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67B1 -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67B1
KR102331467B1 KR1020200014428A KR20200014428A KR102331467B1 KR 102331467 B1 KR102331467 B1 KR 102331467B1 KR 1020200014428 A KR1020200014428 A KR 1020200014428A KR 20200014428 A KR20200014428 A KR 20200014428A KR 102331467 B1 KR102331467 B1 KR 10233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ntroller
server rack
output
fir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791A (ko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안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수 filed Critical 안상수
Priority to KR102020001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5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providing data protection in case of earthquakes, floods, storms, nuclear explosions, intrusions,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서버랙(Sever rack,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탑재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는, 하부 용기 상부에 상부 덮개가 결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내부에 실장 공간이 형성된 함체, 함체의 실장 공간에 설치되며 마이콤을 실장한 제1 기판으로 구성된 제어기,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서버랙에 탑재된 서버의 화재징후 또는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기에 전달하는 제1 화재 감지기 및 제2 화재 감지기, 하부 용기 일 측면부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화재 경보음을 발생시켜 함체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기, 함체의 실장 공간에 실장되며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약제용기, 소화약제용기의 약제 배출구 측에 결합되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약제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전동밸브유닛,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전동밸브유닛과 관 또는 호스로 연결되는 약제분사노즐 및 제어기와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화재 및 장치 상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며 각종 기능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입력기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Auto Extinguisher device for sever rack and Operation method of Auto Extinguish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버랙(Sever rack,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탑재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약제를 자동 방출하여 신속한 초기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소화기를 조작해야만 소화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화염으로 인해 소화기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의 소화 대상물은 단순한 기존의 건물 혹은 그 내부의 장치 및 기록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른 부속설비 등의 다양화, 집적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부속설비가 다양화되고 집적화되는 추세에서 종래 소화 설비로는 특정영역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화재를 신속하게 제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특정 소화 대상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대상물을 향해 국부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는 국부방출방식의 자동 소화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국부방출방식의 자동 소화장치는 화재와 동시에 기동 장치가 작동하여 소화용기에 가압상태로 저장된 소화약제를 방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알려진 종래 대부분의 국부방출방식의 자동 소화장치는, 열감지 부재(일반적으로 '유리 벌브'라 함)가 화재열에 의해 깨지면 기동장치가 작동하여 소화용기를 개방시키는 기계식 구성으로, 예비경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장치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서버랙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6021호(등록일 2011. 05.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버랙(Sever rack,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에 빌트인(Built-in) 가능한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화재가 감지되면 그 즉시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신속하게 초기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자제어방식으로 화재 징후 포착 시 예비경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전 시 또는 주 전원 이상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내부 예비 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상 시에도 정상적인 대응이 가능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이 감지되면 우선적으로 화재 경고음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열과 연기가 동시에 감지되면 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화재 징후 포착 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취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화재에 대한 통합 감시가 가능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랙(Sever rack,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탑재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로서,
하부 용기 상부에 상부 덮개가 결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내부에 실장 공간이 형성된 함체;
함체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되며 마이콤을 실장한 제1 기판으로 구성된 제어기;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서버랙에 탑재된 서버의 화재징후 또는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제1 화재 감지기 및 제2 화재 감지기;
하부 용기 일 측면부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화재 경보음을 발생시켜 함체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기;
함체의 실장 공간에 실장되며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약제용기;
소화약제용기의 약제 배출구 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약제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전동밸브유닛;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전동밸브유닛과 관 또는 호스로 연결되는 약제분사노즐; 및
