 관리자 서버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화재 발생 신호를 전달한다.
이후 화재 진압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화재 감지수단(30) 및 상기 제어수단(40)의 동작을 초기화하고,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을 구성하는 촬영용 카메라(331)에서 촬영후 저장된 영상을 관리자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컨트롤박스(12)와 연결된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별도의 저장장치로 저장하여 재발방지, 안전교육, 대책수립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40)의 동작 상태에서 화재 발생을 관리자 서버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 이후 이를 확인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소방모듈(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소방모듈(70)은 전달 받은 제어 명령을 실행하여 화재 발생 부위에 소화용 용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소방모듈(70)이 자체적으로 감지한 온도에 의해 동작하여 소화용 용제를 분사하면, 이를 관리자 서버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소화용 용제가 분사된 것을 확인한 이후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여 화재 발생 감지가 필요한 관리구역에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고, 특히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무선 또는 유선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발생 신호를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초기 화재 진압은 물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쉘터와 같은 안전한 공간으로 피난 경로를 제공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재 발생을 감지한 이후 화재 발생 초기에 이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모듈(7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소방모듈(70)은 상기 베이스바디(10)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화용 용제가 저장되고, 저장된 소화용 용제가 분사되는 분사구(711)가 구비된 함체 형태의 소화바디(71)와, 상기 소화바디(71)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기동장치(72)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방모듈(70)은 상기 지지대(20)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호 상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배치하되 각각이 상호 다른 각도로 소화용 용제를 분사하도록 분사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바디(7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화용 용제가 저장되고 길이 방향 일단에는 상기 분사구(711)가 배치되며 길이 방향 타단에는 상기 전기기동장치(72)가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바디(71)에는 분사되는 소화용 용제의 분사 범위 및 분사 길이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팬(712)을 더 배치한 사각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바디(71)를 결합하되 상기 분사구(711)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20)에 결합하는 배치플랜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 용제는 과산화물질, 가연성물질 등의 혼합물로서 화재를 소화하는 비전도성의 미세입자인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고체화합물로 구성되며,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직경 10㎛이하의 고체입자와 기체 상태의 물질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소방모듈(70)은 상기 화재 감지수단을 통해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관리구역을 향해 상기 소화용 용제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고,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전기기동장치(72)에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여 소화바디(71)에 저장된 소화용 용제를 분사구(711)를 통해 외부로 분사하여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모듈(70)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40)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40)이 화재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 이후 상기 전기기동장치(72)에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여 소화용 용제를 분사하거나 상기 제어수단(4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전달 받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통해 상기 전기기동장치(72)에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방모듈(70)에는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기동장치(72)에 전원 및 신호를 인가하여 소화용 용제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초기에 상기 소화바디(71)에 저장된 소화용 용제를 화재 발생 위치로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어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10 : 베이스바디
11 : 외부박스 12 : 컨트롤박스
13 : 커버 14 : 공기순환통로
15 : 공기순환용 팬 16 : 이동용 캐스터
17 : 외부연결용 단자
20 : 지지대
21 : 고정바 22 : 연장바
23 : 연결용 케이블
211 : 가드
30 : 감지수단
31 : 결합플랜지 32 : 결합바
33 : 센서모듈
40 : 제어수단
50 : 통신모듈
51 : 안테나 52 : 통신용 단자
60 : 알람수단
61 : 램프 62 : 스피커
70 : 소방모듈
71 : 소화바디 72 : 전기기동장치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는 개구부(114)를 포함한 함체 형태의 외부박스(11)를 포함한 베이스바디(10);
    상기 베이스바디(10)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화재 감지수단(30);
    상기 화재 감지수단(3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에서 화재를 감지한 정보를 전달 받으면 이를 통신모듈(50)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서버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대(20)에 배치된 알람수단(60)으로 경고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바디(10)에 결합되는 고정바(2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바(21)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장바(22)와,
    상기 화재 감지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40)을 연결하여 전원의 인가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결합용 커넥터(13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21)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바(22)의 외면과 상기 고정바(2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間隙)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바(22)가 외부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방지, 외부로 인출된 상기 연장바(22)의 직립도를 보강하기 위한 가드(211)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211)는 상기 고정바(21)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장바(22)의 외면에 밀착되어 연장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자체 탄성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바디(10)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화용 용제가 저장되고, 저장된 소화용 용제가 분사되는 분사구(711)가 구비된 함체 형태의 소화바디(71)와, 상기 소화바디(71)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기동장치(72)를 포함하는 소방모듈(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소화바디(71)에는 분사되는 소화용 용제의 분사 범위 및 분사 길이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팬(712)을 더 배치한 사각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박스(11)는,