제어기와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화재 및 장치 상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며, 각종 기능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입력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는 또한, 함체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되며, 주 전원 차단 시 상기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부에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예비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는 또한, 하부 용기 타 측면부에 구비되는 전원입력단자 및 전원 온/오프용 전원 스위치, 그리고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는 서버랙에 설치되는 냉각팬이며,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에 연동하여 제어기는 상기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을 통해 상기 냉각팬에 정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기는,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1 설정값에 도달하거나,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3 설정값에 도달하면 경보음 발생기에 우선적으로 동작 명령을 출력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팬에 추가적으로 정지 명령을 출력하여 냉각팬을 정지시키며,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3 설정값보다 큰 제4 설정값에 도달하면 최종적으로 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켜 약제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약제가 서버랙 내부에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또한,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팬 정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경보기를 점멸시킴으로써 화재 위험을 시각적으로도 확실하게 인식시켜 신속한 초동 조치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 화재 감지기는 온도 감지기이며, 제2 화재 감지기는 연기 감지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에 적용된 상기 약제분사노즐은, 유로 중간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된 노즐몸체(Nozzle body)와, 상기 노즐몸체 일측에 나사 결합구조 동축 결합되며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단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보다 구경이 작은 분사홀이 형성된 노즐팁(Nozzle Tip)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사홀의 출구 측이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용기 일 측면부에 상기 경보음 발생기가 발생시킨 경보음의 함체 외부 출력을 위한 다수의 타공들로 구성된 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보음 발생기를 하부 용기 일 측면부 내측에서 울림통이 에워싸도록 구성됨으로써, 경보음 발생기가 발생시킨 화재 경보음이 울림통을 통해 증폭된 상태로 외부에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공부 인접 측부에 상기 울림통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에 적용된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부 용기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액정유리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사용자 터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거나, 제어기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신호를 처리하여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화면에 전동밸브유닛을 수동으로 기동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수동조작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화면에 동작시험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동작시험버튼을 터치하면 제1 화재 감지기와 제2 화재 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제1 화재 감지기 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경보음 발생기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화재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작시험버튼을 터치 후 표시되는 제1 화재 감지기 버튼과 제2 화재 감지기 버튼을 모두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방법으로서,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제1 설정값에 도달하거나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3 설정값에 도달하면 경보음 발생기가 화재 경보음을 출력하는 예비경보단계;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서버랙의 냉각팬을 정지시키는 화재경보단계; 및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3 설정값보다 큰 제4 설정값에 도달하면 전동밸브유닛이 기동하여 소화약제용기의 약제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소화장치 동작단계;를 포함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경보단계에서는, 냉각팬 정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경보기를 점멸시켜 화재 상황임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인 서버랙(Sever rack)에 빌트인(Built-in) 형식으로 탑재 가능한 콤팩트한 구성이면서도, 화재가 감지되면 그 즉시 자동으로 다량의 소화약제를 넓은 분사각으로 방출하여 신속하게 초기진화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장비 소손 및 데이터 손실 등과 같은 막대한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 자동소화장치는 전자제어방식으로써, 화재 징후 포착 시 예비경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 또는 제공할 수 있으며, 정전 시 또는 주 전원 이상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내부 예비 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상 시에도 정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더욱이, 열이 감지되면 우선적으로 화재 경고음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열과 연기가 동시에 감지되면 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화재 징후 포착 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취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화재에 대한 다각적인 통합 감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상부 덮개를 제거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장치 구성도.
도 5는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약제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 8은 높이 조절 가능한 약제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바람직한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함체 구성에서 상부 덮개를 제거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2)는 장치 외형을 구성하는 함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11), 경보음 발생기(14), 소화약제용기(16), 전동밸브유닛(17), 예비 전원(21)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가 함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상기 함체(10)에 결합되는 제1, 제2 화재 감지기(12, 13), 디스플레이부(20), 약제분사노즐(19)을 구비한다.
함체(10)는 하부 용기(10a) 상부에 상부 덮개(10b)가 결합된 박스형 구조물,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예시와 같은 직육면체 구조물로서 내부에 실장 공간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제어기(11)는 함체(10)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된다. 제어기(11)는 바람직하게, 함체(10)의 상기 하부 용기(10a) 일측에 볼팅 방식으로 단단하게 고정되는 회로기판('제1 기판(110)'이라 함)에 마이콤(부호 생략)을 실장한 구성일 수 있다.
제1 화재 감지기(12) 및 제2 화재 감지기(13)는 함체(10)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화재 감지기(12) 및 제2 화재 감지기(13)는 서버랙에 탑재된 서버의 화재징후 또는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11)에 전달하며, 제어기(11)는 상기 화재 감지기들(12, 13)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속 제어(경보음 발생 및 소화약제 방출을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제1 화재 감지기(12)는 바람직하게, 서버랙 내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응하는 전기신호 형태로 상기 제어기(11)에 출력하는 온도 감지기(온도 센서)일 수 있으며, 제2 화재 감지기(13)는 바람직하게, 서버랙 내 연기 발생을 감지하고 연기가 감지되면 상응하는 신호를 전기신호 형태로 상기 제어기(11)에 내보내는 연기 감지기일 수 있다.
제2 화재 감지기(13)는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감지기가 실장된 베이스와 감지기를 덮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덮개, 그리고 감지기가 경고 모드임을 표시하도록 빛을 발생시키는 작동 램프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연기 감지기의 구성일 수 있으며, 연소 생성입자를 이온 전류의 변화를 포착하는 이온식과 광속의 변화로부터 연기를 감지하는 광식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경보음 발생기(14)는 하부 용기(10a) 일 측면부 내측에 설치되어 제어기(11)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화재 경보음을 발생시켜 함체(10) 외부로 출력한다. 경보음 발생기(14)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기기인 스피커일 수 있으며, 제1 화재 감지기(12) 출력에 연동한 상기 제어기(11) 통제로 작동될 수 있다.
소화약제용기(16)는 상기 하부 용기(10a) 내측에 결합되는 전용 브라켓(B)을 통해 함체(10)의 실장 공간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소화약제용기(16)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도면(도 3)의 예시와 같이 두 개의 용기가 각각 전용 브라켓을 통해 하부 용기(10a) 내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소화약제용기(16) 내부에는 화재 진압을 위한 분말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분말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소화약제용기(16)의 일단에는 약제 배출구(160, 도 5 참조)가 형성되며, 약제 배출구(160)에 상기 전동밸브유닛(17)이 설치된다. 전동밸브유닛(17)은 평소 상기 약제 배출구(160)에 의한 약제 이동 경로를 봉쇄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기(11)로부터 특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상기 약제 배출구(160)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 화재 감지기(13, 연기 감지기)에서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설정값이 이상일 때 제어기(11)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기동 명령)로 작동되어 상기 약제 배출구(160)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소화약제용기(16) 내부에 적어도 대기압 이상 고압으로 충전된 소화약제는 관 또는 호스(18)와 약제분사노즐(19)을 거쳐 장치 외부, 즉 서버랙 내부에 방출된다.
전동밸브유닛(17)은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밸브 하우징 내부에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 핀틀이 일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약제 배출구와 통하는 유로가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기동방식이나, 모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핀을 직선 이동시켜 유로를 막고 있던 패커를 눌러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모터 기동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솔레노이드 기동방식의 전동밸브유닛을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기동방식의 전동밸브유닛(17-1)은, 약제 배출구(160)에 결합되며 측면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된 중공의 밸브하우징(170)과, 밸브하우징(170) 내측의 환형 코일(175)과 코일(175)에 둘러싸인 아마추어(176)로 구성된 액추에이터(174)를 포함한다. 또한 아마추어(176)에 결합되어 밸브하우징(170)에 형성된 유로(171)를 개폐시키는 포핏 밸브(177)를 구비한다.
포핏 밸브(177)는 도면(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아마추어(176)에 결합되는 핀틀(178)과, 밸브하우징(170)에 형성된 상기 유로(171)에 대응하여 핀틀(178) 하단에 부착된 밸브 갓(179)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마추어(176)와 밸브하우징(170) 사이에는 포핏 밸브(177)가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7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동밸브유닛(17-1)은, 제2 화재 감지기(13)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제어기(11)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코일(175)이 자화되면, 자성체인 아마추어(176)와 이를 둘러싸는 코일(175) 간 상호작용으로 도 5의 (b)와 같이 아마추어(176) 및 포핏 밸브(177)가 일측(위쪽)으로 밀려나 유로(171)가 개방됨으로써, 개방된 유로(171)를 따라 소화약제가 용기 밖으로 배출된다.
도 6은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모터 기동방식의 전동밸브유닛을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186) 기동방식의 전동밸브유닛(17-2)은, 모터(186)와, 일측에 상기 모터(186)가 결합되고 타단이 소화약제용기(16)의 약제 배출구(160)에 밸브어댑터(185)를 통해 결합되는 밸브바디(180)와, 모터(186)가 발생시킨 회전력으로 밸브바디(180) 내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동축(187)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186) 반대편의 밸브바디(180) 타측에서 결합되는 관형 연결구(189)를 구비한다.