    상기 개구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3)와,
    상기 수용공간(111)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40)이 내장된 컨트롤박스(12)와,
    상기 컨트롤박스(12)와 상기 외부박스(11) 사이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14)와,
    상기 커버(1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공기순환용 팬(15)과,
    지면 또는 바닥면을 향한 저면에 배치되되,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이동용 캐스터(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12)는,
    방진 및 방습을 위하여 IP(Ingress Protection) 등급이 66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방열을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수단(3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결합 플랜지(31)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결합 플랜지(31)에 결합되는 결합바(32)와,
    상기 결합바(32)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어수단(40)과 연통되어 전원을 인가 받아 화재 관련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3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33)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촬영용 카메라(331)와,
    열전대센서, 불꽃 감지센서, 가스센서, 연기센서, 동작 감지센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20220060350A 2022-05-17 2022-05-17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2476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50A KR102476215B1 (ko) 2022-05-17 2022-05-17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50A KR102476215B1 (ko) 2022-05-17 2022-05-17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15B1 true KR102476215B1 (ko) 2022-12-09

Family

ID=8444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50A KR102476215B1 (ko) 2022-05-17 2022-05-17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3674A (zh) * 2023-07-18 2023-10-10 山东引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030923A (zh) * 2023-10-08 2023-11-10 飞马新材料(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防火服材料阻燃性能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90B1 (ko) 2008-03-17 2008-06-20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기반 화재감시시스템
KR101731995B1 (ko) 2016-01-06 2017-05-04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1934514B1 (ko) * 2018-08-29 2019-01-02 (주)케이디티콘트롤 내화재 보호장치를 구비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
KR102116678B1 (ko) * 2019-01-22 2020-05-29 조보갑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용 위험경고장치
KR20210064906A (ko) * 2019-11-26 2021-06-0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화재 감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90B1 (ko) 2008-03-17 2008-06-20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기반 화재감시시스템
KR101731995B1 (ko) 2016-01-06 2017-05-04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101934514B1 (ko) * 2018-08-29 2019-01-02 (주)케이디티콘트롤 내화재 보호장치를 구비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
KR102116678B1 (ko) * 2019-01-22 2020-05-29 조보갑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용 위험경고장치
KR20210064906A (ko) * 2019-11-26 2021-06-0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화재 감지기
KR102324178B1 (ko) 2019-11-26 2021-11-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화재 감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3674A (zh) * 2023-07-18 2023-10-10 山东引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863674B (zh) * 2023-07-18 2024-04-05 北京太青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030923A (zh) * 2023-10-08 2023-11-10 飞马新材料(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防火服材料阻燃性能检测装置
CN117030923B (zh) * 2023-10-08 2023-12-15 飞马新材料(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防火服材料阻燃性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192674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안전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34337B1 (ko) 화재 감지 및 진화 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03576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KR102361424B1 (ko) 스프링클러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물 내 화재 감지 및 진화시스템
KR101943334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102331467B1 (ko)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492435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단계별 화재 감지와 감지 정보의 전송 및 자동 소화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4819732A (en) Fire-fighting equipment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8471B1 (ko) 임시 가설물이나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감시 및 소화 장치
KR20180000053A (ko) 다방향 불꽃감지기
CN106097633A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系统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240083875A (ko) 잔불 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잔불감지장치
CN209842641U (zh) 一种消防设备远程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