밸브바디(180)는 그 내부에 소화약제용기(16) 내부와 통하는 제1 유로(181)가 형성되고 측부에 제1 유로(181)와 통하는 제2 유로(183)가 형성된 호스연결구(182)를 일체로 구비한다. 제1 유로(181)와 제2 유로(183)가 만나는 지점 주변의 밸브바디(180) 내부에는 단턱(184)이 형성되며, 단턱(184) 부분의 제1 유로(181)를 개폐하도록 원뿔대 형상의 밀봉부재(188)가 상기 밸브바디(180) 내부에 설치된다.
밀봉부재(188)의 일측(도면상 밀봉부재 하면부)은 상기 관형 연결구(189)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S)에 의해 상기 단턱(184) 부분의 제1 유로(181)를 봉쇄하도록 탄성 지지되고, 타측(도면상 밀봉부재의 상면부)에 모터(186)의 회전력에 의해 제1 유로(181)가 형성된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상기 가동축(187)과 접하거나 가동축(187)의 일부를 회전 자유롭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모터(186) 기동방식의 전동밸브유닛(17-2)은, 기동 전 도 6의 (a)와 같이 스프링(S)의 탄성으로 원뿔대 형상의 밀봉부재(188)가 단턱(184) 부분의 제1 유로(181)를 봉쇄함으로써 소화약제의 배출이 차단되며, 제2 화재 감지기(13)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제어기(11)가 출력하는 기동 명령으로 모터(186)가 구동되면, 도 6의 (b)와 같이 막혀 있던 제1 유로(181)가 개방됨으로써 소화약제가 배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 화재 감지기(13)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제어기(11)가 출력하는 기동 명령으로 모터(186)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회전하면, 모터(186) 출력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축방향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기 가동축(187)이 도면(도 6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유로(181)를 봉쇄하고 있던 밀봉부재(188)를 누르게 된다.
가동축(187)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밀봉부재(188)를 탄성지지 하고 있던 스프링(S)이 압축되고, 밀봉부재(188)가 가동축(187)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밀봉부재(188)에 의해 봉쇄되어 있던 제1 유로(181)가 개방된다. 그 결과 소화약제용기(16)에 고압 충전되어 있던 액상 또는 분말형 소화약제가 개방된 제1 유로(181) 및 제1 유로(181)와 연결된 제2 유로(183)를 거쳐 소화약제용기(16) 밖으로 배출된다.
전동밸브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위에서는 솔레노이드 기동방식(도 5에 도시된 실시 예)과 모터 기동방식(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해당 실시 예와 같은 구성에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신호로 작동되어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소화약제용기의 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약제분사노즐(19)은 함체(10)의 바닥부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소화약제용기(16) 각각에 설치된 상기 전동밸브유닛(17)과 관 또는 호스(18)를 통해 연결된다. 관 또는 호스(18)는 전동밸브유닛(17)과 약제분사노즐(19) 사이에서 소화약제 이동을 위한 통로(passage)를 형성하며, 따라서 전동밸브유닛(17) 개방 작동 시 약제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된 소화약제는 관 또는 호스(18)를 거쳐 약제분사노즐(19)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약제분사노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약제분사노즐(19)은 유로 중간에 오리피스(Orifice, 192)가 형성된 노즐몸체(Nozzle body, 190)와, 노즐몸체(190) 일측에 나사 결합구조 동축 결합되며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단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191)보다 구경이 작은 분사홀(195)이 형성된 노즐팁(Nozzle Tip, 194)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사홀(195)의 출구 측이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약제분사노즐(19)은, 노즐팁(194)에 노즐몸체(190)의 오리피스(192)보다 작은 구경으로 분사홀(195)이 형성됨으로써, 분사홀(195)을 통해 서버랙 내부로 방출되는 압력이 급격히 감소해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의 소화약제가 순간 고압 방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분사홀(195)의 출구 측이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구조이므로 소화약제가 서버랙 내부에 고르게 확산 방출될 수 있다.
즉 분사홀(195)의 출구 측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증가됨으로써, 방출되는 소화약제의 분사각도가 넓게 형성되어 소화대상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와 서버랙 사이의 배치공간에 충분한 여유가 없는 경우에 효과적인 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약제분사노즐(19)은 도 8의 예시와 같이, 신축 가능한 안테나 타입(도 8(a))의 연결관(198a) 내지는 주름관 타입(도 8의 (b))의 연결관(198b)을 통해 함체(10)의 바닥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관(198a 또는 198b)을 도면상 아래쪽으로 신장시키거나 반대로 수축시켜 서버랙 내 서버의 배치 형태나 구조에 따라 약제분사노즐(19)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도면(도 2)에는 함체(10)에 약제분사노즐(19)을 2개로 구성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는 약제분사노즐(19)이 2개로 형성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분사노즐(19)을 하나만 구성하거나 3이상 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약제분사노즐(19)에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소화약제용기(16) 역시 예시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선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21은 예비 전원을 가리킨다. 예비 전원(21)은 음극(-극)으로 아연금속을 사용하는 통상의 1차 전지 또는 충전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리튬계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전술한 함체(10)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되어 주 전원 차단 시 상기 제어기(11) 및 디스플레이부(20)에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정전 시 또는 주 전원 이상 등에 의해 장치에 대한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내부 예비 전원(21)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경보음 출력, 전동밸브유닛의 기동,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다양한 기능 제어 등)이 가능하다. 즉 비상 시(정전이나 주 전원 이상 시)에도 정상적인 대응을 통해 화재로 인한 서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는 또한, 하부 용기(10a) 타 측면부에 구비되는 전원입력단자(22, 전원 플러그 연결단자) 및 주 전원 온/오프(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23), 그리고 서버랙에 설치되는 외부 기기와 전용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출력단자(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서버랙 내부의 서버들 냉각을 위해 상기 서버랙에 설치되는 냉각팬(3)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냉각팬(3)에 의한 서버랙 내 강제적인 공기 유동이 서버랙 내부로 방출되는 소화약제 미립자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에 연동하여 제어기(11)는 입출력단자(24)에 연결된 전용케이블을 통해 상기 냉각팬(3)에 정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에 따라 입출력단자(24)에 연결된 전용케이블을 통해 제어기(11)가 서버랙의 냉각팬(3)에 정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버랙 내 강제적인 공기 유동에 의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고, 방출 소화약제가 특정 방향으로 쏠리거나 서버랙 밖으로 강제 배출되는 일 없이 온전히 하부에 배치된 서버들을 향하여 균일한 분포로 분사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바람직하게, 제1 화재 감지기(12, 온도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1 설정값(온도 설정값)에 도달하거나, 제2 화재 감지기(13, 연기 감지기)의 출력이 기 설정된 제3 설정값(연기 농도 설정값)도달하면, 우선적으로 경보음 발생기(14)에 동작 명령을 출력하며, 이에 따라 경보음 발생기(14)는 화재 관련 경보음을 발생시켜 출력한다.
제어기(11)는 또한, 경보음 발생기(14)에 의하여 경보음이 발생하는 도중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온도 설정값)까지 상승하면, 상기 냉각팬(3)에 추가적으로 정지 명령을 출력함으로써, 냉각팬(3)에 의한 화염 확산을 방지하고 냉각팬에 의한 서버랙 내 강제적인 공기 유동이 이후 방출될 소화약제 미립자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이 기설정된 상기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냉각팬(3) 정지 제어 함께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경고메시지가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시각경보기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재 위험을 경보음과 함께 시각적으로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 작업자는 보다 신속하게 초동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제어기(11) 또한,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이 설정값(제1 설정값 또는 제2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제2 화재 감지기(13, 연기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3 설정값보다 큰 제4 설정값(연기 농도 설정값)에 도달하면, 약제분사노즐(19)을 통해 소화약제가 서버랙 내부에 방출되도록 최종적으로 전동밸브유닛(17)에 상응하는 명령(기동 명령) 출력하여 전동밸브유닛(17)을 기동시킨다.
다른 한편, 하부 용기(10a)의 일 측면부에는 전술한 경보음 발생기(14)가 발생시킨 경보음의 함체(10) 외부 출력을 위한 다수의 타공들로 구성된 타공부(102)가 형성된다(도 1 및 도 3 참조). 그리고 경보음 발생기(14)를 하부 용기(10a) 일 측면부 내측에서 울림통(15)이 에워싸도록 구성됨으로써, 경보음 발생기(14)가 발생시킨 화재 경보음은 울림통(15)에 의해 증폭된 상태로 상기 타공부(102)를 통해 외부에 출력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울림통(15) 내에 채워진 공기에 소밀파(Dilatational wave,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진동 방향이 나란한 음파)를 발생시켜 소리 증폭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타공부(102)의 인접 측부에는 상기 울림통(15)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10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수준인 대략 70dB 수준으로 경보음이 증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 앞선 도 1 및 도 4 참조)는 제어기(11)와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부(20)는 화재 및 장치 상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며, 각종 기능(수동조작, 운영기록 확인, 시간 및 날짜 설정, 동작시험 등)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바람직하게, 하부 용기(10a)의 일 측면부에 외부로 노출토록 설치되며 액정유리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기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통한 사용자 터치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기(11)에 전달하거나, 제어기(11)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신호를 처리하여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출력하는 제2 기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의 바람직한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각종 기능 버튼(수동조작, 운영기록 확인, 시간 및 날짜 설정, 동작시험 등) 및 장치 상태에 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시간표시, 전압표시, 수동조작버튼, 전원상태표시, 방출모드 선택버튼, 설정버튼, 동작시험버튼, 복구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시간표시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며, 전압표시는 장치에 입력되는 전압 및 이상유무를 표시한다. 그리고 수동조작버튼은 전동밸브유닛(17)을 수동으로 기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버튼 표시로서, 사용자가 상기 수동조작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11)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17)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식 밸브기동유닛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방출모드 선택버튼은 소화약제 방출 모드를 자동 모드로 할지 수동 모드로 할지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자동버튼을 누르면 제1 화재 감지기(12)와 제2 화재 감지기(13) 감지 신호에 연동한 제어기(11) 통제로 소화약제가 자동 방출되도록 설정되고, 수동조작버튼을 누르면, 제1 화재 감지기(12)와 제2 화재 감지기(13) 신호와는 무관하게 앞서 언급했듯이 즉시 전동밸브유닛(17)에 작동 명령이 출력된다.
설정버튼을 누르면 화면복구시간, 운영기록, 시간 및 날짜를 설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복구버튼 터치를 통해 장치 상태를 초기 설정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동작시험버튼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동작시험버튼을 터치하면 제1 화재 감지기(12)와 제2 화재 감지기(13)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제1 화재 감지기(12) 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11)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경보음 발생기(14)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화재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동작시험버튼을 터치 후 표시되는 제1 화재 감지기(12) 버튼과 제2 화재 감지기(13) 버튼을 모두 터치하면 제어기(11)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17)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밸브유닛(17)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메인 화면 구성에는 도 9의 예시와 같이, 예비전원 시험버튼, 주음향 정지, 사이렌 정지를 비롯해 다양한 기능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도 9와 같은 화면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지 해당 화면 구성으로 반드시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 사양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기능 버튼이나 정보 표시 외에 다른 기능 버튼이나 정보 표시가 추가되거나, 반대로 표시된 기능 버튼이나 정보 표시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전술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2)는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인 서버랙(Sever rack, 1)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의 예시도와 같이 복수의 서버 장비(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형 구조로 정렬된 서버랙(1) 내 수용공간의 최상단에 약제분사노즐(19)이 아래에 위치한 서버 장비(4)를 향하도록 상기 서버랙(1)에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2)는, 도 11과 같이 예비경보단계(S100), 화재경보단계(S200), 소화장치 동작단계(S300)로 이루어진 작동 매커니즘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예비경보단계(S100)에서는 제1 화재 감지기(12, 온도 감지기)의 출력이 제1 설정값(대략 55 ~ 95℃)에 도달하거나, 제2 화재 감지기(13), 연기 감지기)의 출력이 제3 설정값에 도달하면, 제어기(11)가 출력하는 동작 명령에 따라 경보음 발생기(14)가 동작하여 화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만약, 화재 경보음 발생도중 제1 화재 감지기(12)를 통해 감지된 서버랙 내부의 온도가 제1 설정값 미만으로 다시 떨어지면 경보음 발생기(14)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
화재경보단계(S200)에서는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대략 60 ~ 100℃)에 도달하면, 제어기(11) 통제에 따라 서버랙의 냉각팬(3)이 정지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시각경보기가 점멸됨으로써, 경보음과 함께 위험 상황임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제1 화재 감지기용 LED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제1 화재 감지기(12)의 출력이 설정값(제1 설정값 또는 제2 설정값) 이상이면서 제2 화재 감지기(13, 연기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4 설정값(연기 농도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소화장치 동작단계(S300)로 진입한다. 소화장치 동작단계(S300)에 진입하면 제어기(11) 통제로 전동밸브유닛(17)이 기동하여 소화약제용기(16)의 약제 배출구(160)가 개방됨으로써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설정값 및 제2 설정값으로 예로 든 수치 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범위로서, 각 설정값이 반드시 해당 수치 범위로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버랙의 구조나 서버랙에 탑재된 서버 장비의 개수, 배치 형태, 서버랙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평상 시(화재 미발생 시) 서버랙 내부 온도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가 작동되는 온도 범위를 적절히 설정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인 서버랙(Sever rack)에 빌트인(Built-in) 형식으로 탑재 가능한 콤팩트한 구성이면서도, 화재가 감지되면 그 즉시 자동으로 다량의 소화약제를 넓은 분사각으로 방출하여 신속하게 초기진화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장비 소손 및 데이터 손실 등과 같은 막대한 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랙 자동소화장치는 전자제어방식으로써, 화재 징후 포착 시 예비경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 또는 제공할 수 있으며, 정전 시 또는 주 전원 이상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내부 예비 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상 시에도 정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더욱이, 열이 감지되면 우선적으로 화재 경고음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열과 연기가 동시에 감지되면 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화재 징후 포착 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취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고 화재에 대한 다각적인 통합 감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서버랙(Sever rack) 2 :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3 : 냉각팬 4 : 서버(서버 장비)
10 : 함체 10a : 하부 용기
10b : 상부 덮개 11 : 제어기
12 : 제1 화재 감지기 13 : 제2 화재 감지기
14 : 경보음 발생기 15 : 울림통
16 : 소화약제용기 17 : 전동밸브유닛
18 : 관 또는 호스 19 : 약제분사노즐
20 : 디스플레이부 21 : 예비 전원
22 : 전원입력단자 23 : 전원 스위치
24 : 입출력단자 102 : 타공부
104 : 통공 110 : 제1 기판
160 : 약제 배출구 170 : 밸브 하우징
171 : 유로 172 : 배출구멍
173 : 스프링 174 : 액추에이터
175 : 코일 176 : 아마추어
177 : 포핏 밸브 178 : 핀틀
179 : 밸브 갓 190 : 노즐 몸체
192 : 오리피스 194 : 노즐팁
195 : 분사홀 200 : 디스플레이 패널
202 : 제2 기판

Claims (15)

  1. 서버랙(Sever rack,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쌓아두는 장비)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탑재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로서,
    하부 용기 상부에 상부 덮개가 결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내부에 실장 공간이 형성된 함체;
    함체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되며 마이콤을 실장한 제1 기판으로 구성된 제어기;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서버랙에 탑재된 서버의 화재징후 또는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제1 화재 감지기 및 제2 화재 감지기;
    하부 용기 일 측면부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화재 경보음을 발생시켜 함체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기;
    함체의 실장 공간에 실장되며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약제용기;
    소화약제용기의 약제 배출구 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기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약제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전동밸브유닛;
    함체의 바닥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전동밸브유닛과 관 또는 호스로 연결되는 약제분사노즐;
    제어기와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화재 및 장치 상태에 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 인식 가능하게 표출하며, 각종 기능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입력기반의 디스플레이부; 및
    하부 용기 타 측면부에 구비되는 전원입력단자 및 전원 온/오프용 전원 스위치, 그리고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는 서버랙에 설치되는 냉각팬이고,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에 연동하여 상기 제어기가 상기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을 통해 상기 냉각팬에 정지 명령을 출력하며,
    상기 약제분사노즐은 유로 중간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된 노즐몸체(Nozzle body)와, 상기 노즐몸체 일측에 나사 결합구조 동축 결합되며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배출단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보다 구경이 작은 분사홀이 형성된 노즐팁(Nozzle Tip)으로 구성되되, 상기 분사홀의 출구 측이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함체의 상기 실장 공간에 설치되며, 주 전원 차단 시 상기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부에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예비 전원;을 더 포함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1 설정값에 도달하거나,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3 설정값에 도달하면 경보음 발생기에 우선적으로 동작 명령을 출력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팬에 추가적으로 정지 명령을 출력하여 냉각팬을 정지시키며,
    제2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상기 제3 설정값보다 큰 제4 설정값에 도달하면 최종적으로 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켜 약제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약제가 서버랙 내부에 방출되도록 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1 화재 감지기의 출력이 기설정된 제2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냉각팬 정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경보기를 점멸시키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화재 감지기는 온도 감지기이며,
    제2 화재 감지기는 연기 감지기인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용기 일 측면부에 상기 경보음 발생기가 발생시킨 경보음의 함체 외부 출력을 위한 다수의 타공들로 구성된 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보음 발생기를 하부 용기 일 측면부 내측에서 울림통이 에워싸며,
    타공부 인접 측부에 상기 울림통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부 용기 일 측면부에 설치되며, 액정유리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사용자 터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거나, 제어기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신호를 처리하여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화면에 전동밸브유닛을 수동으로 기동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수동조작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메인 화면에 동작시험버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동작시험버튼을 터치하면 제1 화재 감지기와 제2 화재 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제1 화재 감지기 버튼을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경보음 발생기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화재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동작시험버튼을 터치 후 표시되는 제1 화재 감지기 버튼과 제2 화재 감지기 버튼을 모두 터치하면 제어기가 해당 터치를 인식해 전동밸브유닛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전동밸브유닛을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14428A 2020-02-06 2020-02-06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33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28A KR102331467B1 (ko) 2020-02-06 2020-02-06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28A KR102331467B1 (ko) 2020-02-06 2020-02-06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791A KR20210100791A (ko) 2021-08-18
KR102331467B1 true KR102331467B1 (ko) 2021-11-29

Family

ID=7746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28A KR102331467B1 (ko) 2020-02-06 2020-02-06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972B1 (ko)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의 온도제어 및 화재 대응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온도 제어 및 화재 대응 방법
KR102444490B1 (ko)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서버랙의 온도제어 및 화재대응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445A (ja) * 2006-03-06 2007-09-20 Miyata Ind Co Ltd サーバラック用消火剤放出方法および装置
JP4004812B2 (ja) 2002-02-12 2007-11-07 富士通株式会社 ラックシステム
KR101757760B1 (ko) * 2016-08-29 2017-07-14 박종두 화재감지수단을 갖는 소화기
KR102026380B1 (ko) 2019-06-03 2019-09-27 황광모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21B1 (ko) 2009-04-13 2011-05-23 김경종 소방 설비의 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4812B2 (ja) 2002-02-12 2007-11-07 富士通株式会社 ラックシステム
JP2007236445A (ja) * 2006-03-06 2007-09-20 Miyata Ind Co Ltd サーバラック用消火剤放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757760B1 (ko) * 2016-08-29 2017-07-14 박종두 화재감지수단을 갖는 소화기
KR102026380B1 (ko) 2019-06-03 2019-09-27 황광모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비 보호용 랙 모니터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972B1 (ko)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의 온도제어 및 화재 대응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온도 제어 및 화재 대응 방법
KR102444490B1 (ko)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서버랙의 온도제어 및 화재대응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791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467B1 (ko)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US7817048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methods
JP2009515242A (ja) 電気装置のラックにおける火災検知装置
JP2019523692A (ja) 知能型自動消火噴射器
KR20200001357A (ko) 리모컨으로 동작되는 화재감지기용 복합 테스트 장비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20170107728A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172018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CN110935121A (zh) 一种配电柜自动灭火系统
JP3322381B2 (ja) 消火設備
KR20120002640U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20090010152A (ko) 밸브 일체식 스프링쿨러및 이를 이용한 화재 조기 진압시스템
CN214596930U (zh) 灭火系统
KR100385758B1 (ko) 디지털 소화 시스템
CN218944217U (zh) 一种小型自动灭火装置
JP2018175276A (ja) 簡易設置型自動消火設備
KR102617669B1 (ko) 위치 확인을 위한 음성 신호 발생 구조의 화재 경보 시스템
JP2001104506A (ja) 家庭用セントラル消火システム
KR102603660B1 (ko)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CN214042534U (zh) 一种物联网家用火灾自动报警装置
KR100399600B1 (ko) 자동 화재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